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900B1 - 화상표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900B1
KR100233900B1 KR1019950036351A KR19950036351A KR100233900B1 KR 100233900 B1 KR100233900 B1 KR 100233900B1 KR 1019950036351 A KR1019950036351 A KR 1019950036351A KR 19950036351 A KR19950036351 A KR 19950036351A KR 100233900 B1 KR100233900 B1 KR 10023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image
inpu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526A (ko
Inventor
고조 마스다
이꾸야 아라이
사다오 쯔루가
지로 가와사끼
쯔요시 사노
다모쯔 나가바야시
류이찌 소메야
후미오 이노우에
고지 기또
야스히로 이마이
마사또시 히로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58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233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273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58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57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549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145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1734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600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12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 H04N5/126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whereby the synchronisation signal indirectly commands a frequency genera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문자나 도형표시를 주체로 하는 컴퓨터화상이나 자연화상표시를 주체로 하는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저렴하고 주사선보간에 의한 화질저하가 적으며 입력된 영상신호에 충실한 표시를 실행하는 주사속도 변환기능을 갖고 또한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할 수 있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도 각각 최적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라인메모리에 기억된 입력원색영상신호를 입력의 n배의 속도로 입력의 1/n수평주사기간에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해서 출력하고, 나머지 (n-1)/n수평주사기간 동안에는 리드를 정지하여 입력수평동기신호를 2배의 주파수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것을 순차 입력되는 1필드의 각 주사선마다 반복하고, 또한 연속되는 필드사이에서 메모리수단으로부터의 리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기간을 서로 보간하도록 각 주사선의 리드를 실행하고,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 및 입력동기신호가 입력되고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캔컨버터를 사용할 때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를 사용하고, 문자나 도형 등의 컴퓨터화상에 텔레비젼화상을 삽입하여 각각에 적합한 휘도로 동시에 표시할 때에는 특정영역휘도 변환수단에 의해 삽입된 화상마다 독립적으로 소정의 휘도레벨로 설정하고, 또 이들의 합성화상의 안정화를 필요로 할 때에는 입력신호가 안정된 신호일 때에는 이 입력신호와 동기시킨 클럭을 선택하고 불안정한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입력신호와 비동기로 생성한 안정된 클럭을 선택하고, 이것을 리드측 클럭으로서 출력하도록 하여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양호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출력화상의 휘도를 강화하여 휘도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정개소의 증대를 억제하여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도 각각 최적한 휘도를 표시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화상표시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1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3(a)~(j)도는 제2도에 도시한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각부의 동작타이밍을 도시한 파형도.
제4(a)도 및 제4(b)도는 NTSC방식의 영상신호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6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8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9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4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12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5를 도시한 블럭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주사선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14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15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주사선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16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
제17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의 출력동기신호 어긋남회로의 블럭도.
제19(a)~(g)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8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주요한 회로수단의 동작타이밍을 도시한 신호파형도.
제20(a)~(e)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CRT 표시장치에서의 주사선구조를 도시한 원리도.
제21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9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출력동기신호 어긋남회로의 블럭도.
제22(a)~(f)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9의 주사속도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주요한 회로수단의 동작타이밍을 도시한 신호파형도.
제23(a)~(e)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CRT 표시장치에서의 주사선구조를 도시한 원리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5도는 제24도와는 다른 비디오회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6도는 제24도 및 제25도와는 다른 비디오회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0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3를 도시한 블럭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33도는 제31도에 있어서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4도는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 13의 1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5도는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 1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6도는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7도는 제36도에 있어서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5를 도시한 블럭도.
제40도는 제39도에 있어서의 화상합성회로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6를 도시한 블럭도.
제42도는 제4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4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7를 도시한 블럭도.
제44도는 제43도에 있어서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5도는 제44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340)의 삽입화상의 검출방법의 1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46도는 제44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340)의 삽입화상의 검출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47도는 제44도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340)의 삽입화상의 검출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4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8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9도는 제48도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0도는 제49도에 있어서의 구체예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5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9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0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3도는 제52도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사용하는 삽입위치데이타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제54도는 제52도에 있어서의 타이밍발생회로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1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6도는 제55도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사용하는 삽입위치/휘도레벨데이타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제5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2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3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5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4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0도는 제59도에 있어서의 제어회로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5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6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7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제65도는 제64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 발생부의 변형예의 블럭도.
제6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9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제67도는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 29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 발생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8도는 제67도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터검출계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9도는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 29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 발생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7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0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제71도는 제70도에 도시한 실시예 30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 발생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72도는 제64도, 제66도 및 제70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실시예 3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가능한 리드측 클럭발생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7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1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제74도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본 발명은 문자나 도형표시를 주체로 하는 컴퓨터화상이나 자연화상표시를 주체로 하는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NTSC, PAL, SECAM, 더나아가서는 고품위 텔레비젼신호나 퍼스널컴퓨터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신호 등의 인터페이스신호의 주사속도 변환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양이 다른 각종 컴퓨터나 각종 텔레비젼이나 영상출력장치 등의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가정용의 VTR이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NTSC 방식의 자연화상도 표시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영상신호의 수평주사주파수는 대부분이 24KHz 이상인 것에 비해, NTSC 방식의 수평주사주파수는 15.75KHz으로 낮다. 디스플레이장치측에서 15.75KHz의 수평주사주파수에 대응시키고자 하면 수평편향회로의 부담이 크게 되어 화면왜곡의 증대 등의 화질저하를 일으킨다. 그래서, 인터레이스신호를 논인터레이스신호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배속변환처리가 검토되고 있다.
논인터레이스신호로의 변환에는 크게 나누어 2가지 방식이 있다. 그 하나는 동일필드내의 주사선을 사용해서 보간주사선을 작성하는 필드내 주사선보간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전후의 필드간의 주사선을 사용해서 보간주사선을 작성하는 필드간 주사선보간방식이다.
이들 2가지 논인터레이스변환방식중 필드간 주사선 보간방식을 화상의 움직임부분에 적용하면, 시간적으로 다른 2개의 필드가 합성되기 때문에 2중상으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의 움직임부분에 대해서는 필드내 주사선 보간방식에 의해 보간주사선을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필드내 주사선 보간방식에서는 적어도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할 수 있는 라인메모리를 마련하고, 이 라인메모리에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를 1주사선씩 라이트하고 그리고 라이트의 2배의 속도로 2번씩 리드하는 동일주사선 2회리드보간방식(SINGLE SCAN LINE DOUBLER SYSTEM)과 상하의 주사선의 무게를 고려한 연산에 의해서 보간주사선을 작성하는 연산보간방식이 있다.
그러나, 동일주사선 2회리드보간방식은 수직방향의 해상도가 저하하여 오히려 화질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3-1139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번씩 리드한 동일주사선이 브라운관상의 동일위치에 표시되도록 수상기측의 수직편향회로를 개선하는 것에 의해 수직방향의 해상도를 저하를 억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상기 연산보간방식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4-1578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3-6328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드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고, 수직편향회로를 연구해서 기수필드의 주사위치와 우수필드의 주사위치가 혼동하는 것을 억압하는 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장치에 있어서 수직편향회로를 개조하는 방식은 수상기측의 수직편향회로의 출력신호를 전환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수직편향회로가 매우 특수한 구성으로 되어 원가상승으로 된다.
또, 연산보간방식은 연산회로의 추가에 의한 대폭적인 원가상승을 피할 수가 없다. 또, 연산에 의해서 작성한 주사선은 원래의 영상신호에는 존재하지 않는 주사선이기 때문에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는 등 오히려 화질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컴퓨터단말장치나 텔레비젼 등 영상출력장치의 규격에 대해서 보면, 현재 컴퓨터 등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영상신호(비디오신호)는 사양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수평/수직주사주파수, 영상표시기간, 영상표시위치, 영상귀선기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전용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 1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각종 영상신호에 대응한 적절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등의 요구에 대해서는 멀티스캔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러한 종류(멀티스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다종다양한 영상신호 사양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편향계회로에서는 능동소자가 많이 사용되고 또 동작의 안정도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로규모가 증대하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 및 조정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현재는 또 상기 영상신호의 주사주파수는 높은 쪽으로 이행하고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대응시킬 신호사양은 확대하고 있다. 또, 요즈음 상기 컴퓨터신호의 표시뿐만 아니라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등의 영상신호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도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신호의 수평주사주파수에 대해서 보더라도, NTSC 신호의 15.75KHz에서 고정밀 영상이나 CAD/CAM 클라스(화소수 2M 픽셀)에 필적하는 약 90KHz 정도까지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매우 광범위한 주파수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로는 대응이 상당히 곤란하였다. 왜냐하면, 영상신호의 주사주파수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편향회로부의 소자정수의 전환제어의 번잡함이나 부품갯수가 증가하고 또 동작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회로규모가 증대하였다. 그뿐만이 아니라, 각종 영상신호의 표시화질이나 화면왜곡 특성 등에 대응하여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정개소가 증대하여 코스트(비용)도 증대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여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또는 해상도변환회로(이하, 스캔컨버터라고 한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스캔컨버터를 사용한 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평성 6-138834호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종래의 스캔컨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0도는 그 개략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0도에 있어서 (11)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20)은 비디오처리회로, (150a),(150b),(150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51)은 비디오출력회로, (1100)은 입력영상신호, (1200)은 입력동기신호, (1300)은 출력동기신호이다.
컴퓨터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00)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되어 입력동기신호(1200)에서 스캔컨버터(11)의 구성요소인 PLL(Phase Locked Loop)회로부 등에 의해서 재생된 입력영상신호(1100)의 도트클럭에 의해, 스캔컨버터(11)의 구성요소인 A/D변환부에 있어서 표본화(샘플링)된다. 표본화된 신호는 스캔컨버터(11)의 구성요소인 메모리에 라이트된다. 그후, 원하는 주파수의 동기신호(1300)의 1수평주사기간내에 표시하는 도트수에 따라서, 상기의(또는 다른) PLL 회로부 등에 의해서 재생된 소정 주파수의 도트클럭에 의해 메모리에서 리드되고, 스캔컨버터(11)의 구성요소인 D/A 변환부에 있어서 출력화상신호(1400)이 생성된다. 또, 스캔컨버터(11)로부터의 출력영상신호(1400)은 비디오회로(150a),(150b),(150c)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150)의 구성요소인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비디오출력회로(151)에 있어서 수상관(CRT)(14)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전압진폭까지 증폭된다. 한편, 스캔컨버터(11)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0)은 편향회로(13)에 입력되고 수상관(CRT)(14)로 출력된다. 따라서, 편향회로(13)의 대응범위 이외의 주사주파수를 갖는 영상신호를 입력하여도 스캔컨버터(11)부분에 의해서 처리되고 수상관(CRT)(14)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편향회로부의 조정개소의 증대를 억제해서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텔레비젼수신기(TV)나 하이비젼수신기(HDTV)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는 밝은 환경하에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시거리를 멀리 하여(약 1m 이상) 사용되는 일이 많은 것 등에 의해 표시휘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는 비교적 주위광이 어두운 환경하에서도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시거리가 근거리(약 1m 이내)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은 것이나 시각 피로의 면 또 포커스성능 확보 등 때문에,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수신기(TV)나 하이비젼수신기(HDTV)보다 휘도가 낮다. 따라서,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1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이유 등에 의해 휘도의 전환을 실행한 쪽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휘도의 전환은 실행되고 있지 않았다.
또, 요즈음 컴퓨터영상 등의 화면내에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표시(윈도우)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고, 상기 종래예의 스캔컨버터를 사용한 시스템에서도 이와 같은 요구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컴퓨터화면내에 표시하는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등의 영상과 그밖의 컴퓨터영상과는 동일휘도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경우도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의 영상은 컴퓨터의 영상보다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영상신호의 수평/수직주파수 등의 사양규격의 현상에 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각종 컴퓨터 등이 발생하는 영상신호(비디오신호)는 사양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수평주사주파수(이하, fH라고 한다), 수직주사주파수(이하, fV라고 한다), 영상표시기간, 영상표시위치, 영상귀선기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전용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필요하다. 또, 1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각종 영상신호에 대응한 적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멀티스캔 디스플레이장치가 있다. 이 멀티스캔장치는 다종다양한 사양의 영상신호에 대응하기 위해 편향계회로에 능동소자를 사용하고 또 동작의 안정도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로규모가 증대하고, 그 결과 이와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제조나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고해상도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영상신호의 주사주파수는 높은 쪽으로 이행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대응시킬 신호의 사양범위는 확대되고 있다. 또, 요즈음 상기 컴퓨터영상신호의 표시에 부가해서,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HDTV)신호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신호의 fH의 관점에서는 NTSC 신호의 15.75KHz에서 고정밀 영상이나 CAD/CAM 클라스(1600도트×1200라인의 해상도)의 신호에 필적하는 약 110KHz 정도까지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매우 광범위한 주파수(fH : 15~110KHz)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로는 곤란하였다. 즉, 편향회로부의 소자정수의 전환제어회로의 번잡함이나 부품갯수가 증대하고 동작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회로규모는 증대한다. 게다가, 각종 영상신호의 화질이나 화면왜곡 등에 대응한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정개소가 증대하여 코스트도 증가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원하는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해상도) 변환회로(이하, 스캔컨버터라고 한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스캔컨버터를 사용한 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232394호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6-138834호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4도는 그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74도에 있어서 (71)은 A/D 변환부, (72)는 메모리부, (73)은 D/A 변환부, (74)는 동기분리부, (75)는 제1PLL(Phase-Locked-Loop)회로부1, (76)은 제2PLL회로부2, (77)은 제어부, (78)은 동기신호 재생부, (79)는 디스플레이부이다.
컴퓨터 등에서 공급되는 각종 사양의 입력영상신호(710)은 상기 A/D 변환부(71)에 입력되고, 입력동기신호(712)는 상기 동기분리부(74)에 의해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입력수직동기신호(717)로 분리된다. PLL회로부1(75)는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위상동기하고 또한 이 입력수평동기신호(716)의 주파수 fH의 N배(N : 자연수)의 주파수의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을 생성해서 A/D 변환부(71),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로 공급한다. PLL회로부2(76)은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위상동기하고 또한 이 입력수평동기신호(716)의 주파수 fH의 M배(M : 자연수)의 주파수의 리드측 클럭신호(714)를 생성해서 D/A 변환부(73),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로 공급한다. A/D 변환부(71)은 입력영상신호(710)을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에 의해서 표본화(샘플링)해서 디지탈데이타(718)을 메모리(72)로 공급한다. 메모리(72)는 라이트측 클럭신호(713)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720)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데이타(718)을 라이트하고, 리드측 클럭신호(714)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720)에 따라서 디지탈데이타(719)를 리드해서 D/A 변환부(73)으로 공급한다. D/A 변환부(73)은 디지탈데이타(719)를 리드측 클럭신호(714)에 따라서 출력영상신호(711)로 변환해서 디스플레이부(79)로 공급한다.
동기신호 생성부(78)은 제어부(77)로 제어되고, PLL회로부2(76)에서 공급되는 클럭을 사용해서 출력동기신호(715)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79)로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편향회로부의 조정개소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NTSC 신호를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동기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NTSC 방식의 신호원은 다양하여, 예를들면 LD(레이저디스크)나 수신상태가 양호한 텔레비젼방송 등으로부터는 비교적 안정된 입력영상신호(710) 및 입력동기신호(712)가 얻어지지만,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반송 등으로부터의 입력영상신호(710) 및 입력동기신호(712)는 매우 불안정하게 되어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은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입력동기신호(712)와 위상동기해서 상기 PLL회로부(75),(76)에 의해 라이트측 클럭신호(713) 및 리드측 클럭신호(714)를 생성한 경우에는 지터성분을 어느 정도는 흡수할 수 있지만 완전하게는 흡수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터성분을 증가시켜 버린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NTSC 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의 라이트측 클럭신호의 주파수 fWCLK는 fWCLK=14.3MHz이다. 또, 리드측 클럭신호의 주파수 fRCLK는 fRCLK≥28.6MHz이다. 주지의 사항이지만, 디지탈처리를 하는 경우의 클럭지터 TJIT는 클럭주기의 1/1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클럭신호의 클럭지터 TJIT는 7ns 이하, 리드측 클럭신호의 클럭지터 TJIT는 3.5ns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리드측 클럭신호의 주파수 fRCLK의 값이 NTSC 신호의 2배속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이지만, K배속(K : 자연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클럭지터 TJIT는 7/Kns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VTR 등으로부터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라이트클럭신호의 클럭지터필요값은 만족할 수 있지만, 리드측 클럭신호의 클럭지터필요값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특히, K≥4일 때).
다음에, 동일 필드 또는 프레임내에 화상을 삽입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다음과 같다.
요즈음, 보고싶을 때 원하는 프로를 볼 수 있는 VOD(Video On Demmand)서비스나 CD-ROM을 사용한 전자백화사전 등 소위 멀티미디어서비스가 한창 번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서비스에서는 컴퓨터화면에 자연화상 등의 텔레비젼영상을 삽입하는 일이 많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디스플레이는 문자나 도형을 매우 가까운 곳에서 보기 때문에, 컴퓨터조작자가 보기 좋도록 표시휘도를 너무 높게 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텔레비젼영상은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비교적 고휘도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텔레비젼영상과 문자나 도형의 컴퓨터화상을 컴퓨터용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시에 표시하면, 텔레비젼영상은 통상의 텔레비젼수상기에서 보는 것보다 휘도가 낮게 되어 열비치는 것이 없어진다.
그래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도형표시의 휘도레벨과 자연화상표시의 휘도레벨을 별도로 제어하여 자연화상의 표시부분만을 밝게 하는 등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삽입표시로서는 텔레비젼의 친화면에 자화면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픽쳐인픽쳐가 널리 알려져 있다.
픽쳐인픽쳐에서는 텔레비젼수상기중에 친화면용과 자화면용에 여러개의 영상신호입력계통이 있어 영상신호마다 별개로 진폭레벨이나 직류레벨을 제어해서 친화면과 자화면으로 독립해서 휘도레벨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의 문자나 도형표시에 자연화상 등의 텔레비젼영상을 삽입하는 처리(합성처리)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처리 등으로 실행되고, 이와 같이 합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공급해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컴퓨터의 문자나 도형표시에 자연화상 등의 텔레비젼영상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합성된 영상신호 1계통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므로, 픽쳐인픽쳐와 같은 여러개의 영상신호 입력계통을 갖는 구성에서는 삽입화면의 진폭레벨이나 직류레벨을 별도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렴하고 또한 주사선보간에 의한 화질저하가 적어 입력된 영상신호에 충실한 표시를 실행하는 주사속도 변환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조정개소의 증대나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 각각 최적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출력화상의 휘도를 조정하거나 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합성된 영상신호의 경우라도 삽입화상마다 독립적으로 레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목적을 달성할 때의 휘도를 부분적 또는 각주사선마다 조정하고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제4의 목적은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양호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불안정한 입력신호와 안정된 입력신호를 합성해서 안정된 영상을 얻어 상기 제1~제3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의 적어도 1주사선분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갖고 상기 메모리수단에 대한 상기 영상신호의 라이트속도의 n(n은 2이상의 정수)배의 속도로 상기 라이트주기의 1/n 수평주사기간에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나머지(n-1)/n 수평주사기간은 리드를 정지시키는 것을 순차 입력되는 1필드의 각 주사선마다 반복하고, 또한 연속하는 필드사이에서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의 리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기간을 서로 보간하도록 각 주사선의 리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의 적어도 1주사선분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이 메모리에 기억된 영상신호를 입력속도의 n배의 속도로 리드해서 n배의 주사속도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속도 변환수단, 주사속도가 변환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속도 변환수단에 상기 메모리에 대한 영상신호라이트속도의 n배의 속도로 라이트의 1/n수평주사기간에 상기 메모리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나머지 (n-1)n 수평주사기간은 리드를 정지시키고, 다음의 필드에서는 전의 필드에서 필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수평주사기간에 상기 메모리에서 n배의 속도로 1/n 수평주사기간에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다른 수평주사기간은 리드를 정지시키는 메모리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인터레이스방식의 제1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인터레이스방식의 제2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1영상신호의 주사속도를 변환하는 주사속도 변환수단,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를 전환해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환수단 및 이 전환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속도 변환수단에 입력되는 적어도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대한 영상신호라이트속도의 n배의 속도로 라이트의 1/n 수평주사기간에 상기 메모리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나머지 (n-1)/n 수평주사기간은 리드를 정지시키며 다음의 필드에서는 전필드에서 리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수평주사기간에 상기 메모리에서 n배의 속도로 1/n 수평주사기간에 1주사선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다른 수평주사기간은 리드를 정지시키는 메모리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입력된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상기 A/D 변환회로에서 출력된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 입력된 영상신호의 입력수평동기신호를 곱하여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라이트제어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회로,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서 생성한 도트클럭을 분주하고 출력의 수평 및 수직의 동기신호를 작성하는 출력동기신호 작성회로를 갖고, 필드수를 n배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속화하는 주사속도 변환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서 최초로 리드하는 우수필드의 영상신호가 1수평주사주기 지연되도록 리드제어회로로부터의 리드개시신호를 지연시키는 리드지연회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입력된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상기 A/D 변환회로에서 출력된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하여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라이트제어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회로,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서 생성된 도트클럭을 분주하고 출력의 수평 및 수직의 동기신호를 작성하는 출력동기신호 작성회로를 갖고 필드수를 n배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속화하는 주사속도 변환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연속하는 동일필드의 출력영상신호가 동일주사선 위치에 표시되도록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어긋나게 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입력된 인터레이스방식의 영상신호의 필드주파수를 n배속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속화하는 주사속도 변환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속도 변환회로에 입력된 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이 A/D 변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적어도 1필드분을 기억하는 메모리, 이 메모리에서 리드한 영상신호를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D/A 변환회로,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하여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 이 도트클럭 생성회로에서 생성된 도트클럭, 입력된 영상신호의 입력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서 상기 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라이트 제어회로,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서 생성된 도트클럭을 카운트하여 입력의 n배의 주파수의 출력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해서 출력하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에서 기수필드인지 우수필드인지를 판별하여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필드판별회로, 상기 필드판별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를 상기 도트클럭생성회로에서 생성된 도트클럭단위로 어긋나게 하여 출력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어긋남회로, 상기 도트클럭생성회로에서 생성된 도트클럭,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평동기신호, 상기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 및 상기 필드판별신호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회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기능을 갖는다.
라이트의 n배의 속도로 메모리에서 영상신호를 리드하기 위해, 입력하는 영상신호의 주사속도는 2배로 된다. 또, 다음의 필드에서는 전의 필드에서 상기 메모리의 리드를 정지하고 있던 기간에 리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필드마다 리드를 정지하고 있던 기간을 보간하는 영상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 보간한 필드의 주사위치를 원래의 필드와 일치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목적, 특히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고 소정의 수평, 수직주사주파수를 갖는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와 해상도 중의 적어도 1개를 변환하는 수단(스캔컨버터) 및 상기 영상신호의 신호진폭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이득비디오출력수단을 갖고, 상기 주파수와 해상도중의 적어도 1개의 값에 따라서 상기 가변이득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 및 입력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원하는 수평,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캔컨버터,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출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실행하는 비디오처리회로, 이 비디오처리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수상관(CRT)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진폭까지 증폭하고 또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따라서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비디오출력회로,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를 입력하는 편향회로 및 수상관(CRT)으로 구성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에 따라서 적절하게 가변이득비디오출력회로의 이득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서 최적인 휘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및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개소의 증대를 억제하여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 각각을 최적한 휘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출력화상의 휘도를 강화하여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3의 목적에 대해서 필드 및 프레임중의 적어도 1개에 n배(n은 1 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삽입하여 합성하고, 이 합성수단에 의해 삽입 합성된 화상을 표시하고, 이 합성수단에 의해 삽입합성된 화상신호중의 최대 n개분의 화상신호의 삽입위치의 타이밍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삽입위치타이밍에서 진폭레벨 및 직류레벨중의 적어도 1개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합성된 영상신호상에 있는 화상합성타이밍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화상신호타이밍에서 진폭레벨이나 직류레벨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및 기능을 갖는다.
화상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나 도형과 자연화상과의 휘도레벨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고, 이 결과 자연화상 등의 텔레비젼영상은 밝고 선명하게 표시되고, 문자나 도형 등의 컴퓨터화상은 저휘도로 리드하기 쉽게 표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2의 목적에 대응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출력화상의 휘도를 필요에 따라서 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4의 목적에 대해서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입력동기신호와 동기한 클럭을 발생하는 제1클럭발생회로, 비동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클럭발생회로 및 이들의 클럭발생회로의 한쪽을 상기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디지탈처리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화상표시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수단은 입력신호가 안정된 신호일 때에는 이 입력신호와 동기시킨 클럭을 선택하고, 불안정한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비동기로 생성된 안정된 클럭신호를 선택하며, 이것을 리드측 클럭으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양호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는 작용, 기능을 갖는다. 또,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동작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특히 NTSC 방식의 텔레비젼신호를 수신하여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해서 표시하는 장치의 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합성 비디오신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NTSC 신호원, (2)는 입력된 합성 비디오신호에 직류재생 및 Y/C 분리 등의 신호처리를 실시해서 적, 녹, 청의 원색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처리회로, (3)은 입력된 합성 비디오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해서 출력하는 동기분리회로, (4)는 주사속도 변환회로, (5)는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영상신호를 증폭해서 CRT 표시장치(7)을 구동하는 비디오출력회로, (6)은 상기 주사속도 변환회로(4)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CRT 표시장치(7)을 편향제어하는 편향회로이다.
다음에, 상기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구성을 제2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41)은 적, 녹, 청의 원색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단자, (42)는 영상신호 입력단자(41)에 입력된 원색영상신호를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43)은 A/D 변환회로(42)에서 출력된 1주사선분의 디지탈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라인메모리, (44)는 상기 라인메모리(43)에서 리드된 디지탈영상신호를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회로, (45)는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46)은 수평동기신호입력단자, (47)은 상기 수평동기신호입력단자(46)에서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를 곱하여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PLL 회로를 사용해서 15.75KHz의 수평동기신호를 1820배로 곱하여 28.6MHz의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413)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단자, (48)은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생성된 도트클럭을 분주하고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2배의 주파수의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 (49)는 수평동기신호입력단자(46)에서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도트클럭생성회로(47)에서 생성된 도트클럭에 따라서 A/D 변환회로(42)의 샘플링클럭과 라인메모리(43)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회로, (410)은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와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생성된 도트클럭에 따라서 D/A 변환회로(44)의 클럭과 라인메모리(43)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제어회로이다.
또한, 영상신호 입력단자(41), A/D 변환회로(42), 라인메모리(43), D/A 변환회로(44), 영상신호출력단자(45)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위해서 1계통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적, 녹, 청의 각 색마다 1계통을 갖고 있다.
제3(a)~(j)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인메모리(43)의 입력영상신호와 출력영상신호의 타이밍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3(a)도는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제3(b),(c)도는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입력수평동기신호이다. 제3(d),(e)도는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입력데이타의 타이밍으로서, O1, O2, O3은 각각 기수필드에 있어서의 1, 2, 3라인째의 주사선의 데이타의 입력타이밍, 마찬가지로 E0, E1, E2, E3은 우수필드에 있어서의 0, 1, 2, 3라인째의 주사선의 데이타의 입력타이밍이다. 제3(f)도는 출력수평동기신호, 제3(g),(h)도는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라인메모리(43)의 리드이네이블신호, 제3(i),(j)도는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라인메모리(43)에서 리드한 영상신호이다.
제4(a),(b)도는 영상신호 입력단자(41)에 입력되는 원색영상신호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 실시예는 인터레이스신호인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주사선속도변환하는 장치의 예이므로, 기수필드의 주사선위치는 제4(a)도, 우수필드의 주사선위치는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마다 서로 보간하여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2도 및 제3(a)~(j)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도트클럭 생성회로(47)은 수평동기신호 입력단자(46)에 입력된 15.75KHz의 수평동기신호를 1820배하는 것에 의해, 28.6MHz의 도트클럭을 생성하고 라이트제어회로(49), 리드제어회로(410),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로 공급한다.
라이트제어회로(49)는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입력된 28.6MHz의 도트클럭을 2분주하는 것에 의해 14.3MHz의 클럭을 발생해서 A/D 변환회로(42)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하고, 또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14.3MHz의 클럭에서 라인메모리(43)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라인메모리(43)으로 공급한다.
A/D 변환회로(42)는 영상신호 입력단자(41)에 입력된 원색영상신호를 라이트제어회로(49)에서 입력된 샘플링클럭의 상승에지의 타이밍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라인메모리(43)으로 공급한다. 이때, 입력된 원색영상신호는 인터레이스신호이기 때문에, 라인메모리(43)의 입력신호의 타이밍은 제3(d)도 및 제3(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마다 1/2 수평주사주기만큼 어긋난 것이다.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은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입력된 28.6MHz의 도트클럭을 분주해서 발생된 31.5KHz의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리드제어회로(410)과 수평동기신호 출력단자(411)로 공급한다. 리드제어회로(410)은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입력된 28.6MHz의 도트클럭에 위상조정처리를 실시해서 D/A 변환회로(44)로 공급하고, 또 28.6MHz의 도트클럭과 31.5KHz의 출력수평동기신호에 따라서 라인메모리(43)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메모리(43)으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라인메모리(43)의 리드이네이블신호로서 기수필드인 경우는 제3(g)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수평동기신호의 주기마다 “H”와 “L”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로 우수필드인 경우는 기수필드와는 역으로 제3(h)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수평동기신호의 주기마다 “L”과 “H”로 전환되는 라인메모리(43)의 리드이네이블신호를 발생해서 라인메모리(43)으로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라인메모리(43)의 리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라인메모리(43)은 이네이블신호가 “L”레벨일 때에 액티브상태로 되어 리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라인메모리(43)은 제3(i)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개시시의 출력수평동기신호의 1수평주사주기의 기간은 영상신호의 리드를 정지시키고 다음의 1수평주사주기의 기간에 리드를 실행한다. 이후의 라인에서는 이 동작을 반복한다.
또, 우수필드인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로 제3(j)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수필드에서 리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기간에 영상신호의 리드를 실행한다. 즉, 필드마다 리드를 정지시키고 있던 기간의 영상신호를 서로 보간하여 일치하도록 라인메모리(43)에서 영상신호를 리드한다.
D/A 변환회로(44)는 제3(i),(j)도에 도시한 타이밍에 있어서 라인메모리(43)에서 리드한 영상신호를 리드제어회로(410)에서 입력된 28.6MHz의 클럭의 상승 타이밍에 있어서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출력단자(45)로 출력한다.
제1도에 도시한 비디오출력회로(5)는 영상신호출력단자(45)에서 출력되는 주사속도 변환후의 영상신호를 증폭해서 CRT 표시장치(7)에 공급한다. 또, 편향회로(6)은 수평동기신호 출력단자(411)과 수직동기신호 출력단자(415)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서 CRT 표시장치(7)을 편향제어한다.
제5(a),(b)도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NTSC 신호원(1)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에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경우의 CRT 표시장치(7)에서의 주사선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제5(a)도는 기수필드, 제5(b)도는 우수필드의 출력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이다. 제5(a)도, 제5(b)도에 있어서 실선은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유효주사선이고, 점선은 라인메모리(43)에서 영상신호가 리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 무효주사선이다. 제5(a),(b)도에 도시한 유효 주사선의 배치는 제4(a),(b)도에 도시한 입력영상신호의 주사선의 배치와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1/2수평주사주기 어긋나 있지만, 주사선의 배치나 주사선의 간극에 관해서는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해상도 저하가 없어져 입력영상신호에 충실한 화상표시가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로 변환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2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인메모리(43)의 라이트의 n배(n은 자연수)의 속도로 리드를 실행하고 1라인만 유효 주사선으로 하며 나머지 (n-1)라인의 주사선을 무효주사선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는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와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 1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는 수직주사주파수는 일정하고 무효주사선을 보간하는 것에 의해 라인수를 2배화하고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장치의 예인데 비해, 실시예 2는 무효주사선보간에 의해서 라인수를 2배화하고 또한 수직주사주파수도 2배속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4배속화하는 장치의 예이다. 따라서,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412)를 사용한 점과 입력수직동기신호의 2배의 주파수의 출력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회로(414)를 마련한 점이 상술한 실시예 1과 다르다. 이하, 동작을 설명한다.
도트클럭 생성회로(47)은 수평동기신호입력단자(46)에 입력된 수평동기신호를 3640배해서 57.2MHz의 도트클럭을 생성하고, 라이트제어회로(49), 리드제어회로(410),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로 공급한다. 라이트제어회로(49)는 입력된 57.2MHz의 도트클럭을 4분주해서 14.3MHz의 클럭을 발생하고 A/D 변환회로(42)에 샘플링클럭으로서 공급한다.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은 입력된 57.2MHz의 도트클럭을 분주해서 입력수평동기신호의 4배의 주파수의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한다.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회로(414)는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회로(48)에서 발생된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분주하여 120Hz의 출력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한다. 리드제어회로(410)은 57.2MHz의 도트클럭에 위상조정처리를 실시해서 D/A 변환회로(44)로 공급하고, 또 상기 도트클럭과 출력수평동기신호 및 출력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필드메모리(412)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필드메모리(412)로 공급한다.
필드메모리(41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1출력 수평주사주기의 간극을 두고 1라인마다 1필드분의 영상신호가 리드된다. 단, 실시예 1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는 리드속도는 라이트속도의 2배였던 것에 비해, 이 실시예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는 리드속도가 라이트속도의 4배이기 때문에, 무효주사선보간에 의해 라인수를 2배화하더라도 1/2출력수직주사주기의 시간으로 필드메모리(412)로부터의 리드가 완료한다. 따라서, 나머지 1/2입력수평주사주기의 시간에 재차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필드를 2배속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A 변환회로(44)는 이와 같이 필드 2배속화된 영상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해서 영상신호출력단자(45)로 공급한다. 제7(a),(b)도는 이 실시예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에서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영상신호를 CRT 표시장치(7)에 표시한 경우의 모식도로서, 제7(a)도는 기수필드, 제7(b)도는 우수필드의 주사선위치와 필드수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선은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유효주사선이고 점선은 영상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무효주사선이다. 주사선의 위치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지만, 필드수가 2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대면적 플리커를 억압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주사주파수를 2배로 변환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2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n배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으로 되는 주사속도 변환회로는 이것에 대응할 수가 있다. 이 경우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로 변환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드메모리(412)의 라이트의 n배(n은 자연수)의 속도로 리드를 실행하고, 1라인만 유효주사선으로 하고 나머지 n-1라인의 주사선을 무효주사선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로 변환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회로수단과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 2는 라이트제어회로(49)와 리드제어회로(410)은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공급된 도트클럭에 따라서 필드메모리(412)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있었던데 비해, 이 실시예는 라이트계통의 도트클럭 생성회로(416)과 리드계통의 도트클럭 생성회로(417)을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하고 필드메모리(412)의 라이트와 비동기로 리드를 실행하는 장치의 예인 점이 실시예 2와 다르다.
이와 같은 비동기의 라이트 및 리드에서는 필드메모리(412)의 리드어드레스가 라이트어드레스를 추월한다. 소위, 어드레스추월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제2필드메모리(418)을 마련하고, 필드마다 교대로 영상신호를 라이트, 리드할 때에는 라이트가 완료된 쪽의 필드메모리(412)((418))의 영상신호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추월현상에 의한 화질저하를 억압하도록 하였다. 또, 리드도트클럭 생성회로(417)은 라이트도트클럭 생성회로(416)과 동기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들면 독립한 수정발진회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는 필드메모리(412),(418)의 라이트와 비동기로 리드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NTSC 방식의 영상신호의 주사속도를 임의의 컴퓨터 등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주사속도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는 입력영상신호가 NTSC 방식인 영상신호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NTSC 방식의 영상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PAL 방식, SECAM 방식 또는 고품위 텔레비젼신호 등 인터레이스방식의 신호이면 어느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주사속도가 다른 2개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동일한 표시화면상에 표시하는 장치의 예이다. 제1도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9도에 있어서, 제2영상신호원인 엔지니어링 워크스테이션(이하, EWS 신호원이라고 한다)(8)은 예를들면 수평방향으로 1280도트, 수직방향으로 1024도트의 표시해상도를 갖는 영상신호를 발생한다. 이 실시예는 이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화면중에 제1영상신호원인 NTSC 신호원(1)로부터의 영상신호의 화상을 삽입하여 CRT 표시장치(7)에 표시시키는 장치의 예이다.
제10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419)는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420)은 영상신호전환회로이다. 이 영상신호전환회로(420)은 입력단자(420a)에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단자(420b)에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D/A 변환회로(44)로부터의 출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리드제어회로(410)에서 입력된 전환제어신호에 따라서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와 D/A 변환회로(44)로부터의 출력영상신호를 전환해서 선택적으로 영상신호출력단자(45)로 출력한다. (421)은 EWS 신호원(8)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의 입력단자, (422)는 EWS 신호원(8)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의 입력단자이다.
라이트제어회로(49)는 영상입력단자(41)에 입력된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A/D 변환회로(42)에 의해서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한 후에 필드마다 필드메모리(412),(418)에 교대로 라이트한다. 리드제어회로(410)은 영상신호전환회로(420)의 제어신호, 즉 NTSC 방식의 영상신호의 표시위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해서 영상신호전환회로(420)으로 공급하고, 또 상기 영상신호전환회로(420)에서 NTSC 방식의 영상신호가 선택되고 있는 동안에 필드메모리(412),(418)에서 리드를 실행하도록 필드메모리(412),(418)을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신호전환회로(420)에서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기간의 일부의 기간을 주사속도 변환처리를 실시한 NTSC 방식의 영상신호로 전환해서 이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영상신호출력단자(45)로 공급한다.
제11(a),(b)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CRT 표시장치(7)의 표시모식도로서, 제11(a)도는 기수프레임, 제11(b)도는 우수프레임의 주사선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1(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EWS 신호원(8)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화면중에 NTSC 방식의 영상신호의 화상을 윈도우형태로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윈도우내부의 NTSC 방식의 영상신호에 의한 표시화상은 그 해상도가 저하하지 않은 것도 명확하다.
이 실시예는 NTSC 신호원(1)로부터의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을 EWS 신호원(8)로부터의 영상신호에 의한 화면중에 삽입하여 표시하는 장치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영상신호가 제1영상신호보다 해상도가 높은 신호이고 또한 제1영상신호가 인터레이스신호이면 무엇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 5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이나 플라즈마라고 하는 매트릭스형태의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의 예이며, 여기에서는 액정식의 표시장치를 사용한 장치의 예를 제1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9)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수평방향으로 640도트, 수직방향으로 480라인의 해상도를 갖고 있으며 수평주사회로(91)과 수직주사회로(92)를 내장하고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메모리를 사용해서 라인수를 2배화하는 방식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를 구비하고 있다. NTSC 방식의 영상신호의 유효주사선은 1필드당 242.5개이므로, 주사속도 변환회로(4)는 라인수를 2배화하는 것에 의해 485개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액정표시장치(9)는 수직방향으로 480라인의 해상도를 갖고 있으므로, 주사속도 변환회로(4)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거의 전화면 표시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주사속도 변환회로(4)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6도,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주사속도 변환회로(4)를 사용하도록 변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장치로서는 CRT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이나 플라즈마와 같은 매트릭스형태의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표시장치가 디지탈영상신호의 입력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실시예 1~실시예 5에 있어서는 D/A 변환회로(44)를 생략해서 디지탈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 입력하도록 하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6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부(4)의 블럭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필드수를 2배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특히 필드메모리(412)에서 최초로 리드하는 우수필드의 영상신호가 1수평주사기간 지연되도록 리드제어회로(410)으로부터의 리드개시신호를 지연시키는 리드지연회로(423)을 마련한 것이다. 제14도는 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주사선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7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부(4)의 블럭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필드수를 2배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특히 연속하는 동일필드의 출력영상신호가 동일주사선위치에 표시되도록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어긋나게 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를 마련한 것이다. 제16도는 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주사선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8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입력영상신호가 기수필드의 것인지 우수필드의 것인지를 판별해서 이 판별결과를 출력하는 필드판별회로(425)를 마련하고,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426)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의 위상을 이 필드판별회로(425)에서 출력되는 필드판별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도트클럭단위로 어긋나게 하도록 한 장치의 예이다. 또한, 제15도에 도시한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회로수단과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8도는 이 실시예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의 블럭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4241)은 동기신호 발생회로(426)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의 입력단자, (4242)는 도트클럭 생성회로(47)에서 출력된 도트클럭의 입력단자, (4243)은 필드판별회로(425)에서 출력된 필드판별신호의 입력단자, (4244)는 제1지연회로, (4245)는 제2지연회로, (4246)은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 (4247)은 전환스위치, (4248)은 이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의 수직동기신호 출력단자이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1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9도는 이 실시예의 주요한 회로수단의 출력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9(a)도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입력수직동기신호, 제19(b)도는 필드판별회로(425)에서 출력되는 필드판별신호, 제19(c)도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426)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 제19(d)도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426)에서 출력된 출력수평동기신호, 제19(e)도는 제1지연회로(4244)의 출력신호, 제19(f)도는 제2지연회로(4245)의 출력신호, 제19(g)도는 출력단자(4248)로 출력되는 출력수직동기신호이다.
필드판별회로(425)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1수직주사주기의 기간의 수평동기신호의 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영상신호가 기수필드의 것인지 우수필드의 것인지를 판별하고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수필드일 때에는 “H”레벨, 우수필드일 때에는 “L”레벨의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한다.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에 있어서 제1지연회로(4244)와 제2지연회로(4245)는 입력단자(4241)에 입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에 도트클럭단위로 지연처리를 실시해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지연회로(4244)의 지연량은 제19(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5출력 수평주사주기로 설정하고, 제2지연회로(4245)의 지연량은 제19(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출력 수평주사주기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정값을 선택한 이유는 나중에 기술한다.
출력수직동기신호 지연회로(4246)은 입력단자(4241)에 입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계수한다. 이때, 입력단자(4243)에서 입력된 필드판별신호의 상승에지에서 계수값을 클리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드판별신호의 상승에지 직후의 필드를 출력의 제1필드, 이후의 필드를 제2, 제3, 제4필드라고 인식한다. 그리고, 제19(g)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의 제1필드에서는 제19(c)도에 도시한 지연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고, 출력의 제2필드에서는 제19(e)도에 도시한 제1지연회로(4244)에 의해서 0.5출력 수평주사주기의 지연처리를 실시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고, 출력의 제3필드에서는 제19(f)도에 도시한 제2지연회로(4245)에 의해서 1출력수평주사주기의 지연처리를 실시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고, 출력의 제4필드에서는 다시 제19(e)도에 도시한 제1지연회로(4244)에 의해서 0.5출력 수평주사주기의 지연처리를 실시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도록 전환스위치(4247)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4246)이 전환스위치(4247)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출력단자(4248)에서 출력되는 출력수직동기신호는 출력의 제1필드가 263출력 수평주사기간, 제2필드가 263출력수평주사기간, 제3필드가 262출력 수평주사기간, 제4필드가 262출력 수평주사기간으로 되며, 이후의 필드에서는 이 사이클을 반복한다.
또한, 제1지연회로(4244), 제2지연회로(4245) 및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4246)은 예를들면 카운터나 시프트레지스터 또는 래치등에 의해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주사속도 변환회로(4)를 사용한 CRT 표시장치(7)에서의 주사선구조를 제2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편향회로(6)은 그 수직편향의 중심이 도면의 중앙부인 것으로 한다.
제20(a)~(d)도는 각각 상술한 출력의 제1필드~제4필드의 CRT 표시장치(7)상에서의 주사선위치 및 화면의 수직사이즈를 나타내는 원리도이고, 제20(e)도는 상기 4개의 필드를 합성한 화면의 주사선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원리도이다.
출력의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수지사이즈는 제20(a)도 및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63수평주사기간인데 비해 출력의 제3필드 및 제4필드의 수직사이즈는 제20(c)도 및 (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62수평주사기간이기 때문에, 제3필드 및 제4필드의 화면의 수직사이즈는 출력의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화면보다 1수평주사기간분 작게 된다. CRT 표시장치(7)의 수직편향의 중심은 화면의 중앙부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사이즈가 다른 필드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필드의 화면의 중앙부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3필드 및 제4필드의 화면은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화면과 비교하면, 상하에 0.5수평주사기간분의 스페이스가 발생한다. 즉, 제3필드 및 제4필드의 주사선은 제1필드 및 제2필드의 주사선에 대해서 0.5수평주사기간만큼 어긋나게 된다.
한편, 필드메모리(412)에서는 기수필드의 영상신호와 우수필드의 영상신호를 각각 2번씩 리드하기 때문에, 최초에 리드한 기수필드의 영상신호는 제20(a)도의 위치에 표시되고, 다시 리드한 기수필드의 영상신호는 제2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리드한 기수필드의 영상신호와 동일위치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필드메모리(412)에서 최초에 리드한 우수필드의 영상신호는 제20(c)도의 위치에 표시되고, 다시 리드한 우수필드의 영상신호는 제20(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리드한 기수필드의 영상신호와 동일위치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들 4개의 필드가 CRT 표시장치(7)상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제20(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영상신호의 주사선의 위치관계를 재현할 수 있어 수직해상도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은 주사속도 변환회로(4)에 의하면, 필드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것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를 2배속화하는 방식의 주사속도변환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수직편향회로에 아무런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스트 및 범용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향회로(6)의 수직편향의 중심이 화면의 중앙부인 장치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는 도트클럭단위로 출력수직동기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향회로(6)의 수직편향의 중심이 화면의 중앙부이외인 것이어도 대응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9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라인수가 다른 필드를 표시할 때에 화면의 상단이 일치하도록 CRT 표시장치(7)을 편향시키는 편향회로(6)을 사용하는 장치의 예이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의 회로수단과 동일한 회로수단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1도는 이 실시예의 주사속도 변환회로(4)의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의 블럭도로서, 실시예 8의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에 대해서 지연회로(4244)를 1계통으로 한(지연회로(4245)를 생략한다) 점이 다르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22(a)~(f)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2(a)~(f)도는 이 실시예의 주요한 회로수단의 출력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424)에 있어서 제1지연회로(4244)는 입력단자(4241)에 입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에 도트클럭단위의 지연처리를 실시해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지연회로(4244)의 지연량은 제19(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5출력 수평주사주기로 설정하고 있다.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4246)은 제22(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의 제1필드에서는 제22(c)도에 도시한 지연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고, 출력의 제2필드 및 제3필드에서는 제2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연회로(4244)에 의해서 0.5출력 수평주사주기의 지연처리를 실시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고, 제4필드에서는 다시 제22(c)도에 도시한 지연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도록 전환스위치(4247)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4246)이 전환스위치(4247)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출력단자(4248)에서 출력되는 출력수직동기신호는 출력의 제1필드가 263출력 수평주사기간, 제2필드가 262.5출력 수평주사기간, 제3필드가 262출력 수평주사기간, 제4필드가 262.5출력 수평주사기간으로 되며, 이후의 필드에서는 이 사이클을 반복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주사속도 변환회로(4)를 사용한 CRT 표시장치(7)에서의 주사선구조를 제23(a)~(e)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3(a)~(d)도는 각각 상술한 출력의 제1필드~제4필드의 CRT 표시장치(7)상에서의 주사선위치 및 화면의 수직사이즈를 도시한 원리도이고, 제23(e)도는 상기 4개의 필드를 합성한 화면의 주사선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원리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수가 다른 필드를 표시할 때에 화면의 상단이 일치하도록 CRT 표시장치(7)을 편향시키는 편향회로(6)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필드의 화면은 상단이 일치하고 있다. 이들 각 필드의 화면이 CRT 표시장치(7)상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제23(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영상신호의 주사선의 위치관계를 재현할 수 있어 수직해상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NTSC 신호 등의 수평주사주파수가 낮은 인터레이스신호의 주사속도를 수직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2배속화할 수 있고, 또 대면적의 플리커를 억압한 고품위 화상을 종래의 표시구동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인터레이스신호의 주사속도를 변환하기 위한 종래와 같은 신호보간처리가 불필요하므로, 특히 메모리용량을 증대하는 일도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영상신호의 주사속도를 변환할 수가 있다. 또, 출력수직동기신호의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주사위치를 보정하는 것에 의해서, CRT관 면상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의 기수필드의 주사선과 우수필드의 주사선이 표시되는 위치를 혼동하는 일없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가 있다.
다음에, 주로 상술한 제2목적에 대응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4도에 있어서 (11)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20)은 비디오처리회로, (125a),(125b),(125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26)은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 (1100)은 입력영상신호, (1200)은 입력동기신호, (1300)은 출력동기신호, (1400)은 출력영상신호, (1500)은 이득제어신호이다.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00)과 입력동기신호(1200)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되어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출력영상신호(1400)과 출력동기신호(1300)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0)은 비디오회로(Rch)(125a)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Rch)(125a)의 내부에서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가 실시된 비디오처리회로(120)의 출력신호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 입력되고,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서는 스캔컨버터(11)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0)에 의해서 설정된 이득으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한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텔레비젼이나 하이비젼 등의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의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의 이득을 G1로 하고, 컴퓨터신호 등과 같이 휘도가 낮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의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의 이득을 G2로 하면, G1>G2로 되도록 스캔컨버터(11)에서 이득제어신호(1500)이 출력된다.
또, 스캔컨버터(11)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0)은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또한, 비디오회로(Gch)(125b), 비디오회로(Bch)(125c)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한 비디오회로(Rch)(125a)와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각각을 최적한 휘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5도는 이 실시예 9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비디오회로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5도에 있어서 (11)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20)은 비디오처리회로, (127a),(127b),(127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21)은 비디오출력회로1, (123)은 비디오출력회로2, (124)는 1입력2출력의 스위치, (1101)은 입력영상신호, (1201)은 입력동기신호, (1301)은 출력동기신호, (1401)은 출력영상신호, (1501)은 이득제어신호이다.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01)과 입력동기신호(1201)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되고,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의 출력영상신호(1401)과 출력동기신호(1301)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1)은 비디오회로(Rch)(127a)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Rch)(127a)의 내부에서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디오처리회로(120)의 출력단자는 스위치(12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스위치(124)의 한쪽의 출력단자와 비디오출력회로1(121)이 접속되고, 스위치(124)의 다른쪽의 출력단자와 비디오출력회로2(123)이 접속된다.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이루어진 영상신호는 비디오출력회로1(121) 또는 비디오출력회로2(123)에 있어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된다. 스위치(124)는 스캔컨버터(11)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1)에 의해서 전환된다.
예를들면, 텔레비젼이나 하이비젼 등의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에는 이득이 G1인 비디오출력회로1(121)으로, 또 컴퓨터신호 등과 같이 휘도가 낮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에는 이득이 G2인 비디오출력회로2(123)으로 스위치(124)가 전환되도록 스캔컨버터(11)에서 이득제어신호(1501)이 출력된다. 또한, 여기에서도 이득 G1>이득 G2의 관계를 갖게 된다.
또, 스캔컨버터(11)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1)은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또한, 비디오회로(Gch)(127b), 비디오회로(Bch)(127c)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한 비디오회로(Rch)(127a)와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작한다.
본 예에서는 비디오처리회로(120)과 비디오출력회로1(121), 비디오출력회로2(123) 사이에 이득전환용의 스위치(124)를 마련하였지만, 이 스위치를 비디오출력회로1(121), 비디오출력회로2(123)과 수상관(CRT)(14) 사이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각각을 최적한 휘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6도는 본 실시예 9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비디오회로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6도에 있어서 (11)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20)은 비디오처리회로, (132)은 비디오출력앰프, (130)은 2입력1출력의 스위치, (131)은 1입력2출력의 스위치, (133),(135)는 콘덴서C1,C2, (134),(136)은 저항R1,R2, (1102)는 입력영상신호, (1202)는 입력동기신호, (1302)는 출력동기신호, (1402)는 출력영상신호, (1502)는 이득제어신호이다.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02)와 입력동기신호(1202)는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되고,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출력영상신호(1402)와 출력동기신호(1302)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2)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디오처리회로(120)의 출력단자는 스위치(13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스위치(131)의 한쪽의 출력단자는 콘덴서C1(133) 및 저항R1(134)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콘덴서C1(133) 및 저항R1(134)의 다른쪽의 단자는 비디오출력앰프(13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스위치(131)의 다른쪽의 출력단자는 콘덴서C2(135) 및 저항R2(136)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콘덴서C2(135) 및 저항R2(136)의 다른쪽의 단자는 비디오출력앰프(13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C1(133) 및 콘덴서C2(135)는 비디오출력앰프(132)의 고주파특성의 개선을 실행하는 피킹콘덴서이다. 또, 비디오출력앰프(132)는 전류귀환형증폭기로서, 귀환저항은 내장되어 있고 고정값이다. 입력저항으로 되는 저항R1(134) 또는 저항R2(136)에 의해서 그의 이득이 결정되고, 입력저항을 작게 하면 이득이 크게 된다. 또, 비디오출력앰프(132)의 전원전압도 스위치(130)에 의해서 전원전압Vcc1(160) 또는 전원전압Vcc2(161)로 전환된다.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처리가 실시된 신호는 비디오출력앰프(132)에 있어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된다. 스위치(130) 및 스위치(131)은 스캔컨버터(11)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2)에 의해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텔레비젼이나 하이비젼 등의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에는 영상신호가 저항R1(134) 및 콘덴서C1(133)을 거쳐서 비디오출력앰프(132)에 입력되도록 또 비디오출력앰프(132)의 전원전압이 Vcc1(160)으로 되도록 스위치(131) 및 스위치(130)이 각각 전환되는 이득제어신호(1502)가 스캔컨버터(11)에서 출력된다. 한편, 또 컴퓨터신호 등과 같이 휘도가 낮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스캔컨버터(11)에 입력된 경우에는 영상신호가 저항R2(136) 및 콘덴서C2(135)를 거쳐서 비디오출력앰프(132)에 입력되도록 또 비디오출력앰프(132)의 전원전압이 Vcc2(161)로 되도록 스위치(131) 및 스위치(130)이 각각 전환되는 이득제어신호(1502)가 스캔컨버터(11)에서 출력된다. 단, R1<R2 및 Vcc1≥Vcc2이다.
또, 스캔컨버터(15)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2)는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각각을 최적한 휘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비디오처리앰프(120)과 입력저항 사이에 이득전환용의 스위치(131)을 마련하였지만, 이 스위치를 입력저항과 비디오출력앰프(132) 사이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예에서는 비디오회로1채널만의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칼라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는 상기한 구성의 본 비디오회로를 R.G.B의 3채널분 마련하면 좋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24도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 9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징에 부가해서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영상의 색온도를 가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7도에 있어서 (15)는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66)은 비디오처리회로, (170a),(170b),(170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26)은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 (1103)은 입력영상신호, (1203)은 입력동기신호, (1303)은 출력동기신호, (1403)은 출력영상신호, (1503)은 이득제어신호, (1603)은 색온도제어신호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NTSC)신호의 색온도는 송신측에서는 6500K(켈빈)으로 되어 있지만, 수신측에서 적당한 값(약 9300K등)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이비젼신호는 6500K로 규격화되어 있다. 컴퓨터 신호는 규격화되어 있지 않고, 대략 9300K이다. 이와 같이, 영상신호에 의해서 최적한 색온도가 달라 1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신호에 맞는 색온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03)과 입력동기신호(1203)은 스캔컨버터(15)에 입력되고,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출력영상신호(1403)과 출력동기신호(1503)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3)은 비디오회로(Rch)(170a)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Rch)(170a)의 내부에서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66)에 있어서 밝기제어나 콘트라스트제어 및 스캔컨버터(15)에서 출력되는 색온도제어신호(1603)에 의해서 색온도설정 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가 이루어지는 비디오처리회로(166)의 출력신호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 입력되고,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서는 상기 스캔컨버터(15)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3)에 의해서 설정된 이득으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한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색온도제어신호(1603)은 하이비젼신호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색온도가 6500K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득제어신호(1503)은 휘도가 높게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컴퓨터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색온도제어신호(1603)은 색온도가 9300K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득제어신호(1503)은 휘도가 낮게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 스캔컨버터(15)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3)은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조정개소의 증대나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 예를들면 컴퓨터신호와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각각 최적한 휘도 및 색온도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16)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20)은 비디오처리회로, (171a),(171b),(171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26)은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 (1104)는 입력영상신호1, (1204)는 입력동기신호1, (1304)는 출력동기신호, (1404)는 출력영상신호, (1504)는 이득제어신호, (1704)는 입력영상신호2, (1804)는 입력동기신호2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화면상에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컴퓨터그래픽)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104)와 입력동기신호1(1204) 및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컴퓨터그래픽) 등의 입력영상신호2(1704)와 입력동기신호2(1804)는 스캔컨버터(16)에 입력되고,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의 변환처리와 상기 여러개의 영상신호의 화면의 합성처리(자화면표시나 윈도우표시)가 실행되고, 출력영상신호(1404)와 출력동기신호(1304)로서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4)는 비디오회로(Rch)(171a)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Rch)(171a)의 내부에서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20)에 있어서 밝기제어나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비디오처리회로(120)의 출력신호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 입력되고,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서는 스캔컨버터(16)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4)에 의해서 설정된 이득으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한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텔레비젼(NTSC)나 하이비젼 등의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윈도우화면(전화면의 일부분에 틀을 구획해서 표시되는 화면)인 경우에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이 윈도우표시기간에만 이득을 크게하도록 스캔컨버터(16)에서 이득제어신호(1504)가 출력된다.
또, 스캔컨버터(16)으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4)는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화면상에 텔레비젼(NTSC)이나 하이비젼 또는 CG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낼 때,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나 하이비젼(HDTV)의 영상의 휘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화면상에 텔레비젼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다고 하였지만,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보다 컴퓨터 영상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를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화면상에 윈도우를 생성해서 컴퓨터화면을 나타내는 시스템으로 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하도록 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를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화면상에 윈도우를 생성해서 컴퓨터화면을 나타내는 시스템으로 해서 텔레비젼(TV)나 하이비젼(HDTV)보다 컴퓨터 영상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R, G, B의 3채널 모두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고, 효과도 동일하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9도에 있어서 (17)은 스캔컨버터, (13)은 편향회로, (14)는 수상관(CRT), (166)은 비디오처리회로, (172a),(172b),(172c)는 각각 비디오회로Rch, 비디오회로Gch, 비디오회로Bch, (126)은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 (1105)는 입력영상신호1, (1205)는 입력동기신호1, (1305)는 출력동기신호, (1405)는 출력영상신호, (1505)는 이득제어신호, (1605)는 색온도제어신호, (1705)는 입력영상신호2, (1805)는 입력동기신호2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화면상에 윈도우를 마련해서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컴퓨터그래픽)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1(1105)와 입력동기신호1(1205) 및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입력영상신호2(1705)와 입력동기신호2(1805)는 스캔컨버터(17)에 입력되고, 원하는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의 변환 및 윈도우화면의 합성이 실행되고 출력영상신호(1405)와 출력동기신호(1305)로서 출력된다.
출력영상신호(1405)는 비디오회로Rch(172a)에 입력되고, 비디오회로Rch(172a)의 내부에서는 먼저 비디오처리회로(166)에 있어서 밝기제어나 콘트라스트제어 및 스캔컨버터(17)에서 출력되는 색온도제어신호(1605)에 의해서 색온도설정 등의 모든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가 이루어진 비디오처리회로(166)의 출력신호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 입력되고,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에서는 스캔컨버터(17)에서 출력되는 이득제어신호(1505)에 의해서 설정된 이득으로 수상관(CRT)(14)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까지 증폭한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이득제어신호(1505)는 하이비젼의 영상신호와 같이 휘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한 신호가 윈도우화면인 경우에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126)이 윈도우표시기간의 이득을 윈도우표시기간 이외의 이득보다 크게 하도록 스캔컨버터(17)에서 출력된다. 또, 색온도제어신호(1605)는 윈도우표시기간에만 색온도가 6500K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윈도우표시기간 이외의 화면에서는 색온도가 9300K로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 스캔컨버터(17)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1305)는 편향회로(1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화면상에 텔레비젼(NTSC)나 하이비젼 또는 CG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낼 때, 컴퓨터 영상보다 텔레비젼(TV)나 하이비젼(HDTV)의 영상의 휘도를 높게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화면상에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영상신호를 합성해서 나타내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하였지만,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 보다 컴퓨터 영상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를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신호 또는 CG 등의 화면상에 윈도우를 마련해서 컴퓨터화면을 나타내는 시스템으로 해서 컴퓨터의 영상보다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를 텔레비젼(NTSC)신호나 하이비젼 신호 또는 CG 등의 화면상에 컴퓨터화면을 합성해서 나타내는 시스템으로 해서 텔레비젼(TV)이나 하이비젼(HDTV)보다 컴퓨터 영상의 화면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색온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R, G, B의 3채널 모두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고, 효과도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각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또, 비디오회로에 표시하는 입력영상신호에 따라서 화상의 감마보정계수를 가변설정하는 수단을 구비시키고,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수단을 제어하여 적절한 감마보정계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 9~실시예 12에서 개시한 본 발명에서는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 및 입력동기신호가 입력되고,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캔컨버터,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출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밝기제어, 콘트라스트제어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비디오처리회로, 비디오처리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수상관(CRT)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전압진폭까지 증폭하고 또 영상신호에 따라서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 스캔컨버터로부터의 출력동기신호를 입력하는 편향회로 및 수상관(CRT)을 구비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에 따라서 적절하게 가변이득 비디오출력회로의 이득을 가변하는 것에 의해, 조정개소의 증대를 억제하여 매우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종 규격의 영상신호에 따른 최적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출력화상의 휘도를 강화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다른 실시예의 결함을 서로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주로 상기 제3의 목적에 대응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3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은 화상표시수단, (32)는 특정영역휘도변환수단, (33)은 화상합성수단, (34)는 CPU회로, (35)는 ROM회로, (36)은 외부입력수단, (37)은 입력단자, (38)은 신호버스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 화상합성수단(33), CPU회로(34), ROM회로(35) 및 외부입력수단(36)은 신호버스(38)로 접속되어 있다. 또, 화상합성수단(33), CPU회로(34), ROM회로(35) 및 외부입력수단(36)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는 예를들면 컴퓨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화상합성수단(33)은 2개의 화상을 합성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프레임메모리장치로 구성할 수가 있다.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는 화상표시수단(31)에 표시하는 특정 영역의 휘도레벨을 변환하는 것이다.
이하,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겠지만, 여기에서는 화상A에 화상B를 삽입하여 화상표시수단(31)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CPU회로(34)는 ROM회로(3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정보에 따라서, 예를들면 ROM회로(35)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데이타A를 화상합성수단(33)에 의해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이 영상신호는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를 통해서 화상표시수단(31)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표시수단(31)에 화상A가 표시된다.
한편, 외부입력수단(36)은 예를들면 텔레비젼영상신호의 입력장치이고, 입력단자(37)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B를 페치하고 신호버스(38)을 거쳐서 화상합성수단(33)으로 송출한다. 물론, 외부입력수단(36)에서 화상합성수단(33)으로의 신호전송은 신호버스(38)과는 별도로 마련한 회선을 사용하여도 좋다. 화상합성수단(33)에 의해 이 화상데이타B는 이전의 화상데이타A에 삽입되고 화상표시수단(31)로 공급되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A중에 화상B가 삽입되어 표시된다.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는 화상표시수단(31)에 표시되는 화상A,B의 휘도레벨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가 있다.
제33도는 이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0)은 진폭제어수단, (311)은 직류레벨변환수단, (312)는 가산기, (313),(314),(316)은 가변전원, (315)는 전환스위치, (317a)~(317c)는 데이타래치, (318a)~(318c)는 어드레스디코더, (319a)~(319d)는 카운터, (320a)~(320c)는 앤드게이트, (321)은 타이밍발생회로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이 구체예는 화상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310),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레벨제어수단(311), 가산기(312), 가변전원(313),(314),(316), 전환스위치(315), 가변전원(313),(314),(316)의 전압값을 세트하는 데이타래치(317a)~(317c), 데이타래치(317a)~(317c)에 데이타를 래치하는 어드레스디코더(318a)~(318c) 및 전환스위치(315)의 전환제어를 위한 타이밍신호key를 생성하는 타이밍발생회로(321)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밍발생회로(321)은 화상A중의 화상B의 삽입위치를 특정하는 타이밍신호key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화상B의 수직, 수평방향의 개시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카운터회로(319a)~(319d), 앤드게이트(320a)~(320c), 카운터회로(319a)~(319d)에 각각의 어드레스값을 세트하는 데이타래치(317d)~(317g) 및 어드레스디코더(318d)~(318g)로 이루어져 있다.
CPU회로(34)에서 신호버스(38)(제31도)을 거쳐서 공급되는 합성화상의 화면전체의 직류레벨을 결정하는 데이타가 데이타래치(317a)에, 이 화면전체의 진폭을 결정하는 데이타가 데이타래치(317b)에, 삽입부분(이 경우, 화상B의 부분)의 진폭을 결정하는 데이타가 데이타래치(317c)에, 이 삽입부분의 수직개시어드레스가 데이타래치(317d)에, 이 삽입부분의 수직종료어드레스가 데이타래치(317e)에, 이 삽입부분의 수평개시어드레스가 데이타래치(317f)에, 이 삽입부분의 수평종료어드레스가 데이타래치(317g)에 각각 저장된다.
수직개시카운터(319a)와 수직종료카운터(319b)에는 데이타래치(317d)의 데이타와 데이타래치(317e)의 데이타가 각각 수직동기신호Vsync로 프리세트되고, 수평개시카운터(319c)와 수평종료카운터(319d)에는 데이타래치(317f)의 데이타와 데이타래치(317g)의 데이타가 각각 수평동기신호Hsync로 프리세트된다. 그리고, 수직개시카운터(319a)와 수직종료카운터(319b)는 각각 수평동기신호Hsync를 카운트클럭신호로 하고, 수평개시카운터(319c)와 수평종료카운터(319d)는 각각 도트클럭신호DOTCK를 카운터클럭신호로 한다. 수직개시카운터(319a)와 수직종료카운터(319b)의 출력은 앤드게이트(320a)에서 논리곱이 취해지고, 수평개시카운터(319c)와 수평종료카운터(319d)의 출력은 앤드게이트(320b)에서 논리곱이 취해지고, 또 이들 앤드게이트(320a),(320b)의 출력은 앤드게이트(320c)에서 논리곱이 취해져서 화상B의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타이밍신호key가 얻어진다.
제32도는 이 타이밍신호key와 영상신호의 레벨의 관계를 수평주사주기와 수직주사주기로 나누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입력화상신호Video1의 사선부분이 삽입부분(화상B)이다. 타이밍신호key는 이 화상신호Video1의 사선부분에서 “L”(로우레벨)에서 “H”(하이레벨)로 변화하고 전환스위치(315)를 가변전원(316)측으로 온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표시수단(31)(제31도)에서의 화상B의 표시기간에만 진폭제어수단(310)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은 가산기(312)에 의해 가변전원(313),(316)의 전압을 가산한 전압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진폭이 증가하여 화상표시수단(31)의 입력화상신호Video2의 화상B의 부분만큼 휘도레벨을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화상A가 텍스트화면인 화상B가 텔레비젼화면인 경우, 밝고 선명한 텔레비젼화면과 휘도가 억제된 보기좋은 텍스트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입력수단(36)은 VOD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CATV나 LAN, ISDN에 대응하는 디지탈방식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입력수단(36)대신에 데이타축적장치(331)을 사용해도 좋다. 이 데이타축적장치(331)은 고체자기디스크나 자기디스크 또는 광자기디스크나 CD-ROM 등이어도 좋고 화상A,B에 상당하는 화상데이타가 축적되어 있다.
또,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입력수단(36) 대신에 화상A,B에 상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축적한 ROM(3205)이어도 좋고,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에 또 외부입력수단(36)이나 데이타축적장치(3131)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6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물론, 화상표시수단(31)에 화상A,B,C의 3개의 화상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102)의 1구체예를 제37도에 도시한다. 단, (317i),(317j)는 데이타래치, (318i),(318j)는 어드레스디코더, (321a),(321b)는 타이밍발생회로, (322)는 전환스위치, (333),(334)는 가변전원, (335)는 디코더이며, 제3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7도에 있어서 타이밍발생회로(321a)는 제36도에서의 화상표시수단(31)의 화상B의 표시기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것이고, 타이밍발생회로(321b)는 화상C의 표시기간을 나타내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들 타이밍발생회로(321a),(321b)의 출력신호는 디코더(335)를 거쳐서 전환스위치(322)로 공급되지만, 타이밍발생회로(321a)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면 전환스위치(322)는 가변전원(333)측으로 온되고, 타이밍발생회로(321b)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면 전환스위치(322)는 가변전원(334)측으로 온된다. 그것 이외에서는 전환스위치(322)는 전압값0의 전압을 선택한다.
전환스위치(332)로부터의 전압은 가산회로(312)에서 가변전원(313)의 전압과 가산되고, 진폭제어수단(310)으로 공급된다. 가변전원(333)의 전압은 데이타래치(317i)의 데이타에 따라서 설정되고, 가변전원(334)의 전압도 데이타래치(317j)의 데이타에 따라서 설정된다.
그래서, 데이타래치(317i),(317j)의 데이타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화상B,C의 진폭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타이밍발생회로를 증대해 가면, 임의의 갯수의 삽입화면의 휘도레벨변환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것도 명확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화상의 휘도만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예를들면 화상A가 텍스트화면이고 화상B가 텔레비젼화면인 경우, 밝고 선명한 텔레비젼화면과 휘도가 억제된 보기좋은 텍스트화면의 동시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제38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8h)는 어드레스디코더, (322a),(322b)는 전환스위치, (323)은 A/D 변환기, (324)는 LUT(룩업테이블), (325)는 D/A 변환기이며, 제3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14도 전체구성이 제31도에 도시한 구성을 이루고 있지만,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32)가 상기의 실시예 13에서의 제33도에 도시한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14)와 다르다. 이 구체예가 제33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크게 다른 점은 삽입부분의 휘도레벨변환을 디지탈신호처리로 실행하는 것이고, 이 때문에 처리수단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23), 디지탈데이타변환기로서의 LUT(324), 디지탈영상신호를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325) 및 전환스위치(322a),(322b)로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이 구체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타이밍발생기(321)로부터의 타이밍신호key에 의해 삽입부분의 시간대에서만 전환스위치(322a),(322b)는 B측으로 온한다. 이때, 영상신호Video1의 화상B부분의 신호는 A/D 변환기(323)에 의해 디지탈화되어 LUT(324)로 공급된다. LUT(324)는 CPU회로(34)에서 신호버스(38)(제31도)을 거쳐서 변환데이타가 입력되고 있고, 이 변환데이타에 의해서 영상신호Video1의 진폭이나 직류레벨 등이 원하는 값으로 세트되고 있다. 이 LUT(324)는 예를들면 EEPROM 등의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으며, CPU회로(34)로부터의 데이타리라이트도 자유자재로 할 수가 있다.
이 LUT(324)의 출력데이타는 D/A변환기(325)에서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된 후, 진폭제어수단(310)과 직류레벨제어수단(311)에서 레벨제어되어 영상신호Video2로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화상B의 기간만은 LUT(324)에 의해서 휘도레벨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화상A의 기간에서는 전환스위치(322a),(322b)는 A측으로 온되어 있고, LUT(324)에 의한 휘도제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전체의 진폭이나 직류레벨의 제어는 제33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가변전원(313),(314)를 거쳐서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부분(화상B)만의 휘도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제38도에 도시한 디지탈방식의 경우, 진폭뿐만아니라 직류레벨이나 감마레벨이나 색상 등 여러종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8도에서는 전환스위치(322a),(322b)를 각각 A/D 변환기(323)의 앞과 D/A 변환기(325)의 뒤에 배치하여 아날로그영상신호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환스위치(322a),(322b)를 각각 A/D 변환기(323)의 뒤와 D/A 변환기(325)의 앞에 배치하여 디지탈영상신호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5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36)은 화상합성수단이고, 제3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합성수단(336)에 특정영역 휘도변환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비해 회로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제40도는 이 화상합성수단(336)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37)은 프레임메모리, (338)은 제어장치, (3122a),(3122b)는 전환스위치, (3124)는 LUT, (3125)는 D/A 변환기이다.
제40도에 있어서 이 구체예는 화상데이타의 라이트/리드를 실행하는 프레임메모리(337), 디지탈데이타를 변환하는 LUT(3124), 디지탈영상신호를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3125), 전환스위치(3122a),(3122b), 프레임메모리(337)의 라이트/리드제어나 전환스위치(3122a),(3122b)의 전환제어, LUT(3124)의 데이타라이트를 실행하는 제어장치(338)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338)은 또, 프레임메모리에서의 화상데이타A,B의 기억영역을 결정하고, 화상데이타A,B는 그 지정되는 영역에서 라이트/리드가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메모리(337)에서 화상A로의 화상B의 삽입이 실행된다. 따라서, 제어장치(338)은 프레임메모리(337)에서의 리드위치가 화상데이타A의 기억영역인지 화상데이타B의 기억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 판단에 따라서 전환스위치(3122a),(3122b)를 전환제어한다.
프레임메모리(337)에는 CPU회로(34)(제39도)에서 화상데이타A,B가 전송되어 전개되고 있다. 프레임메모리(337)이 화상데이타A의 부분을 출력할 때에는 전환스위치(3122a),(3122b)는 A측으로 온되어 있고, 이 화상데이타A는 전환스위치(3122a),(3122b)를 거쳐서 D/A 변환기(3125)로 공급되고, 그곳에서 아날로그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화상데이타B의 시간대에서는 전환스위치(3122a),(3122b)는 B측으로 온되고, LUT(3124)에서 데이타변환된다. 제38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LUT(3124)에서 영상신호의 진폭이나 직류레벨 등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화상B의 휘도레벨만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삽입부분의 휘도레벨만을 독립해서 조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화상A가 텍스트화면이고 화상B가 텔레비젼화면인 경우 밝고 선명한 텔레비젼화면과 휘도를 억제한 보기좋은 텍스트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4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6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305)는 ROM이며, 제3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ROM(3305)에는 CPU회로(34)의 프로그램과 함께 화상데이타A도 저장되어 있고, CPU회로(34)는 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삽입영역의 설정이나 각종 연산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CPU회로(34)는 삽입부분의 휘도레벨을 소프트웨어연산에 의해서 실행하고, 이것에 의해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비해 하드웨어구성이 더욱 간단하게 된다.
다음에, 제42도에 의해 이 실시예의 소프트웨어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회로(34)는 먼저 특정영역, 즉 삽입부분이 어떤지를 판정하고(스텝 31200), 삽입부분이 없을 때에는 ROM(3305)에서 화상데이타A를 리드해서 화상합성수단(33)으로 전송하고, 삽입부분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외부입력수단(36)에서 페치되는 화상데이타B와 원하는 계수를 승산해서 진폭을 조정하고, 화상합성수단(33)으로 전송한다(스텝 31201). 이것에 의해, 화상합성수단(33)에서 화상A에 진폭이 조정된 화상B가 삽입된다. 이러한 동작이 상기 특정영역이 끝날때까지 실행되고, 이 특정영역이 끝나면(스텝 31202), 다시 스텝 31200으로 되돌아가서 화상데이타A를 화상합성수단(33)으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물론 직류레벨의 조정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화상데이타B에 소정의 값을 가산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부분의 휘도레벨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제4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7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06)은 외부입력수단, (3107)은 입력단자, (3202)는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 (3405)는 ROM이며, 제3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외부입력수단(3106)에 입력되는 화상신호가 이미 삽입처리가 실시된 것이라도, 그 삽입부분을 검출하여 그 삽입부분의 휘도레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점이다. 이 처리가 제43도에 있어서 특정영역휘도변환수단(3202)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3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44도는 이 특정영역휘도변환수단(3202)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39)는 지연회로, (340)은 화상처리장치, (3123)은 A/D 변환기이고, 제3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이 구체예는 제33도에서의 타이밍발생회로(321) 대신에 화상처리장치(340)을 마련하고, 화상B(제43도)의 삽입부분의 판정을 실행해서 전환스위치(315)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 화상처리장치(340)에서 실행되는 판정처리로서는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삽입부분(화상B)의 틀의 검출 또는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움직임이 있는 화면의 검출 또는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스토그램에 의한 삽입부분의 검출 등이 있으며, 또 이들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검출정밀도를 더욱 향상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검출하여 얻어진 정보를 기본으로 해서, 제33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같이 타이밍신호key를 생성하고, 이것으로 전환스위치(315)를 제어한다.
또한, 지연회로(339)는 화상처리장치(340)에서의 지연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미리 화상이 삽입된 화상신호라고 하여도 그 삽입위치를 검출하여 그 부분의 휘도레벨만을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제4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8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50)은 화상표시수단, (351)은 화상신호출력수단, (352)는 인터페이스, (3103)은 화상합성수단, (3104)는 CPU회로이며, 제4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화상표시수단(350)과 화상신호출력수단(351)로 구성되어 있고, 화상표시수단(350)에 특정영역 휘도변환수단이 일체화되어 있다. 화상신호출력수단(351)은 제31도나 제43도에서의 화상표시수단(31)과 특정영역휘도변환수단(32)를 제외한 부분을 일체로 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상신호출력수단(351)로부터는 화상합성수단(3103)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와 인터페이스(352)를 통한 제어신호가 화상표시수단(350)으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들면 화상신호출력수단(351)은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본체이며, 화상표시수단(350)은 모니터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제49도는 이 화상표시수단(350)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53), (354)는 입력단자, (3101)은 화상표시소자, (3110)은 진폭제어수단, (3111)은 직류레벨제어수단, (3112)는 가산기, (3113), (3114)는 가변전원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이 화상표시수단(350)은 화상표시소자(3101),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제어수단(3111), 화상신호의 진폭제어수단(3110), 가산기(3112) 및 가변전원(3113), (3114)로 이루어져 있다.
제48도의 화상신호출력수단(351)에서 입력단자(353)으로 공급되는 화상신호Video1은 그 진폭이 진폭제어수단(3110)에서 제어된다. 화상표시소자(3101)의 화면의 화상B의 삽입부분에서 화상신호출력수단(351)에서 입력단자(354)로 제어전압 cont.가 공급되고, 이 제어전압 cont.가 가산기(3112)에서 가변전원(3113)의 전압과 가산되어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된다. 화상표시소자(3101)의 화면의 화상B의 삽입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가변전원(3113)의 전압이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된다. 진폭제어수단(3110)에서는 이러한 공급전압에 의해 화상신호Video1의 진폭이 제어된다.
진폭제어수단(3110)의 출력화상신호는 직류레벨제어수단(3111)로 공급되고, 가변전원(3114)의 전압으로 그 직류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직류레벨제어수단(3111)의 출력화상신호Video2가 화상표시소자(3101)에 공급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입력단자(354)로 공급되는 제어전압cont.의 전압레벨과 그 공급타이밍에 의해 화상B의 삽입부분의 휘도레벨을 가변으로 할 수가 있다.
제50도는 제어전압cont.의 공급타이밍과 전압레벨의 관계를 수평주사주기와 수직주사주기로 나누어서 도시한 것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화상신호Video1의 사선부분이 화상B의 삽입부분이다. 이 때, 입력단자(354)에 공급되는 제어전압cont.은 화상신호Video1의 사선부분에서 O(V)에서 p(V)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화상표시소자(3101)의 입력화상신호Video2의 레벨은 화상B의 삽입부분만큼 진폭이 커진다.
이 결과, 화상표시소자(3101) 상의 텍스트화상A에 텔레비젼화상B를 삽입하여 표시하면, 텔레비젼영상을 밝고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휘도의 변화는 없어 문자나 도형표시는 보기좋은 휘도레벨 그대로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부분의 휘도레벨만을 제어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5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19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15)는 전환스위치, (3116)은 가변전원, (3154)는 입력단자이며, 제49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분을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전체 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인터페이스(352)에서 화상표시수단(350)으로 공급되는 것은 화상B의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타이밍신호 key이다.
제51도에 있어서 입력단자(3154)로부터는 화상B의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타이밍신호 key가 입력되고, 전환스위치(3115)를 가변전원(3116)측으로 온한다. 이것에 의해, 가변전원(3116)의 전압이 가산기(3112)에 의해 가변전원(3113)의 전압과 가산되고, 그 가산전압에 의해 진폭제어수단(3110)이 제어된다. 따라서, 삽입부분의 휘도레벨만이 원하는대로 제어되게 된다.
여기에서, 타이밍신호 key는 2진의 디지탈신호이어도 좋고, 이를 위한 화상신호출력수단(351)의 인터페이스회로(352)(제48도)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제5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0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55)는 타이밍발생회로, (3254)는 입력단자이고, 제5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분을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지만, 인터페이스(352)에서 화상표시수단(350)으로 되는 것은 화상B의 삽입위치를 코드화한 데이타(삽입데이타)이다. 이 삽입위치데이타는 제5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위치의 개시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것 또는 삽입위치의 개시어드레스와 삽입위치의 수평, 수직폭을 나타내는 것 또는 삽입위치의 종료어드레스와 삽입위치의 수평, 수직폭을 나타내는 것 등이 있다.
제5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3254)에서 삽입위치데이타가 입력되면 화상신호 Video1의 동기신호나 도트클럭신호가 모두 타이밍발생회로(355)로 공급되고, 제51도에서의 타이밍신호 key와 마찬가지의 화상B의 삽입위치의 타이밍신호 key가 생성된다. 이 타이밍신호 key에 의해 전환스위치(3115)가 제어된다. 이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제51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마찬가지이다.
타이밍발생회로(355)는 기본적으로 예를들면 제37도에 도시한 구성을 이루고 있지만, 그 1구체예를 제54도에 도시한다. 단, (356)은 PLL(위상록루프)회로, (357)은 마이크로컴퓨터, (3117d)~(3117g)는 데이타래치, (3118d)~(3118g)는 어드레스래치, (3119a)~(3119d)는 카운터, (3120a)~(3120c)는 앤드게이트이다.
제54도에 있어서 입력단자(3254)에서 입력된 삽입위치데이타는 마이크로컴퓨터(357)에서 디코드되고, 데이타래치(3317d)~(3117g)로 전송되어 래치된다. 수직타이밍개시카운터(3119a)와 수직타이밍종료카운터(3119b)는 수직동기신호 Vsync로 초기화된 후, 데이타래치(3117d), (3117e)의 데이타가 프리세트된다. 수평타이밍개시카운터(3119c)와 수평타이밍종료카운터(3119d)는 수평동기신호 Hsync로 초기화된 후 데이타래치(3117f), (3117g)의 데이타가 프리세트된다. 그리고, 수직타이밍 개시카운터(3119a)와 수직타이밍종료카운터(3119b)는 수평동기신호 Hsync를, 수평타이밍개시카운터(3119c)와 수평타이밍종료카운터(3119d)는 수평동기신호 Hsync를 PLL회로(356)에서 곱하여 얻어지는 도트클럭신호를 각각 카운터클럭신호로 한다. 수직타이밍개시카운터(3119a)와 수직타이밍종료카운터(3119b)의 카운터출력은 앤드게이트(3120a)에서 논리곱이 취해지고, 수평타이밍개시카운터(3119c)와 수평타이밍종료카운터(3119d)의 카운터출력은 앤드게이트(3120b)에서 논리곱이 취해지고, 또 앤드게이트(3120a), (3120b)의 출력이 앤드게이트(3120c)에서 논리곱이 취해져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타이밍신호 key가 얻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입력단자(3254)에서 입력되는 삽입위치데이타로서, 예를들면 RS-232C 등의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은 사양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화상신호출력수단(351)의 인터페이스회로(352)(제48도)는 표준품을 이용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부분의 휘도레벨만을 제어할 수가 있다.
제5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1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55)는 타이밍발생회로, (3216)은 가변전원, (3354)는 입력단자이고, 제52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인터페이스(352)에서 화상표시수단(350)으로 공급되는 것은 화상B의 삽입위치와 그 휘도레벨을 지시하는 코드화된 데이타(삽입위치/휘도레벨데이타)이다. 이 삽입위치/휘도레벨데이타는 제5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3도에 도시한 삽입위치데이타에 휘도레벨의 데이타를 부가한 것이다.
타이밍발생회로(355)는 전환스위치(3155)의 제어용의 타이밍신호 key를 발생하기 위한 제52도에 도시한 회로와 휘도레벨의 데이타(제56도)에 따라서 가변전원(3216)을 제어하는 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변전원(3216)을 제어하는 회로는 예를들면 제33도에서 가변전원(313), (314), (316)을 제어하는 회로와 마찬가지 구성을 취할 수가 있다.
제5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2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32)는 전환스위치, (3133), (3134)는 가변전원이고, 제5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삽입하는 화상이 B, C와 같이 여러개 있도록 한 것이다.
제58도에 있어서 가변전원(3133), (3134)는 화상표시소자(3101)의 화면에서의 화상B, C의 삽입위치에서의 진폭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단자(3154)에서 입력되는 타이밍신호 key에 의해서 전환제어되는 전환스위치(3132)에 의해 선택된다. 타이밍신호 key는 예를 들면 3진 신호이다. 이것 이외는 제51도에 도시한 화상표시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제5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3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212)는 가산기, (3354)는 입력단자이고, 제49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삽입하는 화상B의 직류레벨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57도에 있어서 화상B의 삽입위치에서는 입력단자(354)에서 제어전압 cont.1이 공급되고, 가산기(3112)에서 가변전압원(3113)의 전압과 가산되어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되고, 이것과 함께 입력단자(3354)에서 제어전압 cont.2가 공급되고 가산기(3212)에서 가변전압원(3114)의 전압과 가산되어 직류레벨제어수단(3111)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되는 화상B의 진폭과 직류레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제5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4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70)은 제어회로, (3222a), (3222b)는 전환스위치, (3223)은 A/D변환기, (3224)는 LUT, (3225)는 D/A변환기, (3454)는 입력단자이고, 제49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제38도에서 도시한 구체예와 같이 삽입하는 화상B의 휘도레벨의 제어를 LUT에서의 데이타변환에 의해서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제59도에 있어서 입력단자(3454)에서 데이타가 공급되는 제어회로(370)의 제어하에서 전환스위치(3222a), (3222b)는 화상B의 삽입위치에서 B측으로 온되고, 그것 이외에서는 A측으로 온된다. 전환스위치(3222a), (3222b)가 A측으로 온되어 있을 때에는 입력단자(353)에서 입력된 화상신호 Video1은 직접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되지만, 전환스위치(3222a), (3222b)가 B측으로 온되어 있을 때에는 A/D 변환기(3223)에서 디지탈데이타로 변환된 후 LUT(3224)에서 데이타변환되어 원하는 진폭이나 직류레벨로 변환되고, D/A변환기(3225)에서 아날로그화상신호로 변환되어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된다.
또한, LUT(3224)의 데이타의 리라이트는 제어회로(370)을 거쳐서 입력단자(3454)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실행한다.
제60도는 제59도에 있어서의 제어회로(370)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8k)는 어드레스디코더, (3157)은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제54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제59도의 전환스위치(3222a), (3222b)의 전환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은 제54도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 구체예는 이러한 구성에 LUT(3224)의 데이타리라이트수단이 부가된 것이다.
즉, 마이크로컴퓨터(3157)은 입력단자(354)로부터의 데이타에 따라서, 삽입위치를 디코드함과 동시에 LUT(3224)에서 리라이트하는 데이타와 그 라이트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데이타를 출력한다. 이 데이타는 LUT(3224)(제59도)로 공급됨과 동시에, 어드레스데이타가 어드레스디코더(318k)에서 디코드되어 LUT(3244)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LUT(322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신호의 진폭이나 직류레벨뿐만 아니라 감마특성의 변경이나 색상변경 등도 할 수 있은 것은 물론이다.
제6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5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153)은 입력단자, (3201)은 화상표시소자, (3254)는 입력단자, (3322a), (3322b)는 전환스위치, (3323)은 A/D변환기이고, 제59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제59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같이 삽입하는 화상B의 휘도레벨의 제어를 LUT에서의 데이타변환에 의해서 실행하도록 한 것이지만, 화상표시소자로서 액정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매트릭스형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디지탈화상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것이다.
제61도에 있어서 화상표시소자(3201)은 이와 같은 디지탈화상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입력단자(3153)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 Video1은 A/D변환기(3323)에서 디지탈변환된다. 제어회로(370)의 제어에 의해 화상B의 삽입 위치에서는 전환스위치(3322a), (3322b)가 B측으로 전환되고, A/D변환기(3323)으로부터의 디지탈화상신호가 LUT(3224)에서 데이타변환되어 휘도레벨이 제어된 후, 화상표시소자(3201)로 공급되고, 또 화상B 이외의 시간대에서는 전환스위치(3322a), (3322b)가 A측으로 전환되고, A/D변환기(3323)으로부터의 디지탈화상신호가 직접 화상표시소자(3201)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부품갯수도 적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6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6에서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71)은 개폐스위치, (372)는 적분기, (373)은 비교기, (374)는 LPF(저역필터), (375)는 개폐스위치, (380)은 기준전원, (3212)는 가산기이며, 제5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삽입부분의 화상B의 평균휘도레벨을 일정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면, 브라운관 등에서는 평균휘도가 너무 상승해서 빔전류가 너무 많이 흐르면, 브라운관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수단이 필요한 기능이다. 또,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이상발열방지에 필요하다.
제6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3154)로부터의 타이밍신호 key에 의해 화상B의 시간대만큼 개폐스위치(371), (375)가 온되고, 이 시간대에 화상표시소자(3101)의 입력화상신호 Video2를 적분기(372)로 공급하고, 화상신호 Video2의 화상B의 기간의 평균레벨을 검출한다. 이 평균레벨은 비교기(373)에서 기준전원(380)의 기준전압Es와 비교된다. 이 기준전압Es는 화상신호 Video2의 평균레벨의 최대허용값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비교기(373)의 출력, 즉 비교결과는 LPF(374)에서 맥동성분이 제거되고 또 개폐스위치(375)를 거쳐서 가산기(3212)로 공급되고, 화상B의 기간만 공급되는 가변전원(316)의 전압에서 이 LPF(374)로부터의 전압이 감산된다. 이 가산기(3212)의 출력전압이 가산기(3112)에서 가변전압(3113)의 전압과 가산되고, 진폭제어수단(3110)으로 공급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삽입되는 화상B에 대해서 그 휘도레벨에 부귀환제어가 걸린다.
그래서, 예를들면 가변전원(3116)의 전압을 너무 높게 설정해서 삽입화상B의 평균휘도레벨이 기준전원(380)에 설정된 기준전압Es보다 높게 되었다고 하면, 상기 부귀환제어에 의해 삽입화상B만 휘도제어가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화상A의 부분의 휘도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삽입화상B만의 휘도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화상A가 텍스트화면이고 화상B가 텔레비젼화면인 경우 밝고 선명한 텔레비젼화면과 휘도를 억제한 보기좋은 텍스트화면의 안정된 동시표시가 가능하게 되고, 더나아가서는 이 삽입화상B의 휘도조정에 의해 이 휘도가 너무 높게 되는 조정을 하더라도 소정이하의 평균휘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운관의 경우 상기와 같이 화상신호를 검출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애노드로부터의 빔전류를 검출해서 부귀환제어하여도 좋은 것은 현재 일반적으로 실행되고 있은 것이므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제6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소자의 실시예 27의 화상표시수단의 1구체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376), (377)은 증폭기전원, (378)은 전환스위치, (3210)은 진폭제어수단, (3211)은 직류레벨제어수단이고, 제51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도 그 전체구성은 제48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제6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분의 화상B의 표시기간만 진폭제어수단(3210)과 직류레벨제어수단(3211)의 전원전압을 높여 화상신호 Video1의 진폭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직류바이어스를 제거해서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열용량증대에 의한 디스플레이세트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증폭기전원(376)에 의한 전원전압〉증폭기전류(377)에 의한 전원전압으로 한다.
다음에, 이 구체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단자(3154)로부터의 타이밍신호 key에 의해 화상B의 시간대에서는 전환스위치(378)이 A측으로 온되고, 증폭기전원(376)에서 진폭제어수단(3210)과 직류레벨제어수단(3211)에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화상B의 시간대 이외에서는 전환스위치(378)을 B측으로 온하고, 증폭기전원(377)에서 진폭제어수단(3210)과 직류레벨제어수단(3211)에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해서, 화상B의 시간대에서 높은 직류바이어스로 화상표시소자(3101)의 입력화상신호 Video2의 진폭을 확보하고, 화상B의 시간대 이외에서는 다소 낮은 직류바이어스로 손실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삽입화상B만의 휘도제어가 가능한 실용적인 디스플레이세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기술한 화상표시소자(3101)로서는 직시타입의 브라운관이나 투사(投寫)타입의 브라운관을 비롯해서 액정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등 어떠한 표시디바이스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실시예 27에 개시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화상만의 휘도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문자나 도형 등의 컴퓨터화상에 자연화상 등의 텔레비젼영상을 삽입하여 표시한 경우, 밝고 선명한 텔레비젼화면과 휘도를 억제한 보기좋은 텍스트화면의 동시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력화상의 휘도를 필요에 따라서 높이거나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주로 상기 제4의 목적에 대응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64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28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64도에 있어서 (71)은 A/D변환부, (72)는 메모리부, (73)은 D/A변환부, (74)는 동기분리부, (734)는 라이트측 클럭발생부를 구성하는 제1 PLL(위상록루프)회로부1, (730)은 제2 PLL회로부2(731)과 독립한 비동기클럭 발생회로(732)와 수동조작형의 선택스위치(733)에 의해 구성되는 리드측 클럭발생부, (77)은 제어부, (78)은 동기신호 생성부, (79)는 편향회로 및 비디오회로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컴퓨터 등의 각종 사양의 입력영상신호는 A/D변환부(71)에 입력되고, 입력동기신호는 동기분리부(74)에 입력되어 입력수평동기신호와 입력수직동기신호로 분리된다. 제1 PLL회로부1(734)는 제어부(77)에 의해 출력주파수의 설정이 실행되고, 입력되는 입력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 fH의 N배(N:자연수)의 주파수 fWCLK로 이 입력수평동기신호와 위상동기한 라이트측 클럭신호를 생성해서 A/D변환부(71),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로 공급한다.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구성요소인 제2 PLL회로부2(731)은 제어부(77)에 의해서 출력주파수의 설정이 실행되고, 입력되는 입력수직동기신호와 위상동기하고 또한 이 입력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 fH의 M배(M:자연수)의 주파수 fRCLK의 리드측 클럭신호1을 생성한다. 또, 비동기 클럭발생회로(732)는 제어부(77)에 의해서 출력주파수가 제어되고, 입력수평동기신호에 대해서 비동기로 상기 입력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 fH의 대략 M배(M:자연수)의 주파수 fRCLK의 리드측 클럭신호2를 생성한다. 또, 선택스위치(733)은 생성된 상기 리드측 클럭신호1, 2 중의 1개를 선택해서 D/A변환부(73),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에 리드측 클럭신호로서 공급한다. A/D변환부(71)은 입력영상신호를 라이트측 클럭신호에 따라서 표본화(샘플링)해서 디지탈데이타를 작성하여 메모리부(72)로 출력한다. 메모리부(72)는 라이트측 클럭신호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기억하고, 선택스위치(733)에 의해 선택해서 출력된 리드측 클럭신호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데이타를 리드하여 D/A변환부(73)으로 공급한다. D/A변환부(73)은 디지탈데이타를 리드측 클럭신호에 따라서 아날로그형태의 출력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79)로 공급한다. 동기신호 생성부(78)은 제어부(77)로 제어되고, 선택스위치(733)에 의해 선택된 리드측 클럭신호를 사용해서 출력동기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79)의 편향회로로 공급한다.
구체적인 동작으로서는 예를들면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반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한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733)을 리드측 클럭신호2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의 비교적 안정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733)을 리드측 클럭신호1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로서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리드측 클럭신호는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없어지고(라이트측 클럭신호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79)는 양호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65도는 제64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5도에 있어서 (739)는 정전압원, (740)은 위상비교기, (741)은 저역필터, (742)는 수동조작형의 선택스위치, (743)은 전압제어 발진기, (744)는 분주기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부터 비교적 안정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상비교기(740)은 입력수평동기신호(750)(fH)와 후술하는 분주기(744)의 출력신호(751)(fO)을 입력해서 이 2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한다. 저역필터(741)은 이 위상비교기(740)에서 출력된 위상비교 출력신호(752)를 처리하여 저주파성분신호(753)을 페치하고 선택스위치(742)의 한쪽의 입력단자(760)으로 공급한다. 이 선택스위치(742)의 다른쪽의 입력단자(761)은 정전압원(732)의 전압을 입력한다. 이 예와 같이 입력신호가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에는 선택스위치(742)는 입력단자(760)을 선택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전압제어 발진기(743)은 저주파성분신호(753)을 제어전압으로서 입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압제어 발진기(743)의 발진주파수는 위상비교기(740)에 입력되는 2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차에 따라서 제어되고, 이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입력수평동기신호(750)으로 위상이 일치한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발생한다. 그리고, 분주기(744)는 이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입력해서 M(M:자연수) 분주한 출력신호(751)을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비교기(740)으로 피드백한다. 이 결과,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기준신호로서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의 주파수 fH의 M배의 주파수 fRCLK이고 또한 위상이 일치해서 위상록상태의 리드측 클럭신호(754)가 얻어지게 된다. 즉, 이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PLL회로로서 기능한다.
한편,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선택스위치(742)는 입력단자(761)을 선택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전압제어 발진기(743)은 정전압원(739)에서 발생되는 전압값V로 발진주파수 fCLK가 제어된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발생한다. 즉, 이와 같은 설정에서 이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PLL회로로서 동작하지 않고 주파수 fCLK를 고정한 발진회로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 방송 등의 NTSC신호가 입력신호로 되는 경우는 전압제어 발진기(743)이 NTSC신호의 칼라서브캐리어(fSC=3.579545MHz)의 N배(N≥2)의 주파수 fCLK에서 발진하도록 정전압원(732)의 전압값V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리드측 클럭신호(754)가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클럭신호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6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29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64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에 있어서의 선택스위치(733)을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연구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실시예 28의 구성에 지터검출부(772) 및 스위치 제어부(771)을 추가한 구성이다.
제64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 즉 A/D변환부(71), 메모리부(72), D/A변환부(73), 동기분리부(74), 제1 PLL회로부1(734), 제2 PLL회로부2(731)과 비동기 클럭발생회로(732)와 선택스위치(733)에 의해 구성된 리드측 클럭발생부(730), 제어부(77), 동기신호 생성부(78), 디스플레이부(79)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64도의 실시예 28와 공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터검출부(772)는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을 입력해서 그 지터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지터량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가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인 경우는 지터검출부(772)는 「지터있음」의 지터검출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이 지터검출신호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이 클럭발생신호(732)를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입력신호가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신호와 같이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는 지터검출부(772)는 「지터없음」의 지터검출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지터검출신호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이 PLL회로부2(731)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리드측 클럭신호(754)가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클럭신호로 되도록,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클럭생성특성을 자동적으로 전환제어할 수가 있다.
제67도는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 29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는 제69도에 도시한 변형예의 구성에 지터검출부(772)와 스위치제어부(771)을 추가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65도에 도시한 변형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 즉 위상비교기(740), 저역필터(741), 선택스위치(742), 정전압원(739), 전압제어 발진기(743), 분주기(7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65도의 변형예와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터검출부(772)는 입력되는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의 지터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지터량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를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가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의 신호와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인 경우는 지터검출부(772)는 「지터있음」의 지터검출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1)측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입력신호가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신호와 같이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에는 지터검출부(772)는 「지터없음」의 지터검출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이 지터검출신호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리드측 클럭신호(754)(fCLK)가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없는(fCLK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클럭신호로 되도록,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클럭생성특성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제어할 수가 있다.
제68도는 제67도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터검출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는 전압제어 발진기(743)에서 출력되는 리드측 클럭신호(754)의 지터를 검출해서 스위치제어부(771)로 지터검출신호를 공급하는 지터검출부(773)을 마련한 구성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67도에 있어서 제67도에 도시한 변형예와 동일한 부분, 즉 위상비교기(740), 저역필터(741), 선택스위치(742), 정전압원(739), 전압제어 발진기(743), 분주기(7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 변형예의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신규한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이 입력되면서, 스위치제어부(771)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측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제어한다. 그 결과, 이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PLL회로로서 동작하고, 전압제어 발진기(743)에서 출력되는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수평동기신호(750)의 수평주사주파수 fH의 M배의 주파수 fCLK에서 위상이 일치한 위상록상태로 되고, 이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지터검출부(773)에 입력된다. 지터검출부(773)은 클럭신호(754)의 지터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지터량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를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가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인 경우, 이 지터를 검출한 지터검출부(773)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1)측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회로(771)은 선택스위치(742)를 입력단자(761)측으로 전환한 후 입력신호가 전환될 때까지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입력신호가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 부터의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 이 지터검출부(773)는 지터없음을검출하고,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변형예는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지터검출부(773)에 입력하였지만, 분주기(744)의 출력신호(751)을 지터검출기(773)에 입력하도록 하여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69도는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 29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리드클럭발생부(7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는 제68도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압원(739) 대신에 샘플링스위치(774), 홀드콘덴서(775) 및 버퍼앰프(776)으로 구성된 샘플홀드부(777)을 사용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68도에 도시한 변형예와 동일한 부분, 즉 위상비교기(740), 저역필터(741), 선택스위치(742), 전압제어 발진기(743), 분주기(7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 변형예의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신규한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이 입력되면, 스위치제어부(771)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측을 선택하고 샘플링스위치(774)가 온상태로 되도록 이 양스위치를 제어한다. 그 결과, 이 리드측 클럭부(730)은 PLL회로로서 동작한다. 그리고, 홀드콘덴서(775)는 이 PLL회로가 록상태로 되는 전압제어 발진기(743)의 제어전압값으로 충전된다. 그 결과, 선택스위치(742)의 입력단자(761)에는 이 제어전압값이 공급된다. 전압제어 발진기(743)에서 출력되는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수평동기신호(750)의 수평주사주파수 fH의 M배의 주파수 fCLK에서 위상이 일치한 위상록상태로 되고, 이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지터검출부(773)에 입력된다. 지터검출부(773)은 록신호의 지터량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지터량의 대소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 및 샘플링스위치(774)를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가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인 경우, 이 지터를 검출한 지터검출부(773)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1)측을 선택하고, 샘플링스위치(774)가 오프상태로 되도록 이들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또, 입력신호가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신호와 같이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 지터검출부(773)은 지터없음을 검출하고,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측을 선택한 채로 샘플링스위치(774)가 온상태로 되도록 이들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또, 입력신호가 LD(레이저디스크) 등으로부터의 비교적 안정된 신호인 경우라도, LD의 손상에 의해서 동기신호가 일순간 도중에 끝긴 상태는 동기신호가 도중에 끝긴 순간만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1)측을 선택하고, 또 동시에 샘플링스위치(777)을 오프상태로 하도록 스위치제어부(771)이 동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라도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 (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입력신호의 위상 및 주파수가 순간적으로 흐트러진 경우 또는 신호가 도중에 끊긴 경우라도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도중에 끊기는 일없이 생성된다.
또, 이 변형예는 리드측 클럭신호(754)를 지터검출부(773)에 입력했지만, 분주기(744)의 출력신호(751)을 지터검출부(773)에 입력하도록 하여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70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3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68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에 있어서의 선택스위치(733)을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연구한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는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 29에 있어서의 지터검출부(772) 대신에 신호판별부(770)을 마련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이 판별결과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가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종류의 신호일 때에는 비동기 클럭발생회로(73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도록 선택스위치(73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64도 및 제6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즉 A/D변환부(71), 메모리부(72), D/A변환부(73), 동기분리부(74), 제1 PLL(위상록루프)회로부1(734), 제2 PLL회로부2(731)과 비동기 클럭발생회로(732)와 선택스위치(733)에 의해 구성된 리드측 클럭발생부(730), 제어부(77), 동기신호재생부(78), 디스플레이부(79)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판별부(770)은 입력된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에 따라서 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 입력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된 신호가 NTSC신호인 경우에는 신호판별부(770)은 NTSC신호인 것을 판별하고, 스위치제어부(770)은 이 판별결과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이 비동기 클럭발생회로(732)의 출력신호를 선택해서 출력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입력신호가 컴퓨터신호인 경우는 신호판별부(770)은 컴퓨터신호라고 판별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이 판별결과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33)이 제2 PLL회로부2(731)의 출력신호를 선택하도록 선택스위치(733)을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종류의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 (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리드측 클럭신호를 생성하도록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을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제71도는 제70도에 도시한 실시예 30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의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는 제67도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터검출부(772)를 신호판별부(772)로 치환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를 제어하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67도에 도시한 변형예와 동일부분, 즉 위상비교기(740), 저역필터(741), 선택스위치(742), 정전압원(739), 전압제어 발진기(743), 분주기(7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67도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신규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판별부(770)은 입력되는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을 판별해서 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를 스위치제어부(771)로 송출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스위치(742)를 전환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가 NTSC신호인 경우에는 신호판별부(770)은 NTSC신호라고 판별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1)측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입력신호가 컴퓨터신호인 경우에는 신호판별부(770)은 컴퓨터신호라고 판별하고, 스위치제어부(771)은 선택스위치(742)가 입력단자(760)측을 선택하도록 이 선택스위치(74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 (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제72도는 제28도, 제30도 및 제70도에 도시한 실시예 28~실시예 3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가능한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740)은 위상비교기, (741)은 저역필터, (743)은 전압제어 발진기, (744)는 분주기, (779)는 선택스위치, (778)은 고정주파수 발진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에 있어서 LD(레이저디스크)나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비교적 안정된 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선택스위치(779)는 제66도 및 제70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위치제어부(771)에 의해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을 선택하도록 접속된다. 이 때, 위상비교기(740)은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과 후술하는 분주기(744)의 출력신호(751)(fO)을 입력해서 이 2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한다. 이 위상비교기(740)에서 출력되는 위상비교 출력신호(752)는 저역필터(741)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그 저주파성분(753)을 추출해서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전압제어 발진기(743)의 발진주파수는 위상비교기(740)으로의 2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차에 따라서 제어되고, 이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50)과 위상이 일치된 리드측 클럭신호(754)(fCLK)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분주기(744)에 입력되어 M(M:자연수) 분주된 출력신호(751)(fO)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비교기(740)으로 피드백되어 위상비교에 사용된다. 이 결과,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기준신호로서의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동기신호(750)과는 주파수가 M배이고 위상이 일치된 위상록상태의 리드측 클럭신호(750)(fCLK)가 얻어지게 된다. 즉, PLL(위상록루프)회로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하고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선택스위치(779)는 고정주파수 발진기(778)을 선택하도록 스위치제어부(771)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결과, 위상비교기(740)에는 고정주파수 발진기(778)에서 출력되는 클럭과 후술하는 분주기(744)의 출력신호(751)(fO)이 입력되어 위상이 비교된다. 이 위상비교기(740)으로부터의 위상비교 출력신호(752)는 저역필터(741)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저주파성분(753)을 추출해서 전압제어 발진기(743)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전압제어 발진기(743)의 발진주파수는 위상비교기(740)으로의 2개의 입력신호의 위상차에 따라서 제어되고, 이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고정주파수 발진기(778)에서 출력되는 클럭과 위상이 일치된 리드측 클럭신호(754)(fCLK)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 리드측 클럭신호(754)는 분주기(744)에 입력되어 M(M:자연수) 분주된 출력신호(751)(fO)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비교기(740)으로 피드백되어 위상비교에 사용된다. 이 결과, 전압제어 발진기(743)으로부터는 기준신호로서 고정주파수 발진기(778)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대해서 주파수가 M배이고 위상이 일치된 위상록상태의 리드측 클럭신호(754)(fCLK)가 얻어지게 된다. 즉, PLL(위상록루프)회로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VTR이나 수신상태가 나쁜 텔레비젼방송 등의 NTSC신호가 입력신호인 경우에 전압제어 발진기(743)은 NTSC신호의 칼라서브캐리어(fSC=3.579545MHz)의 N배(N≥2)로 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리드측 클럭신호로서는 위상 및 주파수지터가 적은 (fCLK의 주기의 1/10이하이다) 양호한 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변형예는 제66도 및 제70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터검출부(772), 신호판별부(770) 및 스위치제어부(771)에 의해 선택스위치(779)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68도 및 제6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지터검출부(773) 및 스위치제어부(771)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선택스위치(779)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으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 31를 제7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73도에 있어서 (71)은 A/D변환부, (72)는 메모리부, (73)은 D/A변환부, (74)는 동기분리부, (75)는 제1 PLL(위상록루프)회로부1, (730)은 리드측 클럭발생부, (77)은 제어부, (78)은 동기신호재생부, (79)는 디스플레이부, (780)은 CPU회로이다.
A/D변환부(71)은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각종 규격의 입력영상신호(710)을 입력하고, 동기분리부(74)는 그 입력수평동기신호(716)(수평주사주파수 fH) 및 입력수직동기신호(717)(수직주사주파수 fV)을 분리한다. CPU회로(780)은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수직주사주파수 fV의 입력수직동기신호(717)에 따라서, 제1 PLL회로부1(75)에 설정하는 분주비데이타,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에 있어서의 제2 PLL회로부2에 설정하는 분주비데이타, 메모리부(72)로의 제어데이타 등을 제어부(77)로 공급하고, 제어부(77)은 이 데이타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1 PLL회로부1(75),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제2 PLL회로부2) 및 메모리부(72)로 공급한다. 제1 PLL회로부1(75)는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위상동기하고, 제어부(77)에 의해 설정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의 N배(N:자연수)의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을 생성하고, A/D변환부(71),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로 공급한다.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은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위상동기한 이 입력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의 M배(M:자연수)의 리드측 클럭신호(714)를 생성하고, D/A변환부(73), 메모리부(72) 및 제어부(77)로 공급한다. A/D변환부(71)은 입력영상신호(710)을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에 의해서 표본화(샘플링)한 디지탈데이타(718)을 메모리부(72)로 공급한다. 메모리부(72)는 라이트측 클럭신호(713)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720)에 따라서 이 디지탈데이타(718)을 라이트하고, 리드측 클럭신호(714) 및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720)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데이타(719)를 리드해서 D/A변환부(73)으로 공급한다.
D/A변환부(73)은 디지탈데이타(719)를 리드측 클럭신호(714)에 의해서 출력영상신호(711)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79)로 공급한다. 동기신호 생성부(78)은 리드측 클럭발생부(730)으로부터의 클럭신호(714)를 사용해서 제어부(77)의 제어하에서 출력동기신호(715)를 생성해서 디스플레이부(79)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입력영상신호(710)은 입력영상신호(710)의 도트클럭의 주파수 fDOT와 동일한 주파수 fS의 샘플링클럭에서 상기 A/D변환부(71)에 의해 표본화(샘플링)한다. 그래서, CPU회로(780)은 수평주사주파수 fH의 입력수평동기신호(716), 수직주사주파수 fV의 입력수직동기신호(717)에 의해 입력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이미 알고 있는 영상신호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CPU회로(78)에 포함되는 예를들면 ROM 등에서 그 입력영상신호에 대응하는 분주비데이타를 리드해 와서 제어부(77)로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 결과, 제1 PLL회로부1(75)에서는 입력수평동기신호(716)과 위상동기된 입력영상신호(710)의 도트클럭(fDOT)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알고 있는 영상신호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 CPU회로(780)은 제1 PLL회로부1(75)가 다음의 식으로 표시되는 라이트측 클럭신호(713)을 생성하도록 상기 PLL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분주비데이타를 제어부(77)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K:비례정수, fV:입력영상신호의 수직주사주파수, L:입력영상신호의 총라인수)
그 결과, CPU회로(780)이 이미 알지 못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도 양호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fV및 L의 값은 입력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CPU회로(780)에 있어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지의 사항이지만, 입력영상신호의 총애스펙트비(총수평도트수/총수직라인수)를 A, 수직주사주파수를 fV, 총라인수를 L로 하면, 다음의 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알지 못하는 영상신호에 대한 총애스펙트비A를 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A를 미리 어떤 값으로 설정해 두면 좋다. 상기의 경우는 A=K로 설정하였지만, 통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최고해상도를 갖는 영상신호의 최대애스펙트비로 설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입력영상신호(710)의 도트클럭주파수 fDOT이상의 샘플링클럭주파수 fS를 얻을 수 있고, 입력영상신호(710)을 충실하게 샘플링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에서 구해진 샘플링클럭(fS)를 설정해서 얻어진 영상보다 더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기와 같이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즉, 입력영상신호의 총수평도트수를 N′하고 하면, N′=A×L이 성립하고, 상기 (식 2)에 의해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그래서, 알지 못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N′〈N인 관계를 갖는 소정 도트수N을 처음에 설정하고, 그 후 N의 값을 점차 감소시키는 방향에서 CPU회로(780)이 제어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N′=N, 즉 fS=fDOT로 할 수 있어 더욱 고화질의 영상의 표시를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가 안정된 신호일 때에는 이 입력신호에 동기시킨 클럭을 선택하고, 불안정한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입력신호와 비동기로 생성한 안정된 클럭을 선택하며, 이것을 리드측 클럭으로서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광범위한 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위상 및 주파수지터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도 양호한 영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불안정한 요인을 경감하여 안정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6)

  1.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 필드의 영상신호의 적어도 1주사선분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 필드의 영상신호의 상기 주사선을 순차 라이트하는 라이트수단, 상기 저장된 1주사선분을 상기 1주사선분의 라이트기간의 1/n(n은 2이상의 정수)기간에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된 영상신호의 1주사선분을 상기 라이트수단의 라이트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리드하는 리드수단, 상기 1주사선분의 상기 라이트기간의 나머지 (n-1)/n기간에 적어도 주사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 및 상기 1/n기간이 다른 필드의 최종주사선의 나머지 (n-1)/n기간에 해당하도록 상기 1/n기간의 각 주사선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주사선분의 필드에 있어서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라인메모리,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상기 라인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수단,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상기 라인메모리의 리드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주사선분의 필드에 있어서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 및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수단과,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입력된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 상기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 및 상기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교대로 기억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계의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라이트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 상기 라이트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 및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수단,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계의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리드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리드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출력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 상기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따라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리드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 상기 출력수평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 및 상기 출력수직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제1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순차주사방식의 제2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제1 영상신호의 주사속도를 변환하는 주파수해상도 변환수단, 상기 주파수해상도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전환해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환수단, 상기 전환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전환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적어도 1주사선분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전환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영상신호의 상기 주사선을 순차 라이트하는 라이트수단, 상기 저장된 1주사선분을 상기 1주사선분의 라이트기간의 1/n(n은 2이상의 정수)기간에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된 영상신호의 1주사선분을 상기 라이트수단의 라이트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리드하는 리드수단, 상기 1주사선분의 상기 라이트기간의 나머지 (n-1)/n기간에 적어도 주사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 및 상기 1/n기간이 다른 필드의 최종주사선의 나머지 (n-1)/n기간에 해당하도록 상기 1/n기간의 각 주사선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제1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교대로 기억하는 2개의 필드메모리, 상기 입력된 제1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계의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라이트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입력된 제1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 상기 라이트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 및 상기 제1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 수단, 상기 입력된 제2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계의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리드도트클럭 생성수단 및 상기 리드도트클럭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클럭과 상기 입력된 제2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제어수단은 상기 라인메모리에서 라이트속도의 우수배의 속도로 영상신호를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은 PLL회로를 사용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도트클럭 생성수단은 PLL회로를 사용하고, 상기 리드도트클럭 발생수단은 수정발진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CRT방식의 디스플레이, 액정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방식의 디스플레이중의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1.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수단,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라이트제어수단,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수단, 상기 도트클럭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을 분주하고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생성하는 출력동기신호생성수단, 필드수를 n(n은 2이상의 정수)배로 증가시켜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로 증가시키는 주파수해상도 변환수단 및 상기 메모리에서 최초로 리드하는 우수필드의 리드개시신호를 상기 증가된 수평주사주파수의 1수평주사기간만큼 지연시키는 리드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2.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1필드분의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라이트제어회로, 상기 필드메모리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수단,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을 분주하고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생성하는 출력동기신호생성기, 필드수를 n배로 증가시켜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로 증가시키는 주파수해상도 변환수단 및 각 필드의 상기 증가된 수평주사주파수에서의 연속하는 출력영상신호가 최초필드의 주사선위치와 동일한 주사선위치에 표시되도록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어긋나게 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3. 입력되는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의 영상신호의 필드주파수를 n배로 증가시켜 수평주사주파수를 n배로 증가시키는 주파수해상도 변환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주파수해상도 변환회로는 입력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적어도 1필드분을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서 리드한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를 곱해서 도트클럭을 생성하는 도트클럭 생성회로,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입력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서 상기 메모리의 라이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이트제어회로,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을 카운트해서 입력신호의 n배의 주파수의 출력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해서 출력하는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에서 필드가 기수필드인지 우수필드인지를 판별하여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필드판별회로, 상기 필드판별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를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단위로 어긋나게 해서 출력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 및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평동기신호, 상기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 및 상기 필드판별신호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리드를 제어하는 리드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직동기신호 어긋남회로는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상기 도트클럭 생성회로에 의해 생성된 도트클럭단위로 어긋나게 해서 출력하는 적어도 1개의 지연회로, 상기 지연회로의 출력신호를 전환해서 출력하는 전환회로 및 상기 필드판별신호와 상기 출력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출력된 출력수직동기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환회로를 제어하는 출력수직동기신호 선택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5.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고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를 갖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의 해상도중의 적어도 1개를 변환하는 수단, 상기 영상신호의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수단, 상기 주파수와 해상도 중의 적어도 1개의 값에 따라서 상기 가변 이득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6.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고 소정의 수평/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와 해상도 중의 적어도 1개를 변환하는 수단, 이득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디오출력수단, 상기 여러개의 비디오출력수단중에서 원하는 1개를 선택하는 전환수단 및 상기 주파수와 해상도중의 적어도 1개의 값에 따라서 상기 전환수단을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득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설정하는 전압값이 다른 여러개의 전원, 상기 여러개의 전원에서 상기 비디오출력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8.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하고 소정의 수평/수직주사주파수를 갖는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와 해상도중의 적어도 1개를 변환하는 회로,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 상기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결정하는 여러개의 입력저항, 상기 여러개의 입력저항 중에서 원하는 이득을 얻기 위한 저항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주파수와 해상도 중의 적어도 1개의 값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으로 공급할 전압값이 다른 여러개의 전원, 상기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선택된 저항값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스템에 표시할 영상의 색온도를 가변해서 설정하는 비디오처리수단과 상기 비디오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색온도의 값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스템에 표시할 영상의 감마보정계수를 가변해서 설정하는 비디오처리수단과 상기 비디오처리수단에 의해 설정된 감마보정계수를 적당한 값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22. 여러개의 입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화면내에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면을 합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상을 어두운 주사선 주기를 갖는 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 및 상기 변환된 화상의 밝기를 강화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내에 마련된 스캔컨버터,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 비디오출력수단 및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변환된 화상에 대해 상기 가변이득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여러개의 입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화면내에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면을 합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상을 어두운 주사선 주기를 갖는 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 및 상기 변환된 화상의 밝기를 강화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내에 마련된 스캔컨버터, 이득이 다른 여러개의 비디오출력수단, 상기 여러개의 비디오출력수단 중에서 소정의 1개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변환된 화상에 대해 상기 스위치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득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전압값이 다른 여러개의 전원, 상기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에 대해 상기 스위치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5. 여러개의 입력영상신호를 입력하고 화면내에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면을 합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적어도 1개에 대응하는 화상을 어두운 주사선 주기를 갖는 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 및 상기 변환된 화상의 밝기를 강화하기 위한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내에 마련된 스캔컨버터,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 상기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결정하는 여러개의 입력저항, 상기 여러개의 입력저항에서 소정의 이득을 얻기 위한 저항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변환된 화상에 대해 상기 스위치를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전압값이 다른 여러개의 전원과 상기 전류귀환형 비디오출력수단으로 공급할 상기 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영상의 색온도를 가변해서 설정하는 비디오처리장치와 상기 비디오처리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색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영상의 감마보정계수를 가변해서 설정하는 비디오처리장치와 상기 검출된 화상에 대해 상기 비디오처리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감마보정계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출력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시스템에 표시할 영상이 텔레비젼영상일 때에는 이득을 크게 설정하고 컴퓨터영상일 때에는 이득을 작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출력수단으로 공급할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시스템에 표시할 영상이 텔레비젼영상일 때에는 전원전압을 크게 설정하고 컴퓨터영상일 때에는 전원전압을 작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색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은 표시시스템에 표시할 영상이 텔레비젼영상일 때에는 색온도를 약 6500K(켈빈)로 설정하고, 컴퓨터영상일 때에는 색온도를 약 9300K(켈빈)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2. 필드 및 프레임 중의 적어도 1개에 n개(n은 1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삽입하여 합성하는 합성수단, 상기 합성수단에 의해 삽입해서 합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합성수단에 의해 삽입해서 합성된 화상신호중의 최대 n개분의 화상신호의 삽입위치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수단 및 상기 지정된 삽입위치타이밍에서 상기 n개중의 적어도 1개의 삽입화상내 영역의 진폭레벨 및 직류레벨 중의 적어도 1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진폭레벨 및 직류레벨 중의 적어도 1개의 제어를 디지탈변환한 화상신호데이타의 데이타변환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4. 필드 및 프레임중의 적어도 1개에 n개(n은 1이상의 정수)의 화상을 삽입해서 합성한 화상신호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화상 표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삽입해서 합성된 화상신호 중의 최대 n개분의 삽입위치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삽입위치타이밍에서 적어도 1개의 삽입화상내 영역의 진폭레벨 및 직류레벨중의 적어도 1개를 제어하는 검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은 적어도 1개의 삽입화상의 프레임검출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제어수단은 적어도 움직임검출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7. 적어도 1개의 화상을 삽입한 필드 및 프레임중의 적어도 1개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및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상기 삽입한 화상내의 소정 영역의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8.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밸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 및 상기 제1 가산수단과 입력할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의 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9.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과는 다른 계통의 여러개의 전원중의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할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을 지정하고, 여러개의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중의 적어도 1개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0.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과는 다른 계통의 여러개의 전원중의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을 전환해서 제어하는 제1 타이밍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밍발생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을 지정하고, 여러개의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중의 적어도 1개에 따라서 상기 지정된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발생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는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할 임의의 화상의 표시영역의 개시위치와 종료위치 또는 개시위치와 상기 표시영역의 수평구간 및 상기 표시영역의 수직구간 또는 종료위치와 상기 표시영역의 수평구간 및 상기 표시영역의 수직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2.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과는 다른 계통의 여러개의 전원중의 적어도 1개를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 상기 선택수단의 전환제어와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전압제어를 실행하는 제2 타이밍발생수단 및 상기 제2 타이밍발생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소정의 화상표시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밍발생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는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할 임의의 화상의 표시영역의 개시위치와 종료위치와 휘도레벨, 개시위치와 상기 표시영역의 수평구간 및 상기 표시영역의 수직구간과 휘도레벨 및 종료위치와 상기 표시영역의 수평구간 및 상기 표시영역의 수직구간과 휘도레벨 중의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4.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과는 다른 계통의 여러개의 전원의 출력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여러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5.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진폭제어용 전원, 상기 직류제어수단으로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제어전원, 상기 진폭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이것과는 다른 계통의 여러개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진폭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1 가산수단, 상기 직류제어용 전원의 출력과 이것과는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을 가산하고 그 가산출력에 의해 상기 직류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2 가산수단 및 상기 제1 가산수단에 입력할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제2 가산수단에 입력할 상기 다른 계통의 전원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6. 화상표시수단, 아날로그화상신호를 디지탈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데이타변환하는 룩업테이블, 디지탈화상신호를 아날로그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수단,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상기 룩업테이블에 입력하고 상기 룩업테이블의 출력을 상기 디지탈/아날로그변환수단으로 공급할 것인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디지탈/아날로그변환수단으로 공급할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제어와 상기 룩업테이블의 데이타리라이트를 실행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 또는 직류레벨 또는 이들 양쪽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7. 아날로그화상신호를 디지탈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데이타변환하는 룩업테이블, 디지탈화상신호로 구동하는 화상표시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상기 룩업테이블에 입력하고 상기 룩업테이블의 출력을 상기 화상표시수단으로 공급할 것인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의 출력을 그대로 상기 화상표시수단으로 공급할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제어와 상기 룩업테이블의 데이타리라이트를 실행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할 제어정보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을 지정하고 이 지정된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진폭레벨 또는 직류레벨 또는 이들 양쪽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8.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상기 진폭제어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의 평균진폭레벨 또는 평균직류레벨 또는 이들 양쪽을 임의의 일정값 이상으로 되지않도록 부귀환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9. 화상표시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진폭레벨을 제어하는 진폭제어수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입력할 화상신호의 직류레벨을 제어하는 직류제어수단 및 상기 화상표시수단에서의 임의의 화상표시영역의 평균레벨 또는 직류레벨 또는 이들 양쪽을 제어할 때에는 상기 진폭제어수단 또는 상기 직류제어수단 또는 이들 양쪽에 인가하는 전원전압을 가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0.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입력동기신호와 동기한 클럭을 발생하는 제1 클럭발생회로, 비동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 클럭발생회로 및 이들의 클럭발생회로 중의 한쪽을 상기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디지탈처리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동작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신호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 또는 출력할 클럭의 지터를 검출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지터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4.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전압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 입력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분주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위상차신호에서 저주파성분을 추출하는 저역필터, 정전압원 및 상기 저역필터의 출력전압과 정전압원의 출력전압을 선택해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동작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신호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 또는 출력할 클럭의 지터를 검출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지터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8.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고정주파수 발진기, 위상비교기, 상기 위상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위상차신호에서 저주파성분을 추출하는 저역필터, 상기 저역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전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주해서 상기 위상비교기의 한쪽의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분주기 및 상기 입력영상신호와 고정주파수 발진기의 출력신호 중의 한쪽을 선택해서 상기 위상비교기의 다른쪽의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의 선택동작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신호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신호 또는 출력할 클럭의 지터를 검출해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지터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2.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전압제어 발진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 입력수평동기신호와 상기 분주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위상차신호에서 저주파성분을 추출하는 저역필터, 상기 저역필터의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샘플홀드수단 및 상기 저역필터의 출력전압과 샘플홀드수단의 유지전압을 선택해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종류 또는 입력신호 또는 출력신호의 지터에 따라서 상기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4.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처리해서 소정의 수평 및 수직주사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를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 의해 표본화하기 위한 샘플링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 상기 PLL회로가 생성하는 샘플링클럭의 클럭주파수의 설정값을 상기 PLL회로로 공급하는 제어수단, 상기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를 인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값을 송출하도록 제어수단에 지시를 보내는 CPU 및 상기 설정값을 프리세트해 두는 메모리회로를 포함하고, 표시시스템이 수신할 수 있은 아날로그영상신호의 최대애스펙트비A를 상기 CPU에 설정해 두고, 상기 메모리회로에 입력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설정값이 프리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v를 인식해서 fS=A×L2×fV가 성립하는 주파수fS의 샘플링클럭을 상기 PLL회로가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지시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PLL회로에 대해서 fS=A×L2×fV에 있어서의 최대애스펙트비를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가 갖는 애스펙스비에 근사시키도록 샘플링클럭fS를 생성시키기 위한 지시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입력아날로그영상신호의 도트클럭과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한 주파수fS의 샘플링클럭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6. 문자나 도형화상을 주체로 하는 제1 영상신호와 자연화상을 주체로 하는 제2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제1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을 동일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 및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이 모두 동일화면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보다 밝게 제어하는 밝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영상신호는 다른 신호원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신호는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제2 영상신호는 기록매체나 메모리에서 재생되는 신호 또는 텔레비젼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69.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신호와 상기 제2 영상신호는 동일한 신호원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0.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신호는 퍼스널컴퓨터에서 내부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제2 영상신호는 상기 퍼스널컴퓨터에 접속된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이고, 상기 외부장치는 기록매체나 메모리에서 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 영상신호는 상기 퍼스널컴퓨터를 거쳐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1. 퍼스널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1 영상신호 및 퍼스널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영상신호와는 다른 제2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제1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을 동일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 및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이 동일화면에 모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상기 제1 화상의 밝기보다 밝게 제어하는 밝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신호는 텔레비젼신호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신호는 기록되거나 또는 저장된 신호에서 재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4. 퍼스널컴퓨터에서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제1 영상신호 및 상기 제1 영상신호와는 다른 제2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 상기 제1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을 동일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 및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이 모두 동일화면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제2 화상의 밝기를 상기 제1 화상의 밝기보다 밝게 제어하는 밝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신호는 텔레비젼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신호는 기록되거나 또는 저장된 신호에서 재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KR1019950036351A 1994-10-24 1995-10-20 화상표시시스템 KR10023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8321 1994-10-24
JP6258321A JPH08123350A (ja) 1994-10-24 1994-10-24 ディスプレイ装置
JP95-052731 1995-03-13
JP05273195A JP3435880B2 (ja) 1995-03-13 1995-03-13 画像表示装置
JP95-057473 1995-03-16
JP7057473A JPH08254970A (ja) 1995-03-16 1995-03-16 ディスプレイ装置
JP5747195 1995-03-16
JP95-057471 1995-03-16
JP7214515A JPH08317344A (ja) 1995-03-16 1995-08-23 ディスプレイ装置
JP95-214515 1995-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26A KR960016526A (ko) 1996-05-22
KR100233900B1 true KR100233900B1 (ko) 2000-01-15

Family

ID=6658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51A KR100233900B1 (ko) 1994-10-24 1995-10-20 화상표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58B1 (ko) 2005-02-21 2011-08-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디스플레이 아이씨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212412B2 (en) 2015-03-25 2019-0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creasing photographing speed of photograph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2127A3 (en) * 1999-02-24 2001-06-27 Thomson Licensing S.A. A digital data sample rate conversion system
KR100319640B1 (ko) * 1999-12-28 2002-01-05 박종섭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58B1 (ko) 2005-02-21 2011-08-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디스플레이 아이씨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212412B2 (en) 2015-03-25 2019-02-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increasing photographing speed of photograp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26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041A (en) Image display system
US6466272B1 (en) Display apparatus
US6791623B1 (en) Image display system
KR100195358B1 (ko) 라인 메모리 및 제어 시스템
US5781241A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rt computer graphics signals to television video signal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caling requiring no frame buffers
US5134479A (en) NTSC high resolution television converting apparatus for converting television signals of an NTSC system into high resolution television signals
US6384867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video signals of a plurality of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US6927801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displaying apparatus
US5933196A (en) Pixel conversion apparatus
KR100191408B1 (ko) 수직 리세트 발생 시스템
JPH06205327A (ja) インターレース型及びノンインターレース型ビデオ信号表示装置
JP3847826B2 (ja) 字幕データ表示制御装置
US5896177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spect ratio in tv-monitor integrated wide screen receiver
US6226039B1 (en) Automatic aspect ratio conver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receiver
KR100233900B1 (ko) 화상표시시스템
JPH0759054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KR100385975B1 (ko) 비디오 포맷 변환장치 및 방법
JPH118799A (ja) ビデオ表示制御装置
JP3550302B2 (ja) 往復偏向式映像信号表示装置
KR0164255B1 (ko) 비디오 촬영용 영상신호 변환장치
KR100229292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_
KR100237648B1 (ko)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698276A (ja) スクロール制御装置
JPH0720809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H11168639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