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845B1 -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845B1
KR100351845B1 KR1020000011028A KR20000011028A KR100351845B1 KR 100351845 B1 KR100351845 B1 KR 100351845B1 KR 1020000011028 A KR1020000011028 A KR 1020000011028A KR 20000011028 A KR20000011028 A KR 20000011028A KR 100351845 B1 KR100351845 B1 KR 10035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put
signal
output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985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8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사용자가 OSD를 통하여 보다 쉽게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OSD 제어부 및 스피커를 구비한 모니터에서, P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오디오 검출부와, PC를 제외한 외부입력 신호 또는 오디오 검출부로부터 신호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출력 검출부와, 입출력 검출부에 신호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입력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신호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관련 정보를 OSD 화면상에 출력하고, OSD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오디오 또는 마이크의 출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레벨을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이전에 현재 오디오 정보를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 of a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연계 구성된 본체 즉, PC 또는 워크 스테이션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SVGA(800×600), XGA(1024×768), SXGA(1280×1024) 등과 같은 영상모드의 영상신호를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또한,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모니터로 출발하여 현대기술의 발전에 따른 표시기기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대형 모니터에 적합한 대표적인 평판 표시소자로서, LCD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식 모니터가 상용화되어 가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C(10) 또는 마이크(2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21)와, 상기 오디오 제어부(21)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앰프(22)와, 상기 앰프(22)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스피커(23)와, 사용자의 요구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OSD 제어부(25)와, 상기 OSD 제어부(25)의 출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제어부(2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는 PC(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제어부(21)에서 1차 증폭되고, 상기 앰프(22)에 의해 약 10배정도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23)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 신호는 별도로 내장된 마이크(24)로부터 PC(10)로 출력되어지며, PC(10)에서 증폭되어 상기 오디오 제어부(21)를 통해 1차 증폭된 후 상기 앰프(22)를 통해 최종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23)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 전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OSD 조작키(도시생략)를 조작하면 해당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마이컴(26)에서는 상기 OSD 제어부(21)의 출력을 입력받아 전압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오디오 제어부(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게되며, 사용자는 그에 따라 OSD 키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OSD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 OSD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OSD 조절신호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S3).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3), 사용자가 OSD 조절신호를 입력하였으면 사운드 Mute 신호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판단 결과(S4), 사운드 Mute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사운드 입력을 오프시킨다(S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4), 사운드 Mute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마이크 Mute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6), 마이크 Mute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마이크 출력을 오프시킨다(S7).
한편 상기 판단 결과(S6), 상기 마이크 Mute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볼륨 조절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8), 상기 볼륨 증가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증가 신호를 입력한다(S9).
한편 상기 판단 결과(S8), 상기 볼륨 감소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감소 신호를 입력한다(S10).
또한 상기 판단 결과(S8), 상기 볼륨 조절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OSD 화면을 제거한다(S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본체와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를 연결함에 있어서, 오디오 입력인지 마이크 출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신호레벨을 정확하게 감지할수 없으므로 듣기에 거북할 정도의 오디오 출력이 PC에서 나올 경우 이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오디오 신호의 입력유무 및 그 세기를 식별하여 오디오가 출력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오디오 입력 연결상태 에러 등을 포함한 오디오 정보를 OSD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OSD를 통하여 보다 쉽게 입력 연결상태를 파악하고 입력 오디오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C 200 : 모니터
201 : 오디오 검출부 202 : 마이크
203 : 입출력 검출부 204 : 마이컴
205 : OSD 제어부 206 : 오디오 제어부
207 : 앰프 208 : 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장치는 P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오디오 검출부와, PC를 제외한 외부입력 신호 또는 오디오 검출부로부터 신호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출력 검출부와, 입출력 검출부에 신호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입력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신호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관련 정보를 OSD 화면상에 출력하고, OSD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은 입출력 검출부에서 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출력을 일시정지(Mute) 시키는 단계와, 입출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 이하이면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OS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검출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을 초과하면 에러 메시지를 OS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오디오 관련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오디오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장치 및 방법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를 검색하는 오디오 검색부(201)와, 상기 오디오 검색부(201) 또는 마이크(202)를 통해 신호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출력 검출부(203)와, 상기 입출력 검출부(203)에 신호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오디오 검색부(201) 또는 마이크(202)의 신호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해당 오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거나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시키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04)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OSD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OSD 제어부(205)와, 상기 마이컴(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206)와, 상기 오디오 제어부(206)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207)와, 상기 앰프(207)에서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2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100)로부터 오디오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검색부(201)를 통해 오디오 신호의 입력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입출력 검출부(203)는 상기 오디오 검색부(201) 또는 마이크(202)를 통해 신호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입출력 검출부(203)에서 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마이컴(204)에서는 입력된 신호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신호레벨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포트에 해당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오디오 정보를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마이컴(204)에서는 입력된 신호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신호레벨 이하이면 정상적으로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여, 해당 스피커 출력을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오디오 정보를 OSD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OSD 상의 키(도시생략)를 조작하면 상기 OSD 제어부(205)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마이컴(204)에 해당 명령을 입력하고, 마이컴(204)은 상기 OSD 제어부(205)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오디오 검색부(201) 또는 마이크(202)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컴(2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 제어부(20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앰프(207)를 통하여 증폭된 후 상기 스피커(208)를 통해 외부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입출력 검출부에서 신호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1),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신호입력이 존재하면 OSD 화면을디스플레이한 후 오디오 출력을 뮤트(Mute) 시킨다(S12-S13).
그리고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입력된 신호레벨이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4),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입력된 신호레벨이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상이면 오디오 포트에 마이크에 연결되거나, 마이크 포트에 오디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오류메시지를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1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4),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입력된 신호레벨이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하이면 해당 오디오 정보를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16).
그리고, 상기 OSD 화면상에서 조절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7), 상기 OSD 조절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소정시간 출력을 지연시킨 후 기 저장된 설정값을 오디오 제어부에 출력한다(S18-S19).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7), 상기 OSD 조절 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사운드 Mute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0), 상기 사운드 Mute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오디오 제어부에 사운드 입력을 오프시킨다(S21).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0), 상기 사운드 Mute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마이크 Mute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2), 상기 마이크 Mute 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오디오 제어부에 마이크 출력을 오프시킨다(S23).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3), 상기 마이크 Mute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볼륨 업/다운 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4), 상기 볼륨 업키가 입력 되었으면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 증가신호를 입력한다(S2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4), 상기 볼륨 다운키가 입력 되었으면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 감소신호를 입력한다(S26).
또한 상기 판단 결과(S24), 상기 볼륨 업/다운 키가 모두 입력되지 않았으면 OSD 화면을 제거시킨다(S2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판단하여 해당 오디오 정보를 OSD 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참조하여 오디오의 출력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체와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를 연결함에 있어 오디오 입력인지 마이크 출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듣기 거북할 정도의 오디오 출력이 존재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오디오 출력정보 등을 OSD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불쾌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OSD 제어부 및 스피커를 구비한 모니터에서,
    P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오디오 검출부;
    PC를 제외한 외부입력 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검출부로부터 신호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출력 검출부;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 신호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입력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신호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관련 정보를 OSD 화면상에 출력하고, 상기 OSD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장치.
  2.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검출하는 입출력 검출부, 오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모니터에서,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출력을 일시정지(Mute) 시키는 단계;
    상기 입출력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 이하이면 상기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상기 OS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레벨이 설정레벨을 초과하면 에러 메시지를 상기 OSD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오디오 관련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오디오 관련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오디오 관련 명령을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사운드 뮤트(Mute)를 선택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사운드 입력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마이크 뮤트(Mute)를 선택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마이크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볼륨을 증가시키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 증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볼륨을 감소시키면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 볼륨 감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신호레벨, 입출력 상태 및 일시정지 정보등을 출력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오디오 제어방법.
KR1020000011028A 2000-03-06 2000-03-06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5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28A KR100351845B1 (ko) 2000-03-06 2000-03-06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28A KR100351845B1 (ko) 2000-03-06 2000-03-06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85A KR20010086985A (ko) 2001-09-15
KR100351845B1 true KR100351845B1 (ko) 2002-09-11

Family

ID=1965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028A KR100351845B1 (ko) 2000-03-06 2000-03-06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8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60U (ko) * 1996-10-29 1998-07-25 배순훈 모니터에 있어서 오디오 뮤트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60U (ko) * 1996-10-29 1998-07-25 배순훈 모니터에 있어서 오디오 뮤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85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867B2 (en) Audio/video device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for an external audio reproduction unit by using volume control buttons of a remote controller and volume control method therefor
US64900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inputs and outputs of audio-visual equipment
EP1931139A1 (en) Video/audio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apparatus
JP2003044069A (ja) 音声認識による誤動作の防止及び音声認識率の向上が可能な電子機器及び方法
KR20030059624A (ko) 휴대용컴퓨터의 볼륨제어시스템 및 볼륨제어방법
US734954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51845B1 (ko)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15651B1 (ko) A/v 기기의 음성 제어방법 및 장치
JP437191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36227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6028B1 (ko) 차량 모드에 따라 avn 시스템의 화면 및 오디오를 변경하는 제어장치
JP5401932B2 (ja) 入力選択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818981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29822B1 (ko) 멀티 미디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그것의 마이크 제어 방법
KR100238576B1 (ko) 모니터에서 스테레오 및 모노 마이크 신호 제어 회로 및 방법
US20050254779A1 (en) Video signal playback system receiving remote controller control command
KR0122596Y1 (ko) 가라오케용 포터블 디스크 플레이어
KR20040106840A (ko) 컴퓨터의 오디오 출력레벨조절장치 및 방법
KR20000004049A (ko) 텔레비전의 청각측정장치
JPH1079901A (ja) オーディオ専用モード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40085335A (ko) 스탠바이 모드시 외부 입력 오디오 신호 처리 기능을구비한 다기능 텔레비전 수신기 및 방법
KR19990013013A (ko) 브이시알 또는 티브이의 수신음량 표시방법
KR20010018977A (ko) 티브이의 시청환경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30074U (ko) 모니터의 화면 안내 방송 장치
KR20040106845A (ko) 음질 설정 메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