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163B1 -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163B1
KR100236163B1 KR1019950046816A KR19950046816A KR100236163B1 KR 100236163 B1 KR100236163 B1 KR 100236163B1 KR 1019950046816 A KR1019950046816 A KR 1019950046816A KR 19950046816 A KR19950046816 A KR 19950046816A KR 100236163 B1 KR100236163 B1 KR 10023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manufacturing
present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105A (ko
Inventor
유호천
반돈호
소문섭
박찬엽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4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163B1/ko
Publication of KR9700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영도금조 소재로 사용되는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용융아연 도금환경 내에서 고온 내부식성이 우수한 도금조용 간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에 사용되는 구조용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3-0.06%, Mn:0.2-0.4%, Si:0.05% 이하, P:0.010% 이하, S: 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슬라브를 통상의 방법으로 재가열후 압연형상비를 0.7 이하로 하여 저속강압하 하는 고온 내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는 도금조용강중에 함유된 각 성분의 조성과 고온부식 감량과의 관계를 온도변화에 따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 소재로 사용되는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아연 도금환경내에서 고온 내부식성이 우숭한 도금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연도금조용 강재로는 일반구조용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강재로는 SS400을 들 수 있다. 상기 SS400 강종은 인장강도가 40kg/mm2급인 일반구조용강으로 그 조성은 대체로 0.18% C, 0.24% Si, 0.82% Mn, 0.017% P, 0.010% S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계를 갖는 강종은 입계편석 조장원소인 Si 및 내부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MnS 개재물 조장원소인 Mn 의 상향관리로 인하여 아연도 금욕조로 사용되는 경우 아연도금 작업온도(460-480℃)에서 예상되는 액상금속 취성(Liquid Metal Embrittlement)으로 부식 및 균열이 발생되어 그 수명이 3-6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한편, 종래 도금업체에서는 이러한 강종을 사용한 도금욕조의 수명을 연장시키시위하여 도금조에서 부식 및 균열발생이 예상되는 용융금속 계면과 접하는 측면부위와 용접부에 보강판을 부착하거나 프라즈마 코팅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로는 그 처리비용이 매우 고가인 것에 비해 도금조의 수명을 2-3개월 정도밖에 연장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연도금욕조에 적합한 강판 제조를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별히 합금원소를 첨가하지 않고 단지 강 성분을 적절히 제어하는 한편 압연공정을 적절히 제어하므로서 아연도금 환경내에서 균일부식성이 우수하게 하여 도금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도금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조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3-0.06%, Mn:0.2-0.4%, Si:0.05% 이하, P:0.010 이하, S: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슬라브를 통상의 방법으로 재가열후 압연 형상비를 0.7 이하로 하여 저속강압하하는 고온내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아연 도금 조건과 같은 고온 부식 환경에서 사용되는 도금조 용강은 고청정성, 항복강도 및 낮은 고온내부식속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및 실험 결과에 의하면, 청정성의 경우 청정도가 0.03 이하, 항복강도가 25kg/mm2이하(인장 강도는 최소 30kg/mm2이상)가 되어야 하고 특히, 약 460℃ 정도의 고온에서의 내부식속도가 20g/m2·hr 이하로 되어야 도금조용강의 수명이 최소 1년 이상이 유지될수 있음을 알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강중에 합금원소를 특별히 첨가하지 않고 기본성분 조성을 다음과 같이 조절하였다.
먼저, 도금조용강에서는 항복강도가 높으면 부식균열의 원인인 액상금속 취성 발생이 용이하므로 도금조용강중 강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탄소는 가능한한 저탄소쪽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강중 함유되는 탄소의 양이 0.06% 이상으로 되면 항복강도가 높게 되어 액상금속 취성이 발생되기 쉽고 0.003% 이하로 되면 구조용강으로서의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탄소의 함량은 0.003-0.6% 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금조용강중의 탄소함량과 부식감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제1도(a)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상기 강중 Si 은 그 함량이 0.05% 이상으로 되면 액상금속 취성의 한 요인인 고상금속의 항복강도를 증가시키며 아연의 도금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Si 의 함량은 0.05%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금조용강중의 Si 함량과 부식 감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도(b)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상기 Mn 은 도금조용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이 0.2% 이하로 되면 용융금속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인장강도 기준 : 30kg/mm2)를 확보하기 어렵고, 0.4% 이상으로 첨가되면 MnS 개재물 형성으로 용융금속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여 부식균열을 조장하기 때문에 Mn의 함량은 0.2-0.2%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P 는 그 함량이 높으면 연주시 주편중심부에 편석되어 내부품질을 불안정화시키며, 입계에 저융점 화합물로 형성되어 있다가 용접후 냉각시 균열발생의 기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P 의 함량은 0.01%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금조용강중의 P 의 함량과 부식감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제1도(c)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상기 S 는 연주주조시 균열발생 및 중심편석을 유발하여 과다 함유시 망간과 결합하여 MnS 등의 개재물을 형성하므로 0.005% 이하로 극저관리함이 최적이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통상의 방법으로 재가열한 후 압연형상비(압연출측두께/압연입측두께)가 0.7 이하인 범위내에서 저속강압하여 열간후판 압연하면 압착되어 강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공(porosity)가 외부로 빠져나가 치밀한 구조의 강판이 제조된다. 통상 도금조용 강재로는 고청정 순철이 가장 유리하나 고온조업시 용융금속과 도금조 경계면에 용융금속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확보가 곤란하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라 압하된 강은 인장강도가 약 30kg/mm2이상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치밀한 조직에 의해 고온 내부식 속도가 약 20g/m2·hr 이내로 도금환경에 극히 유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중량%로, C:0.04%, Si:0.03%, Mn:0.29%, P:0.007%, S:0.002%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강슬라브를 가열한 후, 압연형상비를 0.7로 저속강압하하여 열간압연한 다음, 제조된 강판에 대하여 기계적 특성 및 청정도, 고온내부식 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일반구조용강인 SS 400 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상기 부식속도는 약 460℃에서 아연도금용액에 336 시간도안 침지후의 부식감량율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재는 용융금속의 하중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을 뿐만 아니라 고온 부식속도가 종래의 SS400 에 비해 3배 이상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재를 도금조 제작에 적용하게 되면 종래 3-6개월 정도 되었던 도금조수명이 약 18개월 이상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아연도금조에 사용되는 구조용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량%로, C:0.003-0.06%, Mn:0.2-0.4%, Si:0.05% 이하, P:0.010 이하, S: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슬라브를 통상의 방법으로 재가열후 압연형상비를 0.7 이하로 하여 저속강압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내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조용 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50046816A 1995-12-05 1995-12-05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KR10023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16A KR100236163B1 (ko) 1995-12-05 1995-12-05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16A KR100236163B1 (ko) 1995-12-05 1995-12-05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05A KR970033105A (ko) 1997-07-22
KR100236163B1 true KR100236163B1 (ko) 1999-12-15

Family

ID=1943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816A KR100236163B1 (ko) 1995-12-05 1995-12-05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22B1 (ko) 2005-06-23 2007-02-01 덕산산업주식회사 용융알루미늄 도금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22B1 (ko) 2005-06-23 2007-02-01 덕산산업주식회사 용융알루미늄 도금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05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345B2 (ja) メッキ表面品質に優れた高マンガン鋼の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KR101329925B1 (ko)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및 이로부터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WO2012121399A1 (ja) 熱間プレス用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CN113025937B (zh) 一种热浸镀锌钢板及其制备方法
KR102010048B1 (ko) 도장 밀착성과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 부재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1349847B (zh) 一种耐海水腐蚀钢及其制造方法
KR100264258B1 (ko)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236163B1 (ko) 내고온 부식성이 우수한 아연도금용 강판의 제조방법
JPS645108B2 (ko)
CN116348215A (zh) 热压构件和热压用钢板以及它们的制造方法
JP2525165B2 (ja) 高強度蒸着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610272B2 (ja) 耐溶融金属脆化割れ性に優れたZn−Al−Mg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11001611A (ja)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6246A (ja) スポット溶接性と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H022939B2 (ko)
CN112368145A (zh) 强度和镀覆性优异的低比重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149202B1 (ko) 용융아연 도금 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JP3497201B2 (ja) 表面性状に優れた深絞り用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464288B2 (ja) 耐食性に優れた耐火構造用溶融アルミニウム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0244632B1 (ko)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방법
JPH08104965A (ja) 耐食性に優れた耐火構造用溶融Zn−Al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0241305B1 (ko) 내 염산부식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KR100328015B1 (ko) 내용융아연부식성이우수한고강도합금과이를이용한도금욕조용안정화롤
KR20210070681A (ko) 알루미늄계 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60007426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