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428B1 - Language lear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nguage lear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428B1
KR100236428B1 KR1019970058686A KR19970058686A KR100236428B1 KR 100236428 B1 KR100236428 B1 KR 100236428B1 KR 1019970058686 A KR1019970058686 A KR 1019970058686A KR 19970058686 A KR19970058686 A KR 19970058686A KR 100236428 B1 KR100236428 B1 KR 10023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ing
voice data
unit
data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8820A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428B1/en
Publication of KR1999003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다른 인덱스에 의해 식별되는 기설정된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어학 학습기 및 어학 학습기에서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데이타의 재생 방법은 반복 횟수값를 입력받는 단계와, 음성 데이타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단계와, 단위 음성 데이타들을 하나씩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값만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er for reproducing speech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predetermined series of unit speech data identified by different indices is stored,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unit speech data in a language learner. The reproducing method of voice data includes receiving a repetition number value, starting reproducing the voice data, and reproducing unit voice data by the input repetition number value one by one.

Description

반복 기능 및 대화 기능을 갖춘 CD 어학 학습기CD language learner with repeat and dialogue

본 발명은 CD(compact disk)를 이용한 어학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선된 반복 기능과 대화 기능을 갖춘 어학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er using a compact disc (C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er having an improved repeating function and a dialogue function.

어학 학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종류의 어학 학습용 기기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자기 테잎을 이용한 어학 학습기가 흔히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학습기는 장시간 사용하면 음질이 열화되고, 필요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들을 수 없다는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With increasing interest in language learning, many kinds of devices for language learning have been developed. In the past, language learners using magnetic tapes were commonly used, but such learners deteriorate sound quality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have a very inconvenient disadvantage in that they cannot listen intensively.

이와 같은 자기 테잎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하고 사용에 따른 음질의 열화가 적은, 음악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CD를 어학 학습용 매체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CD에 데이타가 어떠한 형태로 저장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D에서 데이타가 저장되는 영역은 TOC(table of content) 영역(1), 데이타 영역(2) 및 리드 아웃 영역(3)의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데이타 영역(2)은 실제로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타, 예를 들어 음악 데이타, 외국어 학습용 음성 데이타 등이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트랙(track)과 인덱스(index)로 나누어져 있다. 데이타 영역은 일반적으로 최대 99개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트랙은 최대 99개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 및 인덱스는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단위가 된다. CD에서 데이타 영역(2)의 내부에 있는 TOC 영역(1)은 데이타 영역(2)에 쓰여진 데이타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영역이다. 즉, 각 트랙 및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서 이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데이타 영역(2)을 랜덤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드 아웃(lead out) 영역(3)은 사용자와는 관계없는 CD 제작사의 관리번호 등을 저장하는 영역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magnetic tape, CD, which is widely used for music, can be used as a language learning medium, capable of random access and less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2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data is stored in a CD. As can be seen in FIG. 2, the area in which data is stored in the CD is divided into three areas: a table of content (TOC) area 1, a data area 2 and a lead out area 3. FIG. The data area 2 is an area in which data to be actually stored, for example, music data, foreign language learning voice data, and the like, is divided into a track and an index. The data area may generally contain up to 99 tracks and each track may contain up to 99 indexes. The track and the index become units that can be randomly accessed. In the CD, the TOC area 1 inside the data area 2 is an area containing pos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data written in the data area 2. That is, it is possible to randomly access the data area 2 by referring to this area as an area for storing information on each track and index. The lead out area 3 is an area for storing the management number and the like of the CD maker irrelevant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CD는 지금까지 주로 음악용으로 사용되어 왔고, 따라서 지금까지의 CD 재생 기기도 주로 음악 재생용으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어학 학습기에서는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음악 재생용 기기에서는 요구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들이 요구된다.Such CDs have been used mainly for music until now, and thus, CD playback devices up to now have been mainly produced for music reproduction.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language learner, a variety of functions that are not required in the apparatus for playing music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를 이용한 어학 학습기에서 각 문장을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하면서 진행할 수 있는 개선된 반복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repetition function that can proceed while repeating each sentence a desired number of times in a language learner using a C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를 이용한 어학 학습기에서 사용자가 대화 내용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습기가 1문장을 재생하고 사용자가 1문장을 발음하는 것을 번갈아 수행하도록 하는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logue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play one sentence and alternately perform the user pronounce one sentence in order to enable the user to practice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language learner using the C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D에 저장된 어학 학습용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어학 학습기로서, 반복 진행 기능, 대화 기능 등 어학 학습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어학 학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er for reproducing language learning data stored in a CD, and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anguage learning, such as a repetition progress function and a dialogu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어학 학습기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languag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CD에 데이타가 저장되는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2 shows an area where data is stored on a C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기에서 반복 진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 흐름도의 일례.3 and 4 are examples of logic flow diagrams for implementing the iterative progress function in the languag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기에서 대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 흐름도의 일례.5 is an example of a logic flow diagram for implementing a dialogue function in the languag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입력부10: input unit

20 : 마이컴20: micom

30 : CD30: CD

40 : 제어부40: control unit

50 : 디스플레이부50: display unit

60 : 신호 증폭기60: signal amplifier

70 : 스피커70: sp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다른 인덱스에 의해 식별되는 기설정된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음성 데이타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본 음성 재생 방법은 반복 횟수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음성 데이타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들을 하나씩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값만큼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petitively reproducing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predetermined series of unit voice data identified by different indices is stored. Receiving a value, starting the reproduction of the voice data, and reproducing the unit voice data one by one by the input repetition number value.

또한, 상기 음성 데이타 재생 장치에서 음성 데이타를 대화 모드로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음성 재생 방법은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 중 일부의 단위 음성 데이타를 포함하는 재생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대상을 기초로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를 순차로 재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정상 음량으로 재생하고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지 않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은 음량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producing voice data in an interactive mode in the voice data reproducing apparatus, the method for reproducing a target including a unit voice data of a part of the series of unit voice data; Reproducing the series of unit voice data sequentially on the basis of the object to be reproduced, wherein the unit voice data belonging to the object to be reproduced is reproduced at a normal volume and so as not to be heard when reproducing the unit sound data not belonging to the object to be reproduced. Playing at a low volum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학 학습기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학 학습기는 입력부(10), 마이컴(20), CD(30), 제어부(40), 디스플레이부(50), 신호증폭기(60) 및 스피커(70)를 포함한다.1, there is shown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languag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 a microcomputer 20, a CD 30, a control unit 40, a display unit 50, a signal amplifier 60, and a speaker 7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입력부는 다수의 기능키와 숫자키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는 키 이외에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입력부(10)로부터의 키 입력 정보는 마이컴(20)으로 입력되어 마이컴에서는 현재의 어학 학습기의 상태와 입력된 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마이컴(20)에서는,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알고리듬을 수행하도록 작동하여 CD 제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를 각각 제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에 제공한다. 마이컴(20)으로부터의 CD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부(40)는 CD(30)를 제어하여 CD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를 읽어서 신호 증폭기에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CD(30)의 데이타 영역 (도 2의 2)은 트랙과 인덱스로 구분되고 각 인덱스별로 하나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음성 데이타는 한 문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마이컴으로부터의 CD 제어 정보에 따라 주로 한 문장 단위로 CD에 기록된 음성 데이타를 읽어서 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증폭기(60)로 출력한다. 신호 증폭기(60)로 입력된 음성 신호는 증폭비에 따라 증폭되고 증폭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70)를 통해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증폭비에 관한 정보도 마이컴(20)으로부터 제어부(40)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40)가 신호 증폭기(60)를 제어하여 스피커(7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50)는 마이컴(20)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응답하여 현재의 학습기의 상태나 사용자가 다음에 입력시켜야 하는 내용 등, 사용자가 인식하여야 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Th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addition to a key. The key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0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20 so that the microcomputer performs various tas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urrent language learner and the type of the input key. The microcomputer 20 operates to perform an algorithm as described in, for example, FIGS. 3 to 5 to provide CD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 and the display unit 50,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CD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icrocomputer 2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CD 30 to read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CD and deliver it to the signal amplifier. As described above, the data area (2 in FIG. 2) of the CD 30 is divided into tracks and indices, and one unit audio data is recorded for each index. Preferably, the unit voice data is composed of one sentence. Therefore, the controller 40 reads the audio data recorded on the CD mainly in one sentence unit according to the CD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microcomputer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to the amplifier 60.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signal amplifier 60 is amplified according to the amplification ratio, and the amplified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70. Preferably, the information about the amplification ratio is also provided from the microcomputer 20 to the control unit 40, so that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signal amplifier 60 to adjust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70. Adjust In response to the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microcomputer 20, the display unit 50 displays contents that the user needs to recognize, such as a state of the current learner or contents that the user needs to input next. The display unit 50 may preferably include a liquid crystal screen.

상기 입력부(10)는 재생 기능키(PLAY KEY), 반복 진행 기능키(REPEAT ADVANCE KEY), 대화 기능키(DIALOGUE KEY), 따라하기 기능키(COPY KEY) 및 숫자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학 학습기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PLAY KEY, a REPEAT ADVANCE KEY, a DIALOGUE KEY, a COPY KEY, and a numeric ke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key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language learner.

재생 기능키는 CD에 저장된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 즉 문장들의 재생을 개시하기 위한 키이다. CD 정지 상태에서 재생 기능키를 누르면 CD에 저장된 일련의 음성 데이타 즉 문장들이 재생되는 "재생 모드"가 된다. 재생 기능키는 이하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여러가지 키와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playback function key is a key for starting playback of a series of unit voice data, i.e. sentences, stored on the CD. Pressing the play function key in the CD stop state enters the "play mode" in which a series of audio data or sentences stored on the CD is played. The playback function key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other keys as described below.

재생 기능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재생이 개시된 후, 즉 재생 모드에서 따라하기 기능키가 눌리면 "따라하기 모드"가 된다. 따라하기 모드에서는, 따라하기 기능키가 눌린 순간 재생되고 있던 인덱스 ("현재 인덱스"라 함)의 음성 데이타가 재생된 후 휴지(pause) 상태가 되어 현재 인덱스에 대한 문장을 따라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시 따라하기 기능 키가 눌릴 때마다 현재 인덱스를 재생한 후 휴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따라하기 모드는, 예를 들어 따라하기 기능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해제시킬 수 있다.After the playback is start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playback function key, that is, when the follow function key is pressed in the playback mode, the mode is followed. In the follow-up mode, the voice data of the index (referred to as " current index ") being played at the moment the follow function key is pressed is played and then paused to follow the sentence for the current index. After that, whenever the follow function key is pressed, the current index is played and then it is in the idle state. Such a follow-up mode can be canceled by, for example, pressing and holding the follow-up function key.

반복 진행 기능키는 한 문장을 사용자가 정한 반복 횟수값만큼 반복하여 재생하고 다음 문장으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키로서, 반복 진행 기능키를 누른 후 숫자키에 의해 반복 횟수값을 입력하면 "반복 진행 모드"가 되어 입력된 반복 횟수값만큼 각 인덱스에 대한 음성 데이타를 반복하여 재생하고 다음 인덱스로 진행하게 되어 모든 인덱스에 대한 문장을 반복횟수만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진행 기능키는 듣기 연습 등에 효과적이다. 재생 모드가 아닌 때 반복 진행 기능키가 눌린 경우는 반복 횟수값 입력 후 재생키를 눌러서 재생을 개시시킴으로서 문장의 반복이 시작되고, 재생 모드중에 반복 진행 기능키가 눌린 경우는 반복 횟수 입력시 재생되고 있는 문장으로부터 곧바로 반복 재생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반복 진행 모드는, 예를 들어 반복 진행 기능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해제시킬 수 있다.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a key to play a sentence repeatedly as much as the repeat count value set by the user and proceed to the next sentence. When the repeat count value is input by using the numeric keys after pressing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Repeat Progress Mode" ", The voice data for each index is repeatedly played as many times as the input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next index is played, and the sentences for all indexes can be hear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This repeat function key is effective for listening practice. If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pressed when not in the play mode, the repeat of the sentence is started by pressing the play key to start the play after inputting the repeat count value, and when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pressed during the play mode, the play is performed when the repeat count is entered. Repeat playback starts immediately from the existing sentences. Such a repeat progress mode can be released, for example, by pressing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again.

또한, 따라하기 기능키 입력 후 반복 진행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는 "따라하기 반복 진행 모드"가 되어 각 문장의 끝에 문장 길이에 해당하는 휴지기가 붙은 상태로 각 문장이 반복하여 진행되므로, 각 문장을 여러번 반복하여 따라서 연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a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input after the follow function key is input, each sentence is repeatedly progressed with a paus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ntence at the end of each sentence. Repeat this several times, so you can practice.

대화 기능키는 홀수 인덱스에 대한 문장과 짝수 인덱스에 대한 문장의 화자가 서로 다른 경우 사용자가 화자 중 한 명의 역할을 하고 학습기가 나머지 한 명의 역할을 하여 대화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재생 모드에서 대화 기능키를 누르면 "대화 모드"로 진입하여 홀수 인덱스 문장은 재생되고 짝수 인덱스 문장의 재생에 해당하는 시간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무음 상태). 이 상태 (대화 모드)에서 다시 대화 기능키를 누르면 짝수 인덱스 문장만 재생되고 홀수 인덱스 문장에 해당하는 시간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능은, 예를 들어 무음 상태의 재생 시간 동안에는 도 2의 신호 증폭기의 증폭 비율을 아주 작게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대화 모드는, 예를 들어 대화 기능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해제시킬 수 있다.The conversation function key is a function key for allowing the user to act as one of the speakers and the learner to act as the other when the sentences for the odd index and the sentence for the even index are different. Pressing the dialogue function key in the play mode enters the "conversation mode", where the odd index sentence is played and no sound is generated at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play of the even index sentence (silent state). If you press the dialogue function key again in this state (conversation mode), only the even index sentences are played and no sound is generated at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odd index sentences. Such a function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making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signal amplifier of FIG. 2 very small during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silent state. The conversation mode can be released by, for example, pressing and holding the conversation function key.

상술한 대화 기능키와 반복 진행 기능키를 같이 사용하면 두 인덱스가 쌍을 이루어 홀수 (또는 짝수) 인덱스 문장 재생과 짝수 (또는 홀수) 인덱스 문장 재생 시간만큼의 무음 상태가 반복 횟수값만큼 반복된 후 다음 쌍으로 진행하는 "대화 반복 진행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When the above conversation function key and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are used together, the two indexes are paired, and the silent state for the odd (or even) index sentence reproduction and the even (or odd) index sentence reproduction time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the repeat count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conversational repeat progress mode" that proceeds to the next pair.

이하에서는, 인덱스 1 내지 6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는 경우 각 모드에서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는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숫자는 인덱스를 의미하고 [N]은 인덱스 N의 문장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스피커에서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 무음 상태를 의미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order in which the audio data is reproduced in each mode when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exes 1 to 6 are reproduced. The numbers indicate the index and [N] means the silent state where no sound is heard from the speaker for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of index N.

1) 재생 모드1) play mode

1-2-3-4-5-61-2-3-4-5-6

2) 반복 진행 모드 (반복 횟수값=3)2) Repeat Progress Mode (Repeat Count Value = 3)

1-1-1-2-2-2-3-3-3-4-4-4-5-5-5-6-6-61-1-1-2-2-2-3-3-3-4-4-4-5-5-5-6-6-6

3) 따라하기 반복 진행 모드 (반복 횟수값=2)3) Repeat repeat mode (repeat count value = 2)

1-[1]-1-[1]-2-[2]-2-[2]-3-[3]-3-[3]-4-[4]-4-[4]-5-[5]-5-[5]-6-[6]-6-[6]1- [1] -1- [1] -2- [2] -2- [2] -3- [3] -3- [3] -4- [4] -4- [4] -5- [5] -5- [5] -6- [6] -6- [6]

4) 대화 모드4) conversation mode

1-[2]-3-[4]-5-[6]1- [2] -3- [4] -5- [6]

5) 대화 반복 진행 모드 (반복 횟수값=2)5) Conversation Repeat Progress Mode (Repeat Time = 2)

1-[2]-1-[2]-3-[4]-3-[4]-5-[6]-5-[6] 또는1- [2] -1- [2] -3- [4] -3- [4] -5- [6] -5- [6] or

[1]-2-[1]-2-[3]-4-[3]-4-[5]-6-[5]-6[1] -2- [1] -2- [3] -4- [3] -4- [5] -6- [5] -6

지금까지는 음성 데이타를 인덱스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지만, 인덱스 중 일부의 인덱스 세트를 지정하여 지정된 인덱스 세트에 포함되는 인덱스에 대해서만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덱스를 지정할 때 재생될 순서도 지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재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Until now, only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indexes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only on the indexes included in the designated index set by specifying an index set of some of the indexe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the order to be played back when the index is specified so that the user can play back the order.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반복 진행 모드로 음성을 재생시키기 위한 논리 흐름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는 정지 상태에서 반복 진행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한 논리 흐름도이다. 정지 상태에서 반복 진행 기능키가 입력되면 (단계 110), 반복 횟수값을 입력받아야 되는 상태가 되어 단계(115)에서 숫자키 등을 통해 반복 횟수값을 입력받는다. 단계(120)에서는 재생 기능키의 입력을 기다린다. 재생 기능키가 입력되면, 예를 들어 첫번째 인덱스로 현재 인덱스를 초기화한다(125). 현재 인덱스 초기화 후 남은 횟수값을 반복 횟수값으로 초기화하고(130) 현재 인덱스의 재생을 개시한다(135). 현재 인덱스 재생이 종료되면(140) 남은 횟수값을 1 감소시킨다(145). 남은 횟수값이 0이 아닌 경우는 단계(135)로 돌아가서 현재 인덱스에 대한 재생을 반복하고, 남은 횟수값이 0인 경우는 현재 인덱스에 대해서 원하는 반복 횟수값만큼 반복된 것이므로, 현재 인덱스를 다음에 재생될 인덱스 (예를 들어 현재 인덱스+1)로 갱신(155)한 후 남은 횟수값의 초기화 단계(130)로 돌아간다.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logic flow diagram for reproducing voice in the above-described repeated progress mode is shown. 3 is a logic flow diagram for the case where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input in the stop state. When the repeat progress function key is input in the stop state (step 110), the repeat count value is to be input, and the repeat count value is input through the numeric keys in step 115. In step 120, the input of the play function key is awaited. When the play function key is input, for example, the current index is initialized to the first index (125). After resetting the current index, the remaining count value is initialized to the repeat count value (130), and playback of the current index is started (135). When the current index playback ends (140), the remaining number of times is reduced by one (145). If the remaining count value is not 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35 and playback of the current index is repeated. If the remaining count value is 0, the desired index number is repeated for the current index. After updating 155 to the index to be reproduced (for example, the current index + 1), the process returns to the initialization step 130 of the remaining number of times.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반복 진행 모드로 음성을 재생시키기 위한 논리 흐름도의 다른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재생 모드에서 반복 진행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의한 반복 진행 모드 재생은 반복을 개시하는 인덱스가 최초 인덱스가 아닌 반복 횟수값 입력시 재생중인 인덱스로 되는 것 이외에는 도 3의 반복 진행 모드 재생에서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another example of a logic flow diagram for reproducing voice in the above-described repeating progress mode is show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where a repetition progress function key is input in a reproducing mode. The repetition progress mode reproduction according to FIG. 4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repetition progress mode reproduction of FIG. 3 except that the index for starting the repetition becomes the index being reproduced when the repetition number value is input, not the initial index.

재생 모드에서, 즉 인덱스의 재생 중 반복 진행 기능키가 입력되면 (단계 210), 반복 횟수값을 입력받아야 되는 상태가 되어 단계(215)에서 숫자키를 통해 반복 횟수값을 입력받는다. 그 후, 반복 횟수값이 입력된 순간 재생되고 있는 인덱스 ("현재 인덱스")의 재생의 종료를 기다리고(220), 종료 후 단계(230)로 진행하여 남은 횟수값을 초기화한다. 단계(230) 내지 단계(255)는 도 3의 단계(130) 내지 단계(155)와 동일한 단계로서, 현재 인덱스로부터 시작하여 각 인덱스를 반복 횟수값만큼 재생하기 위한 단계이다.In the regeneration mode, that is, if the repetition progress function key is input during regeneration of the index (step 210), the repetition number value is to be input, and the repetition number value is input through the numeric key in step 215. Thereafter, awaiting the end of the reproduction of the index ("current index") being reproduced at the moment when the repetition number value is input (220), and proceeds to the step 230 after the end to initialize the remaining number value. Steps 230 to 255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130 to 155 of FIG. 3, and are for reproducing each index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starting from the current index.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대화 모드로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논리 흐름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재생 모드 또는 대화 모드에서 대화 기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한 논리 흐름도이다. 먼저 대화 기능키가 입력되면(310), 대화 모드인지 대화 모드가 아닌지 (즉 재생 모드인지) 판단한다(320). 재생 모드에서 대화 기능키가 눌린 경우는 대화 모드로 변경되게 되고, 대화 모드에서 재생할 대상을, 예를 들어 홀수 인덱스로 설정한다(330). 대화 모드에서 다시 대화 기능키가 눌린 경우는 기존의 재생 대상을 변경한다(340). 즉, 홀수 인덱스였던 경우는 짝수 인덱스로, 짝수 인덱스였던 경우는 홀수 인덱스로 변경한다. 재생 대상을 설정한 후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현재 인덱스의 재생 종료를 기다리고(350), 종료후 현재 인덱스를 다음 인덱스 (예를 들어 현재 인덱스+1)로 갱신하고(360), 갱신된 현재 인덱스가 재생 대상에 속하는지 판단한다(370). 갱신된 현재 인덱스가 재생 대상에 속하는 경우는 현재 인덱스의 재생을 개시하고(390), 속하지 않는 경우는 현재 인덱스의 재생 시간만큼 무음 재생을 개시한다(38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음 재생은 재생된 음성이 들리지 않을 정도로 도 1에 도시된 증폭기의 증폭 비율을 작게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현재 인덱스에 대한 재생 또는 무음 재생이 종료되면(350), 다시 동일한 작업이 수행된다(360-390). 이와 같이 재생 대상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재생 또는 무음 재생이 번갈아 수행되므로 사용자가 무음 재생 부분의 문장을 발음하여 어학 학습기와 함께 대화형으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a logic flow diagram for reproducing voice data in the aforementioned conversation mode is shown. 5 is a logic flow diagram for the case where a dialogue function key is input in the playback mode or the dialogue mode. First, when the conversation function key is input 3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versation mode is the conversation mode or not (ie, the playback mode) (320). When the conversation function key is pressed in the reproduction mode, the conversation mode is changed to the conversation mode, and the object to be reproduced in the conversation mode is set to an odd index, for example (330). If the conversation function key is pressed again in the conversation mode, the existing playback object is changed (340). That is, the odd index is changed to an even index, and the even index is changed to an odd index. After setting the playback target, it waits for the end of playback of the current index currently being played (350), and after completion, updates the current index to the next index (for example, the current index + 1) (360). In operation 3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ent belongs to the reproduction target. If the updated current index belongs to the playback object, playback of the current index is started (390). If the updated current index does not belong, silent playback is started for the playback time of the current index (38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lent reproduc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amplifier shown in FIG. 1 so that the reproduced speech is not heard. When playback or silent playback for the current index ends (350),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again (360-390). As described above, since normal play or silent play are alternately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belongs to the play target, the user can pronounce the sentence of the silent play part and practice the conversation interactively with the language learner.

전술한 바와 같이 CD는 테이프보다 음질이 좋고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음질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반복 학습이 요구되는 어학용 교재로서 적당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D has a better sound quality than the tape, and the sound quality does not deteriorate even after a long time of use.

본 발명의 반복 진행 모드에 의하면, 간단한 키조작에 의해 한 문장을 자기가 원하는 만큼 반복하여 들을 수 있고, 따라하기 반복 진행 모드에 의하면 반복하여 따라할 수 있으므로 어학 학습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화 모드에 의하면, 실제로 외국어 회화가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형태인 대화 형태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국인 교사와 같이 학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기는 개인용 어학 교재뿐 아니라 학교 및 학원의 외국어 시간의 수업 보조 기재로 사용함으로써 학생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특히 한국인 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에서도 올바른 발음을 연습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petition progress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entence can be repeatedly heard as desired by a simple key operation, and the repeat repetition mode can be repeated repeatedly, thus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language learn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actice in a conversation form, which is a form in which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is most frequently performed, so that the same effect as learning with a foreign teacher can be produced. Th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students' interest by using not only personal language textbooks but also as teaching aids of foreign language time in schools and institutes, and in particular, the correct pronunciation can be practiced even in classes taught by Korean teachers.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들은 제한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이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 또는 조합하거나 달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변경과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se descript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ing sen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combined, or otherwise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laims (12)

각각 다른 인덱스에 의해 식별되는 기설정된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producing the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predetermined series of unit voice data identified by different indexes is stored, 반복 횟수값를 입력받는 단계(115)와,Receiving a repetition count value (115); 음성 데이타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단계(120)와,Initiating playback of audio data (120),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들을 하나씩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값만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A first reproducing step of reproducing the unit voice data one by one the input repetition number value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Voice data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producing step comprises: 현재 인덱스를 초기화하는 제1 초기화 단계와(125),A first initialization step 125 of initializing a current index; 상기 반복 횟수값으로 남은 횟수값을 초기화하는 제2 초기화 단계와(130),A second initialization step 130 of initializing the remaining number of values by the repetition number of times; 상기 일련의 음성 데이타 중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와(135, 140),A second reproducing step (135, 140) of reproducing unit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a current index among the series of speech data; 상기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의 재생의 종료에 응답하여 남은 횟수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145),Reducing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in response to the end of reproduction of the unit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ndex (145); 감소후 남은 횟수값이 0이면 현재 인덱스를 갱신하고 상기 제2 초기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150, 155),Updating the current index and returning to the second initialization step if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after the decrease is zero (150, 155); 감소후 남은 횟수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2 재생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150)If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after the decrease is not 0, returning to the second reproducing step 150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Voice data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는 한 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타인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t speech data is speech data for one senten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재생 단계는 각 단위 음성 데이타를 1회 재생한 후 소정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And the first reproducing step includes reproducing each unit voice data once and then repeatedly reproducing it with a predetermined pause. 각각 다른 인덱스에 의해 식별되는 기설정된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producing the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predetermined series of unit voice data identified by different indexes is stored,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의 재생중에 반복 횟수값를 입력받는 단계(215)와,Receiving a repetition count value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series of unit voice data (215); 상기 재생중인 단위 음성 데이타의 재생의 종료를 기다리는 단계(220)와,Waiting 220 for termination of reproduction of the unit voice data being reproduced;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 중 상기 재생중인 단위 음성 데이타 및 아직 재생되지 않은 단위 음성 데이타들을 하나씩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값만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A first reproducing step of reproducing the unit voice data being reproduced and the unit voice data not yet reproduced by the input repetition number value one by one from the series of unit voice data;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Voice data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리는 단계 후 현재 인덱스는 상기 재생이 종료된 단위 음성 데이타를 가리키고 있으며, 상기 제1 재생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fter the waiting step, the current index indicates unit voice data for which the reproduction is completed, and the first reproduction step includes: 상기 반복 횟수값으로 남은 횟수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230)와,An initialization step 230 of initializing the remaining count value by the repetition count value; 상기 일련의 음성 데이타 중 상기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와,A second reproducing step of reproducing unit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ndex among the series of speech data; 상기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의 재생의 종료에 응답하여 남은 횟수값을 감소시키는 단계(245)와,Reducing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in response to the end of reproduction of the unit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ndex (245); 감소후 남은 횟수값이 0이면 상기 현재 인덱스를 갱신하고 상기 초기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250, 255)와,Updating the current index and returning to the initialization step when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after the decrease is zero (250, 255); 감소후 남은 횟수값이 0이 아니면 상기 제2 재생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250)If the number of times remaining after the decrease is not 0, returning to the second reproducing step (250)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Voice data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는 한 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타인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nit speech data is speech data for one sentence.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 방법에 있어서,A voice reproducing method of reproducing the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series of unit voice data is stored, 상기 재생 대상을 기초로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 중 일부의 단위 음성 데이타를 포함하는 재생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reproduction target including unit speech data of a part of the series of unit speech data based on the reproduction target; 상기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를 순차로 재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정상 음량으로 재생하고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지 않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은 음량으로 재생하는 단계Reproducing the series of unit voice data sequentially, wherein the unit voice data belonging to the reproduction target is reproduced at a normal volume, and the unit voice data belonging to the reproduction target is reproduced at a volume small enough to be inaudible; step 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Voice data playback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는 한 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타인 음성 데이타 재생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nit speech data is speech data for one sentence.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series of unit voice data is stored, 반복 횟수값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determining a repeat count value;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들을 하나씩 상기 반복 횟수값만큼 반복하여 재생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reproducing the unit speech data one by one the repeat count value 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장치.Voice data playback device comprising a. 일련의 단위 음성 데이타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voice data from a medium in which a series of unit voice data is stored, 상기 단위 음성 데이타 중 일부의 단위 음성 데이타를 포함하는 재생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setting a reproduction target including unit voice data of a part of the unit voice data;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정상 음량으로 재생하고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지 않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은 음량으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t a normal volume when reproducing unit voice data belonging to the reproduction object and for reproducing at a volume so low as to be inaudible when reproducing unit audio data not belonging to the reproduction object; 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타의 재생 장치.Apparatus for reproducing voice data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재생 장치는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는 증폭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재생 대상에 속하지 않는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재생할 때는 상기 증폭 수단의 증폭 비율을 낮게 함으로써 단위 음성 데이타를 작은 음량으로 재생하는 음성 데이타 재생 장치.12. The speech data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speech data, wherein the reproducing means lowers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amplifying means when reproducing the unit speech data not belonging to the reproduction object. An audio data reproducing apparatus that reproduces data at a small volume.
KR1019970058686A 1997-11-07 1997-11-07 Language learning apparatus KR100236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686A KR100236428B1 (en) 1997-11-07 1997-11-07 Language lear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686A KR100236428B1 (en) 1997-11-07 1997-11-07 Language lear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20A KR19990038820A (en) 1999-06-05
KR100236428B1 true KR100236428B1 (en) 1999-12-15

Family

ID=1952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686A KR100236428B1 (en) 1997-11-07 1997-11-07 Language lear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4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826B1 (en) * 2008-05-01 2009-02-20 강남경 Repeatable studying apparatus using page index, system and meht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20A (en)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088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236428B1 (en) Language learning apparatus
US5746601A (en) Audio system with language exercise function
EP0817153B1 (en) Multimedia reading and learning auxiliary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389451B1 (en) Apparatus For Study Aid Using Replay of a Stored Question/Answer Sentence
KR200230867Y1 (en) Device for language recorder using external memory
JPH0728384A (en) Language study training machine
JPS61103183A (en) Audiovisual educational apparatus
JP3223079B2 (en) Audio playback device
KR100988272B1 (en) linguistics study device for a workbook that publish week or by monthly publication and Language learning method to use do linguistics study device
KR930005773B1 (en) Apparatus for education
KR20000030853A (en) Improved portable cd pla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optical disc using it
KR100357243B1 (en) Method for studying in multi-channel palying device using select output audio and caption data and Device for emplementing it
KR100432858B1 (en) linguistical learning machine
JP3258825B2 (en) Learning machine
JP3173726B2 (en) Audio output control circuit of audio playback device
KR200326942Y1 (en) Double Deck Cassette
JPH07113809B2 (en) Learning device
JPS63148288A (en) Enunciation training apparatus
JPH07143B2 (en) Audio game device
JPH1069704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9990085644A (en) How to drive media for language learning
JPH05150704A (en) Apparatus for amusement and education
KR20000059114A (en) The method and audio aids for studing foreign language
JPH06167999A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