KR100241399B1 -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399B1
KR100241399B1 KR1019940037150A KR19940037150A KR100241399B1 KR 100241399 B1 KR100241399 B1 KR 100241399B1 KR 1019940037150 A KR1019940037150 A KR 1019940037150A KR 19940037150 A KR19940037150 A KR 19940037150A KR 100241399 B1 KR100241399 B1 KR 10024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monitor
resis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146A (ko
Inventor
우상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4003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399B1/ko
Priority to JP7338778A priority patent/JPH08248909A/ja
Priority to US08/579,198 priority patent/US5770931A/en
Priority to CN95121768A priority patent/CN1136255A/zh
Publication of KR96002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7Cent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된 직류 성분의 전원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공급하여 수평 위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을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변된 직류 성분의 전압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시키는 전압 출력부로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수평 주파수를 전압을 변환시킨 후 변환된 전압을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 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제1도는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배부 20 : 전류 제어부
R31-R34 : 저항 Q31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된 직류 성분의 전원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공급하여 수평 위상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에 따라 설정된 직류 성분에 전원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어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의 듀티가 가변된 후 듀티가 가변된 펄스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발생된 모조 동기(Psudo Syn.)에 의해 수평 위상이 조정된다.
여기서, 수평 주파수에 따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 위상 조정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21 )(R22)및 증폭기(OP)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DC)을 증폭시키는 증폭부(2)와, 수평 주파수에 따라 상기 증폭부(2)에서 출력되는 전압(Vo)의 크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S1)(CS2)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3)와, 저항(R41)및 콘덴서(C41)로 구성되어 제어부(3)에 의해 조정된 전압이 정형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 출력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어부(3)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CS1)(CS2)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1)(Q32)와, 상기 트랜지스터(Q31)(Q32)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스위칭되어 증폭기(OP)의 출력 전압(Vo)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콘덴서(C41)양단의 전압을 통과시키는 트랜지스터(Q33)와, 제어 신호(CS1)( CS2)를 바이패스시키는 저항(R31)(R32)와, 트랜지스터(Q31)-(Q33)의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R34)(35)과, 트랜지스터(Q3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Q32)와 트랜지스터(Q33)에 전류를 바이패스 시켜주는 R(33)(R36)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에 있어서, 우선, 수평 주파수가 31KHz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가 31KHz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S1)(CS2)는 모두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고, 모두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CS 1)(CS2)는 저항(R31)(R32)를 통해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Q31)(Q32)에 각각 인가되어 턴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1)(Q32)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트랜지스터(Q32)의 출력 전압은 저항(R36)을 통해 트랜지스터(Q33)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3)는 턴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DC)는 증폭부(2)의 증폭기(OP)에 인가되어 증폭되는데, 그때 증폭도는 저항(R21)(R2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증폭부(2)의 증폭기(OP)에서 출력되는 전압(Vo)은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Q31)과 (Q32)는 턴오프되고 (Q33)은 턴온이 되므로, 전압 출력부(4)의 저항(R41)과 (R34)의 병렬값이 되어 {Vo/(R41//R34)+RLOAD}×RLOAD의 전압이 콘덴서(C41)의 양단에서 정형화 된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된다.(여기서 RLOADIC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단에 연결되는 기본저항이다.)
그러나, 수평 주파수가 47KHz가 되면, 제어부(3)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CS1) (CS2)가 각각 고전위 상태 및 저전위 상태이므로,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Q3 1)(Q33)가 턴온 상태로 스위칭되고,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 증폭부(2)의 출력 전압은 트랜지스터(Q33)및 저항(Q34)를 통해 전압 강하된 후 또한 트랜지스터(Q31)도 턴온 상태이므로 전압출력부(4)의 콘덴서(41)에서 정형되는 전압은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단에 연결되는 기본저항(RLOAS)와 저항(R35)의 병렬 값으로 분배되므로 더욱 낮아지게 된다.
한편, 수평 주파수가 63KHz이면, 제어부(3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CS1)(CS 2)가 모두 고전위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31)-(Q32)는 턴온 상태로 스위칭되며, Q33은 턴오프상태가 된다. 왜냐하면 트랜지스터(Q32)에 의해 바이어스 전압이 뮤팅되기 때문이다. 트랜지스터(Q31-Q33)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증폭부(2)의 출력 전압(Vo)은 트랜지스터(Q31)에 의해서만 전압 강하된다.
즉, 전압 출력부(4)의 콘덴서(C41)의 축적된 전압은 제어부(3)의 (R35)와 Rload(멀티바이브레이터 단의 기본저항)와 병렬값이 되어 가장 낮아진 전압이 출력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제어 회로는 수평 주파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은 반비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제어 회로는 제어부의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트랜지스터의 오동작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오동작으로 인해 수평 위상이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설계하여 강박 단소뿐만 아니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안정화시켜 수평 위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을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변된 직류 성분의 전압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시키는 전압 출력부로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수평 주파수를 전압을 변환시킨 후 변환된 전압을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 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21)(R22) 및 증폭기(OP)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DC)을 증폭시키는 증폭부(2)와, 입력되는 수평 주파수가 변환된 전압(FV)에 의해 증폭부(10)의 출력 전압(Vo)가 제어되는 제어부(3)와 저항(R41)및 콘덴서(C41)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3)에 의해 제어된 출력 전압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에 인가시키는 전압 출력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어부(3)는 저항(R31)(R32)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 수평 주파수가 변환된 전압(FV)을 분배시키는 분배부(10)와, 상기 분배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직류 성분의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류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제어부(20)는 분배부(10)의 분배된 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저항(R33)와, 저항(R33)의 출력 전압에 의해 활성영역으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 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저항(R34)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에 있어서, 우선,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DC)는 증폭부(2)의 증폭기(OP)에 인가되어 증폭되며, 그때 증폭도는 저항(R21)(R22)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증폭부(2)의 증폭기(OP)에서 출력되는 전압(Vo)은 전압 출력부(4)의 저항(R41)및 콘덴서(C41)에 의해 정형된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 의해 수평 주파수가 전압으로 변환된 후 제어부(3)에 인가되고, 제어부(3)에 인가된 전압(FV)은 분배부(10)의 저항(R31)(R3 3)에 의해 분배된다.
그리고, 저항(R31)(R32)의 분배된 전압은 전류 제어부(20)의 저항(R33)을 통해 트랜지스터(Q3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1)가 턴온 상태가 아닌 활성영역(acti ve)영역에서 동작된다. 즉 저항(R33)과 (R34)는 트랜지스터(Q31)이 스위칭 동작이 아닌 증폭 동작으로 상용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저항(R34)에 의해 트랜지스터(Q31)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제어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출력되는 전압(FV)의 크기에 따라 트랜지스터(Q31)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는 일종의 등가적 가변저항 역할을 함으로서 멀티바이크레이터단의 기본저항(RLOAD)와 병렬값을 취하여 콘덴서(C41)s에 의해 정형화 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41)에 의해 정형화 되는 전압의 크기가 수평 주파수와 반비례적으로 가변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는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어되므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안정되고, 제어부의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경박 단소 및 오동작 내지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전원을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가변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변된 직류 성분의 전압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인가시키는 전압 출력부로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수평 주파수를 전압을 변환시킨 후 변환된 전압을 분배시키는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 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는 전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수단은 상기 분배 수단의 분배된 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저항(R33)와, 상기 저항(R33)의 출력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전압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활성영역으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저항(R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KR1019940037150A 1994-12-27 1994-12-27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KR10024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150A KR100241399B1 (ko) 1994-12-27 1994-12-27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JP7338778A JPH08248909A (ja) 1994-12-27 1995-12-26 モニターのホールド電圧発生回路
US08/579,198 US5770931A (en) 1994-12-27 1995-12-27 Circuit for generating a hold voltage of a monitor
CN95121768A CN1136255A (zh) 1994-12-27 1995-12-27 产生监视器维持电压的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150A KR100241399B1 (ko) 1994-12-27 1994-12-27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146A KR960028146A (ko) 1996-07-22
KR100241399B1 true KR100241399B1 (ko) 2000-02-01

Family

ID=1940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150A KR100241399B1 (ko) 1994-12-27 1994-12-27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70931A (ko)
JP (1) JPH08248909A (ko)
KR (1) KR100241399B1 (ko)
CN (1) CN1136255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8420A (en) * 1945-12-11 1949-04-26 Rca Corp Blocking oscillator
US2509761A (en) * 1948-03-16 1950-05-30 Motorola Inc Saw-tooth voltage generator
US2832886A (en) * 1953-04-06 1958-04-29 Goodyear Aircraft Corp Electronic function generator
US3456075A (en) * 1966-06-14 1969-07-15 Rca Corp Phase comparison circuit
US3629720A (en) * 1970-03-12 1971-12-21 Canadian Patents Dev Digitally controlled variable-gain linear dc amplifier
EP0398598B1 (en) * 1989-05-16 1995-11-02 Sony Corporatio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s
JPH0793694B2 (ja) * 1990-02-01 1995-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50385B2 (ja) * 1990-05-24 1995-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水平偏向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48909A (ja) 1996-09-27
KR960028146A (ko) 1996-07-22
US5770931A (en) 1998-06-23
CN1136255A (zh) 199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3491B2 (en) Fast settling power amplifier regulator
KR19980064252A (ko) Pmos 패스 소자를 가진 저 드롭-아웃 전압 조절기
KR20010022479A (ko) 벅 부스트 스위칭 조정기
KR900013705A (ko) 회로 입력 신호의 차동 증폭용 전자회로
KR970703555A (ko) 전압 조절기(Voltage regulator)
KR900004122A (ko) 저주파 전력 증폭용 파워 세이브 회로
SU1103812A3 (ru) Усилитель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усилени
JPS5989573A (ja) 電子スイツチ装置
KR100241399B1 (ko) 모니터의 수평 위상 조정 회로
KR960009401A (ko) 비교기 회로
JP3323998B2 (ja) 電源装置
KR0160572B1 (ko) 저 전원 전압의 출력 구동기
KR920017380A (ko) Dc 바이어스 제어 회로
KR960039832A (ko) 모니터의 디스토션 보정회로
KR0138993B1 (ko) 전압 조정 회로
JPH10294628A (ja) 高周波増幅器
JP3495360B2 (ja) 第1の増幅器と第2の増幅器とを備え、どの場合も、2つの増幅器のうち、1つの増幅器だけを最大に増幅するようになされている構成
KR100216355B1 (ko) 고정주파수 발진회로
KR920006762Y1 (ko) Lcd모니터용 전원 콘트롤 회로
KR960008144Y1 (ko) 정전류 회로
JP3611214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KR0136360B1 (ko)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조정 회로
KR910001076Y1 (ko) 팝잡음이 제거되는 직류앰프회로
KR910007189Y1 (ko) 튜우닝 전압 안정화 회로
JPH07312524A (ja) 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