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141B1 - 난소화성 덱스트린 - Google Patents

난소화성 덱스트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141B1
KR100235141B1 KR1019920017836A KR920017836A KR100235141B1 KR 100235141 B1 KR100235141 B1 KR 100235141B1 KR 1019920017836 A KR1019920017836 A KR 1019920017836A KR 920017836 A KR920017836 A KR 920017836A KR 100235141 B1 KR100235141 B1 KR 10023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indigestible
food
content
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052A (ko
Inventor
오꾸마가즈히로
한노요시오
이나다가즈유기
마쓰다이사오
가따야스오
Original Assignee
마쓰따니 히데지로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따니 히데지로,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따니 히데지로
Publication of KR93000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6Starch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7Thicken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52Liquid products; Soli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flakes or granules for making liquid products ; Finished or semi-finished solid products, frozen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6Addition of proteins, carbohydrates or fibrous material from vegetable origin other than 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20Addition of proteins, e.g. hydrolysates, fats, carbohydrates, natural plant hydrocolloids; Addition of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containing proteins, fats, or carbohyd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10Peanut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0Preparation of starch, degrad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 C08B30/12Degraded, destructur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e.g. mechanically, enzymatically or by irradiation; Bleaching of starch
    • C08B30/18Dextrin, e.g. yellow canari, white dextrin, amylodextrin or maltodextrin; Methods of depolymerisation, e.g. by irradiation or mechan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exo-1,4 alpha-glucosidase, e.g.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75% 이상으로서 착색물질이나 자주 냄새가 적은 신규의덱스트린인 난소화성덱스트린을 얻는 것으로서 옥수수전분에 염산을 첨가해서 가열처리해서 얻은 배소덱스트린을 α-아밀라아제와 글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후 생성된 글로코오수의 1/2이상을 제거하므로서얻어지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이다.

Description

난소화성 덱스트린
제1도는 각종 물질의 온도와 점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2도는 각종 물질의 반응시간과 착색 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각종 물질의 반응시간과 착색 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동결 해동의 회수와 혼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혼탁도와 빙점 강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소정의 상대 습도중에서 정치한때의 시간과 수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대조구의 믹소그래프.
제8도는 설탕구의 믹소그래프.
제9도는 실시예 1의 난소화 덱스트린의 믹소그래프.
본 발명은 옥수수 전분을 가산 가열처리후에 α-아밀라아제 및 글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해서 얻어지는 식물섬유를 함유하고, 저칼로리인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관한 것이다.
배소 덱스트린은 수%의 물을 함유하는 전분을 산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가열하에 얻어지는 것이다.
그 가열조건은 산을 첨가하지 않고, 배소해서 얻어지는 블리티시 검에서는 135-218℃에서 10-20시간 가열 처리하는 것이다.
백색 덱스트린은 산을 첨가해서 79-121℃에서 3-8시간 가열처리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또, 황색 덱스트린은 같은 모양으로 산을 첨가해서 150-220℃에서 6-18시간 가열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그 구조로서는 전분의 구성 성분인 글루코오스가 1→4, 1→6글리코시드 결합한 것을 주체로 해서 미량의 1→3, 1→2 글리코시드 결합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글리코시드 결합의 구성비율은 제이디 기이드 및 제이앰이 제안한 케미컬 SOC제 79권 4209쪽(1957) 및 지엠 크리스텐센 및 제이앰이 제안한 케미컬 SOC제 79권 4492쪽(1957)과 하기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을 뿐이며, 시판의 옥수수 녹말의 염산첨가 배소덱스트린에 있어서, 메틸화 분석에 의해 1→4 글리코시드 결합구분(2,3,6-트리-0-메틸-D-글루코오스)는 57.3%이상이며, 1→6 글리코시드 결합구분(2,3,6-트리-O-메틸-D-글루코오스)은 2.6%이며, 1→3글리코시드 결합구분(2,4,6-트리-O-메틸-글루코오스)은 1.2%이하이며, 1→4 및 1→6의 양 결합을 갖는 구분(2,3-디-O-메틸-D-글루코오스)은 6.3%이며, 이들 이외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구분은 약 20%이다.
또, 알, 엘 위슬러 및 이 에프 파스칼이 제안한 전분화학기술 제1권 430쪽(1965)에 옥수수녹말의 구성 성분인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스를 분획해서 꺼내고 나서 양 성분을 각각 가산 열처리해서 얻은 아밀로 펙틴 열처리물과 아밀로오스 열처리 물에 대해서의 결합형의 분석치가 인용되어 기재되어 있다.
이 수치는 전분을 호화(풀)해서 2성분을 분리해서 열처리한 것의 수치이며, 열처리시의 분말의 형태가 천연의 전분과는 다르기 때문에 직접의 비교는 되지 않지만 통상의 옥수수 녹말의 양성분의 구성비가 약 8 : 2인 것으로부터 이 수치를 옥수수 전분으로 환산하면 1→4글리코시드 결합구분(2,3,6-트리-O-메틸-D-글루코오스)은 67%, 1→3 글리코시드 결합구분(2,4,6-트리-O-메틸-D-글루코오스)은 2.7% 1→4 및 1→6의 양 결합을 갖는 구분(2,3-디-O-메틸-D-글루코오스)은 7.8%에 상당한다.
배소덱스트린의 제조법의 종래 기술로서는, 토마식 P와 위작 S가 제안한 애드밴스인 카르보 하이드 레이트 케미스트리 제47권 279-343쪽(1990)에는 배소덱스트린의 최신의 총설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시판의 어느 배소덱스트린을 분석해도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30%이하이며, 식물섬유의 함량은 3%이하이며, 칼로리 값 1은 3.3Kcal/g이상이며, 칼로리 값 2는 3.1 Kcal/g이상이며, 이 이상의 함량을 얻기 위해 가열조건을 변경하면 난소화성 성분은 60%정도까지 식물섬유는 30%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칼로리/g까비 감소시킬 수가 있지만 착색 물질이 증가해서 자극냄새도 발생하기 때문에 정제할 필요가 있고, 또, 그 정제가 대단히 곤란하기 때문에 실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75%이상 식물섬유가 20%이상 칼로리 값 1이 2.6Kcal/g이하, 칼로리 값 2가 2Kcal/g이하의 덱스트린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배소덱스트린의 효소 가수분해에 대해서는 B Brim hall Ind Eng Chem 36; 72 (1944년)에 산을 첨가하지 않고, 배소한 소위 브리티쉬 검을 α-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 경우에 분해 한계가 말토오스로서 3.5%, 즉 DE로 환산하면 7.4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미국특허 제3,974,032호에 분기도가 7-16%인 염산 첨가 배소덱스트린을 α-아밀라아제를 사용해서 70-85℃에서 DE9-20으로 가수분해 함으로서 얻은 중량평균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가 20이하로서 중합도 200이상의 올리고당이 20%이하의 전분 가수분해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글루코아밀라아제에 의한 가수분해 식물섬유에 대해서의 기재도 없다.
근년에 일본에 있어서도 생활수준의 향상에 수반하여 식생활도 변화하여 구미의 수준에 가까워졌다.
이 결과로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급속한 고령화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부터 질병구조가 변화해서 성인병이 현저히 증가했기 때문에 건강 지향이 비약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이중에서 생체 조절기능을 갖는 식품소재의 예로서 식품섬유나 올리고당이 변비의 개선을 중심으로 한 생체 조절 기능을 갖는 것으로부터 식물이나 사료의 기능을 높이는 소재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다.
이들 식물섬유나 올리고단과 같은 난소화상의 물질은 소화관내에서 각종의 거동을 나타내고, 생체에 대해 생리 효과를 발현한다.
우선, 상부 소화관에 있어서, 수용성의 식물섬유는 이동속도의 저하를 가져오고, 영양소의 흡수지연이 일어난다.
예를 들면 당의 흡수지연은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고, 그에 수반하여 인슐린 절약 등의 효과를 발현한다.
또, 담즙산의 배설을 촉진하므로서 체내의 스테롤 그룹이 감소하여 혈청중의 콜레스테롤이 저하하는 등의 효과도 나타난다.
기타 체내의 내분비 계통을 거쳐서의 생리 효과도 보고되어 있다.
또, 이들 난소화성 물질의 특징은 소장까지의 소화 흡수를 면하게 되고, 대장에 도달하는 것이다.
대장에 도달한 올리고당이나 식물섬유의 일부는 장내의 세균에 의해 자양화되어서 짧은 사슬 지방산, 장가스, 비타민 등을 생성한다.
짧은 사슬 지방산에 의한 장내환경의 산성화는 정장작용을 가져오고, 또 흡수된 짧은 사슬 지방산은 대사되어 에너지가 됨과 동시에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난소화성 물질은 단순히 저에너지만이 아니고, 그 보유하는 생리 효과의 면에서도 출현이 절망되고 있다.
트로웰이나 버키트에 의해 제창된 「식물섬유가설」은 담석증, 허혈성심질환, 대장암등 소위 비감염성 질환의 발생과 식물섬유섭취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이 존재하는 것을 역학적으로 명백히 한 것이다.
결국, 식물섬유 섭취의 부족은 서구형 질환이라고 하는 성인병을 일으키는 한가지 원인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식물섬유는 「사람의 소화효소로 소화되지 않는 식물중의 난소화성 성분의 총체」라고 정의되고, 물에 대한 용해성에 의해 불용성식물 섬유와 수용성 식물섬유라고 분류된다.
이중에서도 수용성 식물섬유는 강한 생리 기능을 갖는 것 때문에 기능성 식물 및 사료소재로서 주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강한 점성은 당의 확산을 저해하고, 당의 흡수에 지연을 발생시켜서 혈당 상승 억제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서 인슐린의 절약 효과를 갖게하는 것이라 일컬어지고, 또 수용성 식물 섬유에 의한 담즙산의 분료중에의 배설의 촉진은 혈청중의 콜레스테롤 저하를 가져오고, 대장에 도달한 후 장내의 세균에 의한 자양화되어서 유산이나, 초산을 생성하고, 이들 유기산이 대장내의 pH를 내리고, 대장암을 예방한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이들 수용성 식물섬유로서는 구어검, 글루코만난 펙틴등의 천연검류를 들 수가 있으나, 어느 것이나 고점성이며, 단독으로 다량을 섭취하기는 곤란하다.
또, 가공식품에 첨가하기에는 식품제조상에 문제가 생기고, 가공면에 서도 곤란한 점이 많다.
이들과 마찬가지의 생리 기능을 갖고, 더구나 섭취가 용이하고, 식품가공상도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 저점상의 식물섬유의 개발이 오랫동안 기다려지고 있다.
근년에 일본에 있어서는 경제환경의 성숙에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기술이나 유통 기술의 향상에 의해 가공식품, 조리식품, 패스트푸드 등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식품을 섭취하는 정보도 다양화하고, 영양소 충족형의 식생활로부터 음식습관에 기인하는 영양장해나 성인병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지향형의 식품으로 소비자 욕구가 변화해 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저 칼로리 식품의 요구는 중 고령자나 젊은 여성간에 강하고, 저칼로리 감미료나 고감미 제용 중량제(팽창제)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이중에서 저칼로리 감미료로서 각종 난소화성의 올리고당이나 당알코올 등을 들 수가 있으나, 감미질이나 감미도, 올리고당 함량 발생하는 설사등 많은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또, 아스팔템 등의 고감미료의 중량제로서는 폴리덱스트로오스를 들 수 있는데 지나지 않지만, 이 폴리덱스트로오스도 섭취량에 제한이 있는 것이나 산성하에서의 쓴맛이나 흡습성 등이 문제도 지적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식품으로서의 물성을 충족하고, 더구나 안전한 감미제등에 사용할 수가 있는 저칼로리 중량제의 출현이 절망되고 있다.
한편, 전분을 예로 들면, 전분이나 전분의 가공품인 α-전분, 배소덱스트린, 전분유도체, 포도당, 분말엿, 멀트덱스트린 등이 식품소재로서 각종의 가공식품에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전분가공품의 대부분은 난소화성붕의 함량이 5%이하로 칼로리 값이 3.9킬로칼로리/g이상으로 식물섬유의 함량이 0.5%이하이다.
그 때문에 전분계 중에서는 식물섬유나 저칼로리 소재로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불과 배소덱스트린에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75%이상으로 식물섬유의 함량이 12% 이상 칼로리 값 1이 2.6Kcal/g이하 칼로리 값 2가 1.2Kcal/g이하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90%이상 식물 섬유의 함량이 20%이상 칼로리 값 1이 1.8Kcal/g이하, 칼로리 값 2가 1.2Kcal/g이하로서 착색물질이나 자극 냄새가 적은 신규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얻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덱스트린이라고 기재한 것은 열처리 전분(배소덱스트린)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로부터 덱스트린의 제조방법이나 가수분해법 덱스트린을 원료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방법등의 연구를 계속해 왔다.
그 성과에 기초해서 「난소화성 덱스틀니의 제조법」등을 출원하고, 이어서, 이 덱스트린에 대해 그 생리 작용을 연구하고, 정장작용, 고 콜레스테롤 혈중의 개선작용, 인슐린의 절약, 고혈압 강하작용, 저칼로리성 등의 식물섬유와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해서 식품조성물로서 출원해왔다.
다시 또, 이 덱스트린의 구조와 난소화성 성분의 식물섬유와의 함량 및 칼로리값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한 결과 덱스트린에 함유되는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 섬유의 양은 덱스트린 중의 글리코시드 결합내 1→4 글리코시드 결합양과의 사이에 반 비례의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다시 또 칼로리 값은 배소덱스트린중의 그릴코시드 결합내 1→4 글리코시드 결합의 양과의 사이에 비례적인 관계가 있는 것을 알아내어 다시 더 상세한 연구를 하기에 이르렀다.
다종다양의 덱스트린에 대해 연구한 결과 난소화성 성분이나 식물섬유의 함량과 칼로리 값 1은 1→4의 글리코시드 결합의 양과 평균 분자량이 밀접한 관계가 있고, 통계적인 수치 해석에 의해 상관도가 높은 관계식이 얻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얻어지는 시판의 배소 덱스트린에서는 난소화부의 함량이 5-30%식물섬유의 함량이 3-12%로 극히 낮고, 또 칼로리 값 1이 3.3-3.9Kcal/g, 칼로리 값 2가 3.1-3.85Kcal/g로 극히 높고 고온에서 장시간의 반응을 행함으로서 개량을 도모해도 착색물질이나 자극냄새가 발생해서 실용화하는 것으로 도저히 불가능하다.
여기서, 난소화부와 식물섬유함량을 증가시키는 연구를 계속한 결과,
1) 배소덱스틀니을 α-아밀라아제 및 글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 경우에 생성된 글루코오스 등의 단당류(글루코오스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글루코오스라 기재한다)의 대부분은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제거될 수 있을 것.
2) 소화성의 글루코오스의 1/2이상을 분리 제거해서 얻은 난소화구분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75%이상으로서 식물섬유의 함량은 13%이상이며, 칼로리 값 1.2다같이 1.2Kcal/g이하일 것.
3) 다시 또 글루코오스의 대부분을 분리 제거한 경우의 난소화 구분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90%이상으로서 식물섬유의 함량은 20%이상이며 칼로리 값 1은 1.8Kcal/g이하, 칼로리 값 2는 1.2Kcal/g이하일 것.
4) 다시 또 글루코오스와 함께 2당류나 올리고당을 분리 제거함으로서 더한층 식물 섬유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 등의 신규의 발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 과제는 본 발명의 원료인 배소덱스트린이 구비하여야 할 구조상의 조건을 결정하는 것, 배소덱스트린을 α-아밀라아제 및 글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후 이온 교환수지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소화성의 구분을 분리 제거함으로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얻음으로서 해결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시료(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덱스트린)의 각 분석 데이터는 고형분 환산 값이며, 수평균 분자량을 MN, 중량 평균 분자량을 MW,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는 MW/MN으로 기재한다.
또, 1→4 결합만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를 1→4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를 기재한다.
1→6 결합, 1→3결합에 대해서도 같은 모양으로 기재한다.
또, 식품예의 시료에는 함수물의 수치로 표시하고, 이들의 식물섬유와 칼로리 값은 난소화성 덱스트린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시떼이 니혼 쇼꾸힌 표준 성분표(1982 과학기술청 자원조사회편)에 의해 산출했다.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전분은 옥수수전분이며 촉매로서 산을 첨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산으로서도 각종의 것이 있으나 식품용이기 때문에 염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제품으로서는 식품용으로서의 필요성으로부터 그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은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각기 75%이상, 13%이상으로 칼로리 값 1은 2.6Kcal/g이하, 칼로리 값 2는 2Kcal/g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이외의 구분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90%이상 식물섬유의 함량이 20%이상으로 칼로리 값 1은 1.8Kcal/g이하, 칼로리 값 2는 1.2Kcal/g이하의 것에 한정된다.
또한, 배소덱스트린중에서 종래로부터 식품용이나 의약용에 많이 사용되는 백색덱스트린에서는 난소화부 함량이 30%이하로서 식물섬유의 함량이 3%이하이며 칼로리 값 1.2 모두 3.9Kcal/g정도로서 식품용으로서의 용도에 사용할 수가 없다.
또,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30%이상 식물섬유의 함량이 12%이상 칼로리 값 1.2모두 3Kcal/g이하가 되면 자극성의 맛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원료인 배소덱스트린은 염산의 첨가량은 1%전후의 농도의 수용액을 전분에 대해 수%정도(3-10%)이다.
가열 처리전에 산수용액을 첨가하기 때문에 전분과 산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믹서중에서 교반 숙성시켜서 종래의 산첨가배소덱스트린(백색 덱스트린, 황색 덱스트린)의 가열 조건과는 다르고, 150-200℃에서 10분-120분 바람직하게는 15분 60분의 가열처리해서 얻는 것이다.
반응시의 온도는 높은 쪽이 목적 생성물중의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이 증가하여 칼로리 값이 저하하지만 180℃부근에서부터 착색물질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80℃이다.
가열장치를 선택함으로서 고온 단 시간의 반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균일한 반응을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가열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 분말 상태에서의 반응이기 때문에 대규모 생산의 경우는 가열조건을 변경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가열 처리후의 제품의 품질을 검토한 후 적절히 가열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배소덱스트린을 물에 용해시켜서 20-45%의 농도로 해서 α-아밀라아제로 이어서 글루코아밀라아제로 가수 분해한다.
α-아밀라아제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타마밀(노보사제 Bacilluslicheniformis가 생산하는 내열성 α-아밀라아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배소덱스트린의 용액은 배소시에 첨가한 산 때문에 산성이 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 아밀라아제의 최적 pH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의 알칼리가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지만 수산화나트륨이 용액으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H는 5.5-6.5가 바람직하고, 이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저하하고, 높은 경우에는 착색이 현저하게 된다.
pH조정후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지만 첨가량은 통상은 0.05-0.2%정도이다.
반응온도는 말토덱스트린의 제조와 같이 특히 고온일 필요는 없고, 특히 고온에서는 착색이 촉진되기 때문에 80-90℃가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통상 1시간 정도로 충분하다.
다음에 글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하지만 이 글루코아밀라아제는 시판품의 어느것이나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 일반의 글루코 아밀라아제는 약간의 α-아밀라아제가 혼재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며 이 때문에 글루코 아밀라아제의 단독 사용으로도 α-아밀라아제와 글루코 아밀라아제의 병용 작용이 발휘되지만 이 혼재량이 적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에 비해 약간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α-아밀라아제와 글루코 아밀라아의 병용이다.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작용시의 pH는 4.0-6.0이 바람지갛다.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첨가량도 마찬가지로 0.05-0.2%정도이다.
반응정도는 55-60℃정도이며, 분해시간은 통상 24-48시간 정도이다.
또한, 아밀라아제의 첨가량을 양 아밀라아제 모두 전기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밀라아제의 적가에 따라 동등한 양을 첨가하면 된다.
또, 첨가량을 증감하므로서 반응시간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가 있다.
또, α-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 후에 가수분해액을 115-135℃로 가압 증기처리를 한 후에 재차 α-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고, 글루코 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므로서 정제시의 여과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글루코 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킨 후 pH를 3.5전후로 저하시키고, 다음에 액체온도를 80℃전후까지 상승시키고, 이후는 통상의 활성탄탈색, 여과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탈염, 탈색을 행한다.
다음에 50%정도의 농도까지 농축해서 연속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된 글루코오스를 분리 제거한다.
이 경우에 시판의 강산성 양 이온 교환수지가 널리 사용된다.
이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안바라이트 IR-116, 동IR-118, 동IR-120-B 동XT-1022E, 동XT-471F(이상 상품명 오루가노 사제)다이야 이온 2K-1B, 동SKK-102, 동SK-104, 동SK-106, 동SK-110, 동SK-112, 동SK-116, 동FR-01(이상 상품명 비쓰비시 가세이제) XFS-43281.00 동 43280.00 동 43279.00 동 43278.00(이상 상품명 다우 케미칼 일본사제)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이온수지는 사용전에 알칼리 금속형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형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소화구분과 글루코오스 구분의 분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사용수지에 따라 칼럼 통액시의 유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속은 SV=0.1-0.6 바람직하게는 SV=0.2-0.4이다.
이 유속범위 외에서는 작업성이나 분리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통액시의 온도는 20-70℃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이보다 온도가 낮으면 분리가 나빠지고, 액의 점도가 올라가서 수지장해를 주는 일이 있다.
또 이보다 고온이 되면 액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기타의 품질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이 분리처리에 의해 글루코오스의 함량을 0.5%정도까지 저하시킬 수가 잇으나, 분리의 조건을 변경하므로서 글루코오스의 함량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글루코오스를 감미원등에 이용하고 싶은 경우는 글루코오스의 함량을 높인 제품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글루코 아밀라아제 처리후의 글루코오스 함량이 50%의 경우에 그 1/2인 25%를 분리하므로서, 전체의 글루코오스함량 약 33%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또 분리처리시에 글루코오스와 함께 올리고당 등의 중간정도의 분자량의 구분도 분리하므로서 식품섬유의 함량을 90%정도로 높일 수도 있다.
[실험예]
1. 난소화성성분 함량의 측정방법.
측정방법은 하기의 「난소화성 성분의 정량법」
(전분과학, 제37권, 제2호, 107쪽 평성 2년)의 개량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시료 1g을 정평하여 0.05m인산완충액(pH 6.0) 50ml를 첨가하고, 타마밀(노보사제의 α-아밀라아제) 0.1ml를 첨가하여 95℃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냉각후 pH4.5로 재조정하여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시그마사제) 0.1ml을 첨가하고, 60℃에서 30분간 반응시켜 90℃까지 온도상승시켜 반응을 종료시킨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을 물로 100ml가 되도록 희석한 후, 피라노스-옥시다아제법으로 용액중에 존재하는 글루코스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 반응전의 샘플의 글루코오스 함량(a) 및 생성된 글루코오스 함량(B)으로부터 하기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난소화성 성분 함량(중량%)=[1-A-(B-A)×0.9]×100
식중 A는 반응전의 글루코스 함량(g), B는 반응후의 글루코오스 함량이다.
2. 글리코시드 결합형식의 정량방법.
측정방법은 하기의 「하꼬모리의 메틸화법」[S 히꼬모리의 J, 마이오케이컬제 55권 205쪽 (1964)]으로 메틸화하고, 가수분해후에 가스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해 각 글리시드 결합 형식의 조성의 정량을 행하였다.
1) 메틸화
탈수화 시료(100-200㎍)을 나사부착 시험관(150×100mm)에 투입하여 0.3ml의 DMSO(디메틸 술폭시드)를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NaH 20mg을 첨가하여 즉시 0.1ml의 요오드화 메틸을 첨가한다.
터치믹서로 6분간 교반후 얼음물에서 냉각시켜 물 2ml를 첨가한다.
2ml의 물을 첨가해서 같은 모양으로 세정한다.
이 조작을 6회 반복한다.
파스툴피펫의 바닥에 면을 깔고, 무수황산 나트륨을 4-5cm의 층이 되도록 채우고, 용액을 통과시켜서 탈수시켜 클로로포름으로 세정한다.
다음에 로타리 증발기로 농축건조 고체화시킨다.
2) 가수분해
메틸화물에 0.5ml의 트리플루오로 초산을 첨가하여 100℃에 4시간 가수분해시켜 로타리 증발기로 60℃에서 농축 건조 고체화시킨다.
3) 환원
가수분해물을 0.5ml의 물로 용해시켜 10mg의 나트륨 브로하이드라이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방치한다.
초산을 몇방울 발포가 정지할 때까지 첨가해서 반응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실온에서 건조시켜서 생성된 붕산을 제거하기 위해 1ml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이 조작을 6회 반복한다.
4) 아세틸화
환원물에 0.5ml의 무수초산을 첨가해서 100℃에서 4시간 가열해서 아세틸화해서 1ml의 톨루엔을 첨가해서 로타리 증발기로 농축 건조 고체화시킨다.
5) 탈염
아세틸화물을 1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1ml의 물을 첨가해서 잘 흔들어 섞은 다음에 물에 층을 버린다.
이 조작을 5회 반복해서 최후에 클로로포름을 로타리 증발기로 증발시킨다.
6) 용해
탈염물을 0.5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다.
7)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
칼럼 : DB-1퓨우즈 실리카 캐필러리칼럼
60m×0.255mm ID1.0㎛필름
칼럼온도 : 50℃에서 1분 280℃까지
10℃/분으로 온도상승, 유지
시료기 화실온도 : 300℃
검출온도 : 300℃
유속 : 2.5ml/분 헬륨
검출기 장치 :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
3. MN과 MW의 측정법
글루코오스의 정량에 사용한 용액을 혼상식 이온교환수지의 칼럼에 SV1.0로 통액해서 탈염하고, 용출액을 로타리 증발기를 사용하여 5%농도까지 농축해서 시료액으로 한다.
이 시료 20㎕를 하기의 조건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다.
칼럼 : 소덱스 이온팩 S-802, S-804, S-805, S-805
용래액 : 1ml/min물
칼럼압력 : 40Kg/Cm2
칼럼온도 : 60℃
검출기 : RI
데이터 처리장치 : 히다찌 D-2000형 GPC데이터 처리장치
표준시료 : 글루코오스, 풀루란(분자량 기지)
측정결과로부터 하기식으로서 평균분자량을 구했다.
Hi : 피이크 높이
Mi : 풀루란의 분자량
QF : Q계수(Mark-Hauwink 계수)
4. 글루코오스의 정량방법
1g의 시료를 100ml의 메스플라스콜에 정밀히 달아서 증류수로 용해시켜 메스업한다.
이 용액에 대해 필라노오스 옥시다아제(교와 메덱사제 : 데타미나GL-E를 사용)법에 의해 정량한다.
5. 식물섬유 함량의 정량방법
식물섬유의 정량은 하기 프로스키법 [985.29호, 음식물내의 식물섬유 총함량,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OAC, 15rh, Ed., 1990, P.1105-1106.]으로 정량한다.
6. 칼로리 값의 측정방법 - 1
측정방법은 하기의 「수용성의 저칼로리 당질을 사용한 후 생성 고시에 의한 특정 보건용 식품의 생리적 연소열의 측정」에 의해 측정했다.
(1) 시약 기타
(a) 소모기동시약
주석선 칼륨. 나트륨 90g 인산나트륨 (Na2HPO4, 12H2O 225g을 증류수 700ml에 용해시켜 여기에 황산동 (CuSO4.5H2O)30g, 요오드산 칼륨(KIPO3)3.5g을 순차로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이것을 증류수로 전량 1000ml로 한다.
(b) 로우리 시약
A 액 : 1% 황산동(CuSO4·5H2O)와 2.2% 주석산 칼륨·나트륨을 1 : 1로 혼합한 것.
B액 : 페놀시약 1에 대해 증류수 0.8의 비율로 혼합한 것.
(c) 당 알코올 측정장치
F-장치 : 베링거만하임 야마노우찌 세이야꾸(주)제
F-장치 D-솔비톨/크실리톨.
(d) 디아스타아제용액
2% 디아스타아제(니혼 약 교주)용액
(e) 히드록실아민 피리딘 용액
히드록실아민 100ml을 피리딘 10ml에 용해시킨 것.
(f)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
FID 가스크로마토그래프, 5% SE30, 크로모솔브 W,
내경 3-4mm, 길이 2m의 유리칼럼 또는 스테인 레스칼럼,
칼럼온도 185℃ 반송가스 80ml/분.
(2) 총 수용성 환원당의 측정
(a) 시험용액의 조제.
시료가스 소당류만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물 또는 80%에탄올을 사용해서 또 전분등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80%에탄올로 소당류를 완전히 추출한다.
추출액을 감압하(60℃이하)로 농축하여 찌꺼기를 소량의 50mM
말레산-Na완충액(pH6.0)에 완전히 용해시켜 글루코오스 약 500mg%가 되도록 조제한다.
(b) 조작
시험용액 1에 대해 1N-염산 2의 비율로 첨가하여 100℃에서 20시간 비등탕조 중에서 가열한다.
냉각후 1N-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브로모티올 청색시험지)얻어진 용액에 대해 환원당을 소모기법으로 5,6탄당 알코올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F-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얻어진 당질의 화를 총수용성 단류량(A)로 한다.
(c) 소모기법
시험용액 7.5ml(환원당으로서 1-10mg)에 소모기액 2.5ml를 첨가해서 100℃에서 10분간 가열 냉각후, 5% 요오드화 칼륨(KI)용액 2ml, 2N-황산 3ml를 첨가해서 잘 혼합하낟.
이것은 1/40N-티오황산나트륨(Na2SO3·5H2O)로 적정한다.
표준당류로서 글루코오스를 사용한다.
얻어진 정정치로부터 시험용액으로 당량을 얻는다.
(d) 당 알코올의 측정
솔비톨, 크실리톨량은 총 수용액 당량 측정을 위해 가수분해한 시험용액을 적당히 희석시켜 F-장치를 사용해 측정한다.
총 수용성 당량 측정을 위해 가수분해한 시험용액을 감압하 60℃이하에서 농축하여, 최종농도가 80%이상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비등탕조중에서 30분간 가열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하 60℃이하에서 농축한다.
여기에 80%에탄올을 첨가해서 일정량으로 한다.
이 용액 5ml를 취하여 감압하에서 완전히 용매를 제거한다.
잔류물을 피리딘 1ml에 용해시켜 히드록실 아민피리딘용액 1ml를 첨가하여 5분간 방지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한다.
잔류물에 벤젠 1ml를 첨가하고, 다시 또 감압하에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피리딘 2ml를 첨가해서 잔류물을 용해시킨다.
용해후에 헥사메틸디실란 0.2ml 및 트리메틸시란 0.1ml를 첨가하여 잘 혼합시킨 후 실온에서 15분 이상 방치후 피리딘으로 일량으로 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절대 검량으로 정량한다.
(3) 불용성 전분의 측정
(a) 전분을 함유하는 시료에 대해서는 건조물로서 2.5-3.5mg에 상당하는 시료를 사용해서 총수용성 당류의 추출과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80% 에탄올 추출 잔류물을 200ml의 물에 분산시켜 이것을 비등탕조 중에 첨지시켜 계속 혼합시키면서 15분간 가열한다.
이어서, 55℃로 냉각시키고, 디아스타아제 용액 10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1시간 방치한다.
이때 반응액중의 잔류물이 요오드전분 반응 양성을 나타내는 때에는 디아스타아제 용액을 다시 한 번 첨가하고 소화를 행한다.
요오드 전분 반응이 음성으로 된 디아스타아제 처리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해서 250ml로 하고, 여과지로 여과시킨다.
여과액에 2.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고, 비등탕 조중에서 2.5시간 가열한다.
냉각소 10%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여과액을 적당히 희석시켜 소모기법에 의해 글루코오스를 측정하고 얻어진 글루코오스 양에 0.9를 곱해서 전분의 양으로 한다.(A')
(4) 소장에 있어서의 소화흡수다어의 측정
(a) 효소 소화당류의 측정
1) 시판의 쥐소장 아세톤 불말용액의 조제
시그마사제 쥐소장 아세톤분말에 생리식염수(0.9% NaCl)을 첨가해서 현탁액(100ml/ml)로 하고, 초음파 처리(60초 3회)후 원심분리(3000rpm, 30분)하고, 상청액을 효소액으로 한다.
이 효소액의 단백질량은 로오리법으로 측정한다.
역각가 수크로오스 물분해 능력으로 약 0.1mg/mg, 단백질/시간 이상이 되도록 조제한다.
2) 쥐소장 아세톤 분말에 의한 소화시험
시료로서 총수용성 당류량의 측정을 위해 조제한 80% 에탄올 혹은 물의 추출액을 농축후 50mm 말레산-Na완충액(pH6.0)로 희석시키고, 당 농도를 1-4%가 되도록 조제한다.
이 용액 1.0ml와 효소용액 1.0ml을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반응 후 비등탕욕조중에서 10분간 가열 활성화를 일헥 하여 원심분리후(300rpm, 30분) 상청액에 대해 소모기법으로 환원당량을 F-장치 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당알코올량을 각각 측정하여 그 합을 효소 소화흡수성 당량으로 한다. 이때 시료에는 처음부터 단일당으로서 존재한 환원당 및 당알코올도 포함해서 측정한다.
분해율은 소화 흡수성 당량을 총 수용성 당량으로 나눈것으로 한다. 대조시험으로서 총 수용성당량과 동량의 수크로오스 또는 말토오스에 대해 같은 조작을 한다. 대조시험에서 수크로오스를 사용한 때의 분해율은 20%이상으로 한다.
여기서 얻어진 수크로오스 또는 말토오스에 대한 분해율과 피검사당에서 얻어진 분해율의 비를 소장소화흡수율로 하고, 여기에 총 수용성 환원당량을 곱한 것을 총소화흡수성 환원당량(B)로 하고, 총 당알코올을 곱해서 얻은 값을 옹 소화흡수성당알코올량(C)로 한다.
대조당으로서 수크로오스 또는 말토오스의 어느 것을 사용하였는가의 선택은 다음의 방법으로 행한다.
쥐소장아세톤 분말에 의한 소화시험과 같은 조건으로 피검사당의 1/2량의 말토오스를 기초재질로 해서 소화시험을 행하고, 소화되어서 생성된 글루코오스가 피검사당의 소화시험에서 생성된 당, 당알코올의 화의 10배이하의 경우에는 대조당으로서 말토오스를 사용한다. 10배보다 큰 경우에는 수크로오스를 사용한다.
3) 단백질의 정량
시료 0.1ml(단백질로서 20-100㎍함유)에 1N-수산화나트륨 0.3ml를 첨가하고, 15분 이상 방치한다. 여기에 A액 30ml를 첨가하고, 10분간 실온에 방치한다. 다음에 B액 0.3ml를 첨가하고, 30분후 750mm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단백질로서 소혈청 알부민을 사용한다.
(5) 생리적 연소열의 산출식
생리적 연소열은 소화 흡수 및 발효 흡수에 의한 유효에너지 양의 합이 된다.
따라서 생리적 연소열은(Kcal/g)=(전분A')×4
+(총소화흡수성 환원당량 : B)×4
+(총소화흡수성 당 알코올량 : C)×2.8
+(총수용성 당류 : A)-(총소화흡수성 환원 당량 : B)
+(총소화흡수성 당알코올량 : C)×0.5(주 1)×1.9
주 1 : 대장에 있어서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발효성 당의 비
7. 칼로리 값의 측정방법-2
시료의 유효 칼로리 값을 상부소화관까지의 소화흡수에 의해 생긴 칼로리 값과, 대장에 도달한 후 장내 발효에 의해 생긴 칼로리 값의 합에 의해 구했다.
시험 1, 소장까지의 상부소화관에서 소화흡수에 의해 생긴 칼로리 값의 측정방법.
시료를 0.9mM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45mM (네스)트리스완충액(pH6.0)에 용해시켜서 4.55%용액으로 하고, 여기에 사람의 타액 α-아밀라에제(시그마형 IX-A)를 160u/g를 첨가해서 37℃에 30분간 반응시켰다.
효소를 활성화를 잃게 한 후에 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탈염해서 농도를 1.1%로 조정한다.
다음에 2ml의 50mM염산-염화칼륨 완충액(pH 2.0)에 이 수용액 4ml첨가하고, 37℃에서 100분간 유지한다.
이것을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탈염한다.
다음에 이탈염액에 0.9mM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45mM (비스)트리스완충액(pH 6.0)을 첨가해서 농도가 0.45%가 되도록 조정하고, 여기에 돼지 췌장 아미랄아제(베링거만하임 야마노우찌(주)제)를 400u/g 작용시켜, 37℃에서 6시간 반응시킨다. 효소를 활성화를 잃게 한 후에 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탈염하고, 농축후에 동결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얻은 분말시료를 45mM 말레산 나트륨 완충액(pH 6.0)에 용해시켜서 0.45%용액으로 하고, 쥐소장 점막효소(시그마사제)를 86u/g 작용시켜 37℃에서 3시간 반응후에 생성된 글루코오스량을 피라노오스 옥시다아제법에 의해 측정했다. 다음에 소화흡수에 의해 생긴 칼로리 값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시험 2. 장대발효에 의해 생기는 칼로리 값의 확정방법.
하기에 나타내는 쥐를 사용한 성장곡선법에 의해 대장에 도달한 구획분의 칼로리 값을 구했다.
[표 1]
실험실환경 및 표 1에 나타낸 기본사료에 익숙해지게 할 목적으로 5일간 예비사육한 쥐를 체중과 건강상태를 확인한 후 무리로 나누었다.
(10마리/ 구획)전체 실험군의 평균초기체중은 79.6-88.8g이며 각군의 체중폭은 9-16g이다. 모든 시험성분과 기본사료의 보유 칼로리 값은 폭발 열량계로 측정했다
[표 2]
균으로 나눈 후 각 쥐는 철제 우리에서 개별사육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실험계획에 의해 먹이를 공급했다.
기본사료는 모두 쥐가 섭취하고, 5.4g/쥐/Kg(22.6Kcal/쥐/일)을 공급했다. 시험군은 기본사료에 다시 또 글루코오스 또는 상기한 시료를 0.5, 1.0, 2.0 및 4.0g 첨가했다. 즉, 칼로리로서 약 2,4,8 및 16Kcal/쥐/일 첨가한 사료를 공급했다.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고, 체중증가는 제 0,5,10 및 15일째에 측정했다.
또한, 일반상태의 관찰은 매일행했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글루코스의 칼로리 값은 4Kcal/g이다.
표 3의 결과로부터 동물실험에 의한 칼로리 값은 다음과 같다.
No. 4와 8의 비;
0.027 : 0.008=4 : X, ∴ X=0.008×4÷0.027=1.185Kcal/g이 된다.
No. 5와 9의 비;
0.041 : 0.016-4 : Y, ∴ Y=0.016×4÷0.041=1.561Kcal/g이 된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평균 칼로리 값=(1.185+1.561)÷2≒1.37Kcal/g
또, 시료의 사어부소화관에서의 소화흡수에 생긴 칼로리 값은 시험 1로부터
따라서, 장내 발효에 의해 생긴 칼로리 값은
1.37-0.39=0.98Kcal/g이다.
이 데이터로부터 덱스트린의 장내발효에 의해 생기는 칼로리 값은,
0.98÷0.912(대장에 도달한 비율)=1.07Kcal/g=약 1Kcal/g=약 1Kcal/g이다.
따라서, 칼로리값의 산출방법은 시험 1과 시험 2의 방법에 의해 하기식을 사용하여 산출했다.
[실험예 1]
시판의 옥수수전분 15Kg에 1% 염산용액 1.125ml를 분무하여 다시 또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후 알루미늄 패드에 넣어 건조기로 120℃에서 1시간 예비 건조시키고, 이어서 165℃에서 180분 가열처리했다.
이 가열처리의 도중에서 10분 15분, 30분, 60분, 120분, 180분 경과시에 각 2Kg의 시료를 채취하여 합계 6점의 시료를 얻었다.
이 시료에 대해 글루코오스 각종의 글리코시드 결합의 함량과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 칼로리 값 1, 칼로리 값 2 및 MN과 MW를 분석한 결과 비환원성 말단의 글루코오스 잔기 1→4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1→6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1→3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및 동일 글루코오스 잔기내에 1→4결합과 1→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및 동일 글루코오스 잔기내에 1→결합과 1→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1→3결합과 1→4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 및 1→2 결합과 1→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와 기타의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가 검출되었다.
또한, 이 정량법에서는 글루코오스가 비환원성 말단의 글루코오스잔기로서 정량되기 때문에 이 수치로부터 글루코오스의 수치를 감하여 비환의 말단의 글루코오스 잔기로 했다.
이들 수치를 제4표에 나타낸다.
또한, 이 정량법은 복잡한 방법이며, 통상의 오차는 ±5%정도이며 최저라도 ±2%정도는 부득이한 것이라 생각된다.
[표 4]
표 4에 있어서 180분간 가열한 시료에 대해서는 장시간의 가열로 전분의 구성당이 파괴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 시료를 제외하고 검토하면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은 가열시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칼로리값은 반비례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각종이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은 1→6 글리코시드 결합 1→3 글리코시드 결합 동일 글루코오스 잔기중에 1→4 및 1→6과 1→2 및 1→4의 2개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것 및 기타의 결합을 갖는 것이 가열시간에 비례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 1→4결합만이 가열시간에 반비례해서 감소하고 있다.
또, MN과 MW/MN은 가열 15분까지는 감소한 것이 30분후 이후는 재차 가열시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가열시간과 각종의 글리코시드 결합 및 평균 분자량의 변화는 본 실험에 의해 처음으로 얻어진 발견이다.
[실험예 2]
다음에 실험예 1의 6종류의 시료의 각 1Kg에 대한 2ℓ의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으로 pH 6.0으로 조정하여 α-아밀라아제(타말 60L노보사제)를 2중량% 첨가해서 86℃에서 1시간 가수분해했다.
다음에 그 액을 온도 55℃로 냉각시켜서 pH 5.5로 조정하고, 글루코 아밀라아제(아마노세이야쿠(주)제)를 0.2중량%첨가해서 36시간 가수분해했다.
여기서, pH 3.5로 조정해서 글루코 아밀라아제의 작용을 정지시켰다.
이 액을 활성탄에 의한 탈색여과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탈염등의 정제를 행했다.
이 시료액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분석을 행하였다.
이 분석치를 표 5에 나타낸다.
또, 글루코 아밀라아제를 첨가하기 전의 액을 사용해서 구헌 MW및 MW/MN의 값을 표 6에 나타낸다.
[표 5]
[표 6]
표 5에 있어서의 최대의 특징은,
1) 1→4 글루코시드 결합구분이 현저히 감소되고 있으나 또한, 약 16-19%는 분해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글루코 아밀라아제에 의해 거의 완전히 분해되어야 할 1→4글리코시드 결합내에 분해되지 않은 것이 16-19%나 존재하고 있는 것이며,
2) 1→4 글리코시드 결합 이외의 구분에 대해서는 현저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것이며, 또 칼로리 값이 거의 증가하지 않은 것은 저칼로리 구분이 α-아밀라아제와 글루코 아밀라아제에 의해 거의 분해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3) 다시 또 1예로서 10분 가열의 시료에 대해 글루코오스의 1/2의 제거했다고 하면 식물섬유의 함량을 13.3%에 상당한다.
4) MW/MN을 41.6-220으로 종래기술의 20이하와 비교해서 극단적으로 큰 값이다.
표 6에 있어서는 글루코 아밀라아제에 의한 가수분해전에 있어서도 MW/MN이 약 36-약 280으로 높은 값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는 본 실험에 의해 처음으로 얻어진 발견이다.
[실험예 3]
다음에 실험예 2의 6종류의 시료액을 각각 농축해서 50%용액 약 1.5ℓ을 얻었다.
이 용액 1ℓ를 알킬리금속형으로 한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인 XFS-43279.00(다우 케미컬 일본사세) 10ℓ를 충전한 칼럼에 액체온도 60℃ SV=0.25통액하여 이어서 물을 통수해서 난소화 구분을 채취(글루고오스 구분을 분리 제거)했다.
이 시료액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분석을 행한 결과와 평균 분자량의 분석치등을 표 7에 나타낸다.
단, 표 7에서는 수치를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에 대한 값으로 표현했다.
또,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측정한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을 100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함량(%)를 감한 수치로 나누어서 100을 곱한 값이다.
같은 모양으로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식물섬유의 함량(%)은 측정한 식물섬유의 함량을 100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함량(%)을 감한 수치로 나누어서 100을 곱한 값이다.
또, 같은 모양으로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칼로리 값은 측정한 칼로리 값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함량(5)에 4(글루코오스 1g의 칼로리 값)을 곱해서 나눈 수치를 합한 값이다.
또, 이론수율은 100으로부터 표 5의 글루코오스 양을 감한 수치이다.
[표 7]
표 7에 있어서 난소화성 성분과 함량과 칼로리 값은 어느 것이나 동등하지만 식물섬유의 함량은 가열시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또, 이론수율은 난소화성 성분 식물섬유 저칼로리 성분의 생성률에 상당하는 것이며, MN, MW와 MW/MN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과 MW/MN이 25이상의 경우에 이론수율이 약 65%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이 명백해 졌다.
이것은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글루코오스 구분을 분리 처리하기 전의 가수분해물중의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유율이 높고 칼로리 값이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글루코오스를 포함한 전체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표 7에 함량에 100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함량(%)을 감한 수치를 곱해서 100으로 나누므로서 용이하게 구해진다.
같은 모양으로 글루코오스를 포함한 전체의 식물섬유의 함량은 표 7의 함량에 100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함량(%)를 감한 수치를 곱해서 100으로 나누므로서 구해진다.
또, 글루코오스를 포함한 전체의 칼로리 값은 제7표의 칼로리 값에 글루코오스 함량(%)에 4를 곱해서 100으로 나눈 수치를 가산하므로서 구해진다.)
여기서, 이 중요한 MN과 각 글리코시드 결합 형식의 관계를 변수간의 상관을 구할 수가 있는 회귀 분석에 의해 해석해서 상관식과 상관계수를 얻었다.
회귀분석은 구성당이 파괴되었다고 생각되는 180분 가열한 시료를 제외한 5종류의 시료의 각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로코오스 잔기의 양을 설명변수로 하고, MN을 목적 변수로 해서 분석했다.
얻어진 8종류의 관계식과 상관계수를 표 8에 나타낸다.
Y = A0+An, Xn
단, Y···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MN
X1···비환원성 말단의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2···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3···1→6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4···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5···1→4와 1→6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6···1→3과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7···1→2와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X8···상기 이외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
[표 8]
이 결과 MN은 8종류의 글리코시드 결합중에서 X2(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과의 상관이 가장 큰(VY 8의 NO.2의 상관 계수가 0.997)관계식이 얻어졌다.
이 관계식(이후는 식 1로 기재한다)으로부터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이 적을수록 MN이 커지는 것 즉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유율이 크고, 칼로리 값이 적은 것과의 발견을 얻는 것이다.
[실험예 4]
시판의 옥수수 전분 300kg에 대해 3%염산을 5.8ℓ첨가하고, 실험예 1과 같은 처리를 해서 180℃에서 30분간 가열처리를 한 것 이외는 실험예 1과 같은 처리를 하고 이어서 실험 2, 실험예 3과 같은 처리를 해서 시료액을 얻었다.
이것을 실험예 3과 같이 분석을 행하였다.
[실험예 5]
시판의 옥수수 전분 300kg에 대해 2%염산을 9ℓ첨가하고, 실험예 1과 같이 처리하고 150℃에서 60분간 가열 처리하고 실험예 4와 같이 처리해서 시료액을 얻었다.
이것을 실험예 3과 같이 분석했다.
실험예 4와 실험예 5의 분석결과와 MN에 대해서는 식 1에 의한 계산치와의 대비를 합해서 표 9에 나타낸다.
[표 9]
계산치의 실측치로부터의 변동폭은 실험예 4에서 -4.1%, 실험예 5에서는 +7.9%였다.
[실험예 6]
다음에 실험예 2의 30분 가열한 시료액을 농축해서 50%용액 약 1.5ℓ를 얻었다.
이 용액 100ml를 나트륨형으로해서 풀루란에 의해 분자량 보정을 행한 스티렌 디비닐 벤젠 혼성중합체인 이온팩 S-2006(쇼와덴꼬사제) 160ml를 충전한 칼럼에 칼럼온도를 60℃로 유지해서 SV=0.25로 통액하고, 이어서 물을 통수해서 4구분을 채취(글루코오스와 올리고당의 분리)했다.
이 각 시료액에 대해 식물섬유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표 7에 있어서는 식물섬유의 함량이 37.4%였던 것이 표 10에서는 최대 90.3%까지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1]
시판의 감자전분 300kg에 대해 1% 염산을 22.5l첨가하고, 실험예 1과 같은 처리를 해서 160℃에서 1시간 가열처리를 행하고, 실험예 4와 같이 처리해서 시료액을 얻었다.
이것을 실험예 4와 같이 분석해서 식 1에 의해 MN의 계산치를 구했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
표 11에 있어서는 MN의 계산치의 실측치로부터의 변동폭은 비교예 1에서는 +23.7%이며, 비교예 2에서는 +21.8%로 어느 시료에 대해서도 극단적으로 크고, 식 1에 의한 1→4 글리코시드 결합의 함량과 MN의 사이에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는것이 명백하며, 이것은 동일조건에서 가열처리를 행해도 원료전분의 종류가 다르면 생성물의 구조가 크게 다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6-2]
실험예 1,4,5에서 얻어진 배소덱스트린의 시료합계 8점에 대해 착색의 정도를 케트광전백도계로 청색필터를 사용해서 산화마그네슘의 백색도를 100으로 해서 시료의 백색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
[실험예 7]
(임상시험)
건강한 남자 10명에 시험기간 2주간 시료 A10g의 투여시험을 행하였다.
시험기간의 제1주 및 제2주의 식사내용과 양을 동일하게 하고,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아침식사후에 각각 섭취시키고, 채변은 배변때마다 실시하고, 변의 습도중량, 변의 건조중량, 변의 함수율 배변회수에 대해 기록했다.
그 결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의 총량의 증가작용을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표중의 치수는 시험의 평균치 ±표준오차 *표시는 무섭취 기간에 대해 위험률 5%로 중요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13]
[실험예 8]
(임상시험)
시표 B의 개선효과에 대해 검토했다.
변비경향이 있는 지원자 25명에 대해 정량을 5일 이상 투여하고, 앙케이트 조사에 의해 투여전과 투여후의 배변의 변화를 조사했다.
앙케이트의 조사항목에 대해 하기의 기준에 의해 점수 처리를 행하는 투여전과 투여후에 대해서의 통계처리에 의해 효과의 확인을 행하였다.
(1) 배변회수
1회이상/1일······4점
1회 / 1일······3점
1회 / 2일······2점
1회 / 3일······2점
(2) 배변량
많음······4점
보통······3점
적음······2점
없음······1점
(3) 변의 성상
바나나상 절반 반죽상······2점
단단한 상 ······1점
(4) 배변후의 감각
시원한 감 있음······2점
잔변감 있음 ······1점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표에서는 *표시는 투여전에 대해 위험률 5%로 중요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14]
표 14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 5g이상의 투여로 변비 개선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9]
(동물실험)
초기 체중 50g의 스프라그 다우리계 수쥐(6마리/그룹)를 23±2℃로 조정된 소동물 사육실에 설치한 개별 우리에 수용하여 시판의 합성사료로 1주간 예비사육한 후 표 15에 나타내는 기본사료, 기본사료에 시료 A를 각 5%첨가한 것, 기본사료에 셀롤로오스[아비셀 : 산요고꾸사구 펄프(주)제]를 5% 첨가한 것으로 각각 7일간 사육했다.
물 및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시키고, 사료 섭취량과 체중 변화를 매일 기록했다.
7일째에 탈혈 도살하여 맹장을 적출해서 중량과 맹장 내용물의 pHㅁ ㅣㅊ 부티르산의 양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평균치를 표 16에 나타낸다.
[표 15]
[표 16]
[실험예 10]
(동물실험)
쥐를 사용한 영양실험에 있어서 시료 A,B,C의 혈청지질 개선작용을 검토했다.
초기체중 50g의 스프라그 다우리계 수쥐(생후 3주일 일본 구레아사)를 표 15에 나타내는 고당식(기본사료)로 2주간 예비사육후 3군(16마리/그룹)으로 나누어 제1군에는(조정군)기본사료를 제2군(시료 A군) 제3군(시료 B군) 및 기본사료 95부에 시료 A 및 시료 B를 각각 5부 첨가한 시험사료를 공급하고, 9주간 사육했다.
사료 및 음료수는 자유로이 섭취시키고, 9주일째에 4시간 절식후 채혈하여 혈청총 콜레스테롤치 및 중성지방치를 효소법 방치(와꼬준야꾸(주)제)로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표 17]
결과는 모두 각 시험군에 대해 평균치 ±표ㅈ둔오차로 나타냈다.
또, 사료 효율은 식 2에 의해 산출했다.
식 2 :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섭취량
표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군간에서 체중중가 및 사료효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시료 A, B를 배합한 사료로 사육한 쥐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 및 중성지방치는 각각 조성군에 비해 명백히 낮은 값이었다.
특히, 시료 A와 B의 효과가 현저한 것이 증명되었고, 시료 A쪽이 시료 B보다 약간 우수한 것이 증명되었다.
[실험예 11]
(임상시험)
시료 A 10g을 100ml의 물에 용해시켜 1일 3회 매식전 경구 투여했다.
투여기간은 2개월간으로 하고, 시험기간중 식사습관을 변경하지 않고, 통상의 일상활동을 행하게 했다.
피실험자 10예의 연령은 33-59세(평균 50.3세) 신장은 158-173cm(평균 164.8cm) 체중은 52-82kg(평균 68.8kg)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치는 시료 A투여후 정상치(120-250mg/dl)로 향해 변화했다.
즉, 투여전에 정상치보다 높은 값 인자는 저하하고, 정상치 이하의 낮은자는 정상치 영역으로 들어갔다.
같은 결과가 중성지방치에 대해서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료 A는 현저한 혈청지질 대사 개선효과를 갖는 것이 증명되었다.
[실험데이터의 해석결괄의 요약]
상기한 실험데이터의 해석결과를 요약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소덱스트린을 α-아밀라에제 및 글루코 아밀라아제에 의해 분해해서 얻어진 덱스트린은 종래에 공지의 배소덱스트린과는 다음의 점에서 크게 다르게 되어있다.
즉, 글루코오서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1)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최대 98.3%이며 식물섬유의 함량이 최대 45.1%이며, 다시 또 올리고당 구분도 제거한 경우 식물 섬유의 함량이 최대 90.3%에 달하고 칼로리 값 1이 최소 1.6Kcal/g이며 칼로리 값 2가 최소 1.05Kcal/g이며,
(2) MN이 종래의 배소덱스트린의 1300이상에 대해 약 990-1300으로 MX/MN이 25이상의 경우에 이론 수율이 약 65%이상이며, 또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이 MW/MN의 값에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칼로리 값이 반비례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3)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이 공지의 배소덱스트린의 약 57%이상에 대해 약 25-35%이며,
(4) 1→6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이 종래의 배소덱스트린의 3%이하에 대해 약 최대 11-14%이며,
(5) 1→3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이 종래 번의 배소덱스트린의 1%이하에 대해 약 8-11%이며,
(6) 기타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이 종래법의 20%이상에 대해 9-14%이며,
(7) 다시 또 상기한 식 1로 표시되는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과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MN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것은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과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과 식물섬유의 함량과는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갖고 있다.
(8) 옥수수 전부이외의 전분으로서 감자전분과 타피오카 전분을 같은 모양으로 처리해서 얻어진 생성물의 1→4 글리코시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함량의 식 1에 대입해서 계산해서 얻은 MN은 실측치와는 약 22%이상의 큰 차이가 있고, 이 관계식은 옥수수 전분만에 한정해서 적용되는 관계식인 것이 명백하다.
(9) 난소화성 성분이 증가하면 식물섬유의 함량이 증가해서 칼로리 값이 저하한다.
(10) 또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섭취에 의해 장내의 pH의 저하, 정장(整腸) 작용을 갖는 짧은 사슬지방산의 양을 증가시키는 등 장내의 환경을 개선하고 변비 설사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11) 다시 또 혈청지질 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명백해지고, 이 결과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작용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12) 상기한 생리효과를 갖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식사요법의 소재로서 극히 유용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생성물은 종래의 배소덱스트린에 비하면 난소화성 성분과 식물섬유의 함량이 극히 높고, 칼로리 값이 낮음과 동시에 그 구조가 크게 달라진 신규의 물질인 것이 명백해졌다.
또, 실험데이터로부터 가열시간에 반비례적으로 백색도가 저하하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지만 백색도가 저하하는 것은 가열처리에 의해 착색물질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량의 착색물질이 생성되면 분리처리전의 정제가 곤란하고, 그 때문에 분리처리용의 이온교환수지의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백색도로서 30%이상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이다. 따라서, 가열조건은 표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열온도가 150℃의 경우에는 60분 이하, 165℃의 경우는 45분 이하, 180℃의 경우는 3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시 또 반응의 진행은 첨가하는 산의 양을 증감시킴으로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산의 양을 극단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장치의 부식이나 마모를 초래하기 때문에 원료 전분에 대해 3000ppm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ppm 전후가 적당한 조건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1]
시판의 옥수수전분 2500kg을 리본식 믹서에 넣어 믹서를 회전시키면서 1% 염산용액 188L를 가압공기를 사용해서 분무하고 이어서 분쇄기를 통해서 균일화한 후 다시 또 리본믹서중에서 8시간 숙성시켰다.
이 혼합물을 풀래시 드라이어로 수분 약 4%로 예비건조시킨 후 회전식 킬룬식 배소기에 연속투입하여 165℃에서 40분간 배소해서 배소덱스트린을 얻었다.
이 배소덱스트린을 2000kg에 4000L의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6.0으로 조정하고 α-아밀라아제(타말 60L노보사제)을 0.1중량% 첨가해서 90℃에서 1시간 가수분해했다.
다음에 그 액을 125℃에서 10분간 가압증발시키고 대기압중에 배출시켜서 온도 57℃로 쟁각시키고, pH5.5로 조정하고, 글루코 아밀라아제(아마노세이야쿠(주)제)을 0.1중량% 첨가해서 40시간 가수분해했다.
여기서 pH3.6으로 조정해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작용을 중지시켰다.
이 분해액을 활성탄에 의한 탈색여과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탈염을 행한 후에 농축시켜 50%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 20ℓ를 나트륨형으로 한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인 XFS-43279.00(다우 케미컬 일본사제) 10ℓ를 충전한 연속 크로마토그래프 장치의 칼럼에 60℃ SV=0.25로 통액시키고 이어서 물을 통수시켜서 글루코오스 구분을 분리제거한 난소화구분을 얻었다.
이 액을 농축시켜서 분무건조시켜서 수분 4.4%농도의 난소화성덱스트린 약 5kg을 얻었다.
[실시예 2]
시판의 옥수수전분 2500kg을 리본식믹서에 넣어 믹서를 회전시키면서 2% 염산용액 125ℓ를 가압공기를 사용해서 분무하고 이어서 분쇄기를 통해서 균일화한 후 다시 또 리본믹서중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이 혼합물을 풀래시 드라이어로 수분 약 3%로 예비건조시킨 후 회전식 킬룬식 배소기에 연속투입하여 150℃에서 55분간 배소해서 배소덱스트린을 얻었다.
이 배소덱스트린 2000kg에 3000ℓ의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6.0으로 조정하고 α-아밀라아제 0.05중량% 첨가해서 20분간 가수분해했다.
이 액을 55℃로 냉각시켜 pH 5.5로 조정하여 글루코아밀라아제(아마노세이야쿠(주)제)를 0.2중량% 첨가해서 36시간 가수분해했다.
여기서 pH 3.5로 조정해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작용을 중지시켰다.
이 분해액을 실시예 1과 같이 정제하여 다음에 강산성 이온교환수지로서 칼륨형으로 한 암바라이트 IR-118(오르가노사 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해서 난소화구분을 얻었다.
이 액을 농도 50%로 농축시켜서 분무 건조시켜서 수분 4.2%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약 4.5kg을 얻었다.
[실시예 3]
시판의 옥수수전분 2500kg을 리본식믹서에 넣어 믹서를 회전시키면서 3% 염산용액 100ℓ를 가압공기를 사용해서 분무하고 이어서 분쇄기를 통해서 균일화한 후 다시 또 리본믹서중에서 10시간 숙성시켰다. 이 혼합물을 풀래시 드라이어로 수분 약 3%로 예비건조시킨 후 회전식 킬룬식 배소기에 연속투입하여 150℃에서 55분간 배소해서 배소덱스트린을 얻었다.
이 배소덱스트린 2000kg에 5000ℓ의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5.8으로 조정하고 α-아밀라아제(타말 60L노보사제)을 0.15중량% 첨가해서 86℃에서 1시간 가수분해했다.
다음에 그 액을 55℃로 냉각시키고, pH 5.6로 조정하고 글루코아밀라아제(아마노세이야쿠(주)제)를 0.1중량% 첨가해서 36시간 가수분해했다.
여기서 pH 3.5로 조정해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작용을 중지시켰다.
이후는 실시예 2과 같이 처리해서 수분 4.8%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약 4kg을 얻었다.
[실시예 4]
시판의 옥수수전분 2500kg을 리본식믹서에 넣어 믹서를 회전시키면서 0.5% 염산용액 376ℓ를 가압공기를 사용해서 분무하고 이어서 분쇄기를 통해서 균일화한 후 다시 또 리본믹서중에서 8시간 숙성시켰다.
이 혼합물을 풀래시 드라이어로 수분 약 4%로 예비건조시킨 후 회전식 킬룬식 배소기에 연속투입하여 165℃에서 15분간 배소해서 배소덱스트린을 얻었다.
이 배소덱스트린 2000kg에 4000ℓ의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6.0으로 조정하고 α-아밀라아제(타말 60L노보사제)을 0.1중량% 첨가해서 82℃에서 1시간 가수분해했다.
다음에 그액을 125℃에서 10분간 가압증발시키고 대기압중에 배출시켜서 온도 57℃로 냉각시키고, pH 5.5로 조정하고, 글루코 아밀라아제(아모노세이야쿠(주)제)을 0.1중량% 첨가해서 36시간 가수분해했다.
여기서 pH 3.6으로 조정해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작용을 중지시켰다.
이 분해액을 실시예 1가 같이 정제한 후 농축시켜서 52%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 20ℓ를 나트륨형으로 한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인 다이야이온-116(미쓰비시 가세이사제)101를 충전한 연속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칼럼에 60℃ SV=0.3로 통액시키고 이어서 물을 통수시켜서 생성한 글루코오스 52%를 분리제거한 난소화구분을 얻었다.
이 액을 농축시켜서 농도 70%의 액상 난소화성 덱스트린 약 8kg을 얻었다.
실시예 1-실시예 4에 대해 분리처리전의 글루코오스 양과 분리처리후에 얻어진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대해 같은 모양을 글루코오스양 글루코오스의 제거율 「하꼬모리의 메틸화법」에 의한 각종의 글리코시드 결합의 함량, 전체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난소화성성분의 함량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MN의 실측치와 식 1에 의한 계산치의 실측치로부터의 변동폭 MN, MN 및 배소덱스트린의 백색도를 일괄해서 표 18에 나타낸다.
단 외관의 글루코오스의 제거율은 각 실시에 대해 각각 97.5%, 87.8%, 79.3%, 51.5%이다.
[표 18]
계산치의 실측치로부터의 변동폭은 +8.3%에서 -6.1%의 사이였다.
또 본 발명의 난소화성덱스트린은 거의 모든 식품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식품이란 사람의 식품, 동물원 및 가축사료, 애완동물 등의 사료를 총칭하는 것이다.
전분을 원료로 하는 수용성의 난소화성덱스트린으로서 식물섬유를 함유하고, 저칼로리 중량제로서도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용도로서 종래의 덱스트린이나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는 식품의 모두가 포함된다.
즉 코오피, 홍차, 콜라, 쥬우스 등의 액체 및 분말의 음료류, 빵, 쿠키, 비스킷, 케이크, 피자파이 등이 베이커리류, 우동, 라면, 모밀국수 등의 면류, 스파게티, 마카로니, 페트치네 등의 파스타류, 캔디, 초콜렛, 껌 등의 과자류, 도우넛, 포테이토칩 등의 유과류, 아이스크리임, 쉐이크, 셔벳 등의 냉과류, 크리임, 치이즈, 분유, 연유, 크리이미파우더, 코오피화이드터, 우유음료 등의 유제품, 푸딩, 요구르트, 드링크요구르트, 젤리, 무스, 바바로아 등의 대저트류, 각종 수우프, 스튜, 그라탄, 카레이 등의 레톨트파우치내지 깡통류, 각종 조미료, 된장, 소오스, 케찹, 마오네에즈, 드레싱, 부이욘 각종 루우 등의 조미료류, 햄, 소시지, 햄버거, 미트보울, 콘비이프 등의 육가공품 및 그들의 냉동식품, 필라프, 고로케, 옴렛, 도리아 등의 냉동가공식품, 크래브스틱 생선묵 등의 수산사공품, 건조마슈포테이토, 잼, 마마레이드, 피넛버터, 피넛 등의 농산가공품, 기타 떡, 쌀과자 스낵식품, 패스트푸드 다시 또 와인, 칵테일, 피즈, 리커 등의 주류등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단 W/D형의 유화식품, 예를 들면 마아가린에 사용한 경우는 보존중에 분리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식품에 첨가할 수 있는 저칼로리 중량체의 양은 식품의 품위를 손상하지 않는 한은 양적인 제한은 없다.
그러나 건강한 성인이 본 발명의 식품에 의해 저칼로리 중량제를 2kg/kg 체중섭취하면, 절반의 사람에게서 설사증세가 보이기 때문에 이 절반량의 1g/kg 체중정도까지의 섭취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생리작용에의 영향은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저칼로리식품 섭취의 효과를 보면서 적절히 증감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식품에 대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사용특성을 보기 위해 실시예 1의 제품을 중심으로 해서 다음의 특성데이터를 얻는 실험을 행했다.
[실험예 12]
(감미도)
관능검사에 의해 설탕의 감미도를 100으로 한 때의 난소화성덱스트린의 감미도의 비교치를 다른 당류나 DE25의 말토 덱스트린의 값과 함께 표 19에 나타낸다.
[표 19]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감미도는 약 10이며, 약간 감미를 느낄 정도이다.
[실험예 13]
난소화성 덱스트린 30%용액에 대해 온도 10-80℃에 있어서의 점도를 B호 점도계를 사용해서 측정한 결과를 설탕, 아라비안껌 말토덱스트린의 수치와 함께 제1도에 나타낸다.
단 제1도중의 각 기호는 각각 다음의 것을 나타낸다.
● : 실시예 1의 난소화성 덱스트린
▲ : 설탕
■ : 말토덱스트린
○ : 아라비안껌
점도는 말토덱스트린과 동등하며, 식품에 첨가해서 점도를 극단적으로 증가시키는 일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14]
아미노산과 공존하에 있어서의 가열에 의한 착색,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10% 수용액에 1%(대고 체형분)의 글리신을 첨가하여 pH 4.5와 6.5로 100℃에서 150분간 가열한 때의 착색도의 증가를 각각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다.
단 제2도는 pH 4.5, 제3도는 pH 6.5의 경우를 나타낸다.
또 기호는 제1도와 동일하다.
착색도의 증가는 글루코오스나 말토덱스트린과 대차가 없고, 거의 같은 모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15]
(동결해동)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30% 수용액에 대해 동결해동을 5회 반복한 경우의 혼탁도르 ㄹ말토덱스트린의 수치와 함께 제6도에 나타낸다.
단 제4도중의 기호도 제도와 동일하다.
혼탁도의 증가는 말토덱스트린보다도 훨씬 낮고, 동결식품에의 사용적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16]
(빙점강화)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5-30% 수용액의 빙점강하도를 설탕, 말토덱스트린의 수치와 함께 제5도에 나타낸다.
단 제5도의 기호도 제1도와 같다.
빙점강하도는 설탕과 막토덱스트린의 중간 정도이며, 빙과등에의 사용적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17]
(흡습성)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건조시켜서 무수 상태로 하고, 20℃에서 상대습도가 81%, 52% 및 32%의 항습용기에 200시간 방치한 경우의 흡습성을 제6도에 나타냈다.
단 제6도중(1)은 pH 81%, (2) 및 (3)은 각각 pH 2%, pH 32%의 경우를 나타낸다.
장시간의 보존에서도 수분이 18%를 초과하는 일이 없고, 분말식품에 대한 사용적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18]
(믹소그래프)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소맥분 사용식품에 사용하는 경우의 거동을 검토하기 위해 표 20의 배합으로 믹소그래프 처리한 결과를 제7도 제8도 제9도에 나타낸다.
단 제7도는 대조구, 제8도는 설탕구, 제9도는 실시예 6의 난소화성 덱스트린구(식물섬유를 함유하는 저칼로리구)를 나타낸다.
[표 20]
설탕으로 치환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사용한 경우에는 점탄성의 나오는 상태가 1.5분 지연되기 때문에 생지의 혼합시간을 길게 하든가 숙성시간을 늘이는 것, 또는 혼합도중에 첨가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확인되었다.
[식품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식품의 예를 기술하지만 사용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시작한 실시예의 번호로 표기하고, 배합 및 식물섬유의 양은 그램(g) 단위로 표시했다.
[실시예 8]
[식품예 1]
표 21의 배합으로 홍차를 시작했다.
[표 21]
[실시예 9]
[식품예 2]
표 22의 배합으로 콜라를 시작했다.
[표 22]
[실시예 10]
[식품예 3]
표 23의 배합으로 물에 분말원료를 혼합용해후에, 농축과즙, 향료를 첨가해서 호모믹서로 균질화해서 오렌지 주우스(30%)를 시작했다.
[표 23]
[실시예 11]
[식품예 4]
표 24의 배합으로 물에 전체원료를 혼합하여 가열 살균해서 스포츠음료를 시작했다.
[표 24]
[실시예 12]
[식품예 5]
표 25의 배합으로 전체원료를 물에 혼합해서 80℃까지 온도 상승시켜 용해시키고, 호모지나이저로 우유지방을 균질화한 후 다음날까지 5℃로 에이징한다.
다음에 냉동후에 -40℃까지 급냉시킨 후 잘 혼합해서 밀크세이크를 시작했다.
[표 25]
[실시예 13]
[식품예 6]
표 26의 배합으로 전체원료를 혼합하여 70℃가지 가열해서 호모믹서로 교반후에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한다.
냉장고에서 1일간 에이징한다.
냉동후에 -40℃로 급냉시켜서 아이스크리임을 시작했다.
[표 26]
[실시예 14]
[식품예 7]
표 27의 배합으로 미리 탈지유를 발효시켜서, 파쇄한 것을 다른 원료와 혼합용해시키고,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시켜서 드링크 요구르트를 시작했다.
[표 27]
[실시예 15]
[식품예 8]
표 28의 배합으로 탈지유에 경화제를 첨가 후 개시제를 3% 접종해서 산 0.7%가 되었을 때 냉장한다. 다른 원료를 교반혼합하여 재냉장해서 하아다 요구르트를 시작했다.
[표 28]
[실시예 16]
[식품예 9]
표 29의 배합으로 건조물에 대해 66.7%의 끓는 물에 수용성원료를 용해시켜 기름에 유화제를 용해시켜서 양자를 60℃에서 유화균질화 후 분무 건조시켜서 코오피화이트너의 분말을 시작했다.
[표 29]
[실시예 17]
[식품예 10]
표 30의 배합으로 향료 이외의 원료를 물에 용해시켜 B×80℃까지 농축시켜서 증발기로 증발시켰다.
40℃로 냉각 후 향료를 첨가혼합하여 성형해서 캔디를 시작했다.
[표 30]
[실시예 18]
[식품예 11]
표 31의 배합으로 당질과 향료 이외의 원료를 냄비에 투입하여 가열 용유해서 잘 혼합시켰다.
50℃ 냉각시켜서 당질을 첨가혼합하여 40℃에서 향료를 첨가해서 성형 후 냉각시켜서 껌을 시작했다.
[표 31]
[실시예 19]
[식품예 12]
표 32의 배합으로 전체원료를 40℃에서 잘 혼합시켜 다시 또 마면분쇄기로 장시간 반죽하여 입자를 미세하게 한다. 성형후 냉각시켜서 스위트 초콜렛을 시작했다.
[표 32]
[실시예 20]
[식품예 13]
표 33의 배합으로 소량의 물에 소맥분 화공정분 계란 노른자(분말)를 혼합한 것에 나머지물을 80℃로 해서 다른 원료를 용해시킨 것을 기포발생기를 사용하면서 첨가해서 강한 불로 삶아서 카스타아드 크리임을 시작했다.
[표 33]
[실시예 21]
[식품예 14]
표 34의 배합으로 물 25g에 젤라틴을 용해시키고 나머지물에 아스파르테임 이외의 전체원료를 용해시킨다.
40℃에서 냉각후 전체를 혼합해서 냉장하여 오렌지 젤리를 시작했다.
[표 34]
[실시예 22]
[식품예 15]
표 35의 배합으로 펙틴이외의 원료를 혼합하여 믹서로 가볍게 분쇄하여 약한 불로 가열해서 수분의 20%가 증발한 때 펙틴을 첨가하여 냉각시켜서 딸기잼을 시작했다.
[표 35]
[실시예 23]
[식품예 16]
표 36의 배합으로 껍데기를 벗긴 사과에 백설탕과 물과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중간불로 삶아서 사과가 반투명하게 된 때에 레몬즙을 첨가하고, 이어서 중간불로 눌지 않게 삶는다.
사과가 부드럽게 되면 되접어서 다시 또 Bx70°까지 삶아서 사과잼을 시작했다.
[표 36]
[실시예 24]
[식품예 17]
표 37의 배합으로 물 30g에 전량의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스테이 보사이드와를 첨가하여 시럽을 만들어 비등한 때에 생콩을 첨가한다.
전체 중량이 100g이 될 때까지 삶아서 콩잼을 시작했다.
[표 37]
[실시예 25]
(식품예 18)
표 38의 배합으로 물에 팽창시킨 우무에 물 23.6g과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스테비오사이드와를 첨가하여, 가열 비등 시켜서 용해시켜서 변형시킨 후, 재비등 시켜서 생콩을 첨가하고 전량이 100g이 되기까지 삶아서 성형 냉가시켜서 콩의 스위트 젤리를 시작했다.
[표 38]
[실시예 26]
(식품예 19)
표 39의 배합으로 Bx 50˚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의용액의 시리알을 침지하여 40℃에서 한밤 건조시켜서 시리알을 시작했다. 이 시작품은 대조품에 배해 윤이 증가하고 보수성도 2.7%로부터 7.0%로 증가했다.
[표 39]
[실시예 27]
(식품예 20)
표 40의 배합으로 난소화성덱스트린을 소맥분에 균일하게 반죽하여 물을 소량 첨가하면서 반죽하여 스파게티를 시작했다.
[표 40]
[실시예 28]
(식품예 21)
표 41에 배합으로 생지를 잘 반죽한 후에 발효시켜서 구워내어 식빵을 시작했다.
[표 41]
[실시예 29]
(식품예 22)
표 42의 배합에서 소맥분에 우유계란을 넣어 반죽하면서 다른 원료를 첨가하여, 생지가 균일하게 되기까지 반죽하여 형울 뽑아서 160-180℃의 기름으로 뒤집으면서 튀겨 기름을 제거하여 아메리칸 도우넛을 시작했다.
[표 42]
[실시예 30]
(실시예 23)
표 43의 배합에서 계란흰자위를 물에 기포상이 되기까지 충분히 반죽하여 난소화성 덱스트린 미립자화 셀룰로오스 강력분의 순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반죽한다.
계란 흰자위의열변화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동결 건조시켜서 소맥분 대체품을 시작했다.
[표 43]
[실시예 31]
(실시예 24)
식품예 30의 소맥분 대체품을 이용하여 표 44의 배합으로 전체원료를 반죽하여 탄력이 나타난때 평면으로 늘려서 형을 뽑아내어 190℃에서 10분간 구워내어 버터쿠기를 시작했다.
[표 44]
[실시예 32]
(식품예 25)
식품에 30의 소맥분 대체품을 이용해서 표 45의 배합으로 용해시킨 쇼오트닝에 전체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기포발생기로 교반용해시켜서 균일한 생지로 한다.
180℃로 50분간 구워서 파운드 케이크를 시작했다.
[표 45]
[실시예 33]
(식품예 26)
식품 30의 소맥분 대체품을 이용해서 표 46의배합으로 전체원료를 물에 혼합해서 기포 발생기로 교반혼합해서 기포를 함유시킨다. 180℃에서 40분간 구워서 스푼지케익을 시작했다.
[표 46]
[실시예 34]
(식품예 27)
표 47의 배합해서 그라프트 생지는 잘 반죽후 몇중으로 접어서 완성하여 속의 형상이 절반이 남을 때까지 삶아서 생지와 속을 성형해서 구워서 애플파이를 시작했다.
[표 47]
[실시예 35]
(식품예 28)
표 48의배합으로 옥수수를 물로 씻어서 껍질이 없어질때까지 삶은 후 다른 원료를 넣어서 끊여서 옥수수 크리임수우프를 시작했다.
[표 43]
[실시예 36]
(식품예 29)
표 49의 배합에 갈비고리를 플라이펜에서 튀겨서 남비에 옮겼다. 별도로 야채류도 튀겨서 남비에 옮겼다. 소맥분과 칼레이분을 튀기면서 갈색푸우를 만들어 전체를 남비에서 삶아서 레토르트 칼레이를 시작했다.
[표 49]
[실시에 37]
(실시예 30)
표 50의 배합으로 플라이팬으로 고기를 충분히 튀겨서 남비에옮기고, 야채류도 양파를 중심으로 충분히 튀긴다.
전체원료를 남비에 넣어서 삶아 비이프스튜를 시작했다.
[표 50]
{실시예 38]
(식품예 31)
표 51의 배합으로 액체원료를 혼합 후에 분말원료를 용해시켜서 난오일드레성을 시작했다.
[표 51]
[실시예 39]
(식품예 32)
표 52의 배합으로 물에 크산탄껌 이외의 분말원료를 용해시키고, 80℃까지 가열한다.
40℃가되면, 식초를 첨가하여 호모믹서를 중속으로 해서 샐럿유를 소량씩 첨가해서 유화한다. 저속으로 크산탄껌을 용해시켜서 유화형 드레싱을 시작했다.
[표 52]
표 52중의 에멀트서#30은 친유서으이 화공전분 (마쓰다니 가가꾸 고오교 사제)이다.
[실시예 40]
(식품예 33)
표 53의 배합으로 물과 식포에 분말원료를 용해시켜 계란노른자를 홈합시킨다. 호모믹서를 중속으로 해서 샐럿유를 소량씩 첨가하면서 유화해서 마요네에즈를 시작해다.
[표 53]
[실시예 41]
(식품예 34)
표 54의 배합으로 생땅콩을 파쇄한 후 분쇄길 분쇄하여 다른원료를 혼합해서 땅콩버터를 시작했다.
[표 54]
[실시예 42]
(식품예 35)
표 55의 배합으로 균일하게 분말체 혼합해서 치이즈 파우더를 시작했다.
[표 55]
[실시예 43]
(식품예 36)
표 56으 배합을 생크리임과 저칼로리 중량제의 혼합물에 유산균개시체로서 레넷을 첨가하여 20℃에서 15시간 방치했다. 향료를 첨가후에 마멸분쇄기로 반죽해서 냉각시켜서 크리임치이즈를 시작했다.
[표 56]
[실시예 44]
(식품예 37)
표 57의 배합으로 박력분을 버터로 볶은후 다른원료를 혼합하여 진하게 되기까지 끓여서 화이로소오스를 시작했다.
[표 57]
[실시예 45]
(식품예 38)
표 58의 배합으로 우지로 다진돼지고기, 양파, 다은을 볶은 후 소맥분을 넣어서 재차 볶는다.
여기에 다른 원료를 넣어 진하게 되기까지 끓여서 미이트소오를 시작했다.
[표 58]
[실시예 46]
(식품예 39)
표 59의 배합으로 원료를 생것인채로 파쇄해서 혼합하여 필름에 충전한다. 소금저림으로해서 5℃에서 12시간 방지한 후 75℃에서 90분간 끓여서 냉장해서 비이프와 포오크 소시지를 시작했다.
[표 59]
[실시예 47]
(식품예 40)
표 60의 배합으로 소고기를 소금저림액에 5일간 저린후 115℃엣 90분간 끓여서 수분과 유분을 제거한다.
여기에 우지중에 다른 원료를 혼합한 것을 넣고, 균일하게해서 필름에 충전해서 75℃에서 60분간 살균후 냉장시켜서 코온비이프를 시작했다.
[표 60]
[실시예 48]
(식품예 41)
표 61의 배합으로 양파와 소기름을 다져서 전체원료를 혼합해서 전체가 균일하게 되기까지 반죽하여 성형후 180℃의 철판에서 양면을 30초씩 굽는다. 다음에 100℃에서 10분간 끓여서 냉각 후에 냉동해서 냉동 햄버거를 시작했다.
[표 61]
[실시예 49]
(식품예 42)
표 62의 배합으로 원료를 파쇄하여 혼합하여 직경 8Cm의 필름에 충전하여 -30℃로 냉동시키고, 써는 기계로 8mm의 두께로 썰어서 햄버어거 퍼티를 시작했다.
[표 62]
[실시예 50]
(식품예 43)
표 63의 배합으로 간, 쇠고기, 복부고기를 100℃에서 5초간 끓인후 파쇄해서 다른원료와 혼합하여 잘 교반하면서 80℃까지 끓인다.
이것을 냉장해서 간페이스트를 시작했다.
[표 63]
[실시예 51]
(식품예 44)
표 64의 배합으로 파자를 잘 반ㅈ구한 후, 40℃의 보온기내에서 30분간 발효시키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국수막대로 늘린다. 피자소오스는 전체 원료를 잘 혼합하고, 1시간 이상 두었다가 사용했다. 피자껍질에 소오스를 발라서 약 230℃의 오븐에 12분간 넣어서 구워내어 피자를 시작했다.
[표 64]
[실시예 52]
(식품예 45)
표 65의 배합으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우유에 용해시켜 계란에 다른원료와 함께 혼합하여 플라이펜에 샐릿유를 치고, 구워내어 오물랫을 시작했다.
[표 65]
[실시예 53]
(식품예 46)
표 66의 배합으로 각 원료를 생으로 파쇄 혼합해서 미이트파이의 재료를 시작하여 파이의 생것에 싸서 200℃의 오븐에서 구워서 색이 붙을 때까지 약 30분간 구워내서 미이트파이를 시작했다.
[표 66]
[실시예 54]
(식품예 47)
표 67의 배합으로 각 야채를 절단해서 탈수 후에 다른 원료와 혼합해서 만두의 재료를 시작하고, 만두피에 싸서 100℃에서 5분간 쩌서 냉각 냉동시켜서 냉동만두를 시작했다.
[표 67]
[실시예 55]
(식품예 48)
표 68의 배합으로 생선고기와 소금과 소량의 얼음을 섞어 사일렌트 절단기로 파단혼합을 5분간 행한 후 나머지의 얼음과 원료를 추가해서 계속 10분간 혼합했다.
15℃에서 점도가 생긴 시점에서 종료하고, 모양을 따서 160℃의 기름으로 4분간 튀겨서 생선묵을 시작했다.
[표 68]
[실시예 56]
(식품예 49)
표 68의 배합으로 검은나무딸기를 40일간 침지한 후 검은 나무딸기를 폐기하고 다시또 2개월간 숙성시켜서 검은 나무딸기술을 시작했다.
[표 69]
[실시예 57]
(사료예 1)
표 70의 배합으로 개사료를 시작했다.
[표 70]
[실시예 58]
(사료예 2)
표 71의 배합으로 고양이 사료를 시작했다.
[표 71]
[실시예 59]
(사료예 3)
표 72의 배합으로 육돈비육용 사료를 시작했다.
[표 72]
[실시예 60]
(사료예 4)
표 73의 배합으로 육계전기용 사료를 시작했다.
[표 73]
[실시예 61]
(사료예 5)
표 74의 배합으로 실험용 쥐 사료를 시작했다.
[표 74]

Claims (14)

  1. (A)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90%이상이며,
    (B)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1→4 글리코시드 결합만을 갖는 글루코오스잔기의 양이 25-35%이며,
    (C)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900-1300이며,
    (D) 또한 다음식의 계산으로 구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계산치 Y의 식측치로 부터의 변동번위가 20%이하이며,
    Y=3067-71.309·X
    단, Y ...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
    X ... 「하꼬모리의 메틸화법」에 의해 정량한 1→4 글리코시드 결합만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 중의 %)
    (E) 중량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가 25 : 1이상이며,
    (F) 옥수수 전분에 염산을 첨가해서 가열처리해서 얻은 배소덱스트린을 α-아밀라아제와 그러루코 아밀라아제로 가수분해한 후 생성된 글루코오스의 ½이상을 분리제거하므로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2. 제1항에 있어서,
    (A)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중의 1→4글리코시드 결합만을 갖는 글루코오스 잔기의 양이 25-30%이며,
    (B)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990~1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함량이 33%이하이며, 전체중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7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난소화성 덱스트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 중의 식물섬유의 함량이 20%이상이며, 전체중의 식물섬유의 함량이 1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특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갈로리 값 1이 1.6 - 1.8Kcal/g이며, 전체의 칼로리 값 1이 1.6-2.6K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덱스트린.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이외의 성분의 칼로리 값 2가 1 - 1.2Kcal/g이며, 전체 칼로리 값 2가 1 - 2Kca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혈정지질 성분의 개선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8. 제1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정상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덱스트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시트린이 고혈압강하 작용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난소성 덱스트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대장암 예방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화성덱스트린.
  11.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것인가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식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식품이 과자, 빵제품, 냉동, 스낵, 음료, 요오구르트인 식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식품이 수우프, 마요네에즈, 드레싱, 축산육가공품 수산가공품인 식품.
  14. 제5항 내지 제10항중의 어느 것인가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식품.
KR1019920017836A 1991-09-30 1992-09-30 난소화성 덱스트린 KR100235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049991 1991-09-30
JP91-280499 1991-09-30
JP3336314A JPH05148301A (ja) 1991-09-30 1991-11-25 難消化デキストリン
JP91-336314 1991-11-25
JP91-336414 1991-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52A KR930006052A (ko) 1993-04-20
KR100235141B1 true KR100235141B1 (ko) 1999-12-15

Family

ID=1762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836A KR100235141B1 (ko) 1991-09-30 1992-09-30 난소화성 덱스트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48301A (ko)
KR (1) KR100235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867A (ja) * 2004-03-16 2005-09-29 Oji Cornstarch Co Ltd 食物繊維高含有焙焼デキストリ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5410004B2 (ja) * 2007-03-30 2014-02-05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超音波照射難消化性処理デンプン
JP5152474B2 (ja) * 2007-05-29 2013-02-27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リゴ糖、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6896491B2 (ja) * 2017-04-10 2021-06-30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呈味向上効果を有する難消化性グルカ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8301A (ja) 1993-06-15
KR930006052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142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
EP0530111B1 (en) Indigestible dextrin
US5472732A (en) Indigestible dextrin
JP3053997B2 (ja)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
EP1582102B1 (en) Foods and drinks having health benefits
EP2977052B1 (en) Agent for lifestyle-related disease and or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RPI0706959A2 (pt) processo para preparar oligÈmeros de sacarìdeo, process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de oligossacarìdeo, composição de carboidrato, produto alimentìcio e método para controlar glicose sanguìnea
US8461130B2 (en) Food containing glycogen and use thereof
EP0535627A1 (en) Indigestible dextrin
US20110142983A1 (en) Agent for inhibiting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neutral fat level and foods containing the same
JP3996679B2 (ja) 脂質代謝改善剤
KR100235141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
JPH10150934A (ja) 還元難消化性水飴およびこれを用いた食品
WO2011071179A1 (ja) 持続型エネルギー補給剤及び飲食品
JP3451282B2 (ja) 血糖上昇が緩徐な還元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JP2007291136A (ja) 還元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体脂肪調整剤
JP2020127392A (ja) イヌリンを含む整腸剤
WO2001095746A1 (fr) Compositions riches en fibres alimentaires
Beereboom Low calorie bulking agents
JP4048227B2 (ja) 血糖上昇抑制剤
JP2005218395A (ja) 食後過血糖予防・改善用機能性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Lasztity Jiri David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