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537B1 -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537B1
KR100239537B1 KR1019970042252A KR19970042252A KR100239537B1 KR 100239537 B1 KR100239537 B1 KR 100239537B1 KR 1019970042252 A KR1019970042252 A KR 1019970042252A KR 19970042252 A KR19970042252 A KR 19970042252A KR 100239537 B1 KR100239537 B1 KR 10023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receiving surface
case
th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961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5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는, 공기가 통과될 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공기저항에 의해 소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취부하는 필터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제품사양에 따라 얇은 필터나 또는 두꺼운 필터 등의 여러종류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제1수용면 및 제2수용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필터케이스는 얇은 필터나 또는 두꺼운 필터 등의 여러종류를 정확한 위치에 견고히 취부할 수 있고, 별도로 필터케이스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가 공기저항력에 의해 느슨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터케이스를 이용하여 여러종류의 필터(예컨대, 정전필터, 탈취필터 등)를 공용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될 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0)와, 상기 필터(10)가 공기저항에 의해 소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취부하는 필터케이스(2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필터케이스(20)에는, 상기 필터(10)의 가장자리 및 부분적으로 중앙을 전후측에서 대응되게 눌러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첩가능케 제1 및 제2몸체(21)(22)가 사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몸체(21)의 하단 중앙에는 필터케이스(20)를 공기조화기의 본체(도시안됨)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손잡이부(2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단에는 그들 제1몸체(21)와 제2몸체(22)가 서로 대응되게 접첩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4개이상의 경첩부(24)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외측단에는 서로 걸림작용에 의해 제1몸체(21)와 제2몸체(22)가 탄력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걸림턱(25) 및 걸림돌기(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몸체(21) 및 제2몸체(22)가 접혔을 때 마주보는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필터(10)의 가장자리의 두께면이 측방향으로 노출 및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리브(27)가 각각 일체로 돌설되어 있고, 상기 리브(27)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22)와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필터(10)의 가장자리를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압착시키도록 압착면(28)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착면(28)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10)가 공기저항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공간부(G)를 작은 면적으로 분할하는 분할띠(29)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교차되게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의하면, 필터케이스(20)의 제1몸체(21)와 제2몸체(22)와의 사이에 필터(10)가 취부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접었을 때 그 사이에 대한 두께 공간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10) 하나만을 취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크기 및 두께가 다른 여러종류의 필터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필터케이스를 제작하여야 함으로, 원가상승의 요인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1몸체(21)와 제2몸체(22)와의 사이에 필터(10)를 취부할 할때 제1몸체(21)와 제2몸체(22)에 각각 민자로 형성된 압착면(28)에 의존하여 왔기 때문에 필터(10)를 정확한 위치에 취부할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에 의해 필터(10)가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필터케이스내에 크기 및 두께가 다른 여러종류의 필터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게 하여, 별도로 필터케이스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을 없애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케이스에 의해서 두께가 얇은 필터가 정확한 위치에 취부되게 함과 동시에 공기저항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는, 공기가 통과될 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공기저항에 의해 소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취부하는 필터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제품사양에 따라 얇은 필터나 또는 두꺼운 필터 등의 여러종류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제1수용면 및 제2수용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필터취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필터취부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취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필터케이스에 의해 얇은 필터가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필터케이스에 의해 두꺼운 필터가 취부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얇은 필터 51 : 두꺼운 필터
60 : 필터케이스 61, 62 : 제1 및 제2몸체
68, 70 : 제1 및 제2수용면 69 : 압착돌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가 통과될 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이 필터링하는 얇은필터(50) 및 두꺼운 필터(51)와, 상기 얇은필터(50) 및 두꺼운 필터(51)를 제품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취부하는 필터케이스(6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얇은필터(50)는 상기 두꺼운 필터(51)보다 가장자리에 대한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60)에는, 상기 얇은필터(50) 및 두꺼운 필터(51)의 가장자리와 부분적으로 중앙을 전후측에서 대응되게 눌러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첩가능케 제1 및 제2몸체(61)(62)가 사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1몸체(61)의 하단 중앙에는 필터케이스(60)를 공기조화기의 본체(도시안됨)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손잡이부(6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61) 및 제2몸체(62)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단에는 그들 제1몸체(61)와 제2몸체(62)가 서로 대응되게 접첩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4개이상의 경첩부(64)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외측단에는 서로 걸림작용에 의해 제1몸체(61)와 제2몸체(62)가 탄력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걸림턱(65) 및 걸림돌기(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몸체(61) 및 제2몸체(62)가 접혔을 때 마주보는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얇은필터(50)의 가장자리의 두께면이 측방향으로 노출 및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리브(67)가 각각 일체로 돌설되어 있고, 상기 리브(67)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제1몸체(61)와 제2몸체(62)와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얇은 필터(5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제1수용면(68)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몸체(62)의 제1수용면(68)에는 상기 얇은 필터(50)가 공기저항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소정위치에 정확히 취부되도록 얇은 필터(50)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압착시키는 다수개의 압착돌기(69)가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1수용면(68)의 내측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두꺼운 필터(51)가 측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수용하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2수용면(70)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용면(70)의 내측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두꺼운 필터(51)가 공기저항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공간부(G)를 작은 면적으로 분할하는 분할띠(71)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교차되게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필터케이스(60)에 의해 얇은 필터(50)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터케이스(60)의 제1몸체(61)로부터 제2몸체(62)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닫이방식으로 펼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몸체(61)의 상부를 통하여 얇은 필터(50)를 평행하게 안착시킴으로서 얇은 필터(50)의 한쪽에 대한 가장자리가 제1몸체(61)의 제1수용면(68)의 상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62)를 다시 여닫이방식으로 접어서 제1몸체(61)와 제2몸체(62)가 서로 포개어 줌과 동시에 소정부분을 누르면, 제1 및 제2몸체(61)(62)의 가장자리에 돌설된 걸림턱(65) 및 걸림돌기(66)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몸체(61)(62)의 한쪽 개구되는 부분이 폐쇄되면서 그들 사이에 개재된 얇은 필터(50)가 수용된다.
이때, 제2몸체(62)의 제1수용면(68)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설된 다수개의 압착돌기(69)는 제2몸체(62)가 제1몸체(61)를 향해 포개어지면서 결합될 때 제1몸체(61)의 제1수용면(68)을 향하면서 상기 얇은 필터(50)의 가장자리면을 제1몸체(61)의 제1수용면(68)에 강하게 압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얇은 필터(5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61)(62)에 형성된 제1수용면(38)에 정확히 취부됨은 물론 공기저항에 의해 느슨하게 변형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필터케이스(60)에 의해 두꺼운 필터(51)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터케이스(60)의 제1몸체(61)와 제2몸체(6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펼친 다음, 상기 제1몸체(61)의 상부를 통하여 두꺼운 필터(51)를 평행하게 안착시키면, 이 두꺼운 필터(51)는 제1몸체(61)의 제2수용면(70)내에 수용되면서 두꺼운 필터(51)의 가장자리가 제2수용면(70)에 밀착됨과 동시에 그 중앙에 분할띠(71)에 부분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제1몸체(61)를 향해 제2몸체(62)를 포개어 줌과 동시에 소정부분을 눌려 제1 및 제2몸체(61)(62)의 가장자리에 돌설된 걸림턱(65) 및 걸림돌기(66)를 서로 대응되게 결합시키면, 두꺼운 필터(51)는 제1몸체(61)에 형성된 제2수용면(70) 및 분할띠(71)와 제2몸체(62)에 형성된 제2수용면(70) 및 분할띠(71)와의 사이에 대한 두께폭에 의해 적정한 압력으로 눌려져 취부된다.
이때, 두꺼운 필터(51)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61)(62)에 형성된 제2수용면(70)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취부됨은 물론 분할띠(71)에 의해 외부로 느슨하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의하면, 필터케이스는 제품사양에 따라 얇은 필터나 또는 두꺼운 필터 등의 여러종류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견고히 취부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필터케이스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가 공기저항력에 의해 느슨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기가 통과될 때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51)와, 상기 필터(51)가 공기저항에 의해 소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취부하는 필터케이스(6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60)는, 그 내부에 제품사양에 따라 얇은 필터(50)의 가장자리를 강한 압력으로 눌러 취부하도록 다수개의 압착돌기(69)가 분할 형성된 제1수용면(68)과, 제품사양에 따라 두꺼운 필터(51)를 선택적으로 취부하도록 형성된 제2수용면(70)을 동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KR1019970042252A 1997-08-28 1997-08-28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KR10023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52A KR100239537B1 (ko) 1997-08-28 1997-08-28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52A KR100239537B1 (ko) 1997-08-28 1997-08-28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61A KR19990018961A (ko) 1999-03-15
KR100239537B1 true KR100239537B1 (ko) 2000-01-15

Family

ID=1951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252A KR100239537B1 (ko) 1997-08-28 1997-08-28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59B1 (ko) * 2007-02-05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6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6312Y2 (ja) コネクタ
JPH07187725A (ja) 中空セクシヨン用プラグコネクタ
KR100239537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취부장치
EP1143563B1 (en) Tandem screw type terminal device
WO2006054416A1 (ja) フィルタ装置及び燃料タンクユニット
US11852239B2 (en) Seal for an angled connector
EP1306120B1 (fr) Dispositif de filtration d'air et installation de circulation d'air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ce dispositif
JPH0663857U (ja) エアクリーナ
JPS6254993B2 (ko)
JPH09217957A (ja) エアコン室内ユニット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JPH02148573U (ko)
JP2566000Y2 (ja) エアフィルタ
KR100225656B1 (ko) 공기조화기의 크리너필터
JPH0710186Y2 (ja) 樹脂部品の着脱用取付部
JPH0143137Y2 (ko)
JPH08206425A (ja) フィルタ
JPS6138345B2 (ko)
JPH0342630Y2 (ko)
JP3511307B2 (ja) 蛍光灯用ソケット取付け構造
JPH0343739Y2 (ko)
KR200162354Y1 (ko) 스위치 결합장치
JP3718826B2 (ja) 配線器具取付用フレーム
JPH0427058Y2 (ko)
JPH09268977A (ja) 圧縮機の露出電装部品覆蓋構造
KR810000414Y1 (ko) 마이크로 모우터의 시일드 케이스의 보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