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034B1 -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034B1
KR100241034B1 KR1019970020290A KR19970020290A KR100241034B1 KR 100241034 B1 KR100241034 B1 KR 100241034B1 KR 1019970020290 A KR1019970020290 A KR 1019970020290A KR 19970020290 A KR19970020290 A KR 19970020290A KR 100241034 B1 KR100241034 B1 KR 10024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welding
growth
growth welding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476A (ko
Inventor
백응률
정재영
이택근
안상호
양길영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7002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0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23K9/044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 B23K9/046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on surfaces of revolution
    • B23K9/048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on surfaces of revolution on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성용접재료와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열피로 균열 저항성, 내마모성, 및 고온 내산화성등이 요구되는 소재표면의 1층부에 육성용접되는 육성용접재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롤 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되는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본 발명은 육성용접재료와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열피로 균열저항성, 내마모성, 및 고온 내산화성등이 요구되는 소재표면의 1층부에 육성용접되는 육성용접재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육성용접은 특별한 기계적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스트립형태의 육성용접재료(전극재)를 모재표면에 균일하게 융착시킴으로서 재료의 표면성질을 향상시키는 표면처리의 한 방법으로서, 가격이 저렴한 일반강의 성질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경제적인 잇점으로 산업일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육성용접에 적용되는 용접방법으로는 용접생산성과 동시에 용접결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잠호용접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접방법을 이용하여 열간압연공정 및 주조공정에 사용되는 롤 등의 표면에 육성용접하여 산화성과 내부식성 및 고온강도 특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연속주조 공정은 생산속도와 노출온도가 증가하는 경향과 더불어 롤에 대한 부하가 점점 가혹지면서 연속주조용 롤 또한 주조되는 주편의 재질, 치수, 온도, 인발속도, 냉각조건, 사용장소 및 사용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연속주조장치의 가이드 롤은 냉각수의 설치제약과 냉각능의 한계때문에 300-600℃의 고온하에 노출되어 있어 고온강도가 필요하며, 동시에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가 산화를 촉진하므로 내산화성 특성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냉각수에 함유된 산성 및 알카리 성분과 유기물에 의한 부식도 롤 표면의 손상을 촉진하므로 내부식 특성도 함께 요구된다.
이와같이 연속주조롤은 고온의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어, 고온강도, 내산화성, 내부식성, 열피로 균열 저항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 육성용접재로 롤표면의 표면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연속주조용 롤 재료는 13Cr-(4-8)Ni계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일본특공소 42-16870호), 상기 강은 롤에 대한 부하가 가혹한 경우에 롤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내산화성이 열악하여 수증기에 의한 산화가 극심하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다량의 Ni 함유량은 Ac1변태점을 낮추게 되어 사용중에 열피로에 의한 자기변태응력이 발생하여 열피로 균열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상온 항복강도가 60kg/mm2이고 600℃에서 고온강도가 20kg/mm2으로 기계적특성이 열악하다.
또 다른 연속주조용 롤 재료의 개량기술로 일본특개소 57-131351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제안은 내산화성 및 고온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합금원소로서 Cu를 1.5% 이상 첨가하게 되면, 육성용접시에 Cu 편석이 발생하기 때문에 균일하고 안정한 산화피막의 형성이 어렵다. 또한 Ni과 마찬가지로 Cu는 Ac1변태점을 저하시키므로 자기변태응력에 의한 열피로 균열이 표면층의 방식피막을 파괴하기 때문에 Cu 첨가에 의한 롤 수명향상은 어렵게 된다. 또한 상온 항복강도가 80kg/mm2이고, 600℃에서 고온강도가 40kg/mm2인데, 이와같은 물성치는 주단조재를 조질하여 제조한 가공재이므로 육성용접에 의해 제조할 경우 소재의 인장강도는 더욱 저하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 일본특개 평 7-173578호에 제시된 방법은 Co를 첨가하여 육성 용접재료의 사용 특성을 향상시켰으나, 고가의 Ni에 비해서도 7-10배 이상의 가격이 소요되는 Co가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비 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일본특개평 7-166297 에서는 SUS630 가공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상온 항복강도가 72kg/mm2이고 600℃의 항복강도 37kg/mm2이므로 육성용접재의 강도는 이 보다도 낮다.
이와같이 상기 종래기술의 공통적인 문제점이 낮은 인장 특성을 갖는다는 것인데, 이 문제는 주편의 자체 하중에 의해 롤의 표면이 쉽게 변형되어 열피로 균열의 발생지로 작용하여 실제 조업상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노력의 결과, C:0.09-0.25중량%(이하, 단지 ‘%’라 한다), Si: 0.2- 1.0%, Mn:0.3-1.5%, Ni : 1.0-2.5%, Cr: 10.5-13.5%, (2Mo+W):1.5-3.0%, Nb:0.1-0.6%, V:0.1-0.6%, Cu:0.3-1.5%, N:0.02-0.15%,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피로 특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용 재료를 제안한 바 있다(한국특허출원 96-64172호).
상기 육성용접재는 열피로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육성용접재와 플럭스와의 반응성만 고려하였기 때문에 실제 잠호용접에 의해 모재의 표층에 육성시킬 때 육성용접재가 모재와의 반응에 의해 그 성분이 희석되어 요구되는 육성용접층의 화학조성이 1패스 용접으로 얻어질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본 발명이 제시한 상기 열피로특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재의 화학조성을 만족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층을 올리는 다층용접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재와 육성용접재료의 희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1패스 육성용접이 가능한 육성용접용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입각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성용접재료와 모재성분과의 희석을 고려하므로써, 열피로특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하고 1패스 육성용접이 가능한 육성용접재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성용접방법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열피로특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육성용접층을 1패스 육성용접으로 얻을수 있는 육성용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육성용접부의 용융부와 융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롤 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되는 육성용접재료에 있어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연속주조용롤 육성용접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에 N:0.02-0.15 및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연속주조용롤 육성용접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용 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육성용접재료에 용접층의 두께가 2-7mm 되도록 상기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1패스 육성용접 하는 육성용접전극재를 이용한 연속주조롤의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에 N:0.02-0.15% 및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육성용접재료로 용접층의 두께가 2-7mm 되도록 상기 연속주조롤 모재의 표면층에 1패스 육성용접하는 육성용 전극재를 이용한 연속주조롤의 육성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조성은 통상적인 연속주조롤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는 C:0.15-0.45중량%(이하, ‘%’라 한다),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강이면 가능하다.
통상, 모재의 표면층을 육성용접재료로 용접하면 용융상태에서의 모재와 육성용접재(전극재)의 화학성분간에 희석반응이 일어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고, 이러한 화학성분간의 희석은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재의 육성용접부중 용융부(M)의 단면적과 융착부(W)의 단면적의 관계로 정의되는 하기식 (1)과 같은 희석률(R)을 기초로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이때, 상기 용융부(M)의 단면적과 융착부(W)의 단면적은 용접시공중 용접조건(전압,전류 등)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상기식 (1)의 희석률은 용접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희석률은 10-60%범위가 되도록 작업인자를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1)식에 의해 설정된 희석률(R), 모재의 화학성분(B), 요구되어지는 육성용접층의 화학조성(U)을 하기 (2)식에 대입하면, 이 관계를 만족하는 육성용접재료의 화학성분(E)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3
이때, 상기 요구되어지는 육성용접층의 화학조성(U)은 이미 언급한 용접재료의 조성을 좀더 개량한 C:0.09-0.25%, Si:0.2-1.0%, Mn:0.3-1.5%, Ni:1.0-2.5%, Cr:10.5-13.5%, (2Mo+W):1.5-3.0%, Nb:0.1-0.6%, V:0.1-0.6%, Cu:0.3-1.5%;에 N:0.02-0.15 및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고; 잔부 F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피로 특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용 재료이다.
이하, 상기 이론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적합한 육성용접층의 성분(U)과 육성용접재료의 성분(E) 제한이유를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C은 Mo, W, Nb 및 V등과 같은 탄화물 형성원소와 결합하여 고경도의 탄화물을 형성하여 재료 강도 상승에 유효하며 마르텐사이트 개시(Ms)온도를 낮추지만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그 육성용접층의 C가 0.06% 이하인 경우 페라이트의 발생 등에 의해 경도 및 강도 증가에 유효하지 않으며 0.25% 이상 첨가할 경우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내열피로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육성용접층은 0.09-0.2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C가 0.09-0.2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모재와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C은 0.2%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은 1.0% 이상이 되면 파괴인성을 저하시키고 페라이트를 형성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육성용접층의 Si은 1.0%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Si가 1.0%이하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Si함량은 1.2%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소입성을 높이므로 0.5% 이상 함유해야 하지만 1.5%를 초과하면 인성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육성용접층의 Mn은 0.5-1.5%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Mn이 0.5-1.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Mn함량은 2%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i은 Mn과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를 형성시키는 원소로서 소입성을 증가시켜 균일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시키고 강도 증가를 도모하기 위하여 1.0% 이상이 필요하며 2.5% 이상이 되면 Ac1온도를 상당히 낮출 뿐만 아니라 과시효를 촉진시켜 템퍼링 저항성을 낮추는 단점이 있으므로 육성용접층의 Ni은 1.0-2.5%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Ni이 1.0-2.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Ni함량은 3%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r은 고온산화 및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롤의 내식성을 유지하는데 불가피한 원소인데, 10%이상 함유되면 내고온 산화성의 유지가 어려워지고 14.5%를 초과하게 되면 델타-페라이트를 안정화시켜 강도 및 열피로 특성이 저하되므로 육성용접층의 Cr은 10-14.5%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Cr이 10-14.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Cr함량은 14-21%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o와 W은 C과 결합하여 (Mo,W)2C와 같은 탄화물을 형성시켜 고온강도 및 템퍼링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Mo와 W은 M23C6(여기서, M은 탄화물 형성원소로서 Cr, Mo, W, Nb 및 V 등이다)와 같은 조대한 탄화물로의 천이를 억제하여 템퍼링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유용한 원소이다. 이때, Mo와 W의 량은 (2mo+W)로 1.5%이하가 되면 그 효과가 작고 3.0% 이상이 되면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의 형성을 유발하여 문제가 있으므로 육성용접층의 (2Mo+W)은 1.5-3.0%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2Mo+W)이 1.5-3.0%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2Mo+W)함량은 2-4.8%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b과 V은 각각 NbC과 V4C3등의 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온강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0.1% 이하의 Nb 또는 V의 함유량에서는 함유 효과가 미미하다. 그러나 0.6% 이상이 되면 인성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육성용접층의 Nb, V은 각각 0.1-0.6%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Nb, V이 0.1-0.6%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Nb, V함량은 1%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u는 고온 수증기에 대한 내식성과 소입성을 향상시켜 조직의 미세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며, Cu 복합물을 석출시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육성용접층의 Cu가 0.3% 이하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1.5% 이상에서는 용접조직에서 응고편석을 억제하기가 어려우므로 육성용접층의 Cu는 0.3-1.5%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Cu가 0.3-1.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Cu함량은 0.3-2.5%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육성용접재로 육성용접하면, 1패스 육성용접으로 열피로특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육성용접층이 얻어진다.
이러한 육성용접재의 조성에 N:0.02-0.15,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이 함유되면 내마모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연속주조롤의 표면층이 얻어진다.
즉, 상기 N은 용접층간의 델타-페라이트를 감소시키고 M2(CN)(여기서, M은 탄화물 형성원소로서 Cr, Mo, W, Nb 및 V 등이다)을 안정화시키는데, N은 상기한 M23C6와 같은 조대한 탄화물로의 천이를 지연시키고 M2(CN)을 안정화하여 고온강도 및 템퍼링 저항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N의 함유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육성용층에 0.02% 보다도 높아야 하고, 0.15%이상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변태개시온도를 낮추게 되고 인성이 열악해지므로 육성용접층의 N는 0.02-0.15%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N가 0.02-0.1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N함량은 0.02-0.25%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는 티타늄계 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온강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육성용접층의 Ti이 0.01%이하 함유량에서는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0.6%이상이되면 인성이 열화를 초래하게 되므로 육성용접층의 Ti함유량은 0.01-0.6%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육성용접된 후 육성용접층의 Ti가 0.01-0.6%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희석률을 고려한 육성용접재료의 Ti함량은 1%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육성용접재료를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연속주조용롤 모재의 표면층에 전술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와이어 및 스트립형태의 육성용접재료 또는 상기 성분에 N:0.02-0.15,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이 함유된 육성용접재료로 육성용접한다.
이때 용접조건으로 육성용접층의 두께를 2-7mm의 범위로 하여 1패스 육성용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육성용접층의 두께가 2mm이하의 경우 육성용접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육성용접된 연속주조률이 가공여유 두께가 충분하지 않고, 7mm이상의 경우 용접비드가 제대로 형성이 안되고 용접불량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직경 450mm, 두께 70mm의 SCM440강으로 그 조성이 C:0.4%, Si:0.22%, Mn:0.85%, Ni:0.21%이하, Cr:0.9%, Mo:0.2%를 함유하는 모재의 표면위에 표 1에 표시한 여러 가지 육성용접재료를 주로 잠호용접법을 이용하여 육성용접하였다. 용접조건은 스트립(Strip)을 용접봉으로 사용하는 경우, 720-800A, 24-28B이고 MCW(metal cored wir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350-450A, 26-34V로 작업하였고, 이때 희석률은 40%였고, 본 발명재(1-4)는 1층으로 용접하여 2.5-5mm의 육성용접층을 얻었으며, 비교재는 3층으로 육성용접하여 10mm 이상의 육성층을 얻었으며 주로 3층부를 채취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육성용접후 육성용접층의 성분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열피로 특성은 발명재와 비교재를 상온에서 700℃까지 유도가열 장치에 의해 승온시키고 동시에 냉각수에 의해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열사이클 과정을 1000회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육성용접재의 경도, 인장특성과 열피로 특성은 하기 표 3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발명재와 비교재를 550℃에서 2시간 템퍼링 처리한 후 고온항복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상기 표 1,2,3에 나타난 바와같이, 비교재는 다층용접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피로 균열의 크기는 모두 5mm이상으로서 1층용접한 본 발명재의 열피로 균열의 크기가 1.1mm이하인 것과 비교해볼 때 본 발명재의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0.02-0.15,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이 함유된 발명재(1-2,4)인 경우 N, Ti이 함유되지 않은 발명재(3)의 경우 보다 고온항복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재에 비해 1층 육성용접만으로도 열피로 특성이 매우 우수한 연속주조롤을 제조할수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연속주조용롤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매우 경제적인 연속주조용 롤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되는 육성용접재료에 있어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
  2.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되는 육성용접재료에 있어서, 중량%로 C:0.2%이하, Si:1.2%이하, Mn:0.2%이하, Ni:3%이하, Cr:14-21%, (2Mo+W):2-4.8%, Nb:1%이하, V:1%이하, Cu:0.3-2.5%;에 N:0.02-0.15% 및 Ti:1%이하중 선택된 1종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연속주조용롤 육성용접재료.
  3.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용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의 육성용접재료를 용접층의 두께를 2-7mm로 하여 상기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1패스 육성용접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롤의 육성용접방법.
  4. 중량%로, C:0.15-0.45%, Si:0.1-0.4%, Mn:0.4-1.0%, Ni:1%이하, Cr:0.5-1.3%, Mo:1%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연속주조롤용 모재의 표면층에 육성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항의 육성용접재료를 용접층의 두께를 2-7mm의 하여 상기 연속주조롤 모재의 표면층에 1패스 육성용접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롤의 육성용접방법.
KR1019970020290A 1997-05-23 1997-05-23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KR100241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290A KR100241034B1 (ko) 1997-05-23 1997-05-23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290A KR100241034B1 (ko) 1997-05-23 1997-05-23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476A KR19980084476A (ko) 1998-12-05
KR100241034B1 true KR100241034B1 (ko) 2000-03-02

Family

ID=1950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290A KR100241034B1 (ko) 1997-05-23 1997-05-23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28B1 (ko) 2008-10-20 2014-03-20 닛테츠스미킨하드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주조용 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71B1 (ko) * 1999-06-29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내용접균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버레이 용접용 합금강
KR100600036B1 (ko) * 2004-12-21 2006-07-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마모 특성이 우수한 조 플레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578A (ja) * 1993-12-21 1995-07-11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ロール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578A (ja) * 1993-12-21 1995-07-11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ロール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28B1 (ko) 2008-10-20 2014-03-20 닛테츠스미킨하드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주조용 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476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05B1 (ko) 가공성이 우수하고 용접 연화가 없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 방법
JP5335502B2 (ja) 耐食性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504717B2 (ja) 耐サワーラインパイプ用電縫鋼管の製造方法
KR102634503B1 (ko) 열간 압연 강 및 그 제조 방법
JPS5887249A (ja) 耐摩耗鋳鉄ロ−ル材
US6110301A (en) Low alloy build up material
KR100241034B1 (ko) 연속주조롤용 육성용접재료와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방법
JPS6145688B2 (ko)
KR101987665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유틸리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7070696B2 (ja) 中空スタビライザー用電縫鋼管
JPH08325673A (ja) 耐摩耗性・耐肌荒れ性等にすぐれた圧延用複合ロール
JP2010100909A (ja) 抵抗スポット溶接の継手強度に優れた高耐食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022586A (en) Austenitic chromium-nickel-copper stainless steel and articles
JP2009214122A (ja) 熱間圧延用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71361A (ja)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と製造方法
KR100241033B1 (ko) 열피로 특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재료
JP4823441B2 (ja) 熱間耐摩耗性および耐熱亀裂性にすぐれた連続鋳造用および熱間圧延用ロール
JP7009666B1 (ja) 加工性、耐食性に優れる溶接管用Ni-Cr-Mo系合金
JP4975448B2 (ja) 靭性に優れた655MPa級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9350A (ja) 連続鋳造用ロール材料
JP2019031698A (ja) 厚肉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7090A (ja) 硬化肉盛溶接用複合ワイヤ
JPH0673450A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6462431B2 (ja) 肉盛溶接金属及び機械構造物
JPS63317623A (ja) 耐遅れ割れ性の優れた耐摩耗用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