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173B1 - 조리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173B1
KR100240173B1 KR1019970058438A KR97580000438A KR100240173B1 KR 100240173 B1 KR100240173 B1 KR 100240173B1 KR 1019970058438 A KR1019970058438 A KR 1019970058438A KR 97580000438 A KR97580000438 A KR 97580000438A KR 100240173 B1 KR100240173 B1 KR 10024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perture
holding
aperture contro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미 후미오
밤바 야스오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지지된 조리개 제어 링이 충격등으로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조리개 제어 링의 회전은, 캠(33)과 래치 기어(31)로 전달된다. 유지 레버(28)는, 캠(33)에 결합하여 가해지는 조리개 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 회전을 중지하는 유지 위치와 회전 정지를 해제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해제 레버(29)는, 유지 레버(28)를 유지 위치로 이동하는 초기 위치와 유지 레버(28)를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셔터 릴리즈에 응답하여 미러 상승 레버(34)는 해제 레버(29)가 해제 위치로 회전하고, 조리개 제어 링의 회전을 개시한다. 설정 상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면,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의 동작이 해제되어 정지 레버(30)가 래치 기어(31)와 결합한다.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의 동작이 해제되고, 또, 유지 레버(28)의 일측단(28b)은 일측단(30c)과 결합하여 정지 레버(30)를 초기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카메라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정지 레버(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유지 레버(28)를 퇴피 위치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방지 부재(70)가 미러 상승 레버(34)에 설치되어 있어, 해제 레버(29)가 초기 위치일 때에 유지 레버(28)가 퇴피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조리개 제어 장치
이 발명은 카메라의 조리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기구를 설치한 조리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안 리플렉스 형식의 카메라는, 조리개가 교환 렌즈 측에 내장되어 있고, 카메라 몸체 측에는 렌즈의 조리개를 제어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렌즈측의 조리개는, 조리개 작동링의 회전에 대응하여 조리개 구경이 변화한다. 조리개 작동링은, 조리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최소한으로 조여지는 조리개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장착되어 있고, 예를들면 일반적으로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 힘에 의해 조리개 위치 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 이러한 조리개 작동링에는, 몸체 측의 조리개 제어 기구 사이에서 결합 동작(joint)을 실행하기 위하여 조리개 작동 렌즈는 렌즈 마운트(mount)에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몸체 측의 조리개 제어 기구에는, 몸체 마운트에서부터 돌출되는 조리개 제어 렌즈를 포함한 조리개 제어링을 구비하고 있다. 조리개 제어링은, 촬영준비 완료시에 조리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동작에 의해 조리개 제어 렌즈를 조리개 작동 렌즈와 결합시키고, 동시에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조리개 조작링을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조리개 제어 기구는, 미러(mirror) 구동 기구와 연동한다. 미러 구동 기구는 셔터 릴리즈의 동작에 응답하여 파인더(finder) 관찰위치에서, 미러가 촬영 광로에서 벗어난 퇴피 위치로 미러를 밀어 올린다. 이러한 미러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조리개 제어링의 유지 동작이 해제되고,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 힘에 의해 조리개 위치 쪽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중에 검출 수단은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소정량만큼 회전한 시점이 되면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을 중지시킨 후 노광을 실행한다.
조리개 제어 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을 도6에 도시한다. 도시된 상태는 촬영 준비 완료 상태이다. 조리개 제어 장치는, 래치 기어(10), 캠(11), 유지 레버(12), 정지 레버(13), 해제 레버(14), 미러 상승 레버(15),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16), 및 스프링(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은, 래치 기어(10)와 관계되어 있다. 조리개 제어링을 통해 가해지는 상기한 조리개 스프링 힘에 의해 래치 기어(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고, 같은 축상에 설치된 캠(11)을 통하여 유지 레버(12)는 가해지는 스프링(17)의 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치 기어(10)의 회전 동작을 중지시킨다.
셔터 릴리즈가 동작되면, 미러 구동 기구는 미러를 촬영 위치로 밀어 올린다. 이러한 미러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미러 상승 레버(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해제 레버(14)를 통하여 유지 레버(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방지하는 래치 기어(10)의 회전 중지 동작이 해제되어, 조리개 제어링은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 힘에 의해 회전한다.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은, 엔코더 등의 검출 수단에 의해 감지되고, 검출 수단에서 얻어진 회전 위치가 노출 제어를 위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도달 시점에서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16)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정지 레버(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정지 레버(13)에는, 래치 밸브(13a)가 설치되어 있고,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래치 밸브(13a)는 래치 기어(10)의 기어 이빨에 치합되어 래치 기어(10)와 함께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을 중지한다. 이 사이의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량으로, 조리개는 소정 크기의 조리개 구경으로 설정된다.
상기한 조리개 제어 장치의 촬영 준비 완료 상태는,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16)으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있다. 또, 가해지는 스프링(17) 힘에 의해 유지 레버(12)는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고, 또한, 유지 레버(12)의 일측단(12a)이 정지 레버(13)의 일측단(13b)과 결합되어 정지 레버(13)를 퇴피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떨어뜨리는 등의 동작으로 카메라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정지 레버(13)의 철편(13c)이 무겁기 때문에, 철편(13c)에 커다란 모멘트(moment)가 가해져 정지 레버(1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되면, 정지 레버(13)의 타측단(13b)이 유지 레버(12)의 타측단(12a)을 눌러, 가해지는 스프링(17) 힘을 극복하고 유지 레버(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버린다. 따라서 유지 밸브(12)와의 결합이 해재되고, 유지 밸브(12)의 결합이 해제되는 시점에서 래치 기어(10)와 함께 조리개 제어 링은 조리개 위치로 회전하여, 그 다음번 촬영에서는 조리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커다란 충격이 가해져도 스프링 힘에 의해 조리개 제어 링의 회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리개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제어 장치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2는 카메라 내부 기구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 시작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4는 조리개 제어링의 회전을 방지하여 소정의 조리개 구경으로 설정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5는 조리개 제어링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6은 종래의 조리개 제어 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31: 래치 기어 11,33: 캠 12,28: 유지 레버
13,30: 정지 레버 14,29: 해제 레버 15, 34: 미러 상승 레버
16, 32: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 17, 38: 스프링 18: 조리개 날개
21: 조리개 작동링 22: 조리개 스프링 25: 조리개 제어링
35: 당김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조리개를 개방하는 개방장치와 최소한으로 조여드는 조리개 위치 사이에 회동 자재가 있고, 상기 두 개의 위치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스프링 힘이 가해지고, 노광 완료후에 상기 두 개의 위치 중 스프링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복귀되는 조리개 제어 부재와;
상기 조리개 제어 부재를 상기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퇴피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이 자유로운 유지 부재와,
노광 완료후에 상기 유지 부재를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 위치와, 셔터 릴리즈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유지 부재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동작이 자유로운 해제 부재와,
상기 해제 부재가 초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셔터 릴리즈시에는 상기 유지 부재가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것에 의해, 해제 부재가 유지 위치에 위치할 때에 유지 부재가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셔터 릴리즈시에는 유지 부재가 퇴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지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정확한 조리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조리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안 리플렉스 타입의 카메라의 조리개 개폐 기구(19)는, 교환 렌즈(20) 측에 내장되어 있다. 조리개 개폐 기구(19)는 조리개 작동 링(21)의 회전에 따라 다수개의 조리개 날개를 가변시켜 조리개 구경을 변화시킨다. 조리개 작동 링(21)은 조리개 구경을 개방하는 위치와 최소한으로 조여드는 조리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일반적으로 조리개 위치쪽으로 조리개 스프링(22) 힘을 받고 있다.
렌즈(20) 측의 조리개 작동 링(21)에는, 조리개 작동 레버(23)가 설치되어 있고, 마운트를 통하여 렌즈(20)를 몸체에 설치하여 몸체 측의 조리개 제어 레버(24)와 결합시키다. 몸체 마운트 속에서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조리개 제어 링(25)에 조리개 제어 레버(24)는 설치되어 있다. 조리개 제어 링(25)은, 촬영 준비 완료시에는 조리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렌즈(20)를 몸체에 설치하는 동작에 의해 조리개 제어 레버(25)는 조리개 작동 레버(23)와 결합하여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22) 힘을 극복하고 조리개 작동링(21)을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렌즈(20)의 조리개 개폐 기구(19)의 개폐 제어는, 몸체 측에 내장된 조리개 제어 기구(27)에서 실행된다. 조리개 제어 기구(27)는, 상술한 조리개 제어링(25) 외에, 유지 레버(28), 해제 레버(29), 정지 레버(30), 래치 기어(31),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 캠(33), 미러 상승 레버(34) 및 스프링(35, 38)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와 조리개 복귀 기구(37)의 동작에 관계된다.
조리개 제어 링(25)에는, 일부에 기어부(3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39)에는 기어(40)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40)의 회전은, 기어열(41)을 통해 캠(33)과 래치 기어(31)로 전달된다. 캠(33)에는, 유지 레버(28)가 결합되어 있고, 래치 기어(31)와 함께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을 중지한다. 제어부(42)는,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상태에 대응하여 구동부(44)를 통하여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에 전류를 공급한다.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으로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정지 레버(30)는 래치 기어(31)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한다. .
또, 제어부(42)는,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동작에 응답하여 측광을 실행하고, 셔터 버튼(43)이 완전히 작동하면 미러 구동 기구(45)를 구동시킨다. 미러 구동 기구(45)는, 미러(46)를 파인더 관찰 위치에서 촬영 위치로 밀어 상승시킨 후에 노광을 실행하고, 노광 완료후에는 다시 파인더 관찰 위치로 되돌린다.
미러(46)에는, 촬영 준비 완료시에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가 관계되어 있다.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는, 3개의 레버(47,48,34)로 구성되어 있고, 미러(46)의 상승 동작이 시작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미러(46)에 설치된 연결봉(46a)은 레버(47)를 위로 들어올린다. 각 레버(47,48,34)는, 각각에 설치된 기어에 치합되어 있어, 레버(47)의 회전은 각 레버(48,34)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동은, 미러(46)의 상승 동작이 시작됨을 알려주는 신호가 되어 조리개 제어 기구(27)로 전달된다. 조리개 제어 기구(27)로의 미러(46) 상승 동작 개시가 전달된 후에는, 동작중 발생하는 충격과 바운드(bound, 한 번 튐) 등에 의해 미러(46)에서 동작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처럼 되기 때문에, 연결봉(46a)과 레버(47)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연결봉(46a)만 미러(46)와 함께 파인더 관찰 위치로 되돌아간다.
조리개 제어 기구(27)는,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에서 얻어지는 구동을 이용하여 유지 레버(28)와 캠(33)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조리개 제어 링(25)은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22)의 힘에 의해 회전하고, 조리개 개폐 기구(19)를 통하여 조리개를 제어한다.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은, 포토 리플렉터(49)와 기어(40)에 연결된 조리개 날개(50)로 구성된 엔코더(51)에서 검출된다.
제어부(42)는, 엔코더(51)를 통하여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을 감지하고, 상기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 상태가 측광부(53) 및 필름 감도 판독부(54)에서 얻어진 피사체 휘도와 필름 감도에 기초해서 결정된 조리치에 해당하는 만큼의 회전 상태가 되면 구동부(44)를 통해서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은, 전류가 차단되면 정지 레버(30)를 래치 기어(31)와 결합시켜 래치 기어(31)와 함께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을 중지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측광 직전에 조리개는 소정의 조리개 구경으로 설정된다.
노광 완료후에 제어부(42)는, 구동부(55)를 통해서 모터(56)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은, 조리개 복귀 기구(37)로 전달된다. 조리개 복귀 기구(37)는, 일회전 기어(57), 잠김(lock) 판(58), 피니언 기어(59a), 및 왕복 기어(59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회전 기어(57)에는, 핀(60)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도면에서 실선 방향)으로 회전된다. 잠김 판(58)은, 핀(60)의 회전 괘적상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치하고 있고, 핀(60)의 일회전 동작에 의해 직진 왕복 구동하며, 가해지는 복귀 스프링(61)의 힘에 의해 여러번 직진 왕복 구동된 후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왕복 운동은 피니언 기어(59a)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59a)는 왕복 기어(59b)에 치합되어 있고, 왕복 기어(59b)는 기어열을 구성하는 기어(41a)의 축에 자유스럽게 설치되어 있다. 왕복 기어(59b)와 기어(41a)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핀(59c,41b)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핀(59c,41b)은 왕복 기어(59b)의 왕복 회전으로 양쪽이 서로 결합하고 조리개 제어 링(25)에 연동하여 회전한 기어(41a)를 원 외치로 되돌리면, 다시 회전 동작에 의해 양쪽이 서로 멀어진다. 상기 기어(41a)는, 조리개 제어 링(25)과 캠(33) 및 래치 기어(31)를 연결하는 기어열(41)에 속해 있기 때문에, 기어(41a)가 원 위치로 되돌아가면 래치 기어(31), 캠(33), 및 조리개 제어 링(25)도 각각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모터(56)의 구동은,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를 복귀시키기 위한 일회전 기어(65)에도 전달된다. 일회전 기어(65)에는, 핀(66)이 설치되어 있고, 모터(56)의 구동으로 1회전한다. 상기 핀(66)은, 일회전 기어(65)의 구동중 미러 상승 레버(34)의 하단을 밀어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의 다른 레버(48,47)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레버(48)가 정지 핀(72)에 당연히 접하므로 레버(47)는 미러(46)의 연결봉(46a)에 연결된다. 조리개 제어 기구(27)의 유지 레버(28)는, 미러 상승 레버(34)의 복귀 이동에 연동하여 캠(33)과 결합하는 위치쪽으로 복귀된다. 유지 레버(28)는, 캠(33)이 원위치를 향해 서서히 회전하게 되므로 결합되어, 조리개 제어 링(25)을 원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사이에 필름 급송이 실행되고, 필름 급송이 완료되면 촬영 준비 완료 상태가 된다.
도1은, 조리개 제어 기구(27)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은, 래치 기어(31)의 축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래치 기어(31)는, 조리개 제어 링(25)을 통해, 축(6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한 조리개 스프링(22)에 의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은, 촬영 준비 완료시에 정지 레버(30)의 철편(30a)을 끌어당기고, 정지 레버(30)의 일측단에 설치된 래치 밸브(30b)를 래치 기어(31)에서 벗어난 초기 위치로 정지 레버(30)를 위치시킨다. 정지 레버(30)는 상기 초기 위치와, 래치 밸브(30b)가 래치 기어(31)와 결합하는 잠김 위치 사이에서 축(66)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래치 기어(31)의 동축상에는, 캠(3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캠(33)의 회전 괘적상에는, 유지 레버(28)의 일측단에 설치된 유지 밸브(28a)가 위치하고 있다. 촬영 준비 완료시에 유지 레버(28)는 유지 밸브(28a)가 캠(33)의 가장자리 부분(33a)과 결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치 기어(33)의 회전 동작을 중지하는 유지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유지 레버(28)는 상기 유지 위치와, 유지 밸브(28a)가 가장장리 부분(33a)에서 벗어난 퇴피위치 사이에서 정지 레버(30)와 동일한 회전축(6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가해지는 스프링(38) 힘에 의해 유지 위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38)은,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 개시 타이밍과 엇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약한 스프링 힘을 지니고 있다.
정지 레버(30)와 유지 레버(28)의 타측단(30c,28b)에는, 이것을 끌어당기기 위한 당김 스프링(35)이 걸려있다. 상기 당김 스프링(35)은, 도1에서 도시된 상태, 즉, 유지 레버(28)는 유지 위치에 위치하고, 동시에, 정지 레버(30)는 초기 위치에 위치할 때 각 타측단(30c,28b)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스프링 힘이 개방되어 있다. 또, 정지 레버(30)의 타측단(30c)에는,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의 회전 괘적상에 돌출되어 있는 핀(30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정지 레버(30)가 잠김 위치에 위치하고, 동시에 유지 레버(28)가 퇴피위치일 때에,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쪽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핀(30d)은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에 당연히 접하고, 유지 레버(28)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정지 레버(30)를 초기 위치쪽으로 회전시킨다.
유지 레버(28)의 유지 밸브(28a)의 측에는, 해제 레버(29)의 일측단(29a)이 연결되어 있다. 해제 레버(29)는, 축(65,66)과 평행한 축(67)을 중심으로 유지 레버(28)를 유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초기 위치와, 유지 레버(28)를 퇴피위치로 회전시키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유지 레버(28)는 퇴피위치로 회전된다.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은, 축(67)을 사이에 두고 일측단(29a)에 대해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미러 상승 레버(34)의 요(凹)부(34)에 삽입되어 있다.
미러 상승 레버(34)는, 회전축(68)이 해제 레버(29)의 축(67)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도1에서는 좌측면을 2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좌측면의 상태가 초기 위치가 되고, 상기 초기 위치와 미러(46)가 위로 올려지는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만 회전한 상승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가해지는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쪽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29)는 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타측단(29b)은 요부(34a)의 상단(34b)과 당연히 접한다. 미러 상승 레버(34)는, 상기한 것과 같이 레버(48)가 정지 핀(72)에 당연히 접하는 것에 의해 초기 위치는 결정되고 있다. 유지 레버(28)는, 초기 위치에 위치한 미러 상승 레버(34)의 상단(34b)에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이 당연히 접하는 것에 의해 유지 위치는 결정된다. 이때, 정지 레버(30)는, 타측단(30c)이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에 의해 눌려져 초기 위치로 유지되고, 철편(30a)은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에 의해 당연히 끌어 당겨져 접해 있거나 또는 흡인 가능한 범위에 근접하고 있다.
상기 예에서는,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조작에 응답하여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에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은 철편(30a)을 끌어당기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정지 레버(30)는 스프링(38) 힘이 유지 위치쪽으로 가해져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만으로 초기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에 커다란 진동등이 가해지면, 철편(30a)에 커다란 모멘트가 가해져 정지 레버(30)는 잠김 위치(시계 방향) 쪽으로 회전해 버린다. 정지 레버(30)가 잠김 위치쪽으로 회전하면, 타측단(30c)이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 유지 레버(28)를 퇴피위치(시계 방향) 쪽으로 회전시켜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러 상승 레버(34)에는, 방지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방지 부재(70)는, 요부(34a)의 상단(34b)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미러 상승 레버(34)는 초기 위치일 때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의 아래쪽으로 밀고 들어가 퇴피 위치쪽으로 회전하는 유지 레버(28)의 회전을 중지하고, 또 미러 상승 레버(34)는 초기 위치에서 상승 위치쪽으로 회전하여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의 회전 괘적상에서 벗어나 유지 레버(28)의 퇴피 위치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방지 부재(70)는, 미러 상승 레버(34)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미러 상승 레버(34)의 동작에 따라서 상태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방지 부재(70)를 위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 방지 부재(70)와 연동하는 연동 기구도 필요치 않다. 역시, 상기한 방지 부재(70) 대신,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도 무관하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카메라의 셔터 버튼(43)을 반작동시키면, 제어부(42)가 측광부(53)를 작동시키고, 피사체 휘도를 측광하고, 피사체 휘도와 필름 감도 판독부(54)에서 얻어진 필름 감도에 따라 해당하는 셔터치와 조리개 치를 결정한다. 또, 상기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42)는,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에 전류를 공급한다.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은, 전류가 공급되면 정지 레버(30)의 철편(30a)을 끌어당긴다.
그 사이 셔터 버튼(43)이 완전히 작동되면, 제어부(42)는 미러 구동 기구(45)를 구동한다. 미러 구동 기구(45)의 구동으로 미러(46)를 촬영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 미러(46)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의 레버(47)는 도2에 도시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연동하여 레버(4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당연히 정지 핀(71)에 접한다. 도2에 기재된 부호(38a)는, 스프링(38)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받침이다.
상기 레버(48)의 회전에 의해 미러 상승 레버(34)는 축(6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의 상승 위치로 회전한다. 미러 상승 레버(34)가 상승 위치로 회전하면, 도3에 도시한 것처럼, 해제 레버(29)와 미러 상승 레버(34)와의 회전면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 요부(34a)의 상단(34b)이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을 누르고, 이것과 동시에 방지 부재(70)는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의 회전 괘적상에서 벗어난다. 그러므로, 해제 레버(2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제 레버(2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측단(29a)은 가해지는 스프링(38) 힘을 극복하고 유지 레버(2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동작에 의해, 유지 밸브(28a)와 가장자리 부분(33a)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래치 기어(31)와 함께 조리개 제어 링(25)은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22) 힘에 의해 회전한다. 유지 레버(28)가 퇴피위치로 회전하면, 타측단(28)은 정지 레버(30)의 타측단(30c)에서 떨어진다. 가해지는 당김 스프링(35)의 힘에 의해 정지 레버(30)는 잠김 위치쪽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42)는, 엔코더(51)를 통하여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을 감지하고, 상기 회전량이 조리개치에 해당하는 회전량이 될 때에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의 흡인 동작이 해제되고, 정지 레버(30)는 가해지는 당김 스프링(35)의 힘에 의해 잠김 위치쪽으로 순식간에 회전한다. 정지 레버(30)가 잠김 위치로 회전하면, 래치 밸브(30b)는 래치 기어(31)에 치합하고, 래치 기어(31)와 함께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이 중지되어, 도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사이에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에 의해 조리개 구경이 결정된다. 이 도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정지 레버(30)의 타측단(30c)은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에 가까이 위치하고, 당김 스프링(35) 힘도 개방되어 있다. 또 이 사이, 유지 레버(28)는 가해지는 스프링(38) 힘에 의해 유지 위치쪽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지만, 미러(46)의 상승 동작에 의해 연결봉(46a)이 레버(47)를 도2에 도시한 시계 방향 쪽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유지 레버(28)는 되돌아가지 않는다.
제어부(42)는, 미러(46)가 촬영 위치로 상승한 때에, 셔터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에 의해, 소정의 조리개 구경으로 노광이 이루어진다.
노광 완료후에, 미러 구동 기구(45)는 미러(46)를 파인더 관찰 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연결봉(46a)과 레버(47)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연결봉(46a)이 미러(46)와 함께 되돌아가,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의 각 레버(47,48,34)는 상승 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노광 완료후에, 제어부(42)는 모터(56)를 구동하고 조리개 복귀 기구(37)와 미러 상승 연동 기구(36)를 구동시킨다. 조리개 복귀 기구(37)에 모터(56)의 구동이 전달되면, 일회전 기어(57)는 1회전하고, 상기 회전중에 핀(60)이 잠김 판(58)을 왕복 구동시킨다. 이때, 기어(41a)는, 조리개 제어 링(25)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은, 1회전 미만이므로, 왕복 기어(59b)는, 잠김 판(58)의 왕복시에 얻어진 구동을 이용하여 기어(41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정지 레버(30)는, 래치 밸브(30b)가 래치 기어(31)를 타고 넘어가기 때문, 래치 기어(31)의 역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조리개 제어링(25), 캠(33), 및 래치 기어(31)도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22) 힘을 극복하고 원 위치로 되돌려 진다.
또한, 모터(56)의 구동은, 일회전 기어(65)로도 전달되고, 기어(65)의 1회전 동작중에 핀(66)도 미러 상승 레버(34)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핀(66)은, 미러 상승 레버(34)의 하단(34c)을 도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 레버(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유지 레버(28)를 통하여 가해지는 스프링(38) 힘에 의해 해제 레버(29)는 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미러 상승 레버(34)가 초기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해제 레버(2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유지 레버(28)도 유지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에는, 이미 조리개 제어 링(25)이 원 위치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캠(33) 및 래치 기어(31)도 도5에 도시한 것처럼 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한다. 그러므로,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쪽으로 회전할지라도, 유지 밸브(28a)가 캠(33a) 주위 면에 당연히 접하고, 캠(33)이 원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에 의해 유지 밸브(28a)가 가장자리 부분(33a)으로 삽입되어 유지 레버(28)는 유지 위치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조리개 제어링(25)을 역회전시키는 구동이 즉시 해제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가해지는 조리개 스프링(22) 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는 캠(32)의 회전을 유지 레버(28)가 중지한다.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로 회전한 때에는, 타측단(28b)이 핀(30d)을 잡고 있기 때문에, 정지 레버(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로 회전한 때에는, 정지 레버(30)는 초기 위치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철편(30a)은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과 당연히 접하거나 또는 가까운 위치로 되돌려져, 도1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또, 유지 레버(28)가 유지 위치로 회전한 때에는, 방지 부재(70)는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의 아래쪽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된다.
제어부(42)는, 노광 완료후에 상기한 일련의 복귀 동작을 필름 급송과 병행하여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복귀 동작과 함께 필름 급송이 완료되면 촬영 준비 완료 상태가 된다.
도1의 상태에서, 스프링(38)에 의해 유지 위치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유지 레버(28)의 타측단(28b)만으로 정지 레버(30)는 초기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셔터 버튼(43)의 반작동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조리개 제어 마그네틱(32)이 철편(30a)을 끌어당기지 않는다. 이때, 카메라에 커다란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철편(30a)에 커다란 모멘트가 가해져 정지 레버(30)는 잠김 위치(시계 방향) 쪽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힘은, 타측단(30c)과 타측단(28b)을 통하여 유지 레버(28)를 퇴피 위치(시계 방향)쪽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되고, 또한 해제 레버(2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도 된다. 그렇지만, 해제 레버(29)의 타측단(29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반시계 방향에 방지부재(7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29)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해제 레버(29)는 도1에 도시한 초기 위치가 될 때에는, 유지 레버(28)의 퇴피 위치로의 회전도 확실하게 중지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조리개 제어링(25), 유지 레버(28), 해제 레버(29), 정지 레버(30) 등을 회전 자재에 설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회전에 한정하지 않고, 간단하게 이동하는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미러(46)의 상승에 연동하여 해제 레버(29)를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셔터 릴리즈에 연동하여 이동되어도 무방하다. 더욱더, 조리개 조작 링(25)을 스프링(22)에 의해 조리개를 조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개방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리개 제어 링(25)은 조리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조리개 제어장치에서는, 해제 부재가 유지 위치에 위치할 때에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셔터 릴리즈시에는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지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정확한 조리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조리개를 개방하는 개방장치와 최소한으로 조여드는 조리개 위치 사이에 회동 자재가 있고, 상기 두 개의 위치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스프링 힘이 가해지고, 노광 완료후에 상기 두 개의 위치 중 스프링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복귀되는 조리개 제어 부재와;
    상기 조리개 제어 부재를 상기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퇴피위치 사이에서 회전 동작이 자유로운 유지 부재와,
    노광 완료후에 상기 유지 부재를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 위치와, 셔터 릴리즈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유지 부재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동작이 자유로운 해제 부재와,
    상기 해제 부재가 초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셔터 릴리즈시에는 상기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 제어 장치.
KR1019970058438A 1997-01-10 1997-11-06 조리개 제어 장치 KR100240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02526 1997-01-10
JP00252697A JP3800700B2 (ja) 1997-01-10 1997-01-10 絞り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173B1 true KR100240173B1 (ko) 2000-01-15

Family

ID=11531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38A KR100240173B1 (ko) 1997-01-10 1997-11-06 조리개 제어 장치
KR1019970058438A KR19980070078A (ko) 1997-01-10 1997-11-06 조리개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38A KR19980070078A (ko) 1997-01-10 1997-11-06 조리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00700B2 (ko)
KR (2) KR100240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398A (ko) * 2003-10-22 2005-04-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전자부품의 와이어 절연파괴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00700B2 (ja) 2006-07-26
KR19980070078A (ko) 1998-10-26
JPH10274796A (ja) 199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972A (en) Camera equipped with an automatically controlling device for focusing and shutter operation
KR100240173B1 (ko) 조리개 제어 장치
EP0696754A1 (en) Metering apparatus
JP2580813Y2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CA1057549A (en) Electro-mechanical shutter system having mechanical latch
US3759156A (en) Photographic camera provided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shutter
JP2006208704A (ja) 電子カメラ
GB2102132A (en) Motorised camera
KR970005436Y1 (ko)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US4132474A (en) Electromagnetic release device for use in cameras
US4367935A (en) Camera equipped with an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US3559547A (en) Photographic shutter with reciprocating shutter blade driving member and electronic timing device
US4306797A (en) Electromagnetically driven shutter
JP2583632Y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4346166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US4502769A (en) Quick-return mirror driving mechanism for single-lens reflex cameras
JPH0277045A (ja) 一眼レフカメラの深度確認装置
US4529284A (en) Electromagnetic release device
US3771427A (en) Reflex camera with mirror latch
US4051498A (en) Camera electric shutter with mechanical delay device
KR910009038Y1 (ko) 일안 리플렉스용 미러구동장치
JPH0731225Y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4852853B2 (ja) カメラの絞り機構
KR910009532B1 (ko) 렌즈 셔터장치
JP2606362Y2 (ja) 絞り駆動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