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522B1 -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522B1
KR100245522B1 KR1019960074158A KR19960074158A KR100245522B1 KR 100245522 B1 KR100245522 B1 KR 100245522B1 KR 1019960074158 A KR1019960074158 A KR 1019960074158A KR 19960074158 A KR19960074158 A KR 19960074158A KR 100245522 B1 KR100245522 B1 KR 10024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video signal
sign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953A (ko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5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화면모드에서 영상출력수단의 주화면상에 부화면 영상신호가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화면모드에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를 방향 및 화소지연량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단계로부터 상기 부화면 위치설정이 실행되지 않으면 기 정해진 주화면 위치에 부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위치가 설정되면 가변위치를 설정하는 방향 및 화소지연량를 인가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가변위치 방향 및 화소지연량이 설정되면,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기초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을 정의함과 더불어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수평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화소를 지연시키고나서 그 지연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역을 상기 주화면상에서 위치가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SUB-PICURE AREA OF VIDEO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영상처리스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영상출력수단(CRT장치 또는 스크린 등)에 표시되는 부화면에 대해 주화면상에서의 방향과 위치를 임의로 설정하면 그 설정된 위치에 부화면이 위치이동하여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텔레비전에는 그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출력수단으로서 CRT장치가 갖추어지게 되고, 예컨대 프로젝터로서 대표되는 투사형 영상처리시스템에는 광변조수단에 의해 변조된 컬러비임이 영상출력수단으로서의 스크린상에 투영되도록 해서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이 채용된다.
그러한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 영상을 투영되도록 하는 텔레비전이라던지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처리시스템에 대해서는 최근에 최소한 2의 화면영역을 정의해서 복수 종류의 영상이 동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다화면처리기능이 갖추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부화면처리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방송신호 또는 외부적인 아날로그 영상신호(예컨대 비디오테이프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주화면 영상신호로서 디지탈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하는 제 1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를 나타내고, 12는 그 제 1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0)에서 디지탈변환된 영상데이터가 제어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신호(AD)와 기록제어신호(W') 및 독출제어신호(R)에 기초하여 필드단위로 격납/독출되는 제 1필드메모리를 나타내며, 14는 상기 제 1필드메모리(12)에서 독출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는 제 1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DAC)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16은 외부적인 아날로그 영상신호(예컨대 비디오테이프로부터의 영상신호) 또는 방송신호를 부화면 영상신호로서 디지탈변환하는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를 나타내고, 18은 그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6)에서 디지탈변환된 영상데이터가 제어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신호(AD)와 기록제어신호(W') 및 독출제어신호(R)에 기초하여 필드단위로 격납/독출되는 제 2필드메모리를 나타내며, 20은 상기 제 2필드메모리(18)에서 독출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는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DAC)를 나타내고, 22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SW)에 의해 스위칭제어되어 상기 제 1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4)로부터의 영상신호와 상기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2)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스위칭하여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다화면이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멀티플렉서를 나타낸다.
즉, 도 1에 도시된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부화면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0)에서 주화면 영상신호가 디지탈변환되고나서 그 디지탈 영상데이터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AD)와 기록제어신호(W')에 의해 제 1필드메모리(12)에 격납되고, 그 격납된 영상데이터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독출제어신호(R)에 의해 독출되어 상기 제 1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4)에 인가되어 아날로그변환되며, 이어 상기 멀티플렉서(22)를 통해 출력되어 후처리되고나서 CRT장치 또는 스크린의 주화면(도 2에서 '24a')에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부화면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그 부화면 영상신호는 상기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6)에서 디지탈변환되어 제어수단의 어드레스신호
(AD)와 기록제어신호(W')에 의존해서 상기 제 2필드메모리(18)에 격납되고, 그 격납된 영상데이터가 도 2에 예시된 부화면 영역(24b)의 수평주사라인마다 제어수단의 독출제어신호(R)에 의거하여 독취되어 상기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에서 아날로그변환되고나서 상기 멀티플렉서(22)에 인가되며, 그 멀티플렉서(22)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SW)에 의해 상기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스위칭출력함에 따라 결국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다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부화면처리장치에 의하면,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의 주화면(24a)에 정의되는 부화면 영역(24b)은 대개 일정한 위치로 결정된 상태이고, 그에 따라 주화면 영상신호에 예컨대 자막(Caption)이 그 주화면의 하단에 포함되는 경우 부화면 영역(24b)에 의해 그 자막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없게 되는 일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 다화면형태로 표시되는 부화면 영상신호를 시청자가 설정하는 임의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주화면 및 부화면 영상신호를 멀티플렉서에 의해 스위칭하여 영상출력수단상에 다화면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표시영역을 위치가변하기 위한 다화면모드와 위치를 설정하는 리모콘과,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및 그 수평/수직동기신호의 클리어신호(CLR1)(CLR2)에 의하여 수평/수직기간에서의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동기검출수단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다화면모드 및 위치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동기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방향 위치를 가변설정하기 위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영역정의신호(HDSP,VDSP)를 생성해서 부화면 영상신호의 표시위치로서 제공하도록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부화면 영역의 위치가변방향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방향설정부와,상기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지정된 수평방향위치에서 상기 방향설정부로부터의 수평방향 지연량만큼 화소지연시키는 화소지연부 및, 상기 화소지연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연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지정된 수직방향에서 상기 방향설정부로부터의 수직방향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스위칭출력되도록 하는 라인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다화면모드에서 영상출력수단의 주화면상에 부화면 영상신호가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화면모드에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를 방향 및 화소지연량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단계로부터 상기 부화면 위치설정이 실행되지 않으면 기 정해진 주화면 위치에 부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위치가 설정되면 가변위치를 설정하는 방향 및 화소지연량를 인가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가변위치 방향 및 화소지연량이 설정되면,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기초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을 정의함과 더불어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수평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화소를 지연시키고나서 그 지연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역을 상기 주화면상에서 위치가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의하면, 영상출력수단의 주화면상에 표시되는 부화면 영역을 시청자에 의해 설정된 방향 및 지연량으로 위치가변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부화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처리시스템에서의 부화면처리장치에 의한 부화면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부화면위치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해 위치제어되는 부화면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6: 제 1,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12, 18: 제 1, 제 2필드메모리,
14,20: 제 1,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22: 멀티플렉서,
30: 리모콘, 34: 제어부,
36: 동기검출부, 44: 방향설정부,
46: 화소지연부, 48: 라인지연부.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에서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표시되고,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30은 해당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을 원격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바, 그 리모콘(30)에는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다화면표시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화면모드설정버튼(30a)과 그 다화면모드설정버튼(30a)에 의해 다화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부화면의 가변위치(방향)를 지정하기 위한 4-방향 버튼(30b) 및 그 4-방향 버튼(30b)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방향)가 지정된 상태에서 부화면 영역의 개시위치(즉, 수평주사라인상에서의 화소지연량)를 지정하기 위한 10-키(30c)를 갖추게 된다.
32는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 무선채널을 통해 원격적으로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원격제어신호수신부를 나타내고, 34는 그 원격제어신호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된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면서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부화면의 위치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 도 2에서 36은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여 1수평동기신호마다 클리어신호(CLR1)를 발생함과 더불어 1수직동기신호마다 클리어신호(CLR2)를 발생하는 동기신호검출부를 나타내고, 38은 클럭발진부(40)에서 발진된 소정주기의 클럭신호(CLK)를 카운트하면서 상기 동기검출부(36)로부터의 클리어신호(CLR1)에 의해 초기화되어 1수평주사라인의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제 1카운터를 나타내고, 42는 상기 동기검출부(36)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에 기초하는 클리어신호(CLR)를 카운트하면서 그 동기신호검출부(36)로부터의 1수직동기신호마다 클리어되어 수직주사기간에서의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제 2카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카운터(38,42)로부터의 카운트결과는 상기 제어부(34)에 인가되어 부화면 영역의 표시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정의신호(HDSP, VDSP)의 생성에 적용되며, 상기 제어부(34)는 상기 영역정의신호(HDSP)의 경우 '0 ≤ 화소지연량 ≤ 600'의 범위에서 정하는 반면, 상기 영역정의신호(VDSP)의 경우 ' 0 ≤ 라인지연량 ≤ 400'의 범위에서 정하게 된다.
또, 도 2에서 참조부호 44는 상기 제어부(34)의 제어하에 부화면의 위치(방향)를 설정하기 위한 부화면 방향설정신호(R/L, U/D)를 생성하는 방향설정부를 나타내고, 46은 상기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4)로부터의 영역정의신호(HDSP)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표시영역에서 상기 방향설정부(44)로부터의 부화면 방향설정신호(R/L)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부화면 영상신호의 화소를 지연시키는 화소지연부(46)를 나타내며, 48은 그 화소지연부(46)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4)로부터의 영역정의신호(VDSP)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주사기간중에서 상기 방향설정부(44)로부터의 부화면 방향설정신호(U/D)에 의해 지정되는 방향으로 부화면 영상신호의 위치를 가변하는 라인지연부(48)를 나타낸다.
이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34)는 단계 50에서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그 리모콘(30)으로부터 원격제어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원격제어신호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단계 52에서 그 원격제어신호가 다화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리모콘(30)의 다화면모드설정버튼(30a)으로부터의 신호인 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결과, 다화면모드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34)는 단계 54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주화면 영상신호만의 재생처리를 제어하게 되는 바, 그에 따라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가 제 1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0)에서 변환되어 제 1필드메모리(12)에 격납되고나서 상기 제 1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4)로 독출되고, 그 제 1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4)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주화면 영상신호는 상기 멀티플렉서(22)를 통해 출력되어 후처리되고나서 영상출력수단으로서의 CRT장치 또는 스크린의 주화면(도 5에서 '66a')에 표시된다.
그에 대해, 단계 52에서의 판단결과 다화면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4)는 단계 56으로 진행하여 상기 리모콘(30)의 4-방향 버튼(30b)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가 설정되는 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그 리모콘(30)의 4-방향 버튼(30b)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가 변경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58로 이행하여 정해진 화면위치(예컨대, 도 5에서 '66b'로 표시된 위치)에 부화면 영상이 재생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즉, 다화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부화면 영상신호는 제 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6)에서 디지탈변환되어 상기 제 2필드메모리(18)에 격납되고나서 상기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로 독출되고, 그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에서 아날로그변환된 부화면 영상신호는 도 5의 '66b'로 표시된 부화면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플렉서(22)에서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를 대신하여 스위칭출력되어 후처리되며, 그에 따라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는 주화면(66a)상에 부화면 영상(66b)이 다화면형태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단계 56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리모콘(30)의 4-방향 버튼(30b)의 조작에 의한 부화면 위치(즉,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4)는 단계 60에서 상기 리모콘(30)의 10-키(30c)로부터의 화소지연량을 설정받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동기검출부(36)는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수평동기신호에 의한 클리어신호(CLR1)와 수직동기신호에 의한 클리어신호(CLR2)를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카운터(38)는 클럭발진부(40)에서 발진되는 클럭신호(CLK)를 수평동기신호에 의한 클리어신호(CLR1)의 기간마다 카운팅하여 수평주사라인상에서의 영역정의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34)에 인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 2카운터(40)는 상기 동기검출부(36)에서 출력되는 클리어신호(CLR1; 즉 수평동기신호)를 수직동기신호에 의한 클리어신호(CLR2)의 기간마다 카운팅하여 수직주사기간에서의 영역정의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부(34)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4)는 단계 62에서 상기 리모콘(30)의 4-방향 버튼(30b)과 10-키(30c)에 의해 설정된 부화면의 위치신호를 기초로 부화면의 영역을 정의하여 위치제어를 실행하게 되는 바, 상기 방향설정부(44)에 대해서는 상기 리모콘(30)의 4-방향 버튼(30b)에 의해 설정된 부화면 영역(66b)의 방향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화소지연부(46)에 대해서는 상기 리모콘(30)의 10-키(30c)에 의해 지정된 지연량만큼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지연시켜서 생성되는 수평주사기간의 영역정의신호(HDSP)를 인가하고 상기 라인지연부(48)에 대해서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지연시켜서 생성되는 수직주사기간의 영역정의신호(VDSP)를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방향설정부(44)에서는 상기 화소지연부(46)에 대해 수평방향의 설정신호(즉, 주화면상에서의 좌/우 방향의 설정신호; R/L)를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라인지연부(48)에 대해서는 수직방향의 설정신호(즉, 주화면상에서의 상/하 방향의 설정신호; U/P)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지연부(46)에서는 제 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20)로부터 인가되는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34)로부터 인가되는 수평주사기간의 영역정의신호(HDSP)에 기초해서 상기 방향설정부(44)에 의해 지정된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지연(도 5에서 '66c')시켜 상기 라인지연부(48)에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지연부(48)는 상기 화소지연부(46)에서 지연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방향설정부(44)에서 인가되는 방향설정신호(U/D)에 응답하여 부화면 영역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기 제어부(34)로부터의 수직표시영역정의신호(VDSP)에 대응하여 위치이동된 상태로 상기 멀티플렉서(22)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멀티플렉서(22)에서는 그 부화면 영상신호를 스위칭출력하게 되어, 결국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서 부화면 영역이 시청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도 5에서 66b' 참조)로 이동되어 표시되게 되며, 그러한 부화면 영역(66b')은 CRT장치 또는 스크린의 주화면상에서 시청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지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부화면 영역의 위치가 가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4)는 상기 리모콘(30)에 의해 다화면모드가 해제되는 가를 판단하여 다화면모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부화면 영상신호의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다화면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54에서 설명한 주화면 영상신호만이 CRT장치 또는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가 상기 멀티플렉서(22)를 통해 스위칭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부화면 영역의 위치가변시 4-방향 버튼에 의해 방향을 설정한 상태에서 10-키에 의해 수평주사라인상에서의 화소지연량을 지정하는 방식이 채용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4-방향 버튼의 방향버튼에 의해서만 부화면 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하면, 주화면상에 표시되는 부화면의 표시영역을 시청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가변설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화면모드에서 부화면에 의해 주화면의 중요부분(특히, 자막)에 대한 시청불가상태가 방지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부화면의 시청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주화면 및 부화면 영상신호를 멀티플렉서(22)에 의해 스위칭하여 영상출력수단상에 다화면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표시영역을 위치가변하기 위한 다화면모드와 위치를 설정하는 리모콘(30)과,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및 그 수평/수직동기신호의 클리어신호(CLR1)(CLR2)에 의하여 수평/수직기간에서의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동기검출수단(36,38,40,42)과,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의 다화면모드 및 위치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동기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방향 위치를 가변설정하기 위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영역정의신호(HDSP,VDSP)를 생성해서 부화면 영상신호의 표시위치로서 제공하도록 출력하는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의 제어하에 상기 부화면 영역의 위치가변방향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방향설정부(44)와,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34)에서 지정된 수평방향위치에서 상기 방향설정부(44)로부터의 수평방향 지연량만큼 화소지연시키는 화소지연부(46) 및,
    상기 화소지연부(4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연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34)에서 지정된 수직방향에서 상기 방향설정부(44)로부터의 수직방향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상기 멀티플렉서(22)를 통해 스위칭출력되도록 하는 라인지연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30)에는 상기 다화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화면모드설정버튼(30a)과 그 다화면모드에서 상기 부화면 영역의 위치가변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4-방향 버튼(30b)과 그 4-방향 버튼(30b)에 의해 지정된 방향에서의 수평화소지연량을 설정하기 위한 10-키(30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3. 다화면모드에서 영상출력수단의 주화면상에 부화면 영상신호가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화면모드에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를 방향 및 화소지연량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단계로부터 상기 부화면 위치설정이 실행되지 않으면 기 정해진 주화면 위치에 부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위치가 설정되면 가변위치를 설정하는 방향 및 화소지연량를 인가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가변위치 방향 및 화소지연량이 설정되면, 상기 주화면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기초로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을 정의함과 더불어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방향을 정의하고, 상기 수평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화소를 지연시키고나서 그 지연된 부화면 영상신호를 수직방향의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 영역을 상기 주화면상에서 위치가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방법.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방향은 리모콘에 갖추어진 4-방향 버튼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부화면 영상신호의 가변위치 지연량은 상기 리모콘에 갖추어진 10-키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방법.
KR1019960074158A 1996-12-27 1996-12-27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24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158A KR100245522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158A KR100245522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53A KR19980054953A (ko) 1998-09-25
KR100245522B1 true KR100245522B1 (ko) 2000-02-15

Family

ID=1949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158A KR100245522B1 (ko) 1996-12-27 1996-12-27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301A (ko) * 2000-02-11 2001-08-2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서브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5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017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aption display on a wide aspect ratio
JPH051032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EP0553910A1 (en) Television receiver
JP2002351442A (ja) 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焼付け防止装置
KR960007545B1 (ko) 주화면위치 보상회로 및 그 방법
KR100202211B1 (ko) 텔레비젼 수신 장치
KR100245522B1 (ko) 영상처리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0620532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894332A (en) Scanning circuit structure of a television receiver
US5523789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monitor for displaying video images reproduced from normal standard video signals
JPH06105177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261356B1 (ko) 텔레비전의이동물체확대표시장치
EP0663769B1 (en) Channel selection in a television receiver
KR100247086B1 (ko) 다중화면분할방식에 의한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제어장치
JPS6213174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657732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0150538B1 (ko) 부화면 모양 변환장치
KR10019294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변환장치
JP3013217B2 (ja) 子画面リニアリティ制御装置
KR100186630B1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부화면위치 변환장치
JPH0282893A (ja) 高画質テレビジョン
JP2708986B2 (ja) 多画面表示装置
JPH0698276A (ja) スクロール制御装置
JP296449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278972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