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487B1 -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487B1
KR100238487B1 KR1019970039433A KR19970039433A KR100238487B1 KR 100238487 B1 KR100238487 B1 KR 100238487B1 KR 1019970039433 A KR1019970039433 A KR 1019970039433A KR 19970039433 A KR19970039433 A KR 19970039433A KR 100238487 B1 KR100238487 B1 KR 10023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value
signal
controller
radio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66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4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7Identification code transf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을 채널의 통계적 사용횟수에 근거하여 가장 많은 사용횟수를 가진 채널부터 검색하여 포착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저장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사용채널 포착 방법이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사용횟수가 가장 큰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포착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계적 채널 검사에 의한 채널 포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cordless telephone)는 다수의 휴대장치(handset)와 고정장치(base unit)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는 전파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수의 채널을 가지고 운용되고 있다.
종래의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휴대장치간에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채널을 포착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상기 고정장치에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장치는 1번 채널을(기준채널) 억세스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였다. 이때 상기 1번 채널에 신호 간섭이 많아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장치는 다음 채널를 억세스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다음 채널이라 함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1번 채널과 몇 개의 채널을 사이에 둔 채널로서, 예를 들어 5번 채널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5번 채널마저 간섭이 많으면 10번 채널로 챈러을 할당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상기 통화로 형성을 위해 억세스 되어지는 최초의 채널 및 순서는 이미 설정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있어 채널 포착 방법은 한번 고정된 순서에 따라 채널을 억세스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통화로 형성이 늦었고, 경우에 따라서 사용중인 채널을 잡는 경우도 많아 혼신의 가능성도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화기의 채널 포착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계적 자료에 의한 과거에 가장 많이 사용된 채널을 먼저 포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저장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이, 송신이 시작될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억세스에 의해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할시 상기 채널값으로 송신 채널을 형성하고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 검출이 없을시 아이디 및 데이터를 송출하고 해당기능을 수행하며,상기 신호 검출이 있을시 다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억세스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기능 수행후 사용채널에 대해서 사용횟수를 1만큼 증가하며, 나머지 채널에 대해서는 사용횟수를 1만큼 감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포착에 관한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제어부10은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롬에는 무선전화기의 프로토콜 및 식별자(ID) 코드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화기의 프로토콜 및 식별자 코드는 I-ETS 300 131:November 1994에 공지되어 있다.
메모리100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n개의 채널과 채널순위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00은 상기 제어부10의 롬을 이용할 수도 있다.
송신부20은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하는 데이터 혹은 마이크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송수신 분리부40은 송신부3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거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60로 출력하기 위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신부60은 상기 송수신 분리부40에서 분리된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음성신호는 스피커70으로 전달하고,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0으로 전달한다.
주파수합성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송신부20 및 수신부60의 송/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국선접속부90은 교환망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교환망과의 연결을 위해 고정장치와 상기 교환망의 제어부 사이에 신호(예 : 링신호)들을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교환망 사이에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록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 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송신부180은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하는 데이터 혹은 마이크1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송수신분리부130은 송신부3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거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60로 출력하기 위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150은 상기 송수신분리부130에서 분리된 수신 무선신호를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음성신호는 제1스피커160으로 전달하고,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0으로 전달한다.
주파수합성부17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송수신부180 및 상기 수신부150의 송/수신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키입력부190은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사용모드 전화키 등의 각종 기능키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키데이타를 제어부11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200은 액정표시장치(LCD)로서, 상기 제어부110에서 표시데이타를 받아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무선전화기의 일반적인 특성이 동일 채널을 연속적으로 잘 잡는 특성을 이용하여 과거 가장 많이 사용한 채널의 순서로 채널을 검색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상기 도 2에 참조된 용어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nt ; 채널사용횟수
Ch ; 채널값
buf[Ch] ; Ch 값에 해당하는 채널사용횟수
buf[Cnt] ; Cnt 값에 해당하는 채널사용횟수
송신이 시작되면, 송신측 제어부(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의 제어부) 는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억세스하여 가장 많은 사용횟수를 가지고 있고 채널(이하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색한다. 상기는 311단계에서 323단계까지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일예를 설명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채 널 사용횟수
1 21
2 23
3 33
4 32
5 30
6 27
7 10
40 1
이때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하면 상기 제어부는 331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는 32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325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의 전 채널에 과한 모든 사용횟수값들을 1로(동일한 일정값으로) 저장하고 다시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색하기 위한 상기 325단계에서 329단계까지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하고 상기 331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값으로 송신 채널을 설정한후, 333단계에서 신호 검출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신호 검출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색하기 위한 루틴으로 다시 되돌아가며, 상기 신호 검출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는 33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35단계 및 337단계에서 아이디(ID) 및 데이터를 송출하고, 339단계에서 데이터에 교환에 따른 해당기능(예를 들어 통화 모드)을 수행한다.
상기 해당기능을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한 채널에 대하여 사용횟수를 1만큼(설정값만큼) 증가하고, 상기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에 대해서는 사용횟수를 1만큼(설정값만큼) 감소한다. 상기는 341단계에서 349단계까지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무선기기가 지형적 특성에 의하여 동일채널을 연속적으로 포착하는 것을 이용하여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채널 포착을 가능한 한 과거에 많이 사용한 채널을 잡도록 하여 채널 포착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에 대하여 사용횟수를 저장하는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리드하여 사용빈도수가 가장 많은 것부터 채널 포착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2.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에 있어서,
    송신이 시작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리드하여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할시 상기 채널값으로 송신 채널을 형성하고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 검출이 없으면 아이디 및 데이터를 송출하고 해당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검출이 있으면 다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을 리드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기능 수행후 사용채널에 대해서 사용횟수를 설정값만큼 증가하며, 나머지 채널에 대해서는 사용횟수를 설정값만큼 감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송신 채널값을 검사하지 못할시 상기 채널사용횟수 테이블의 사용횟수를 전부 동일한 일정값으로 저장한후 모든 채널을 다시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KR1019970039433A 1997-08-19 1997-08-19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KR10023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33A KR100238487B1 (ko) 1997-08-19 1997-08-19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33A KR100238487B1 (ko) 1997-08-19 1997-08-19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66A KR19990016766A (ko) 1999-03-15
KR100238487B1 true KR100238487B1 (ko) 2000-01-15

Family

ID=1951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433A KR100238487B1 (ko) 1997-08-19 1997-08-19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4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66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278B2 (en) Dialing method for dynamically simplifying international call in cellular phone
KR1006592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US6751481B2 (en) Dialing method for effecting international call in intelligent cellular phone
US6449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calls to electronic phonebook entries
KR100557110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장치의 다이얼링 방법
US6519476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KR100396283B1 (ko)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0238487B1 (ko) 무선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US20040204033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s
KR100277070B1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EP1344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caller id to electronic phonebook entries by appending area code to local number in the phonebook
KR100322272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선택방법
KR19990016328A (ko) 무선 전화기의 채널 포착 방법
KR100216238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JP3053961B2 (ja) チャネル選択方法
KR100247053B1 (ko)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9980029909A (ko) 무선전화기의 통화해제방법
JP3380844B2 (ja) 通信装置
JP200105768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9980072498A (ko)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KR100474688B1 (ko) 미확인 발신자 정보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291474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등록모드에따른자동링크설정방법
KR100539897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KR960003028B1 (ko) 무선전화기의 무선통신 아이디(id) 기록방법
JPH09322226A (ja) 空きチャネル検索の簡易学習機能付きphs基地 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