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224B1 -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 Google Patents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224B1
KR100236224B1 KR1019970008798A KR19970008798A KR100236224B1 KR 100236224 B1 KR100236224 B1 KR 100236224B1 KR 1019970008798 A KR1019970008798 A KR 1019970008798A KR 19970008798 A KR19970008798 A KR 19970008798A KR 100236224 B1 KR100236224 B1 KR 10023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lder
fusion splicing
ra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494A (ko
Inventor
전용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0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2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할 때 광섬유의 리본을 고정시키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의 광섬유 결합홈(21)의 규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광섬유를 융착접속 함에 있어서 단심 접속시와 8리본, 16리본 접속시 각각 다른 홀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광섬유를 결합하는 본체(10)와 영구자석(22)을 구비한 홀더 덮개(20)가 본체(10)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에 있어서, 중심부가 함몰되어 광섬유 결합홈(21)이 형성된 덮개(20)와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베드(40) 상에 직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레일(30)과 상기 레일 면에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레일 홈(31)과 내부에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레일홈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핀(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핀(50)이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에 따라 광섬유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광섬유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핀(50)의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축의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유동돌출부(51)가 설치되며 내부로 양 유동돌출부 사이에는 용수철(52)이 설치된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본 발명은 광섬유를 융착 접속할 때 광섬유의 리본을 고정시키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심과 다심의 광섬유 융착 접속시는 물론, 규격이 상이한 광섬유를 융착 접속할 때에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광섬유 융착접속용 가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서, 유리 섬유로 된 광화이버 즉, 광케이블이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 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내부에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된 광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더욱이 다심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광섬유를 동시에 연결해야 하므로 더욱 어렵다.
광섬유의 접속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융착접속(Fusion splicing)방법과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계식 광케이블 접속자는 특수한 공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접속 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클램핑 방법에 있어서 광섬유의 코팅부를 완전히 잡아 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어 접속 작업 후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광섬유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어 파단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융착접속 방법은 광섬유를 녹여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영구 접속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고가의 정밀 융착접속 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원 공급이 어려운 현장에서는 불편이 있는 반면 광특성의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광섬유 접속 방법 중 융착접속시 광섬유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접속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광섬유 접속 홀더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광섬유 결합홈(21)과 광섬유 결합홈(21)에 인접하여 가이드 핀이 형성된 평판형 부재의 본체(10), 이러한 본체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된 덮개(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광섬유 접속 홀더에 의한 광섬유 융착접속 방법은 덮개(20)를 오픈 시킨 상태의 본체(10)의 광섬유 결합홈(21)에 접합하고자 하는 두 가닥의 광섬유를 연접시켜 놓은 상태에서 덮개(20)를 덮으면 덮개(20)가 영구자석(22)의 자력에 의해 덮개(2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섬유 결합홈(21)내의 광섬유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두 가닥의 광섬유 접속부를 가열 융착 접속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에 의한 접속 방법은 광섬유가 결합 고정되는 광섬유 결합홈(21)이 일정한 폭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단심 접속시와 8리본, 16리본 접속시 각각 다른 홀더를 통해 광섬유를 고정시켜야 함으로광섬유의 종류가 변경될 때마다 홀더를 교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규격별로 홀더를 구비함에 따라 비용이 증대되며, 또한 정규화된 규격 외에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자유 규격의 리본 접속에는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홀더의 광섬유를 결합하는 광섬유 결합홈(21)의 규격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하나의 홀더에는 이에 대응하는 광섬유만을 고정할 수 있으며 광섬유의 규격이 변동되면 이에 자유롭게 대응하여 가변할 수 없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의 광섬유 결합홈의 규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광섬유를 융착접속 함에 있어서 단심 접속시와 8리본, 16리본 접속시 각각 다른 홀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된 광섬유 융착접속용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광섬유 융착접속 리본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동핀의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본체 11:광섬유
20:덮개 21:광섬유 결합홈
22:영구자석 23:경첩
30:레일 31:레일홈
40:베드 50:이동핀
51:유동돌출부 52:용수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광섬유를 결합하는 본체와 영구자석을 구비한 홀더 덮개가 본체 일측면에 경첩으로 결합된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에 있어서,
중심부가 함몰되어 광섬유 결합홈이 형성된 덮개와;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베드 상에 직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 면에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레일홈과;
내부에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레일홈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핀이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에 따라 광섬유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광섬유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핀의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축의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유동돌출부가 설치되며 내부로 양 유동돌출부 사이에는 용수철이 설치되어 상기 용수철이 유동돌출부에 유동성을 주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되고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용수철의 탄력으로 레일홈에 고정 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광섬유 융착접속 리본 홀더의 조립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베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광섬유가 고정되는 본체이며 참조번호 11은 광섬유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0은 이동핀(50)이 슬라이딩되고 고정되는 레일이고 참조번호 40은 광섬유가 고정되는 베드(40)이다.
전술한 본체(10)의 베드(40)는 본체(10)에서 일정한 두께의 단을 이루는 하부의 평판으로서, 이동핀(50)이 슬라이딩되는 레일(30)을 구비하고 상부의 덮개(20)가 안착되어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베드(40)의 전면에는 중심부가 함몰되어 광섬유 결합홈(21)이 형성된 덮개(20)가 경첩(23)으로 결합되어 광섬유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드(40)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핀(50)의 상대 위치는 이동핀(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 후방으로 이송되어 광섬유의 굵기에 따라 조절되며, 이러한 이동핀(50)에는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유동돌출부(51)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돌출부(51)는 이동핀(50)의 축의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설치되는데 내부로 양 유동돌출부 사이에 용수철(5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용수철(52)이 유동돌출부(51)에 유동성을 주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되고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용수철(52)의 탄력으로 레일홈에(31) 고정 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0)의 일측에는 본체(10)의 대칭부의 금속과 반응하도록 영구자석(22)이 부착되어 있어 덮개(20)를 회동시켜 덮으면 덮개(20)가 본체(10)에 일정한 힘으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드(40)의 상판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덮개(20)를 회동시켜 덮개에 형성된 광섬유 결합홈으로 광섬유를 커버하고 이동핀(50)을 이동시켜 광섬유의 직경에 맞도록 고정시킨 후 이때, 이동핀(50)의 조절에 따라 이동핀(50)의 자체에 내장된 용수철(52)이 이동핀(50)을 레일홈에 고정시키게 됨으로 접속해야 할 광섬유의 규격에 따라 가변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 리본홀더는 베드(40)의 상판에 레일과 요철형상의 레일홈을 형성하여 이동핀(50)의 조정에 의해 광섬유 의 규격에 따른 융착접속 홀더의 적응력을 향상시켜 규격별 홀더를 구비함에 따른 비용을 감소 시켰으며, 또한 불필요한 홀더 수를 줄이고 홀더의 일체화를 이룩함에 따라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자유 규격의 리본 접속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상의 편리성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광섬유를 결합하는 본체(10)와 영구자석(22)을 구비한 홀더 덮개(20)가 본체(10) 일측면에 경첩(23)으로 결합된 광섬유 융착접속 홀더에 있어서,
    중심부가 함몰되어 광섬유 결합홈(21)이 형성된 덮개(20)와;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베드(40) 상에 직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레일(30)과;
    상기 레일 면에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레일홈(31)과;
    내부에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레일홈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가지는 복수개의 이동핀(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핀(50)이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에 따라 광섬유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핀(50)의 축방향으로 천공되어 축의 직각방향으로 양쪽에 유동돌출부(51)가 설치되며 내부로 양 유동돌출부 사이에는 용수철(52)이 설치되어 상기 용수철(52)이 유동돌출부(51)에 유동성을 주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되고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용수철(52)의 탄력으로 레일홈에(31) 고정 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KR1019970008798A 1997-03-14 1997-03-14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KR10023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798A KR100236224B1 (ko) 1997-03-14 1997-03-14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798A KR100236224B1 (ko) 1997-03-14 1997-03-14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494A KR19980073494A (ko) 1998-11-05
KR100236224B1 true KR100236224B1 (ko) 1999-12-15

Family

ID=1949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798A KR100236224B1 (ko) 1997-03-14 1997-03-14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494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430B1 (ko) 광섬유 연결기
US4934785A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39605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optical fibers
US4515434A (en) Fiber optic connector
US4291943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 cables
KR860009312A (ko) 광섬유 접속기 및 제조방법
US5016972A (en) Detachable multiple splicing connector for light waveguides
US11327229B2 (en) Elastomeric optical fiber alignment and coupling device
EP1146366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
EP0896235B1 (en)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
US62346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KR100236224B1 (ko) 광섬유 융착접속용 리본 홀더
JPS63183405A (ja) 平面光学回路およびこれに連結した光ファイバーを備えたアセンブリ
KR101096495B1 (ko) 접속기 홀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KR200174996Y1 (ko) 광섬유 고정용 가변 홀더
JP2001059916A (ja) 端末ロッド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EP0574462B1 (en) Fibre optics connector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13219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KR200157678Y1 (ko) 광화이버 접속용 컨넥터
JPH1062642A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及び装置
WO2019171209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JP3973927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2919847B2 (ja) 光ファイバの密着保持装置
CA1174088A (en) Connector for splicing optical fib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