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897B1 -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897B1
KR100539897B1 KR1019980062727A KR19980062727A KR100539897B1 KR 100539897 B1 KR100539897 B1 KR 100539897B1 KR 1019980062727 A KR1019980062727 A KR 1019980062727A KR 19980062727 A KR19980062727 A KR 19980062727A KR 100539897 B1 KR100539897 B1 KR 10053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e
time information
call
displaying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052A (ko
Inventor
문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단말기.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에도 날짜/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동 통신단말기의 통화중에서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이, 호 연결시 표시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항시표시 모드일 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상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본 발명의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도 날짜/시간 정보를 표시할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자주 이용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말기들은 유휴 상태에선 표시부(LCD)에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지만 통화 상태가 되면 상기한 정보 대신 통화 상태에 따른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통화시간 등을 카운터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통화중에도 약속을 한다거나 하는 이유로 날짜/시간 등을 알기 위해 습관적으로 단말기의 표시부를 보게 되는데. 이럴 경우 표시부에는 다른 정보가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에도 날짜/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날짜/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의 통화중에서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이, 호 연결시 표시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요구표시 모드일 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 및 시간 정보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상기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항시표시 모드일 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상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이동 통신단말기의 구성도로서,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타이머(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타이머(12)는 초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시간정보를 가지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시간을 설정하고, 카운트한다. 메모리(2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0)는 본 발명에 따라 파워온시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채널(sync channel)을 통해 제공된 각종 정보(시스템 정보, 날짜 정보 등)을 저장한다. 키입력부(30)는 다이얼링 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 송신키, 저장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가 입력되면 해당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출력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듀플렉서(5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송신부(6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송신되는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50)로 출력한다. 수신부(7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50)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무선신호를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부(8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중간주파수의 기저대역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송신부(60)로 출력하고, 상기 수신부(70)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수의 기저대역 신호을 복조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요구표시 모드란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날짜/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말하며, 항시표시 모드란 초기 한번의 설정만으로 통화중에도 항상 날짜/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수 있는 모드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에도 날짜/시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호가 연결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호 연결시 상기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호 연결이 아닐시 상기 제어부(1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호 연결후 상기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드를 검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213단계에서 통화중의 표시모드가 요구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모드 검사는 플레그(flag)를 통해 수행된다. 즉, 플레그가 세팅되어 있으면 해당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감지하며, 플레그가 널(null) 상태이면 해당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감지한다. 이때 상기 요구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215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요구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22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215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0)는 요구표시 모드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먼저, 상기 215단계에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 시 상기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이 없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계속해서 상기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한다. 물론 현재의 단말기 상태는 통화중 상태이다.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217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0)는 메모리로부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한다. 물론 여기서 상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는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219단계에서 상기 리드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하여 화면(LCD)에 날짜/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날짜/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어부(10)는 221단계에서 호가 해제되는지를 검사한다. 즉, 어떤 형태로든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던 통화채널이 해제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호 해제시 상기 제어부(10)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상기 호가 해제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다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기 위해 상기 215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213단계의 판단에 의해 상기 225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0)는 통화중의 표시모드가 항시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항시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227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항시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23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표시모드를 수행한다. 즉, 통화모드에서 일반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항시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상기 227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0)는 메모리로부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고, 229단계에서 상기 리드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표시부로 출력하여 화면에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231단계에서 연결되어 있던 호가 해제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호 해제시 상기 제어부(10)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상기 호 해제가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는 계속해서 화면에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227단계로 되돌아간다. 물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날짜 및 시간 정보는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계속 업데이트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215단계 이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225단계 이하는 통화중에도 항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초기 설정으로 항상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켰다. 즉, 통화중에도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알수가 있어 사용자는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에도 날짜/시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Claims (3)

  1. 이동 통신단말기의 통화중에서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호 연결시 표시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요구표시 모드일 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 및 시간 정보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상기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2. 이동 통신단말기의 통화중에서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호 연결시 표시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항시표시 모드일 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상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3. 이동 통신단말기의 통화중에서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호 연결시 표시모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요구표시 모드일 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날짜 및 시간 정보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상기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날짜/시간 정보 표시 요구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표시모드가 항시표시 모드일 시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후 호 해제를 검사하여, 호 해제가 검사되지 않을 시 다시 상기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KR1019980062727A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KR10053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27A KR100539897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27A KR100539897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52A KR20000046052A (ko) 2000-07-25
KR100539897B1 true KR100539897B1 (ko) 2006-02-28

Family

ID=1956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727A KR100539897B1 (ko) 1998-12-31 1998-12-31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72B1 (ko) * 2005-09-09 200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시간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908A (ko) * 1989-11-25 1991-06-29 정몽헌 무선 호출 수신기의 날짜/시간 표시 장치 및 방법
KR950007358A (ko) * 1993-08-06 1995-03-21 백중영 셀룰라폰의 시간표시 방법
KR970009067A (ko) * 1995-07-24 1997-02-24 김광호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19990041502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전화기의 세계시간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908A (ko) * 1989-11-25 1991-06-29 정몽헌 무선 호출 수신기의 날짜/시간 표시 장치 및 방법
KR950007358A (ko) * 1993-08-06 1995-03-21 백중영 셀룰라폰의 시간표시 방법
KR970009067A (ko) * 1995-07-24 1997-02-24 김광호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19990041502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전화기의 세계시간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52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01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KR1004244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539897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100605778B1 (ko) 휴대폰에서 호 수신제한방법
KR100455999B1 (ko)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KR100247040B1 (ko) 자동 통화절단 장치 및 방법
KR10077116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KR100539155B1 (ko) 다음 알람 해제 방법
KR0157713B1 (ko)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322272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선택방법
JP3267222B2 (ja) 表示装置
KR100360270B1 (ko) 블루투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341989B1 (ko)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KR20000046064A (ko) 통신단말기의 날씨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19990049833A (ko) 무선전화기에서 게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2002006503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타이머 기능 설정 방법
KR100630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이메일 전송 방법
JPH11261686A (ja) 通信装置
KR20060097494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40068A (ko) 이동 단말의 통화 음량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998004560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키잠금 방법
KR970024678A (ko) 국선과 모뎀을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