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76B1 -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76B1
KR100238576B1 KR1019960035854A KR19960035854A KR100238576B1 KR 100238576 B1 KR100238576 B1 KR 100238576B1 KR 1019960035854 A KR1019960035854 A KR 1019960035854A KR 19960035854 A KR19960035854 A KR 19960035854A KR 100238576 B1 KR100238576 B1 KR 10023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phone
stereo
mon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314A (ko
Inventor
정성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5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서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 입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와,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니터 외부에서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선택 신호를 인가받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마이크 신호에 따른 OSD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마이크 선택 신호를 상기 마이콤으로 인가하고 인가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마이크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OSD 선택부로 구성하여,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이든지 또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에 관계없이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STEREO AND MONO MICROPHONE SIGNAL CONTROL CIRCUIT IN THE MONITOR A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니터에서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를 이용하여 사운드 카드와 관계없이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에서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단순한 산술 및 논리 연산 기능만을 가진 계산기의 기능을 벗어나서 입출력 장치를 중심으로 확대되어 기계와 공장, 사회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로 확대되는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 컴퓨터와는 별도로 완성되었던 오디오, 비디오, TV, 게임기, 통신 기기 등의 기술이 컴퓨터로 통합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TV, 게임기, 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멀티미디어 컴퓨터라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컴퓨터가 최근 보급이 확대되면서 컴퓨터가 가전제품을 대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오디오 기기의 기능을 멀티미디어 컴퓨터에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 장착된 비디오 CD(Compact Disk)가 빠른 속도로 기존의 VTR을 대체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위성 방송이 광범위하게 보급되면 컴퓨터가 기존의 라디오와 위성 TV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는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서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스피커와 마이크를 내장하고 있는 기존의 마이크와 스피커 내장형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멀티 미디어 컴퓨터의 내부를 나타낸 블럭도로,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비디오 제어신호와 사운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칭함)(110)와, 상기 CPU(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 신호(R,G,B)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의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카드(1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210)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최종 증폭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220)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아 표시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30)와, 상기 사운드 카드(13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사운드 증폭기(240)와, 상기 사운드 증폭기(24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50)와, 상기 CPU(110)에서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60)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과 같은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가진 프로그램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본체(100) 내에 있는 CPU(110)로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실행 명령에 의해 비디오 카드(120)의 제어 신호와 사운드 카드(130)의 제어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카드(120)의 제어 신호와 사운드 카드(130)의 제어 신호가 각각 비디오 카드(120)와 사운드 카드(130)로 인가된다.
CPU(110)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 카드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비디오 카드(12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R,G,B)를 출력한다.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모니터(200) 내에 있는 비디오 프리 앰프(210)는 영상 신호(R,G,B)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프리 앰프(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220)는 최종 증폭하여 CRT(260)로 인가하게 된다. 비디오 출력 앰프(2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CRT(230)는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카드(130)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사운드 카드는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사운드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증폭기(240)를 통해서 증폭하여 스피커(250)를 통해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때, 만일 컴퓨터 본체(100) 내에 있는 CPU에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모니터(200) 내에 있는 마이크(260)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260)를 이용하여 사운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사운드 신호는 사운드 카드를 통해서 처리되고 사운드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된 사운드 신호는 최종 스피커(260)를 통해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또는,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사운드 신호는 CPU의 사운드 신호의 처리 명령에 따라 사운드 카드를 통해 처리되어 컴퓨터 본체(100) 내에 있는 저장 장치를 통해 저장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디오 신호와 사운드 신호를 처리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 미디어 컴퓨터에서 특히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에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용 마이크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는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2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가 입체 음향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모노(Mono) 마이크는 단일 채널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종래의 모니터에서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가 스테레오(Stereo)용과 모노(Mono)용이 있고, 마이크도 역시 스테레오(Stereo)용과 모노(Mono)용 마이크가 있어서 사운드 카드 제작 사에서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모두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니터 내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카드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또한, 모노(Mono) 마이크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마이크 입력 신호가 레프트(Left) 채널 신호이면 레프트(Left) 채널 신호만을 지원하고 라이트(Right) 채널 신호이면 라이트(Right) 채널 신호만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접지(Ground)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 또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사운드 카드가 스테레오(Stereo)용 또는, 모노(Mono)용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제어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는 마이크 입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와, 상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에 감지된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으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니터 외부에서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선택 신호를 인가받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CRT에 표시되는 마이크 신호에 따른 OSD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마이크 선택 신호를 상기 마이콤으로 인가하고 인가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는 OSD 선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방법은 마이크 잭을 통해서 입력된 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마이크 신호 감지 스텝에서 마이크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마이크 신호가 모노 마이크 신호와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중 어느 종류의 음향 신호인가를 판별하는 입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과,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단 스텝에서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라고 판별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를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로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과, 상기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에서 사용자가 출력 음향신호의 종류 중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OSD 선택부에서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멀티 미디어 컴퓨터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제3a도는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감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3b도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마이크 입력단 15-1 : 스테레오용 마이크 잭
15-2 : 모노용 마이크 잭
20 :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감지부
25 : 마이콤 45,230 : CRT
50 : OSD 선택부 200 : 모니터
Q1,Q2 : 트랜지스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R,G,B)와 영상 신호를 동기화 시키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0)와, 사용자가 마이크(도시 않음)를 사용하면 발생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단(15)과, 상기 마이크 입력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와, 상기 비디오 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받으며 상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에 감지된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으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니터 외부에서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리모콘이라 칭함)(도시 않음)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선택 신호를 인가받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5)과, 상기 마이콤(25)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OSD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여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30)와, 상기 OSD IC(30)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상기 비디오 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아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는 영상 신호(R,G,B)와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35)와,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3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영상 신호를 최종 증폭하는 비디오 출력 앰프(40)와, 상기 비디오 출력 앰프(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와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표시하는 CRT(45)와, 상기 CRT(45)에 표시되는 마이크 신호에 따른 OSD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마이크 선택 신호를 상기 마이콤(25)으로 인가하고 인가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마이크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OSD 선택부(50)와, 상기 OSD 선택부(50)에서 선택된 마이크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출력단(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 사용자가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를 이용하면 마이크는 마이크 입력 신호가 발생한다.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는 마이크 입력단(15)을 통해서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에 인가된다. 마이크 입력 신호를 마이크 입력단(15)을 통해서 입력받은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는 입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신호인지 모노(Mono) 신호인지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인가한다.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은 마이콤(25)은 입력된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신호인지 모노(Mono) 신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마이콤(25)은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받고 마이크 입력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마이콤(25)에서 발생되어 출력된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데이터는 OSD IC(30)를 통해서 OSD 처리하여 OSD 이득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OSD IC(30)를 통해서 발생하여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를 비디오 프리 앰프(35)에서 인가받는다.
OSD 이득 신호를 인가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35)는 비디오 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는다. 이어서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35)는 상기 영상 신호(R,G,B)와 OSD 이득 신호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비디오 출력 앰프(40)로 인가한다. 비디오 프리 앰프(35)로부터 출력된 OSD 신호와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비디오 출력 앰프는 최종 증폭하여 CRT(45)로 인가한다. 비디오 출력 앰프(40)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신호와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은 CRT(45)는 음성과 일치된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CRT(45)에 표시되는 화상은 비디오 프리 앰프(35)는 인가되는 OSD 선택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이득 신호와 영상 신호(R,G,B)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가령 예를 들면 비디오 프리 앰프(35)로 OSD 선택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CRT(45)에서는 비디오 카드(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받아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비디오 프리 앰프(35)로 OSD 선택 신호가 인가되면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OSD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CRT(45)에는 표시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면서, 사용자는 마이크 입력단(15)으로 입력되는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인지 모노(Mono) 마이크 신호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가 마이크 입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OSD 화면을 보고 리모콘을 사용하여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콤(25)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는 OSD 선택부(50)로 인가된다.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OSD 선택부(50)는 스테레오(Stereo) 신호를 선택하여 마이크 출력단(55)을 통해서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마이콤(25)은 모노(Mono) 마이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OSD 선택부(50)로 인가하게 된다.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는 R과 L중 선택하여 출력가능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OSD 선택부(50)는 마이크 출력단(55)을 통해서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 입력단(15)을 통해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가 모노(Mono) 마이크 신호이고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도시 않음)가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마이크 신호 감지부(20) 및 OSD 선택부(50)를 통해서 입력되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20)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 3a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 마이크(도시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는 마이크 입력단(15)과, 상기 마이크 입력단(15)으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마이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중에 상기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단(15)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는 스테레오(Stereo)용 마이크 잭(15-1)과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인가받는 모노(Mono)용 마이크 잭(15-2)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OSD 선택부(50)는 상기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1)와, 모노(Mono)용 마이크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다이오드(D)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25)은 마이크 입력단(15)의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는 스테레오(Stereo)용 마이크 잭(15-1)과,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인가받는 모노(Mono)용 마이크 잭(15-2)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인가받아 OSD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마이콤(25)은 모니터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리모콘(도시 않음)을 통해서 인가되는 마이크 선택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만일, 리모콘에서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가 선택되어 인가되면 마이콤(25)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 즉,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로우 레벨 신호는 직류전압(Vcc1)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 시킨다. 트랜지스터(Q1)가 온 되면, 스테레오(Stereo)용 마이크 잭(15-1)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STEREO-L)는 단자 "T2"로 출력하고,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잭(15-1)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STEREO-R)단자 "T1"을 통해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는 2개의 채널로 출력되어 입체 음향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마이콤(25)에서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모노(Mono) 마이크 신호는 단자 "T1"를 통해서 출력되고, 또한, 다이오드(D)를 통해서 분류된 모노(Mono) 마이크 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단으로 인가된다. 분류된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인가받은 트랜지스터(Q1)는 마이콤(25)으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변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단자 "T2"를 통해서 출력된다. 즉, 사운드 카드 제작사에서 지원하는 단일 채널 신호를 단자 "T1" 및 단자 "T2"를 통해서 출력하여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이용하여 입체 음향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리모콘에서 모노(Mono) 마이크 신호가 선택되어 마이콤(25)으로 인가되면 마이콤(25)은 모노(Mono) 선택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 즉,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마이콤(25)으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레벨 신호를 인가받은 트랜지스터(Q1)는 오프 된다. 트랜지스터(Q1)가 오프 되면, 모노(Mono)용 마이크 잭(15-2)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MONO)는 단자 "T1"을 통해 사운드 카드가 지원하는 단일 채널로 출력된다.
즉, 스테레오 음향으로서 마이크에 입력된 음향이 스피커로부터 모노 음향으로서 출력된다.
상술한 동작 중 마이크 잭이 스테레오용 마이크 잭에 삽입된 경우의 동작의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스테레오용 마이크를 준비한다.
마이크가 준비되면 준비된 마이크 잭을 마이크 잭 연결 스텝(S62)를 통해서 모니터 외부 케이스에 있는 마이크 잭 연결부(도시 않음)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 잭 연결 스텝(S62)를 통해서 마이크 잭이 연결되면 연결된 마이크 잭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마이크 신호 감지 스텝(S63)를 통해서 마이크 신호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감지된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인지 또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인지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OSD 화면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다음에, 감지된 마이크 신호는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라고 확인된다.
이어서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S64)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마이크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S64)에서 사용자가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였을 경우 스텝 (S65)로 진행한다.
스텝 (S65)에서는 상기 OSD 선택부(50)의 트랜지스터가 오프된다. 그러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가 모노 마이크 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에 마이크 신호 출력 스텝(S66)에서는, 스피커로부터 모노 음향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S64)에서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에서는, 상기 OSD 선택부의 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다음에, 마이크 신호 출력 스텝(S66)에서는 스피커로부터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된다.
한편, 만일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가 스테레오(Stereo) 전용일 경우에도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지원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b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로 변환하는 OSD 선택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모노(Mono)용 마이크 잭(15-2)은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도록 후술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OSD 선택부는 상기 모노(Mono) 마이크 잭(15-2)을 통해서 인가되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노(Mono)용 마이크 잭(15-2)으로부터 모노(Mono) 마이크 신호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사용자가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통해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트랜지스터(Q2)가 온이 되어 모노(Mono)사운드 신호가 단자 "T4"를 통해서 모노(Mono) 마이크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모노(Mono) 마이크 신호가 단자 "T3"을 통해서 출력되므로 인해서 모노(Mono) 마이크 신호로부터 2개 채널의 마이크 신호로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에 인가되는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이든지 모노(Mono) 마이크 신호에 관계없이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이든지 또는, 모노(Mono) 마이크 신호에 관계없이 컴퓨터 본체 내에 있는 사운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마이크 입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와, 상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에 감지된 마이크 입력 신호를 인가받으며 스테레오(Stereo) 및 모노(Mono) 마이크 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입력 신호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에 따른 OSD 데이터를 발생하고 모니터 외부에서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선택 신호를 인가받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CRT에 표시되는 마이크 신호에 따른 OSD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마이크 선택 신호를 상기 마이콤으로 인가하고 인가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는 OSD 선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입력단은 스테레오(Stereo)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는 스트레오(Stereo)용 마이크 잭과, 모노(Mono) 마이크 신호를 인가받는 모노(Mono)용 마이크 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선택부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4. 마이크 잭을 통해서 입력된 마이크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신호 감지 스텝과, 상기 마이크 신호 감지 스텝에서 마이크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마이크 신호가 모노 마이크 신호와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중 어느 종류의 음향 신호인가를 판별하는 입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과, 상기 입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단 스텝에서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라고 판별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를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로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과, 상기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에서 사용자가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중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OSD 선택부에서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는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판별 스텝에서 사용자가 출력 음향 신호의 종류 중 스테레오 마이크 신호가 아닌 모노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였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OSD 선택부에서 모노 마이크 신호를 선택하는 모노 마이크 신호 선택 스텝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방법.
KR1019960035854A 1996-08-27 1996-08-27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023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854A KR100238576B1 (ko) 1996-08-27 1996-08-27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854A KR100238576B1 (ko) 1996-08-27 1996-08-27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14A KR19980016314A (ko) 1998-05-25
KR100238576B1 true KR100238576B1 (ko) 2000-01-15

Family

ID=1947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854A KR100238576B1 (ko) 1996-08-27 1996-08-27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5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14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703B2 (en) Sound processing unit, sound processing system, audio output unit and display device
US8300866B2 (en) Audio/video device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for an external audio reproduction unit by using volume control buttons of a remote controller and volume control method therefor
KR0183682B1 (ko) 가라오케 텔레비젼의 메들리 기능 수행방법
US20050154766A1 (en) Multimedia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auto-detecting multimedia signals to facilitate selecting and method of the same
KR2002008565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631712A (en) CDP-incorporated television receiver
US20100321585A1 (en) Video and audio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KR100238576B1 (ko)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US20020063730A1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US6130659A (en) Signal management apparatus for use in display monitor of a multimedia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ing on screen display
KR20040106371A (ko)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280728B1 (ko) 스피커 위치에 따른 음향 조정 장치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20070005294A (ko) 영상 재생 기기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해상도 설정방법
CN100469116C (zh) 在多模式显示设备中的音频信息显示
KR100260496B1 (ko) 복합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H1042203A (ja) 接続端子表示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KR20070073284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85335A (ko) 스탠바이 모드시 외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구비한 다기능 텔레비전 수신기 및 방법
JPH1118016A (ja) 音声信号入力端子を有する映像装置
KR100189888B1 (ko) 리모콘 신호 수신 에러 방지방법
KR100193444B1 (ko) 오디오 신호의 특정 주파수 증폭을 메모리 시킨 브이씨알 장치
KR100351845B1 (ko)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0160643B1 (ko)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사용 데이터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