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523B1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523B1
KR100240523B1 KR1019900012777A KR900012777A KR100240523B1 KR 100240523 B1 KR100240523 B1 KR 100240523B1 KR 1019900012777 A KR1019900012777 A KR 1019900012777A KR 900012777 A KR900012777 A KR 900012777A KR 100240523 B1 KR100240523 B1 KR 10024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pair
output
semiconducto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310A (ko
Inventor
가쯔로 사사끼
노부유끼 모리와끼
시게루 혼죠
히데아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지세이사꾸쇼
오노 미노루
히다찌초 엘에스 아이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지세이사꾸쇼, 오노 미노루, 히다찌초 엘에스 아이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100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a도 및 제1b도의 실시예의 회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파형도.
제4도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스테이틱형 랜덤액세스메모리 회로장치와 같은 반도체 집적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회로장치는 1987 ISSCC(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Digest of Technical Papers pp. 260-261 및 1985 ISSCC Digest of Technical Papers pp. 58-5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트선(또는 데이타선)의 부하인 n채널 MOS트랜지스터를 라이트인에이블신호의 반전신호인
Figure kpo00002
신호 또는
Figure kpo00003
신호에서 생성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도통 또는 비도통상태로 제어하고, 메모리셀 정보의 라이트후의 비트선 전위레벨의 회복(recovery)을 실행하고 있다.
또, 종래의 메모리회로장치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ψL에 의해 전송게이트 MOS트랜지스터 Q50∼Q52가 도통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서, 센스앰프 출력데이타D,
Figure kpo00004
를 래치회로(10)과 출력버퍼(20)으로 전달한다.
제4도의 종래의 래치방식에서는 데이타버스신호D,
Figure kpo00005
에 의해서 래치회로(10)의 래치정보를 반전시키기 위해, 데이타버스신호D,
Figure kpo00006
에 충분한 전위차를 발생시킨 후 패스게이트 Q50∼Q52를 도통시킬 필요가 있다. 즉, 래치회로(10)에 유지되어 있는 유지정보보다 데이타버스신호D,
Figure kpo00007
의 입력정보(센스앰프 출력신호)가 우수한 시점에서 패스게이트 Q50∼Q52를 도통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유지정보에 의해서 데이타버스의 입력정보가 파괴될 위험성이 있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서 명확하게 되었다.
또, 제4도의 종래의 래치방식에서는 패스게이트 Q50∼Q52를 도통시킨 후 래치정보를 반전시킬 때, 오래된 유지정보에 의한 새로운 반전입력정보로의 영향으로 인해 데이타버스신호D,
Figure kpo00008
의 전위차가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출력버퍼(20)에 데이타버스신호가 도달하는 것이 지연되어 액세스시간에 지연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명확하게 되었다.
상기 양 기술문헌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메모리의 고집적화에 따라서 비트선용량이 증가하면, 메모리셀 정보의 라이트후의 비트선 전위레벨의 회복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액세스시간의 지연 또는 메모리셀 정보의 파괴를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명확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스증폭기 출력신호를 출력버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타버스상에 래치회로를 설치한 것에 기인하는 액세스시간의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셀 정보의 라이트후의 비트선 전위레벨의 회복을 급속히 실행하여 액세스시간의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센스앰프출력이 전달되는 데이타버스의 신호를 래치회로를 우회해서 후단회로(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의 입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가 배치된다. 또, 센스앰프출력이 전달되는 데이타버스와 래치회로의 입력 사이에 패스게이트(pass-gate)를 배치하고, 래치회로의 출력과 후단회로의 입력 사이에 패스게이트를 배치한다. 따라서, 입력측 패스게이트와 출력측 패스게이트를 거쳐 래치회로가 데이타버스, 우회경로 또는 후단회로의 입력과 접속된다. 또, 래치회로와 출력측 패스게이트 사이에 입력에서 출력으로의 1방향성 신호전달회로로서의 CMOS인버터를 마련하고, 래치회로의 출력을 증폭함과 동시에 출력측 패스게이트에서 래치회로로의 잡음 등의 오(誤)라이트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비트선b,
Figure kpo00009
사이에 MOS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라이트신호
Figure kpo00010
의 상승에지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MOS트랜지스터를 도통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위 비트선에서 저전위 비트선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저전위 비트선의 전위가 급속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라이트사이클에서 리드사이클로 변화했을 때 액세스시간의 지연이 저감된다.
따라서, 데이타버스에 전달된 센스증폭기의 출력신호는 래치회로를 우회해서 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로 전달된다. 또, 센스앰프로부터의 메모리셀 리드정보가 데이타버스를 통해 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로 전달된 후, 신호통과(signal through)상태로 된 입력측 패스게이트를 거쳐 메모리셀 리드정보가 래치회로에 라이트된다. 그 후, 신호통과상태로 된 출력측 패스게이트를 거쳐 래치회로의 저장정보가 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로 전달된다.
이 시점이후에 래치회로의 저장정보에 의해서 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의 전위가 확정되므로, 메모리셀로부터의 리드정보를 증폭하여 데이타버스로 전달하기 위한 초단 센스앰프 및 2단째 센스앰프를 비활성상태 또는 저이득, 저소비전력 동작상태로 제어할 수 있어 반도체 집적회로의 소비전력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또, 래치회로를 우회한 경로를 거쳐서 메모리셀 리드정보가 출력버퍼 또는 3단째 센스앰프로 조기에 전달되므로, 래치회로를 설치한 것에 기인하는 액세스시간의 지연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비트선b,
Figure kpo00011
사이에 접속된 MOS트랜지스터는 라이트신호
Figure kpo00012
의 상승에지에서 발생된 펄스신호
Figure kpo00013
에 의해 도통하고, 고전위 비트선에서 저전위 비트선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따라서, 저전위 비트선의 전위가 급속하게 상승하므로, 라이트사이클에서 리드사이클로 변화했을 때 액세스시간의 지연이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a도에 있어서 여러개의 메모리셀은 SRAM(스테이틱형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메모리셀이며, 워드선택선WORD-1, WORD-2중 어느 1개를 "1"레벨(선택레벨)로 하면,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상보리드신호가 1쌍의 비트선b,
Figure kpo00014
에 리드 된다.
n채널 MOS트랜지스터 Q1, Q2, Q3, Q4, Q5와 p채널 MOS트랜지스터 Q6, Q7, Q8의 1쌍의 비트선b,
Figure kpo00015
의 부하이다. 라이트사이클에서는 신호LC가 "0" 레벨로 되고 신호
Figure kpo00016
는 "1"레벨로 되므로, n채널 MOS트랜지스터 Q3, Q4는 비도통으로 되고 p채널 MOS트랜지스터 Q6, Q7, Q8도 비도통으로 된다. 따라서, 도통으로 되는 비트선 부하MOS트랜지스터는 Q1, Q2만으로 되고, "0"레벨로 라이트되는 비트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리드사이클에서는 제2도의 타이밍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17
신호가 "0"레벨에서 "1"레벨로 변화한 후 LC신호가 "1"레벨로 되므로, n채널 MOS트랜지스터 Q3, Q4가 도통한다. 또,
Figure kpo00018
신호의 상승을 검출해서 소정기간에 "0"레벨을 유지하는 펄스신호를
Figure kpo00019
로 발생해서 p채널 MOS트랜지스터 Q6, Q7, Q8이 이 소정기간에 도통한다.
여기서, 1예로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메모리셀에 정보를 라이트한 후 비트선b가 "1"레벨로 되어 있고, 비트선
Figure kpo00020
가 "0"레벨로 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와 같이, 라이트직후에는 비트선b,
Figure kpo00021
의 전위차가 크게 벌어져 있지만, 라이트후의 리드사이클의 초기기간에는 Q4, Q7이 도통한다. 따라서, Q4및 Q5, Q7을 통해서 비트선
Figure kpo00022
가 급속하게 충전되므로, 비트선
Figure kpo00023
의 전위가 급속하게 상승한다. 동시에 Q8이 도통하는 것에 의해 비트선b,
Figure kpo00024
가 단락되고, 또 급속히 비트선b,
Figure kpo00025
의 전위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라이트후의 비트선b,
Figure kpo00026
의 전위레벨의 회복이 신속하게 달성된다.
n채널 MOS트랜지스터 Q9, Q92는 Y어드레스 선택신호Y-SW에 의해 도통하고, 전원전압이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변동했을 때 비트선의 전하를 추출하여 메모리셀 정보의 리드에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n채널 MOS트랜지스터 Q10, Q13과 p채널 MOS트랜지스터 Q11, Q12는 비트선b
Figure kpo00027
와 공통데이타선CD,
Figure kpo00028
를 접속하는 패스게이트를 구성한다.
Q14는 p채널 MOS트랜지스터이고, Q15, Q16, Q17, Q18, Q19, Q20, Q21, Q22, Q23, Q24는 n채널 MOS트랜지스터이다. 특히, Q14, Q15는 공통데이타선CD,
Figure kpo00029
의 등화용 MOS트랜지스터, Q16, Q17은 공통데이타선레벨을 정하는 MOS트랜지스터 Q18, Q19, Q20, Q21, Q22는 등화펄스신호 ψCDQM에 의해 도통하고 라이트후의 공통데이타선 전위레벨의 회복을 실행한다.
또, n채널 MOS트랜지스터 Q23, Q24는 상보입력신호Di,
Figure kpo00030
를 메모리셀에 라이트하기 위한 패스트랜지스터이다.
Q25, Q26, Q27, Q28은 p채널 부하용 MOS트랜지스터이고 Q29, Q30, Q31, Q32, Q33은 n채널 차동MOS트랜지스터이며, 이들 트랜지스터에 의해 초단의 센스앰프(병렬 전류미러형 앰프)를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ψSAM1이 고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이 초단 센스앰프는 활성상태로 제어되고 고이득으로 신호증폭을 실행한다. 다른 기간에 있어서 이 초단센스앰프는 비활성상태 또는 저이득, 저소비전력상태로 제어된다.
p채널 MOS트랜지스터 Q51, Q52는 이 초단 센스앰프가 비활성상태로 되었을 때, 초단센스앰프의 출력레벨Sl,
Figure kpo00031
를 Vcc레벨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p채널 MOS트랜지스터 Q34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35는 초단 센스앰프출력 S1,
Figure kpo00032
의 등화트랜지스터 역할을 한다.
Q36, Q37은 교차결합(cross-couple) 접속된 p채널 부하용 MOS트랜지스터이고, Q38, Q39, Q40은 n채널 차동MOS트랜지스터이며, 이들은 2단째 센스앰프(p채널 MOS정귀환형 앰프)를 구성한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ψSAM2가 고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이 2단째 센스앰프는 활성상태로 제어되고 고이득으로 신호증폭을 실행한다. 다른 기간에 있어서 이 2단째 센스앰프는 비활성상태 또는 저이득, 저소비전력 동작상태로 제어된다.
한편, p채널 MOS트랜지스터 Q41과 n채널 MOS트랜지스터 Q42는 2단째 센스앰프출력S2,
Figure kpo00033
의 등화트랜지스터이다.
또, p채널 MOS트랜지스터 Q43, Q44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45, Q46은 2단째 센스앰프출력S2,
Figure kpo00034
를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35
에 접속하는 패스게이트를 구성한다. 한편, p채널 MOS트랜지스터 Q47과 n채널 MOS트랜지스터 Q48은 패스게이트 Q43∼Q46근방에 배치되는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36
의 등화용 MOS트랜지스터이다.
또, 제1도 (B)중에서 p채널 MOS트랜지스터 Q49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50은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37
의 등화트랜지스터이다. 또, p채널 MOS트랜지스터 Q53, Q54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55, Q56은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38
에서 래치회로의 입력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패스게이트를 구성한다.
p채널 MOS트랜지스터 Q57, Q58과 n채널 MOS트랜지스터 Q59, Q60은 제1a도에 도시한 센스앰프가 비활성상태 또는 저이득, 저소비전력 동작상태로 된 후에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39
의 출력데이타를 유지하기 위한 래치회로를 구성한다.
p채널 MOS트랜지스터 Q61, Q62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63, Q64는 상술한 래치회로에 의해 래치된 데이타를 후술하는 후단 출력버퍼의 입력에 전달하기 위한 패스게이트를 구성한다. 한편, INV5, INV6은 패스게이트 Q61∼Q64의 출력측에서 래치회로로의 잡음 등의 오(誤)라이트방지용 CMOS인버터이다. 즉,CMOS인버터INV5, INV6은 그의 입력에서 그의 출력으로의 신호전달은 가능하지만, 역방향의 신호전달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패스게이트 Q61∼Q64의 출력측의 잡음 등이 래치회로 Q57, Q58, Q59, Q60의 입력에 전달되는 일이 없다. 한편, p채널 MOS트랜지스터 Q65, Q66, Q67은 라이트사이클시에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40
의 전위레벨을 동일하게 Vcc전위로 하는 역할을 한다.
교차결합 접속된 p채널 부하용 MOS트랜지스터 Q68,Q69와 n채널 차동MOS트랜지스터 Q70Q71과 n채널 정전류원 MOS트랜지스터 Q72는 3단째의 센스앰프(메인앰프)를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ψMA가 고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이 3단째의 센스앰프는 활성상태로 제어되고 고이득으로 신호증폭을 실행한다. 다른 기간에 있어서 이 3단째의 센스앰프는 비활성상태 또는 저이득, 저소비전력 동작상태로 제어된다.
한편, 이 3단째 센스앰프가 비활성으로 되었을 때 p채널 MOS트랜지스터 Q73, Q74는 센스앰프출력 DM,
Figure kpo00041
M의 전위레벨을 Vcc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p채널 MOS트랜지스터 Q75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76은 3단째 센스앰프출력 DM,
Figure kpo00042
M의 등화트랜지스터이다. 또, p채널 MOS트랜지스터 Q77, Q78과 n채널 MOS트랜지스터 Q79Q80은 NOR게이트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은 "1"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트랜지스터(n채널 MOS트랜지스터)Q89의 게이트를 구동한다. p채널 MOS트랜지스터 Q81, Q82와 n채널 MOS트랜지스터 Q83, Q84는NOR게이트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은 "0"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트랜지스터(n채널 MOS트랜지스터)Q90의 게이트를 구동한다. p채널 MOS트랜지스터 Q85, Q86과 n채널 MOS트랜지스터 Q87, Q88은 NOR게이트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은 "1"레벨 출력시에 비교적 큰 출력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NPN바이폴라 트랜지스터 Q91의 베이스를 구동한다.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DOC가 고레벨로 되면, CMOS인버터INV9의 출력은 저레벨로 된다. 따라서, 3개의 NOR회로의 p채널 MOS트랜지스터 Q77, Q81, Q85는 도통상태로 되고 n채널 MOS트랜지스터 Q80, Q84, Q88은 비도통상태로 되므로, 3개의 출력트랜지스터 Q89, Q90, Q91은 메모리셀로부터의 리드정보에 응답한 데이타출력Dout를 단자I/O에 발생한다. 제어신호DOC가 저레벨인 기간은 3개의 NOR회로의 p채널 MOS트랜지스터 Q77Q81, Q85는 비도통상태로 되고 n채널 MOS트랜지스터 Q80, Q84Q88은 도통상태로 되므로, 3개의 출력트랜지스터 Q89Q90, Q91은 비도통상태로 된다. 따라서, 단자I/O는 고임피던스상태(플로팅상태)로 된다.
한편, 데이타의 라이트모드에 있어서 단자I/O는 데이타입력단자로서 기능하고, 단자I/O의 데이타입력신호에 응답한 상보데이타신호Di,
Figure kpo00043
를 데이타입력버퍼(Din버퍼)가 발생하고, 이 상보데이타신호Di,
Figure kpo00044
는 래치회로와 공통데이타선CD,
Figure kpo00045
로 공급된다.
[실시예의 회로동작]
다음에,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서 제1a도 및 제1b도의 센스앰프 회로 및 래치회로의 메모리셀 정보의 리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a도의 2개의 워드선 WORD-1, WORD-2의 전위레벨이 제2도와 같이 전환되기 전에 제어신호 ψSAM1이 전원전압Vcc레벨로 되므로, 초단 센스앰프의 출력선S1,
Figure kpo00046
에 접속된 p채널 MOS트랜지스터 Q51, Q52가 비도통상태로 되고, 또 초단 센스앰프 Q25∼Q28, Q29∼Q32, Q33이 활성상태로 된다. 따라서, Vcc전위로 고정되어 있던 초단 센스앰프출력S1,
Figure kpo00047
의 전위레벨이 제3도와 같이 점차 저하한다. 이 때, 여전히 제어신호ψSAM2가 GND레벨, 제어신호
Figure kpo00048
가 Vcc레벨에 있으므로, Q34, Q35가 도통하고 있어 S1,
Figure kpo00049
는 동일전위레벨에 있다.
다음에, 다른 메모리셀로부터의 비트선b,
Figure kpo00050
로의 반전정보의 리드동작에 응답해서 제3도와 같이 공통데이타선CD, CD의 전위레벨이 전환된 후,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SAM2가 Vcc전위로 되고 제어신호
Figure kpo00051
가 GND전위로 되고, 공통데이타CD, CD의 전위차를 증폭한 출력이 제3도와 같이 초단 센스앰프S1,
Figure kpo00052
에 나타난다.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SAM2가 Vcc전위로 되면, 2단째의 센스앰프 Q36∼Q39, Q40이 활성화되고 계속해서 ψSAM3이 GND전위로 되고
Figure kpo00053
이 Vcc전위로 되는 것에 의해 Q41, Q42에 의한 등화가 단절되어 S1,
Figure kpo00054
신호를 증폭한 출력S2,
Figure kpo00055
가 제3도와 같이 얻어진다.
제1b도에 있어서는 이전의 라이트 사이클의
Figure kpo00056
1신호에 의해 Q65, Q66, Q67이 도통상태로 되어 있었으므로,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57
는 Vcc전위로 된 후 이 전위의 레벨을 유지하고 있다.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MPX가 Vcc전위레벨로 되면, 제1a도의 패스게이트 Q43, Q44, Q45, Q46이 도통한다. 따라서, 2단째 센스앰프출력S2,
Figure kpo00058
가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59
에 나타난다. 제1a도의 Q47, Q48은 제3도에 도시한 펄스신호 ψDBEQ1에 의해 도통상태로 되고, 제1b도의 Q49, Q50은 제3도에 도시한 펄스신호 ψDBEQ2에 의해 도통상태로 되며,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60
가 단락된다. 따라서,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61
는 동일전위로 유지된다. 제1a도의 패스게이트 Q43∼Q46이 도통한 직후에 제어신호 ψDBEQ1, ψDBEQ2가 저레벨로 되는 것에 의해서 이들 단락용 MOS트랜지스터 Q47∼Q50은 비도통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레벨차가 증대되어 있는 2단째 센스앰프출력S2,
Figure kpo00062
신호는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63
로 전달될 수가 있다.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64
로 전달된 신호는 래치회로 Q57∼Q60을 거치지 않고 이 래치회로를 우회하도록 배치된 경로를 거쳐서 3단째 센스앰프 Q68∼Q70, Q71의 입력에 전달된다.
이 3단째 센스앰프의 입력으로의 신호전달 이전에는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MA신호가 GND전우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3단째 센스앰프 Q68∼Q70, Q71은 비활성상태에 있다. 또, Q73, Q74가 도통상태에 있으므로, 3단째 센스앰프의 출력 은 Vcc전위로 고정된다. 이 때,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MAEQ가 Vcc전위로 되어 있으므로, Q75, Q76이 도통하여 DM,
Figure kpo00065
M이 동일전위로 된다. 데이타버스신호가 3단째 센스앰프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MA가 Vcc전위로 되어 3단째 센스앰프가 활성화된다. 또, 제어신호 ψMA에 의해서 Q73, Q74가 비도통으로 되고 출력레벨DM,
Figure kpo00066
M의 전위가 저하하게 된다. 다음에, 데이타버스신호가 3단째 센스앰프에 도달한 직후, 제2도와 같이 제어신호 ψMAEQ가 GND전위로 된다. 따라서, Q75Q76이 비도통으로 되므로, 3단째 센스앰프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가 출력DM,
Figure kpo00067
M에 나타난다. 이 때, 제어신호 DOC는 제2도와 같이 Vcc전위로 되어 있으므로, 출력버퍼는 출력DM,
Figure kpo00068
M에 응답한 데이타출력Dout를 제3도와 같이 발생한다.
그 후, 제1b도의 회로에 있어서 제어신호 ψLIN이 제2도와 같이 Vcc전위로 되고 패스게이트 Q53∼Q56이 도통하므로, Q57∼Q60으로 구성되는 래치회로에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69
의 신호가 저장된다. 이 때,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70
의 전위차가 일순간 작아지지만, 3단째 센스앰프출력 DM,
Figure kpo00071
M및 출력버퍼의 데이타출력Dout 가 확정된 후이므로, 이 전위차 축소는 액세스시간의 지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음에, 제어신호 ψLOUT가 제2도와 같이 Vcc전위로 되므로, CMOS인버터INV5, INV6을 거치는 래치회로의 저장데이타에 의해서 3단째 센스앰프출력DM,
Figure kpo00072
M및 출력버퍼의 데이타출력Dout의 각 전위레벨을 유지한다. 래치회로로의 데이타저장후에 제어신호 ψLIN은 제2도와 같이 즉시 GND전위로 되고 입력측 패스게이트 Q53∼Q56이 비도통으로 되므로, 래치회로로의 잡음 등의 오라이트가 방지된다. CMOS인버터 INV5, INV6은 출력측 패스게이트 Q61∼Q64가 도통하고 있는 동안에 출력측 패스게이트에 의한 데이타버스D,
Figure kpo00073
의 잡음이 래치회로에 오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타버스신호를 래치회로에 저장하는 것이 액세스시간의 지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고속의 액세스시간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대용량이고 고집적인 SRAM에 있어서 한층더 곤란하게 되고 있던 라이트사이클 직후의 저전위 비트선 전위의 회복이 급속하게 실행되어 고속의 액세스시간을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29)

  1.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보출력신호로써 출력하는 제1의 센스증폭기,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로부터의 상보출력신호를 유지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는 제2의 센스증폭기,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신호를 받는 출력버퍼,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와 상기 래치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패스게이트,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 사이에 접속된 제2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와 상기 래치회로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를 우회해서 직접 전송하는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와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를 사이에 다른 요소가 들어가는 일없이 직접 접속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신호는 상기 신호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입력으로 직접 전송되고,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의 상보출력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그 후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는 각각 도통상태로 되며,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비활성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는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가 도통상태로 된 후에 비도통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1쌍의 인버터회로를 갖는 정귀환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 사이에는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인버터회로와 상기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는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가 받는 상보신호에 응답하는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이 교차접속된 제1 및 제2의 부하용 MOS트랜지스터,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제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은 1쌍의 비트선에 접속됨과 동시에 그 소스드레인경로가 상기 1쌍의 비트선에 접속된 등화용 MOS트랜지스터를 갖고, 상기 등화용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는 라이트신호의 종료에 응답해서 소정기간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소정기간 상기 등화용 MOS트랜지스터가 도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는 상기 제1의 패스게이트 및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가 도통상태로 된 후에 비도통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1쌍의 인버터회로를 갖는 정귀환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와 상기 제2의 패스게이트 사이에는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인버터회로와 상기 신호를 한방향으로만 전달하는 회로는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는 상기 제1의 센스증폭기가 받는 상보신호에 응답하는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전극과 드레인전극이 교차접속된 제1 및 제2의 부하용 MOS트랜지스터 및 상기 1쌍의 차동트랜지스터의 출력 사이에 접속되고 제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1.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고 상보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1쌍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로부터의 1쌍의 출력신호를 유지하고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갖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1쌍의 입력단자 및 1쌍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2의 증폭회로, 출력버퍼회로 및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는 제2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출력버퍼회로는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와 1쌍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의 신호를 상기 래치신호를 우회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는 상기 신호경로를 거쳐서 신호를 받은 후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이 도통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상기 래치회로로부터의 신호도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신호경로는 상기 메모리셀의 정보를 리드하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의 도통/비도통에 관계없이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1쌍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1쌍의 입력단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6.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 축적된 정보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되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아 유지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아 증폭하는 제2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의 상기 래치회로로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1의 스위칭수단,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의 상기 제2의 증폭회로로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2의 스위칭수단,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칭수단을 우회하여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로 전달하는 신호경로 및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증폭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래치회로에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한방향으로만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CMOS인버터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래치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의 스위칭수단 사이에 그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접속된 1쌍의 CMOS인버터회로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19.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여러개의 메모리셀중 선택된 메모리셀에서 리드된 신호를 증폭하고제1 및 제2의 입력단자와 제1 및 제2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로부터의 1쌍의 출력신호를 유지하고 제3 및 제4의 입력단자와 제3 및 제4의 출력단자를 갖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제5 및 제6의 입력단자와 제5 및 제6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2의 증폭회로 및 제1의 및 제2의 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3의 입력단자는 제1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의 입력단자는 제2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5의 입력단자는 제3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4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6의 입력단자는 제4의 스위칭수단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6의 입력단자는 상기 제1의 신호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5의 입력단자는 상기 제2의 신호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상기 제3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3의 스위칭수단 사이에는 제1의 인버터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의 스위칭수단 사이에는 제2의 인버터회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입력단자 및 상기 제3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4의 입력단자 및 상기 제4의 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인버터회로는 PMOSFET 및 NMOSFET로 구성되는 CMOS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셀의 정보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버퍼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3. 여러개의 메모리셀, 상기 메모리셀에 기억된 정보에 대응한 상보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증폭회로,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회로,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받고 상보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증폭회로 및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는 제1의 1쌍의 신호경로 및 제1의 스위칭수단 및 제2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상기 래치회로에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회로의 상보출력신호는 제3의 1쌍의 신호경로 및 제2의 스위칭회로 및 제4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에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는 상기 제1의 증폭회로의 상보출력신호를 상기 제2의 증폭회로에 제1 및 제2의 스위칭수단 및 상기 래치회로를 우회해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에는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의 전위변동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회로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1쌍의 신호경로와 상기 제3의 1쌍의 신호경로는 공통의 신호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6. 제23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1쌍의 우회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수단은 상기 메모리셀로의 정보라이트시에 상기 1쌍의 우회신호 경로의 전위변동을 억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1쌍의 신호경로에는 상기 제1의 1쌍의 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증폭회로의 출력신호는 제5의 1쌍의 신호경로를 거쳐서 출력버퍼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5의 1쌍의 신호경로에는 상기 제5의 1쌍의 신호경로를 단락하는 스위칭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1019900012777A 1989-08-30 1990-08-20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0240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1456 1989-08-30
JP22145689 198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310A KR910005310A (ko) 1991-03-30
KR100240523B1 true KR100240523B1 (ko) 2000-01-15

Family

ID=1676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777A KR100240523B1 (ko) 1989-08-30 1990-08-20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72297B2 (ko)
KR (1) KR100240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5991T2 (de) * 1995-05-19 2000-11-16 St Microelectronics Srl Ausgabestufe für integrierte Schaltungen, insbesondere für elektronische Speic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6572A (en) * 1984-12-27 1988-08-23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US4811295A (en) * 1986-03-28 1989-03-07 Hitachi, Ltd. High speed serial input/output semiconductor memory
US4858188A (en) * 1986-09-09 1989-08-15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with improved write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6572A (en) * 1984-12-27 1988-08-23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US4811295A (en) * 1986-03-28 1989-03-07 Hitachi, Ltd. High speed serial input/output semiconductor memory
US4858188A (en) * 1986-09-09 1989-08-15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with improved writ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72297B2 (ja) 1999-11-08
KR910005310A (ko) 1991-03-30
JPH03162795A (ja) 199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427A (en)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direct-bypass signal path
KR100194741B1 (ko) 반도체집적회로
KR950007451B1 (ko) 반도체 기억 장치에 사용되는 증폭기
US5068831A (en) Data read circuit for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359473B1 (en) Amplifier for use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US5226014A (en) Low power pseudo-static ROM
EP0639000B1 (en) Flip-flop type amplifier circuit
US4716550A (en) High performance output driver
US6788112B1 (en) High performance dual-stage sense amplifier circuit
US5708607A (en) Data read circuit of a memory
US5715204A (en) Sense amplifier with hysteresis
JPS6374196A (ja) Cmos半導体メモリ回路
KR950005171B1 (ko) 전류 미러 증폭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EP0405411B1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data readout scheme
US5724299A (en) Multiport register file memory using small voltage swing for write operation
JP3805802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データ出力回路
KR100195633B1 (ko) 출력하한값에 대한 리미트기능을 갖는 증폭회로 및 상보형 증폭 회로
US634705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ense amplifier block
EP0865043B1 (en) Sense amplifier
KR100240523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502732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ircuit for reading-out and writing-in of data
KR20040103003A (ko) 글로벌 입출력 스킴을 변경한 메모리 소자
JP2001216785A (ja) ラッチ型センスアンプ及びその作動方法
JP3085380B2 (ja) 半導体メモリ
JPS63292483A (ja) 半導体メモ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