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597B1 -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597B1
KR100232597B1 KR1019970008931A KR19970008931A KR100232597B1 KR 100232597 B1 KR100232597 B1 KR 100232597B1 KR 1019970008931 A KR1019970008931 A KR 1019970008931A KR 19970008931 A KR19970008931 A KR 19970008931A KR 100232597 B1 KR100232597 B1 KR 100232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rtical
horizontal
address
conver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577A (ko
Inventor
박한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5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 및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기입 어드레스 및 독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제어 데이타 및 현재 입력되는 모드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기입 어드레스 및 독출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기입 및 독출하는 제1메모리와, 수직 귀선 기간동안, 제1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조정점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평쪽으로 보간하여 수직 주사 기간마다 테스트 패턴에 더미 라인들의 데이타를 연산하는 수평 보간 수단과, 수평 보간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현재 주사선의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필드 검출 수단과, 조정 데이타, 제2메모리로부터 독출한 데이타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편향의 주사선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수평 주사 기간에 소정 횟수 연산하여 출력하는 수직 보간 수단 및 컨버젼스 데이타 포맷에 상응하여 수직 보간 수단의 출력을 포맷팅하는 신호 포맷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750바이트만으로 모든 입력 모드에 대응할 수 있고, 모드 절환시 필요한 데이타 연산 시간이 없으며 다중 동기(multisync)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본 발명은 투사 디스플레이(projection display)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PC:Personal Computer) 및 HD(High Definition) 텔레비젼등에 대응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블럭도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0), 리모콘(12), 위상 동기 루프(14), EEPROM(16), SRAM(18), 게이트 어레이(20), 테스트 패턴 및 온 스크린 처리부(22),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Digital to Analogue Converter)(24), 샘플 & 홀드(sample & hold)부(26), 저역 통과 필터(LPF:Low Pass Filter)(28), 클램핑(clamping)부(30), 증폭기(32) 및 CY코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10)는 EEPROM(16)에 저장된 조정점의 데이타를 리모콘(12)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갱신하고, 이 조정점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전 화면의 데이타를 연산한다. SRAM(18)은 화면 전 라인의 컨버젼스(convergence) 데이타를 저장하며, DAC(24)는 게이트 어레이(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컨버젼스 데이타를 아날로그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샘플 & 홀드부(26)는 DAC(2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컨버젼스 신호를 입력하여 수평, 수직의 데이타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평, 수직의 데이타를 LPF(28)로 출력한다. LPF(28)는 수평, 수직으로 분리된 아날로그 컨버젼스 보정량을 평활하여 클램핑부(30)로 출력하며, 클램핑부(30)는 컨버젼스 보정 데이타 값을 일정한 직류 레벨로 클램핑하여 정적 컨버젼스 데이타를 증폭기(32)로 출력한다. 이 때, 증폭기(32)는 컨버젼스 보정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어레이(20)에 대한 종래의 세부적인 도면으로서, 클럭 발생부(50), 주 카운터 및 필드 검출부(52), 어드레스 발생부(54), 어드레스 제어부(56), 테스트 패턴 제어부(58), 테스트 패턴 및 커서 발생부(60),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62), 기입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64), 컨버젼스 데이타 처리부(66) 및 샘플 & 홀드부(68)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5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평 및 수직 편향 귀선신호들을 입력하여 각 부에 필요한 클럭과 수평 및 수직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주 카운터 및 필드 검출부(52)는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필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어드레스 발생부(54)는 클럭 발생부(5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SRAM(18)의 데이타를 엑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제어부(56)는 현재 입력 모드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가 메모리의 어느 부분에 위치해 있는가에 대한 신호를 입력단자 IN3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입력하여 어드레스 발생부(54)를 세팅하기 위한 신호를 어드레스 발생부(54)로 출력한다.
한편, 테스트 패턴 및 커서(cusor) 발생부(60)는 컨버젼스 조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만들고, 만들어진 테스트 패턴 알.지.비.신호들을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테스트 패턴 제어부(58)는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적당한 테스트 패턴이 발생되도록 조절해주는 제어신호를 테스트 패턴 및 커서 발생부(60)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62)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을 통해 리모콘(12)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입력하여 메모리의 컨버젼스 데이타값을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입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64)는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레지스터에 일정한 데이타값을 기입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 컨버젼스 데이타 처리부(66) 및 샘플 & 홀드부(68)들은 메모리의 컨버젼스 데이타값을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한다.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10)에서 EEPROM(16)에 저장되어 있는 조정점 데이타를 독출하여 전 라인의 데이타를 연산하여 SRAM(18)에 기입한 후, 하드웨어에서는 SRAM(18)의 데이타를 수평, 수직 귀선 신호들에 기준하여 독출하였다. 그러므로, 입력 모드가 여러가지인 경우, 예를 들어 PC용 모니터, HD텔레비젼용 디스플레이 장치, PAL과 NTSC 방식에 동시에 대응되는 투영 디스플레이 장치등에서 전화면의 컨버젼스 데이타를 연산해 내야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 모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연산 시간이 그 만큼 오래 걸리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스탠바이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우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드에서 다른 입력 모드로, 모드 절환을 할 때, 예를 들어 PC의 텍스트 모드에서 그래픽 모드로 절환을 할 때, EEPROM의 조정 데이타를 이용하여 화면 전 라인의 데이타를 연산해 내는데 필요한 연산 시간 때문에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 같이 바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 모드가 증가하면 증가하는 만큼 도 1에 도시된 SRAM(18)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살펴보면, SRAM(18)의 용량은 예를 들어, PC의 VGA 그래픽 모드가 디스플레이될 때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비트수가 필요하게 된다.
[수학식 1]
525 line × 16 × 6 × 13 bit = 655,200 bit = 81.9Kbit
수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모드에서 81.9K비트가 필요하므로, 모드가 증가하면 증가되는 만큼 더 많은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여러가지 신호가 입력될 때, 주변의 하드웨어의 증가 없이 모든 입력원들을 대응할 수 있는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어레이에 대한 종래의 세부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테스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 및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기입 어드레스 및 독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제어 데이타 및 현재 입력되는 모드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상기 기입 어드레스 및 상기 독출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기입 및 독출하는 제1메모리와, 수직 귀선 기간동안,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조정점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평쪽으로 보간하여 수직 주사 기간마다 테스트 패턴에 더미 라인들의 데이타를 연산하는 수평 보간 수단과, 상기 수평 보간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현재 주사선의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필드 검출 수단과, 상기 조정 데이타,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 독출한 데이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편향의 주사선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수평 주사 기간에 소정 횟수 연산하여 출력하는 수직 보간 수단 및 컨버젼스 데이타 포맷에 상응하여 상기 수직 보간 수단의 출력을 포맷팅하는 신호 포맷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블럭도로서, 위상 동기 루프(PLL:Phase Locked Loop)(82) 및 분주기(84)로 구성되는 클럭 발생부(80), 위상 조정부(86), 어드레스 발생부(88), 제어신호 발생부(90), 위상 보정부(92), 패턴 발생부(94),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00), 제1, 2 및 3램(RAM:Random Access Memory)들(102, 104 및 108), 수평 및 수직 보간부들(106 및 112), 필드 검출 및 스캔 선 어드레스 발생부(110) 및 신호 포맷부(114)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80)의 위상 동기 루프(82)는 편향부(미도시)의 수평 귀선 신호(HBLK)를 입력하여 디지탈 컨버젼스 회로에서 필요로 하는 마스터 클럭(MCLK)을 발생하고, 분주기(84)는 마스터 클럭을 입력하여 256분주하고, 분주된 마스터 클럭을 제어 클럭으로서 위상 동기 루프(82) 및 위상 조정부(86)로 출력한다.
위상 조정부(86)는 조정점의 위상이 실제 화면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어드레스 발생부(88)는 수평 및 수직 귀선 신호들(HBLK 및 VBLK)을 위상조정부(86)로부터 입력하여 전화면에 걸쳐 컨버젼스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기준 어드레스인 수평 어드레스(HA:Horizontal Address) 및 수직 어드레스(VA:Vertical Address)를 발생하여 제어신호 발생부(90) 및 위상 보정부(92)로 각각 출력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90)는 수평 및 수직 어드레스들을 디코딩하여 일정 어드레스가 되면, 칩 내부의 각종 제어 데이타들을 세팅하기 위한 기입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위상 보정부(92)는 수평 및 수직 어드레스들을 입력하여 테스트 패턴의 위상을 보정하고, 보정된 위상을 패턴 발생부(94)로 출력한다. 패턴 발생부(94)는 보정된 위상을 입력하여 컨버젼스 조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만들어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10)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마이크로 컴퓨터(10)로부터 어드레스 및 데이타 신호(ADD), 독출 스트로브 신호(RDL), 기입 스트로브 신호(WTL) 및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 신호(ALE)를 입력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필요한 데이타를 독출 또는 기입하기 위한 기입 어드레스 신호 및 독출 어드레스 신호를 제1 및 제2RAM들(102 및 104)로 출력한다.
제1RAM(102)은 기입 또는 독출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제어 데이타를 기입 또는 독출하며, 위상 조정부(86), 어드레스 발생부(88), 위상 보정부(92), 패턴 발생부(94)및 수직 보간부(112)로 독출한 제어 데이타를 출력한다. 제2RAM(104)은 EEPROM(16)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모드별 컨버젼스 데이타중에서 현재 입력되어 지고 있는 모드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기입 또는 독출 어드레스 신호들에 응답하여 기입 또는 독출한다.
도 4는 테스트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RAM(104)은 도 4에 도시된 '+'부분만 조정할 경우, 수평 7개, 수직 5개, 컬러별 수평 및 수직 6개로 210바이트이다. 그러나, 조정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3번 라인과 13번 라인을 더 조정해 주었을 경우, 9×5×6=270바이트가 필요하다.
수평 보간부(106)는 조정점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평쪽을 보간을 하여 나머지 더미 라인들의 데이타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평적으로 0∼15까지의 조정점의 데이타를 연산하여 제3RAM(108)에 저장한다. 이 때, 수평 보간부(106)의 연산은 수직 귀선 기간에 수행되며, 1수직 주사 기간에 한번씩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3RAM(108)은 수평 보간이 끝난 수평으로 16개, 수직으로 5개, 컬러별로 6개의 전체 16×5×6의 480바이트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필드 검출 및 스캔 선 어드레스 발생부(110)는 현재 주사선의 위치 정보를 발생하며, 수직 보간부(112)는 제3RAM(108)에 저장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현재 주사선의 위치 정보를 입력으로 수직 보간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편향의 주사선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연산한다. 이 때, 수직 보간부(112)의 연산은 1수평 주사 기간에 96번 이루어진다.
신호 포맷부(114)는 수직 컨버젼스 데이타 포맷에 맞도록 수직 보간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포맷팅하고, 출력단자 OUT3을 통해 포맷팅된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연산 블럭을 두어, 실시간으로 데이타를 연산해기 때문에, 750바이트만으로 모든 입력 모드에 대응할 수 있고, 모드 절환시 1수직 주사 기간내에 수평 연산을 끝내고 편향 주사 라인에 맞추어 컨버젼스 데이타를 연산해 냄으로서, 모드 절환시 필요한 데이타 연산 시간이 없으며 다중 동기(multisync)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 및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기입 어드레스 및 독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제어 데이타 및 현재 입력되는 모드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상기 기입 어드레스 및 상기 독출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기입 및 독출하는 제1메모리; 수직 귀선 기간동안,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조정점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평쪽으로 보간하여 수직 주사 기간마다 테스트 패턴에 더미 라인들의 데이타를 연산하는 수평 보간 수단; 상기 수평 보간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현재 주사선의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필드 검출 수단; 상기 조정 데이타,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 독출한 데이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편향의 주사선에 해당하는 컨버젼스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수평 주사 기간에 소정 횟수 연산하여 출력하는 수직 보간 수단; 및 컨버젼스 데이타 포맷에 상응하여 상기 수직 보간 수단의 출력을 포맷팅하는 신호 포맷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 귀선 신호를 입력하여 제어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 상기 제어클럭 및 수직 귀선 신호를 입력하여 위상을 상기 제어 데이타에 응답하여 조정하는 위상 조정수단; 상기 위상 조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클럭 및 상기 수직 귀선 신호를 입력하여 수평 및 수직 어드레스들을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 상기 수평 및 상기 수직 어드레스들을 디코딩하여 각종 제어 데이타를 세팅하기 위한 기입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상기 수평 및 상기 수직 어드레스들을 입력하여 테스트 패턴의 위상을 보정하고, 보정된 위상을 출력하는 위상 보정수단; 및 상기 보정된 위상을 입력하여 컨버젼스 조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출력하는 패턴 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70008931A 1997-03-17 1997-03-17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23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931A KR100232597B1 (ko) 1997-03-17 1997-03-17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931A KR100232597B1 (ko) 1997-03-17 1997-03-17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577A KR19980073577A (ko) 1998-11-05
KR100232597B1 true KR100232597B1 (ko) 1999-12-01

Family

ID=1949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931A KR100232597B1 (ko) 1997-03-17 1997-03-17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5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577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497A (en) Digital convergence apparatus including an extrapolating circuit
US5111284A (en) Digital convergence unit for adjusting the convergence in a color display system
US5168199A (en)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ry for cathode ray tube display
JP3078975B2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回路
KR100232597B1 (ko)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장치
US5751122A (en)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KR100308259B1 (ko) 디지탈콘버젼스보정장치
JP3075565B2 (ja) 画像表示装置
JP2593918B2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08331404A (ja) 電圧発生方法、電圧発生回路及びモニタ装置
JP2520414B2 (ja) デイジタルコンバ−ゼンス回路
JPH0468688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100187006B1 (ko) 멀티싱크 디지털 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검사패턴 발생회로
JP2930299B2 (ja)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KR910001168B1 (ko)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미러 화면회로
KR200150066Y1 (ko)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JPH0154918B2 (ko)
JP3049845B2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信号発生装置
JP3509357B2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KR970000757B1 (ko) 디지틀 텔레비젼의 수평보간 회로
JPH08163578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S60237789A (ja) コンバ−ゼンス補正装置
JPH0636601B2 (ja) デイジタルコンバ−ゼンス補正装置
JPH0440791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H06113311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