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412B1 -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412B1
KR100234412B1 KR1019970005565A KR19970005565A KR100234412B1 KR 100234412 B1 KR100234412 B1 KR 100234412B1 KR 1019970005565 A KR1019970005565 A KR 1019970005565A KR 19970005565 A KR19970005565 A KR 19970005565A KR 100234412 B1 KR100234412 B1 KR 10023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ata
horizontal
scan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783A (ko
Inventor
이제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41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28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producing multiple scanning, i.e. using more than one spot at the sam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화면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수평 방향으로의 제1데이타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저장 수단과,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수평 회귀 신호들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제2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출력하는 수직/수평 회귀 신호 발생수단 및 제1 또는 제2데이타를 입력하고, 제1 또는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수평/수직 편향 주사 수단을 구비하고, 필드 신호는 저장된 데이타가 제1데이타인가 혹은 제2데이타인가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주사를 번갈아 함으로서, 모든 방향의 화상에 대해 해상도가 우수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및 방법{l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dopting bidrectional scanning type}
본 발명은 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 또는 텔레비젼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이나 텔레비젼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들은 수평방향으로만 주사를 하는 단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하, 종래의 단방향 주사 방식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방향 주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들은 음극선관의 수직/수평 편향부(미도시)를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데, 먼저 수평 편향장치를 조절하여 전자총 초점을 좌상 지점(LUP:Light Up Point)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표시하고, 수평 동기 신호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수직/수평 방향의 편향부를 조절하여 다음 라인의 좌측으로 전자총의 초점을 이동한다. 이 구간을 수평 회귀 구간이라 하며, 이 때에는 음극선관에 아무런 표시도 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인 주사를 하여, 한 프레임 혹은 한 필드를 다 표시하여 전자총의 초점이 우하지점(RDP:Right Down Point)에 이르게 되면,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하여 수직/수평 편향부를 조절하여 전자총의 초점을 다시 좌상 지점으로 옮기게 되며, 이 때를 수직 회기 구간(10)이라 칭한다. 이 때에도 음극선관에는 아무런 표시도 되지 않는다.
전술한 종래의 단방향 주사를 하게되면 수평 방향으로의 화상(14)은 연속적인 화상의 표시가 가능하지만, 수직방향으로의 화상(16)은 불연속적인 화상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불연속으로 인하여 화상의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사선방향으로의 화상(18)을 표시할 경우, 정도가 더욱 심해져서 해상도의 열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양방향 주사를 할 수 있는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방향 주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및 4b들은 수평 및 수직 방향 주사일 경우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d)들은 수평 및 수직 주사 방향에서의 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는, 화면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수평 방향으로의 제1데이타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저장 수단과, 상기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수평 회귀 신호들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제2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출력하는 수직/수평 회귀 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수평/수직 편향 주사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드 신호는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1데이타인가 혹은 상기 제2데이타인가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은, 화상 데이타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수평방향으로의 제1데이타인가 혹은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1데이타인 경우, 상기 제1데이타를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2데이타인 경우, 상기 제2데이타를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는 크게 비월주사와 순차주사의 두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비월주사는 작은 주파수 대역에서 만족할 만한 해상도를 얻는 방법이며, 순차 주사는 주파수 대역이 넓은 시스템에서 이용이 가능하며 해상도가 우수한 주사 방식이다. 비월 주사의 경우, 한 필드마다 수직 회귀 신호가 발생하며 순차주사의 경우 한 프레임마다 수직 회귀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두가지 주사 방식들은 모두 수평방향으로만 화상표시를 위한 주사를 하며, 수직방향으로는 회귀 기간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의 블럭도로서, 화면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수평 방향으로의 제1데이타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저장부(40), 필드 신호(FS)에 응답하여 수평방향의 제1수평/수직 회귀 신호들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을 출력하는 수평/수직 회귀 신호 발생부(60) 및 제1 또는 제2데이타를 입력하고, 제1 또는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주사하는 수평/수직 편향 주사부(70)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입력단자 IN을 통해 현재 제1선택부(42)로 프레임 혹은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현재의 화면 또는 이전 화면에 대한 화상 데이타를 필드 신호(FS)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현재의 필드 신호에 대해 제1저장부(44)가 현재의 화면에 대한 화상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동안, 제2저장부(46)로부터 전 필드 혹은 프레임의 화면이 출력되며, 다음 필드 신호에 의해 제1저장부(44)는 전 필드 혹은 프레임의 화면을 출력하고, 제2저장부(46)는 현재의 화면에 대한 화상 데이타를 저장한다.
제80단계후에, 도 2에 도시된 제2선택부(48)는 제1저장부(44)에 저장된 데이타 및 제2저장부(46)에 저장된 데이타를 필드 신호(FS:Field Signal)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수평/수직 편향 주사부(70)로 출력한다. 즉, 제2선택부(48)는 수평 방향으로의 주사인가 수직 방향으로의 주사인가를 필드 신호를 이용하여 판단한다(제82단계). 만일, 수평 방향의 주사일 경우, 제2선택부(48)는 화면을 순차적으로 수평 방향의 제1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나, 수직 방향의 주사일 경우,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의 제2데이타를 출력한다.
한편, 수직/수평 회귀 신호 발생부(60)의 제1위상 동기 루프(62)는 외부의 동기 분리부(미도시)로부터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H_SYNC)와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입력하여 수평 방향의 주사를 위한 수평 회귀 신호와 수직 회귀 신호들인 제1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을 발생한다.
또한, 제2위상 동기 루프(64)는 외부의 동기 분리부(미도시)로부터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H_SYNC)와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입력하여 수직 방향의 주사를 위한 수평 회귀 신호 및 수직 회귀 신호들인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을 발생한다. 즉, 동기 분리부(미도시)는 입력 단자 IN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H_SYN)와 수직 동기 신호(V_SYN)를 분리하고,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H_SYNC)와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각각 제1위상 동기 루프(62)와 제2위상 동기 루프(64)로 인가한다. 결국, 동기 신호 분리부(미도시)에서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해내는 것은 종래와 같지만, 각각의 위상 동기 루프(62, 64)에서 각 필드마다의 수평 방향 주사 및 수직 방향 주사를 위해, 수평 회귀 신호와 수직 회귀 신호를 만들어내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주사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수평 회귀 신호와 수직 회귀 신호의 형태가 서로 바뀌게 되며, 필드 신호(FS)에 의해 제3선택부(66)에서 출력되는 수평 회귀 신호와 수직 회귀 신호가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되어 편향 장치를 조절함으로써 주사 방향이 변경된다.
제3선택부(66)는 제1 및 제2위상 동기 루프들(62 및 6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을 필드신호(FS)에 응답하여 수평/수직 편향 주사부(70)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도 4a 및 4b들은 수평 및 수직 방향 주사일 경우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a는 수평 방향일 경우, 도 4b는 수직 방향일 경우에 주사되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도 5의 (a)∼(d)들은 수평 및 수직 주사 방향에서의 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2에 도시된 수평/수직 편향 주사부(70)는 제2선택부(48)로부터 출력되는 제1 또는 제2데이타를 입력하고, 제3선택부(66)로부터 입력한 제1 또는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주사한다. 즉, 수평/수직 편향 주사부(70)는 수평 방향의 주사일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 및 (b)에 각각 도시된 수평 회귀 신호 및 수직 회귀 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타를 주사한다(제84단계). 여기서, 수평 방향으로의 주사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수직 방향의 주사일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수평 회귀 신호 및 수직 회귀 신호에 응답하여 제2데이타를 주사한다(제86단계). 제86단계에서, 먼저 음극선관의 좌상 지점에서 수직 편향 장치를 조절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주사를 한 후,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하면, 다음 라인의 윗쪽으로 전자총의 초점을 이동한다. 이 때에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프레임 혹은 필드를 전부 표시하여 전자총의 초점이 우하 지점까지 이동하면,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수직, 수평 편향 장치를 조절하여 전자총의 초점을 다시 좌상지점으로 옮긴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 수직 방향의 주사를 교대적으로 실시한다.
즉, 수평 편향 장치의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장치의 편향 코일은 수평/수직 주사 신호에 의한 수평/수직 톱니파 신호의 전류량에 따라서 조정되어 전자총의 초점을 변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주사 신호 및 수직 주사 신호에 의해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에 인가되는 수평 톱니파 신호와 수직 톱니파 신호는 필드 또는 프레임마다 변경된다. 여기에서,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수직 편향 코일에 흐르는 톱니파 전류량은 서로 다르며, 이로 인해 전자 빔이 상하 또는 좌우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필드 신호(FS)에 의해 필드 또는 프레임마다 주사 방향이 변경되고, 수평 주사 신호와 수직 주사 신호에 의해 편향 코일의 톱니파 전류가 변경됨으로써 전자총의 초점이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주사를 번갈아 함으로서, 모든 방향의 화상에 대해 해상도가 우수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면에 대한 화상데이타를 입력하여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된 수평 방향으로의 제1데이타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저장 수단;
    상기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수직방향의 제1수직/수평 회귀 신호들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제2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출력하는 수직/수평 회귀 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수평/수직 회귀 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수평/수직 편향 주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드 신호는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1데이타인가 혹은 상기 제2데이타인가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저장수단은
    입력되는 현재의 화면 또는 이전 화면에 대한 상기 화상 데이타를 상기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선택수단;
    상기 제1선택수단의 출력중 현재의 화면에 대한 상기 화상 데이타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저장수단;
    상기 제1선택수단의 출력중 이전 화면에 대한 상기 화상 데이타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 및
    입력한 상기 제1저장수단의 출력 및 상기 제2저장수단의 출력을 상기 필드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수직 편향 주사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수평 회귀 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제1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1위상 동기 루프;
    상기 제2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2위상 동기 루프;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위상 동기 루프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수직/수평 회귀 신호들을 상기 필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평/수직 편향 주사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장치.
  4.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타를 필드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수평방향으로의 제1데이타인가 혹은 수직 방향으로의 제2데이타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1데이타인 경우, 상기 제1데이타를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데이타가 상기 제2데이타인 경우, 상기 제2데이타를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 표시 방법.
KR1019970005565A 1997-02-24 1997-02-24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3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565A KR100234412B1 (ko) 1997-02-24 1997-02-24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565A KR100234412B1 (ko) 1997-02-24 1997-02-24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83A KR19980068783A (ko) 1998-10-26
KR100234412B1 true KR100234412B1 (ko) 1999-12-15

Family

ID=1949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565A KR100234412B1 (ko) 1997-02-24 1997-02-24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64B1 (ko) * 1999-06-30 2002-06-12 박종섭 양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83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43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RU2108686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ведением для множества вертикальных форматов
KR100393458B1 (ko) 비월주사된비디오의수직패닝시스템
JP3855761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6040868A (en) Device and method of converting scanning pattern of display device
JP3596521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234412B1 (ko) 양방향 주사 방식을 채택한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EP0766457A2 (en) Improved scanning circuit structure of a television receiver
JPH05249910A (ja) 文字明瞭性を改善した陰極線管表示装置
JPH11168639A (ja) 映像表示装置
KR960010464B1 (ko) 영상기기의 화면 확대장치
US657732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0245522B1 (ko)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JP296449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314871Y2 (ko)
JPS5894277A (ja) テレビ受像機
JPH1016438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1375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2215293A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2000041265A (ja) 往復偏向式映像信号表示装置
KR19990004724A (ko) 텔레비전의 화면비 변환제어장치
JPH0317987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150670A (ja) 複数垂直フォーマット用集中制御システム
JP2003066884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H03263985A (ja) 投射型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