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448B1 -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 Google Patents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448B1
KR100237448B1 KR1019920020931A KR920020931A KR100237448B1 KR 100237448 B1 KR100237448 B1 KR 100237448B1 KR 1019920020931 A KR1019920020931 A KR 1019920020931A KR 920020931 A KR920020931 A KR 920020931A KR 100237448 B1 KR100237448 B1 KR 10023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ath
multiplexing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948A (ko
Inventor
고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48B1/ko
Publication of KR94001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데이타통신부와 2개가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다중화부 및 제2다중화부들을 구비하는 데이타통신시스템에서 통신 경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임의 데이타통신부로 부터 호 요구가 발생되면 내부경로를 통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하는 가입자의 데이타를 제1다중화부와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1다중화부를 출력하는 데이타를 외부경로를 통해 제2다중화부로 궤환입력시키며, 제2다중화부는 수신되는 데이타를 다중화한 후 다중화경로를 통해 상대 통신시스템과 통신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대 통신시스템은 위와 같은 동작을 역순으로 수행하여 역시 데이타 통신로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대 통신시스템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런 통신과정 수행 중에 절단 요구데이타가 수신되면 통신 경로를 복구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Description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제1도는 종래의 데이타 통신 모듈의 구성도.
제2도는 시스템 차원에서의 데이타 다중화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데이타 통신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다중화 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데이타 통신 모듈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통신 흐름도.
본 발명은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통신 경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시스템의 기술 추세는 아날로그 통신 방식에서 디지탈 통신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이때 데이타 통신상에 있어서 정보의 다중화는 기본적이고 또 구조적인 제약을 가지게된다. 즉, 하드웨어적인 통신 경로가 적절한 경우에만 다중화를 통한 다수 채널의 통신 경로가 이루어질 수가 있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데이타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타통신모듈 내에 다수의 가입자정합부와 통신경로정합부를 구비하여 통신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는 종래의 시스템 차원에서의 데이타통신모듈의 연결 구성도이고, 제3도는 종래의 데이타 통신을 구현하는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종래의 데이타 통신 과정을 살펴보면, 제2도와 같이 연결되는 데이타통신모듈은 각각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입자정합부와 통신경로정합부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타통신모듈의 조합은 다른 데이타통신모듈의 조합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다중화 통신 방식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도를 참조하면, 임의의 포트에서 데이타 호의 요구(data call request)가 발생될 시 자신이 속한 데이타통신모듈과 다른 시스템의 데이타통신모듈간에 통신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한다. 이때 자기 데이타통신모듈과 다른 데이타통신모듈 사이에 이미 통신 중인 경로(channel)가 존재하고 자신이 통신하고자 하는 목적지 주소가 이미 통신 중인 데이타통신모듈에 있는 경우 이미 통신 중인 경로에 자신의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의 데이타통신모듈과 다른 데이타통신모듈 간에 통신 중인 경로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경로를 할당하여 다중화 없이 데이타를 통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신 경로가 형성되어 데이타 통신이 수행되면, 데이타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인가 검사하며, 데이타의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 경로를 단절하여 통신 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이타 통신 방식은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지만, 통신 경로의 다중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A와 시스템B, 데이타통신모듈A1과 데이타통신모듈B1, 데이타통신모듈A2와 데이타통신모듈B2 사이에는 통신 경로 A 및 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만일 데이타통신모듈A1의 가입자 포트에서 데이타통신모듈B2의 임의 가입자 포트로의 통신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기존 통신 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중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이로인해 새로운 통신 경로를 할당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낮은 정도의 다중화 가능성이 존재하며, 통신 경로의 다중화를 통한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경로의 다중화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타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타통신모듈과 다중화모듈을 연결하여 다중화 경로를 통해 데이타 통신을 수행함으로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통신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상기 통신시스템 내에는 다수개의 데이타통신모듈과 2개가 하나의 쌍으로 된 다수의 다중화모듈로 구성된다.
제5도는 데이타통신모듈 및 다중화통신모듈의 내부 구성도로서, 상기 두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모듈들은 각각 내부에 다수의 가입자정합부와 통신경로정합부,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등으로 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통신 흐름도로서, 데이타 통신 요구되어 통신 경로를 다중화하는 경우 다중화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기존의 통신 경로에 다중화시키며, 다중화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제1다중화모듈에 연결한 후 제2다중화모듈에서 통신 경로를 다중화하여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상술한 제4도 및 제5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6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시스템에 N개의 데이타통신모듈이 있고, 제2시스템에 M개의 데이타통신모듈이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제1시스템 및 제2시스템 간에는 N*M개의 통신 경로가 있어야 모든 호 요구에 다중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중화 방식에서는 각 시스템 내에 다중화모듈이 존재하여 시스템 간에 다중화 경로가 다중화모듈을 통한 1개만 존재하면, 두 시스템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호 요구는 상기 다중화 경로가 수용하는 한도내에서 다중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타 통신시스템에서는 데이타통신모듈과 다중화모듈이 내부경로를 통해 연결되고, 2개가 하나의 쌍으로 연결되는 다중화모듈들은 외부경로를 통해 연결되며, 해당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의 다중화모듈 간에는 다중화 경로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다중화모듈 간의 다중화 경로가 풀(full) 상태가 되면, 상기 다중화모듈은 새로운 다중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의 데이타 경로를 상세히 살펴본다. 여기서 상기 제4도의 제1시스템에서 제1데이타통신모듈A1에 속한 임의 가입자포트에서 제2시스템의 제2데이타통신모듈B2에 소속된 임의 가입자포트로 호 요구를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1시스템은 제1데이타통신모듈A1은 제1다중화모듈C1과 내부경로W1을 형성시키고, 제1다중화모듈C1을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제1데이타통신모듈A1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타는 내부경로W1을 통해 제1다중화모듈C1로 인가되며, 상기 제1다중화모듈C1은 외부경로X1을 통해 제2다중화모듈C2로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다중화모듈C2는 다중화 경로를 통해 제2시스템의 제2다중화모듈D2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타를 수신하는 제2시스템은 제2다중화모듈D2를 통해 다중화된 데이타 중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데이타모듈A1로 부터 송출된 데이타만을 선별하여 외부경로X2를 통해 제1다중화모듈D1로 전달하고, 상기 제1다중화모듈D1은 다시 내부경로W2를 통해 데이타 통신의 목적지인 제2데이타통신모듈B2의 임의 가입자 포트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내부경로W1과 내부경로W2는 통신시스템의 타임스위치(time swich)를 이용하며, 외부경로X1과 외부경로X2는 케이클을 사용하여 궤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데이타통신모듈들과 다중화모듈들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지만,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 시 역할과 기능을 각각 상이하다. 즉,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데이타통신모듈A1, 제2데이타통신모듈A2, 제2다중화모듈C2의 가입자정합부는 가입자들과 각각 정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지만, 제1다중화모듈C1의 가입자정합부는 상기 제2다중화모듈의 궤환을 위해서 실제적으로 가입자를 정합하지는 않지만 그 기능은 마치 가입자처럼 행동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데이타통신모듈A1의 임의 가입자가 제2시스템의 제2데이타통신모듈의 임의 가입자와 데이타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다중화모듈을 통한 다중화경로에 의해 통신경로가 할당되므로 다중화를 통해 정보의 고집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통신 경로가 형성되어있는 통신시스템과 통신시스템 간에서는 제약없이 정보의 다중화를 이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데이타 통신시스템의 데이타 통신과정을 제6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데이타통신모듈의 임의 가입자 포트로 부터 데이타 통신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601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02단계에서 다중화가 가능한 채널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자신이 속한 데이타통신모듈과 다른 통신시스템의 데이타통신모듈에 이미 통신중인 경로가 존재하고 자신이 통신하고자 하는 목적지 주소가 상기 통신중인 데이타통신모듈에 있을때에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통신중인 경로에 자신의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602단계에서 다중화가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호 요구가 발생하는 데이타통신모듈을 내부경로를 통해 제1다중화모듈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내부경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임스위치로 이루어지므로, 결국 상기 데이타통신모듈과 제1다중화모듈이 연결된다는 의미는 스위칭동작이 수행되어 두 모듈간에 통신로가 형성된다는 의미가 된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통신모듈과 제1다중화모듈을 연결한 후, 605단계에서는 제1다중화모듈을 외부경로를 통해 다시 제2다중화모듈과 연결하며, 상기 제2다중화모듈은 상기 제1다중화모듈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다중화경로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외부경로는 케이블이므로 제2다중화모듈은 데이타를 궤환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다중화모듈은 상기 수신되는 데이타를 다중화하여 다중화경로 상으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경로에 제2시스템의 제2다중화모듈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시스템과 제2시스템 간에는 통신경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통신로가 형성되면 606단계에서는 가입자들간에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 통신을 시도하기 위한 호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다중화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는 다중화 방법이 다중화모듈을 통해 다중화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다중화 방법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중화모듈을 사용하여 통신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다중화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타통신모듈과 데이타통신모듈 간에 직접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 경로가 형성되어 데이타 통신이 수행되면, 607단계에서 데이타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인가 검사한다. 즉, 데이타 통신을 종료하기 위한 절단요구데이타가 수신되면 607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608단계에서 현재 형성되어 있는 통신 경로를 복구하여 데이타의 통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 간의 통신 경로는 쉽게 증설하거나 설치하기 어려운 관계로 사용상의 한계가 있게 되므로, 이러한 통신경로를 임대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비싼 임대료를 부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한적인 통신경로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에 다중화모듈을 설치하고, 시스템 내에서 채널 다중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중화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개발없이 다중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므로 시스템의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데이타통신장치에 있어서, 가입자들과 연결되며 데이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타통신부와, 상기 데이타통신부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데이타통신부들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1경로와, 상기 제1경로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데이타들을 수신하여 각각 다중화시켜 제2경로로 송출하는 제1다중화수단과, 상기 제2경로로 부터 제1다중화데이타를 궤환 입력하며, 상기 제1다중화데이타를 다중화경로에 각각 다중화시켜 상대 통신시스템으로 송출하는 제2다중화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통신장치.
  2. 다수개의 데이타통신부와 2개가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다중화부 및 제2다중화부들을 구비하는 데이타통신시스템의 통신 방식에 있어서, 임의 데이타통신부로 부터 호 요구 발생시 내부 스위칭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다중화부와 연결하여 다중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다중화된 데이타를 제2다중화부에서 다중화한 후 다중화경로를 통해 상대 통신시스템과 통신경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대 통신시스템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과정 수행 중에 절단 요구데이타 수신시 상기 통신 경로를 복구하고 통신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통신방식.
KR1019920020931A 1992-11-09 1992-11-09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KR10023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931A KR100237448B1 (ko) 1992-11-09 1992-11-09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931A KR100237448B1 (ko) 1992-11-09 1992-11-09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948A KR940012948A (ko) 1994-06-24
KR100237448B1 true KR100237448B1 (ko) 2000-01-15

Family

ID=1934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931A KR100237448B1 (ko) 1992-11-09 1992-11-09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948A (ko) 199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070A (en) One for N redundanc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021134A (en) Cell/packet assembly and disassembly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US4890282A (en) Mixed mode compression for data transmission
GB2284724A (en) Communication system
CA2046737C (en) Subscriber interface for a fiber optic communications terminal
JPH10256949A (ja) 復旧ネットワークアーキテクチャ
CA2177781C (en) Digital pb exchanger with multi-processor control system using asynchronous transfer mode
KR100237448B1 (ko) 데이타 다중화 장치 및 방식
JP3030729B2 (ja) 構内自動交換機
JPS58164355A (ja) 情報通信における専用回線と交換回線の切替方式
KR100228308B1 (ko) 다중노드 교환시스템의 입출력 데이터 처리방법
JP2713280B2 (ja) Atmスイッチの回線設定方法とその装置
US20020141553A1 (en) Transmission line rerouting method, subscriber line accommodating apparatus and trunk transmission line accommodating apparatus
JPH04180322A (ja) Atm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処理装置の負荷分散方式
JPS60140956A (ja) 回線交換機用網間接続方式
JPH0548628A (ja) ループ式通信システム
JPH04126427A (ja) データ端末通信制御装置
JPH03181293A (ja) Iインタフェース用宅内通信方法
JPH0677999A (ja) 回線・パケット統合交換方式
JPH02309734A (ja) データ伝送方式
JP2000092018A (ja) 多重化装置
JPS61192154A (ja) 複合会議方式
JPS6384339A (ja) 通信制御処理装置
JPH0435438A (ja) パケツト交換方式
JPS58190142A (ja) パルス符号変調端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