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36B1 -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36B1
KR100235436B1 KR1019950059824A KR19950059824A KR100235436B1 KR 100235436 B1 KR100235436 B1 KR 100235436B1 KR 1019950059824 A KR1019950059824 A KR 1019950059824A KR 19950059824 A KR19950059824 A KR 19950059824A KR 100235436 B1 KR100235436 B1 KR 10023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ent
cup
optical sensor
pum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683A (ko
Inventor
우기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436B1/ko
Publication of KR97004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스에 관한 것으로,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통의 물을 파이프로 연결하여 도어 외측의 배출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배출부의 일측에 광센서를 형성하여 배출부 내에 위치하는 컵 등의 물체를 빛으로 직접 감지하여 펌핑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물을 펌핑하도록 구성한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장치에서 펌프모터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는 레버 및 스위치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레버로킹이나 접점부식 등의 염려가 없으며 구조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부에 대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펌프모터 구동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에 대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펌프모터 구동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 대한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펌프모터 구동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펌프모터 구동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실 도어 2 : 물통
3 : 배출부 4 : 파이프
5 : 펌프모터 8 : 컵
9 : 광센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위치나 레버의 사용을 배제한 채 광센서(photo-sensor)를 이용하여 컵 등의 물체를 빛으로 바로 감지하여 디스펜스 펌프모터를 구동시켜 물을 펌핑하도록 한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는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 물통을 설치하고 그 물통과 도어의 외측 사이를 파이프로 연결하여 펌프모터의 펌핑에 의해서 냉장실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냉장실 내의 냉장상태에 있는 물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디스펜스부에서 사용되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는 도어(1)의 내측, 즉 냉장실 내에 위치하는 물통(2)과, 물통(2)의 물을 도어(1)의 외측에 형성된 배출부(3) 측으로 배출시키기위한 파이프(4) 및 물통(1) 내의 물을 파이프(4)을 통해 배출부(3)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모터(5)와, 배출부(3)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레버(6) 및 레버(6)의 회동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스위치(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에서는 사용자가 컵(8)을 배출구(3) 측으로 들이밀어 레버(6)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레버(6)의 뒤쪽에 형성된 푸쉬스위치(7)가 온(on) 상태로 되어 펌프 모터(5)가 구동됨으로써 물통(1) 내의 물이 파이프(4)를 지나 배출구(3) 측에 위치하고 있는 컵(8)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 구조에서는 물기가 많은 배출부 상에 레버 및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부식으로 인하여 오동작의 우려가 있고, 레버의 걸고리가 로킹(locking) 되는 때에는 물이 계속해서 배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종래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부에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종래 장치에서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는 레버 및 스위치를 사용함이 없이 광센서를 이용하여 컵등의 물체를 빛으로 바로 감지하여 물을 펌핑하도록 한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출부 내에 컵등의 물체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배출부의 일측에 설치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특징,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서 사용되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실 도어 디스펜스는 도어(1) 내측에 위치하는 물통(1)과, 물통(1)의 물을 퍼올리는 펌프모터(5)와, 펌프모터(5)에 의해 퍼올려지는 물을 도어(1) 외측의 배출부(3)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4) 및 배출부(3)의 하부에 컵(8)이 위치하고 있는가를 감지하는 광센서(9)로 구성된다.(도면중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1) 외측에 요입 형성된 배출부(3) 내부로 컵(8)을 위치시키게 되면, 광센서(9)가 이를 감지하여 광센서(9) 내의 트랜지스터를 온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펌프모터(5)가 구동되어 냉장상태에 있는 물통(1)의 물이 파이프(4)를 통해서 배출부(3) 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컵(8)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컵(8)에 물이 일정량 만큼 채워진 시점에서 컵(8)을 배출부(3)로부터 꺼내게되면 광센서(9)의 트랜지스터가 오프상태로 도어 펌프모터(5)의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물의 배출이 멈춰지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물의 펌핑을 정지하도록 한 디스펜스 펌핑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및 이에 사용되고 있는 회로도이다.
제5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 구성은 배출부(3) 저면상에 중량센서(10)가 설치되는 점을 제외한 여타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바의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8)을 배출부(3)의 중량센서(10) 위에 올려 놓으면 광센서(9)에서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콤(11)으로 보내게 되고, 마이콤(11)에서는 펌프모터(5)로 구동신호를 보내 펌프모터(5)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4)를 통해 컵(8)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컵(8)에 물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게 되면 컵(8)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량센서(10)가 그 무게를 감지하여 마이콤(11)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마이콤(11)에서는 펌프모터(4)로 정지신호를 보내 펌프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물의 배출이 정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 구조에서는 컵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게 되면 물의 배출이 자동적으로 중단됨에 따라 제3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이 채워지는 상태를 계속적으로 주시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는 면에서 효과적이다.
다음,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펌핑하는데 컵이 아닌 다른 물체가 배출부측에 놓여있거나 하는 경우에 물이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에 대비한 것이다.
만일, 사용자의 부주의나 어린이의 장난에 의해서 배출부측에 컵을 위치시켜 놓고 컵에 물이 채워진 후에도 이를 꺼내지 않거나 컵이 아닌 다른 물체를 배출부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그 컵이나 물체를 배출부로부터 꺼내지 않는 이상 제3도의 실시예 구조에서는 광센서의 트랜지스터가 계속 온상태를 유지하여 펌핑이 지속되므로 물이 흘러넘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제7도의 실시예에서는 컵을 배출부에 갖다 대면 광센서(9)의 트랜지스터가 온상태로 되어 그 신호를 마이콤(11)으로 보내고, 마이콤(11)에서는 펌프모터(5)로 구동신호를 보내서 펌프를 구동시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물 한 컵을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펌핑시간을 설정하여 마이콤(11)을 통한 펌프모터(5)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오프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부에 컵이 아닌 다른 물체가 놓여져 있어 광센서의 트랜지스터가 계속적으로 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라도 일정량 이상의 물은 배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 부주의에 의한 물의 흘러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레버 및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광센서를 이용해서 빛으로 바로 컵의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종래의 장치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레버 로킹 및 스위치 접점부식 등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간편함에 의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1) 내측에 설치되는 물통(2)과, 물통(2)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모터(5)와, 펌프모터(5)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도어(1) 외측에 배출부(3)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4) 및 배출부(3)의 일측에 설치되어 컵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펌프모터(5)를 구동시키는 광센서(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부(3)의 바닥면에 중량센서(10)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KR1019950059824A 1995-12-28 1995-12-28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KR10023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24A KR100235436B1 (ko) 1995-12-28 1995-12-28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24A KR100235436B1 (ko) 1995-12-28 1995-12-28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683A KR970047683A (ko) 1997-07-26
KR100235436B1 true KR100235436B1 (ko) 1999-12-15

Family

ID=1944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824A KR100235436B1 (ko) 1995-12-28 1995-12-28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69B1 (ko) 2006-05-24 2007-04-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자동식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03B1 (ko) * 2001-07-16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69B1 (ko) 2006-05-24 2007-04-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자동식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683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20122A1 (en) Water supply for supplyingan ice cube maker and/or a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US5819547A (en) Refrigerator having a water dispensing system in which a water reservoir is automatically refilled when its water level is low
EP0534743B1 (en) Automatic liquid soap supply apparatus
US5159313A (en) Oil supply system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vehicle
US20210361126A1 (en) Touchless dispenser
US8376184B2 (en) Ice dispenser with automated flap opening
WO2001025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soap
KR10023543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디스펜스 펌핑장치
KR0182126B1 (ko) 냉장고의 급수장치 및 물탱크 수량부족검출방법
US6698254B2 (en) Automatically controlled washing machine with overflow protection
JP2798132B2 (ja) 冷蔵庫用自動製氷機の給水装置及び給水制御方法
JP364955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0140002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900006953Y1 (ko) 제습기의 저수통
KR100202625B1 (ko) 물통내장 냉장고 디스펜서 및 제어방법
KR100237053B1 (ko) 자동판매기의 동파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0133635Y1 (ko) 급유장치가 내설된 로타리 히터
KR880004414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JPH0791390A (ja) 液体ディスペンサ装置
KR950001570A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컵 배출장치
KR0173270B1 (ko) 냉장고용 식수 디스펜서에 식수를 자동으로 보충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940003018Y1 (ko) 오일팬히터의 연료통 유무감지 장치
JPH0748199Y2 (ja) 電動注出可能な電気貯湯容器
KR950029724A (ko) 자동제빙기의 급수제어 장치
JPH0451923A (ja) 電動式ソープディスペンサ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