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444B1 -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444B1
KR100232444B1 KR1019900021274A KR900021274A KR100232444B1 KR 100232444 B1 KR100232444 B1 KR 100232444B1 KR 1019900021274 A KR1019900021274 A KR 1019900021274A KR 900021274 A KR900021274 A KR 900021274A KR 100232444 B1 KR100232444 B1 KR 10023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edium
cable
housing
foam materi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646A (ko
Inventor
죤 에로요 칸디도
제이. 메스켈 디.
죠셉 멀린 프랜시스
Original Assignee
죤 제이.키세인
에이티앤드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제이.키세인, 에이티앤드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죤 제이.키세인
Publication of KR91001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3Filling materials, e.g. solid or flui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지상용, 기초부용, 벽 장착용 또는 매설용에 적합하며 금속 또는 광 파이버 전송매체간의 연결부를 둘러싸는데 적합한 케이블 밀폐부(20)는 베이스(30)와 커버(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및 커버는 케이블이 통과 연장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전송매체간의 연결부(50)는 강력 흡수성 발포재로 형성된 패드(51,52) 사이에 배치된다. 발포 재료 부분과 베이스 및 커버의 크기는 커버가 베이스에 조립될 때 발포 재료가 압축되도록 정해진다. 물이 침입하여 물과 접촉될 때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팽창하여 연결부 주위를 성형함으로써 연결부를 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외측으로 팽창하여 하우징 내의 의도되지 않은 개구부를 밀봉하고 물의 추가 침입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밀폐부의 커버와 베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연결부에 대하여 배치된 발포 재료의 패드를 갖는 베이스에 고정위치된 커버를 갖는 본 발명의 밀폐부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베이스에 고정된 커버의 절단된 부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밀폐부 22 : 배전 케이블
30 : 베이스부 32 : 커버
36 : 측벽 35,37 : 단부벽
38,39 : 돌출부 41,43,47,49 : 개구
51,52 : 패드 60 : 밴드
본 발명은 강력 흡수성 발포 물 차단 시스템을 갖는 케이블 밀폐부(cable closure)와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송 케이블은 그 구조가 어떻든, 그 일정 길이의 단부에서의 전송매체가 다른 케이블의 일정 길이의 단부애서의 대응 전송매체와 접속(splice)되어야 한다. 전송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의 두 단부가 서로 접속되는 경우, 접속 영역은 일반적으로 보호 설비 내에 수용된다. 그 내부에서 전송 매체가 접속되고 둘러싸이며 저장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접속 밀폐부를 사용하는 것은 통상적이다. 이런 밀폐부는 하나 이상의 길이 방향 조인트 및 단부판을 갖고 인입 및 인출 케이블을 포위하여 커버로 밀폐하는 원통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접속 연결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밀폐부가 시판되고 있지만 이들의 조립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지하 터널이나 지상 전주 또는 라인과 같이 취급 및 조작이 어려운 제한된 장소에서는 특수 공구나 장치를 필요로 한다.
광 파이버 케이블과 예를 들어 케이블 밀폐부와 같은 관련 장치는 전형적으로 케이블 및 관련 장치가 보호되어야 하는 다양하게 예견되는 환경 조건에 의한 문제점을 피하도록 설계 제조된다. 이러한 조건중의 하나가 케이블과 케이블 밀폐부가 물에 노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점은 케이블이 절단, 접속, 저장, 분기되는 케이블 밀폐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은 물론 케이블 내부로의 물이 침입한다는 점이다.
케이블 밀폐부로의 물의 침입은 일반적으로 피복된 광 파이버 케이블과 광파이버 그리고 케이블 밀폐부의 내부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이다. 예컨대, 수증기는 유리 광 파이버 외면의 표면 홈에 침입하여 응력 부식을 초래한다. 광 파이버에 물과 응력이 존재할 경우 광 파이버의 표면 홈은 성장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낮은 인장 강도에서 파이버가 파괴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밑폐부 내의 물의 존재로 인한 다른 악영향은 물이 동결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조건은 파이버와 케이블의 내부와 밀폐부의 기계적 부하에 손상을 준다.
습기 침입을 제한하는 것은 거의 모든 밀폐부에 대한 요구사항이다. 종래기술의 밀폐부에 있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 밀폐부의 밀봉은 3개의 각기 다른 시일(seal)에 의존하고 있다. 그 하나는 밀폐부의 표면이나 케이블 밀폐부에 의해 독자적으로 밀봉 가능한 표면과 케이블 외부 재킷의 일부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이다. 이는 케이블의 크기 및 변형된 형상을 유연한 시일과 대치시키기가 어렵다. 제2케이블 밀폐부 시일은 밀폐부 커버에 관련된 시일이다. 커버부는 예를 들어 밀폐부 격벽(bulkhead)을 밀봉하게 되어있으며, 상기 격벽을 통해서 케이블이 밀폐부 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의 틈을 수분 차단제로 매우거나 케이블 밀폐부 외측의 한 점에서 케이블의 내부로 침투되는 물이 인접 케이블 외피 성분 사이에서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외피 성분으로서의 뭍 차단 테이프를 포함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종래기술에서 습기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 가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어떤 시스템은 케이블과 밀폐부에 드라이 에어나 질소 또는 화학적으로 유사한 불활성 가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재인입가능한(reenter able) 밀폐부에서, 가스는 압축되어 포위 장치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흐름을 형성하고 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압축 가스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스 누설량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전체를 통하여 높은 가스 유량의 요구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밀폐부 및 관련 장치는 압력 감소와 가스 손실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밀봉되어야 한다. 동시에,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설치자의 에러 발생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다양한 밀폐부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는 비용이 많이들고 조립시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복잡한 밀봉 메카니즘이 사용되고 있다. 신속히 조립할 수 있고 그다지 민감하지 않으며 부품수가 적은 밀폐부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밀폐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방법은 밀폐부를 밀봉 재료로 충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밀폐부는 케이블이 연장시 통과하는 케이블 밀봉 확대걸림부를 갖는 두개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 두 섹션과, 폐쇄 단부와 개구 단부를 갖는 튜브형의 밀폐부 커버를 포함한다. 케이블 단부는 제1격벽을 통하여 제1챔버로 연장되고, 케이블 외피 시스템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단지 코어 튜브의 단부만이 제2격벽을 통하여 제2챔버로 연장된다. 케이블 외피 시스템의 물 차단 효과를 위해 밀봉 재료가 사용된 상기 밀폐부에서, 접속 연결부는 통상 제2챔버에 위치된다. 케이블 외피 요소 부분을 통한 케이블 밀폐부로의 물차단은 제1챔버에서 이루어진다. 밀폐부 커버는 단단히 조여지며 제1챔버는 액체 밀봉 재료를 수용하게 된다. 밀봉 재료는 경화되어 접속 연결부를 둘러싸는 중심의 포팅(solid potting)성분을 형성한다. 경화된 중실 포팅 성분은 케이블 외피성분 부분을 통하여 물이 케이블 밀폐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의 케이블 물 차단 장치는 케이블 밀폐부 내부로의 접근이 곤란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밀폐부로의 재인입은 새로운 케이블이 사용중인 밀폐부 내에서 다른 케이블에 접속되거나 연결될 경우 매우 자주 발생된다. 새로운 케이블을 밀폐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는 밀폐부내의 경화된 밀봉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야 한다. 밀폐부의 제1챔버는 새로운 케이블의 일부가 밀폐부 물 차단 능력을 재형성하도록 인입된 후에 재포팅된다. 경화된 밀봉 재료의 제거와 새로운 밀봉 재료의 설치는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필요한 것은 밀봉재로서 적어도 동일 레벨의 물 방지를 제공하는 밀폐부이지만 관리상 문제점이 있다.
상술의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광 파이버 케이블과 같은 이송매체의 단부를 계속 접속할 필요가 있다. 광 파이버에 적절한 보호부가 제공되는 접속을 촉진시키기 위해 새로운 밀폐부가 요구되고 있다. 추구되는 접속 밀폐부에는 기계적 접속 뿐 아니라 융합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가 포함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은 요구사항은 습기로부터 밀폐부의 연결 작업을 보고하기 위한 단순한 시스템이다. 추구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부품구가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재인입될 수 있고 노동비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기술의 밀폐부보다 덜 노동집약적이어야 한다.
상술의 요구 사항은 본 발명의 케이블 밀폐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밀폐부는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베이스와 커버같은 제1 및 제2부재를 포함한다. 예컨대 베이스와 같은 이러한 부재중의 적어도 하나는 케이블이 접속을 위해 하우징 내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강력 흡수성순응 발포 재료 덩어리는 커버나 베이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모두 배치된다.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물과 접촉될 때 팽창된다. 적절한 다공성 물 팽창 가능 재료는 교차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이다. 밀폐부로 연장되는 케이블간의 접속연결부는 물 팽창 가능 재료 덩어리의 한 면을 따라 배치된다. 커버는 베이스에 고정된다. 발포 재료의 크기는 커버가 베이스에 고정될 때 발포 재료 덩어리에 대해 커버가 압축력을 발휘하도록 결정된다. 이것은 발포 재료가 밀폐부내에서 재정렬되어 접속 연결부에 대해 성형되도록 하며, 그 결과 접속 연결부는 순응성 발포 재료 덩어리에 수용된다. 물이 케이블 구조물의 층 사이에 형성된 도관을 따라 베이스 또는 커버의 부분과 케이블에 존재하는 틈을 통하여 밀폐부로 침투될 경우, 강력 흡수성 발포재와 물과의 접촉은 발포재를 팽창시켜 밀폐부내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전송매체나 연결부가 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발포 재료의 일부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개구 주위에 배치되어 개구를 밀봉시킴으로써 부수적인 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물 차단 재료를 각각 포함하는 케이블과 케이블 밀폐부를 포함한다. 물 차단 재료는 케이블 코어에 대하여 길이 방향이나 나선형으로 정렬되고 물과의 접촉시 팽창되어 물이 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테이프 또는 실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도면부호 20으로 도시된 케이블 밀폐부의 사시도이다. 케이블 밀폐부(20)는 밀폐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전송매체간의 연결부 및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전송매체(24)를 포함하는 배전 케이블(22)은 밀폐부(20)내로 연장된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케이블(26)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케이들이 밀폐부(20)로 연장된다. 서비스 케이블(26)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밀폐부내에서 배전 케이블(22)에 접속되거나 연결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하우징(33)을 제공하도록 서로 조립되는 베이스(30)와 커버(32)를 포함하는 밀폐부(20)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30) 및 커버(32)는 여러 지리적 환경에의 노출에도 잘 견디는 예를 들면 ABS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베이스(30)는 두 측벽(34)과 두 단부벽(35)을 포함하며, 커버는 대향 측벽(36)과 대향 단부벽(37)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측벽 및 단부벽은 각각 돌출부(38,39)를 갖는다. 커버(32)의 크기는 커버의 측부 및 단부가 베이스의 돌출부(38,39)상에 지지되는 방법으로 베이스와 일치되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부벽(35)은 개구(41,43)를 갖는다. 각 배전 케이블(22)은 개구(41)를 통하여 전송 매체(24)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케이블에 접속되거나 연결된 하우징으로 연장된다. 각 서비스 케이블(26)은 개구(43)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또한 보조 개구는 보조 분배 및 서비스 케이블의 인입을 허용하는 양측벽이나 어느 한쪽 측벽 또는 동일한 단부벽이나 대향 단부벽에 제공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커버(32)는 베이스(30)의 개구(41,43)와 협력하는 개구(47,49)를 구비함으로써 베이스(30)와 커버가 서로 조립될 때 케이블의 인입을 허용한다. 각각의 케이블에는 확대 걸림부(grommet)(48)가 제공되며, 이는 케이블이 연장시 통과하는 하우징 내 개구의 벽과 협력하여 케이블을 고정하고 습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50으로 도시된, 케이블의 전송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밀폐부(20)내의 연결부나 접속부는 공지된 다양한 커넥터 및 입수 가능한 접속 시스템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금속 도체간의 접속 연결부가 필요한 경우, 1973년 11월 13일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72,635호의 접속 커넥터가 사용된다. 케이블이 광 파이버 케이블인 경우 1985년 10월 8일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45,644호에 기재된 회전 접속 커넥터, 1980년 겨울판 웨스턴 일렉트릭 엔지니어의 87페이지에 기재된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용 상호 접속”이라 명명된 티.벨. 윌리포드 2세 등에 의한 논문에 기재된 어레이 커넥터가 사용된다.
물 차단 능력들 갖는 밀폐부(20)를 제공하기 위해, 밀폐부는 순응성의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는 입수 가능하며 미합중국 특허 제4,725,628호에 기재된 강력 흡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와 같은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강력 흡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는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 요소(尿素:urea) 결합을 적어도 하나의 결합을 통하여 폴리우레탄에 공유 결합되는 다수의 폴리카르보닐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카르보닐 성분은 유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 5 내지 100 개의 카르보닐 함유 반복 유니트를 포함한다. 또한 카르보닐 부분은 카르바모일, 치환된 카르바모일, 카르복시 및 알칼리금속과 그 암모늄 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정된다. 폴리우레탄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functionality)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종결(terminated)폴리(옥시알키렌)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며 폴리카르보닐 성분은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염 또는 암모늄염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염으로부터 유도된다.
강력 흡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제조 공정은 미합중국 특허 제4,725,628호에 기술되어 있다. 강력 흡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제조 방법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종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콤파운드와 혼합하는 A 단계를 포함한다. 제1콤파운드의 양은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2 이하의 값으로 감소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B 단계에서는 A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이 거의 완전히 반응된다. C 단계에서는, B 단계로부터의 반응물이 폴리우레탄 발포재 형성의 조건 하에서 제1콤파운드와 그 자체에 의한 추가 폴리머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 함유 제2콤파운드의 수용액과 혼합된다. 제2콤파운드의 카르보닐 그룹은 카르바모일, 치환된 카르바모일, 카르복시 및 알칼리 금속과 그 암모늄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 활성 자유 라디칼 개시제가 B 단계로부터의 반응물이나 수용액에서 용해된다. 제1콤파운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폴리우레탄 발포재형성의 조건 하에서 제2콤파운드에 의해 추가 폴리머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콤파운드의 비율은 최종 폴리우레탄 발포재에 강력 흡수성 특성을 부여하도록 선정된다.
B 단계로부터의 반응물이나 개질된 프리폴리머는 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3콤파운드와 반응될 수 있으며, 상기 이중결합은 다른 제3콤파운드 분자와 동종(homo)중합될 수 있고 개질된 폴리머에 존재하는 제1콤파운드와 공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에서 실시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콤파운드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그룹은 히드록시메르캅토, 아미노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정된다. 다른 실시예서, 제1콤파운드는 카르바모일, 치환된 카르바모일, 카르복시 및 그 에스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정되는 카르보닐 그룹을 포함한다. 제1콤파운드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정된 것이며, 제2콤파운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포타슘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정된 것이며, 프리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 종결 폴리(옥시알키렌) 폴리올이다.
강력 흡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제조 공정은 본원에 그 내용이 참고로 포함된 미합중국 특허 제4,725,629호 및 제4,725,39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밀폐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는 등록 상표 SanFoam 강력 흡수성 발포재로 지칭되는 것이다. 이 제품은 훽스트 셀라니스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며 수용액에 대해 높은 흡수력을 갖는다.
상기 강력 흡수성 재료는 패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발포 재료의 패드(51)는 베이스(30)내에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다. 강력 흡수성 재료의 다른 패드(52)는 커버(32)내에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다. 강력 흡수성 재료는 여러 두께로 제조 가능하며 밀폐부의 베이스와 커버의 특정 치수에 맞는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것처럼, 커버는 베이스에 조립된다. 그리고 커버(32)는 베이스(30)에 고정된다. 이것은 밴드(60)(제3도 참조)와 같은 공지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밴드는 밀폐부의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래칭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4,849,580호의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래치 시스템이나 조립된 커버 및 하우징을 둘러싼다.
강력 흡수성 재료의 패드(51,52)의 두께는, 접속 연결부(50)가 두 패드(51,52)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32)가 베이스(30)에 고정될 때, 순응성 재료의 패드가 압축되도록 선정된다. 이로 인해 순응성 발포 재료가 연결부나 접속부주위에 성형되고, 따라서 연결부나 접속부가 발포 재료에 함침(embedded)되게 된다. 연결부나 접속부 주위에서의 발포 재료 성형은 연결부나 접속부의 붕괴없이 이루어진다.
밀폐부내의 개구를 통해서 또는 외피 시스템 층 사이에서 케이블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물이 밀폐부(20)로 침입할 때, 물은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와 접촉한다. 발포 재료와 물과의 접촉은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를 팽창시킨다. 커버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가 팽창되면, 발포재 부분이 하우징 내의 의도하지 않은 개구 내로 압출되어 개구를 시일링하게 된다. 그 결과, 연결부는 추가로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에 함침되어 물이 연결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습기가 발포 재료와 접촉하게 되면 보다 부드럽고 연질로 되며 연결부 및 접속부에 대해 추가로 성형된다. 물과 우선적으로 접촉하게될, 밀폐부 하우징의 둘레주위의 발포 재료는 팽창되어 내부의 청결한(virgin) 재료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밀폐부는 여러 중요한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밀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성분의 혼합 단계가 필요치 않다. 또한, 지상이나 공중에서 밀봉 재료를 붓는(pouring) 작업이 필요없다. 그리고 크기에 제한이 없으며, 밀폐부를 구성하는 이러한 구조 성분들 함께 고정하는데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밀폐부는 청결하고 자체 처치적이어서, 물이 침입하면 대응하여 물 차단 시스템이 작동되며 사용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알려져 있듯이, 추운 날씨에서는 저온 상태의 밀봉 재료가 수축될 수 있다. 그 결과, 물이 밀폐부내로 침입할 수 있는 통로가 생길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저온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오픈 셀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물이 밀폐부로 침입하면, 발포재는 밀폐의 내측 방향뿐만 아니라 외측 방향으로도 팽창차여 물의 추가 침입을 방지하는 플러그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부분 즉, 하우징을 형성하는 베이스(30)와 커버(32)에는 발포 재료의 패드가 미리 제공된다. 본 기술분아의 숙련자는 단지 연결이나 접속을 수행하고 연결부 및 접속부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기만 하면 된다. 물론, 강력 흡수성발포 재료의 패드는 본 분야에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공급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술의 장치는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할 수 있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다른 장치의 고안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케이블 밀폐부(20)에 있어서, 제1부재(30)와 상기 제1부재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제2부재(32)를 구비하는 하우징(33)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중 하나이상의 부재에는 하우징 내에서 함께 연결될 전송매체(24.25)를 갖는 케이블(22,26)이 연장시 통과하는 다수의 개구(41,43,47,49)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부재중 어느 한 부재내에 배치되는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로 형성된 패드(51,52)를 포함하며, 상기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로 형성된 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때 압축되어 그 내부의 연결부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물과 접촉되면 상기 밀폐부 내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전송매체 사이의 틈으로 팽창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베이스이고 상기 제2부재는 커버이며, 상기 베이스와 커버 각각에는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로 형성된 패드가 제공되고, 이들 패드중 하나의 패드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다른 패드는 커버에 배치되고, 이들 패드 사이에는 밀폐부내로 연장되는 전송매체간의 연결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폐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료는 교차 결합된 순응성 폴리우레탄 발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폐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 우레아 결합 중 어느 한 결합을 통해 폴리우레탄에 공유 결합되는 다수의 폴리카르보닐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폐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재료는 폴리카르보닐 성분의 카르보닐부분에 카르바모일, 치환된 카르바모일 또는 카르복시나 알칼리 금속 또는 그 암모늄염이 구비된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폐부.
  6. 물 차단 장비를 구비한 접속된 전송매체 장치(a spliced transmission media system)에 있어서, 제1전송매체(24)와, 상기 제1전송매체에 연결되는 제2전송매체(45) 및 상기 제1 및 제2전송매체가 그 내부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서 상기 제2전송매체가 제1전송매체에 연결되는 밀폐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전송매체가 통과 연장되는 다수의 개구(41,43)를 포함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조립 및 고정되는 커버(32)를 포함하는 하우징(33)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부는 또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로 형성되는 패드(51,52)를 구비하며, 상기 강력 발포 재료는 물과 접촉되면 전송 매체 사이의 틈과 그 연결부 내로 팽창 돌출되어 물이 상기 밀폐부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된 전송매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재료는 교차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된 전송매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는,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 우레아 결합 중 어느 한 결합을 통하여 폴리우레탄에 공유 결합되는 다수의 폴리카르보닐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된 전송매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재료는, 폴리카르보닐 성분의 카르보닐 부분에 카르바모일, 치환된 카르바모일, 또는 카르복시나 알칼리 금속 또는 그 암모늄염이 구비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된 전송매체 장치.
  10. 제1전송매체를 제2전송매체에 접속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하우징 부재 제공 단계와, 제2하우징 부재 제공 단계와, 제1전송매체를 하나의 하우징 부재 내로 연장시키는 단계와, 제1전송매체를 제3전송매체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매체 접속 방법에 있어서, 제1하우징 부재와 제2하우징 부재가 함께 고정되면 강력 흡수성 재료가 압축되도록 강력 흡수성 발포 재료를 제1 및 제2부재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전송매체간의 접속 연결부가 제1 및 제2하우징 부재에 있는 강력 흡수성 발포재료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부재를 함께 고정하여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매체 접속 방법.
KR1019900021274A 1989-12-22 1990-12-21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KR100232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55,106 US5016952A (en) 1989-12-22 1989-12-22 Cable closure including superabsorbent foam water block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US455,106 198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646A KR910013646A (ko) 1991-08-08
KR100232444B1 true KR100232444B1 (ko) 1999-12-01

Family

ID=2380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274A KR100232444B1 (ko) 1989-12-22 1990-12-21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16952A (ko)
EP (1) EP0434254B1 (ko)
JP (1) JPH04112612A (ko)
KR (1) KR100232444B1 (ko)
CA (1) CA2032097C (ko)
DE (1) DE69025876T2 (ko)
MX (1) MX166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935B2 (ja) * 1993-02-08 2000-1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掛止金具とその取り付け方法
US5447788A (en) * 1994-05-16 1995-09-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Porous, nonwoven liquid-activated barrier
FR2734651B1 (fr) * 1995-05-24 1997-06-20 Alcatel Cable Interface Boitier de raccordement de fibre optique
FR2745393B1 (fr) * 1996-02-27 1998-04-30 Crespel Daniel Dispositif de support d'epissures, notamment pour fibres ou modules optiques
US6382845B1 (en) * 1999-03-02 2002-05-07 Ameritech Corporation Fiber optic patch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278826B1 (en) 1999-09-15 2001-08-21 Lucent Technologies Inc. Cables with water-blocking and flame-retarding foam
US6454471B1 (en) 1999-12-01 2002-09-24 Amherst Holding Co. Optical fiber splice sleeve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DE10165020B4 (de) * 2001-06-20 2009-04-23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Optisches Übertragungselement
DE10129772B4 (de) * 2001-06-20 2007-10-11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Optisches Übertragungselement
US20090190890A1 (en) * 2002-12-19 2009-07-30 Freeland Riley S Fiber optic cable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177507B2 (en) * 2002-12-19 2007-02-13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tube assembly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336873B2 (en) * 2002-12-19 2008-02-26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tube assembly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231119B2 (en) * 2002-12-19 2007-06-12 Corning Cable Systems, Llc. Dry fiber optic assemblies and cables
US7415181B2 (en) * 2005-07-29 2008-08-19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7277615B2 (en) * 2002-12-19 2007-10-02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970629B2 (en) * 2002-12-19 2005-11-29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tube assembly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471862B2 (en) * 2002-12-19 2008-12-30 Corning Cable Systems, Llc Dry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US7254302B2 (en) * 2002-12-19 2007-08-07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tube assembly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40240806A1 (en) * 2003-05-30 2004-12-02 Lail Jason C. Fiber optic cable having a binder
US7254303B2 (en) 2004-03-23 2007-08-07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tube assembly having a dry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307219B1 (en) * 2006-06-07 2007-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housing for sealing
CA3083181C (en) 2011-05-20 2023-08-15 Ecolab Usa Inc. Controller enclosure, mounting and orientation of same
US8857049B2 (en) * 2012-09-13 2014-10-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vironmentally sealing terminal blocks
CN105024320B (zh) * 2014-06-18 2017-03-08 丁脉军 接线盒内腔填充模块
DE102019202637A1 (de) * 2019-02-27 2020-08-27 Bühler Motor GmbH Dichtungssystem und elektrischer Antrieb mit einem Dichtungssystem
MX2021014036A (es) * 2019-05-18 2021-12-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cinto de telecomunicacion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773A (en) * 1969-01-23 1970-12-08 Smith Schreyer & Assoc Inc End seal for splice case
US4558174A (en) * 1984-04-06 1985-12-10 At&T Bell Laboratories Cable closure
US4538021A (en) * 1984-04-06 1985-08-27 At&T Bell Laboratories, Inc. Cable closure having asymmetrical end plate assembly
JP2521273B2 (ja) * 1985-01-04 1996-08-07 レイケム・コ−ポレイション スプライスケ−ス
JPS61266010A (ja) * 1985-05-20 1986-11-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ケ−ブル接続部の密閉構造
US4740528A (en) * 1986-07-18 1988-04-26 Kimberly-Clark Corporation Superwicking crosslinked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containing amino acid
US4731391A (en) * 1986-07-18 1988-03-15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a superabsorbent polyurethane foam
US4725628A (en) * 1986-07-18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a crosslinked superabsorbent polyurethane foam
US4725629A (en) * 1986-07-18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an interpenetrating superabsorbent polyurethane foam
CA1299412C (en) * 1986-09-19 1992-04-28 Nobuhiro Akasaka Optical fiber cable preventing water from spreading toward cable interior
US4799757A (en) * 1987-04-21 1989-01-24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Encapsulated fiber optic closure
US4818310A (en) * 1987-05-05 1989-04-04 Bell South Corporation Pressurized cable splice closure apparatus and method
US4849580A (en) * 1988-02-11 1989-07-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vironmental protection closure for wire splice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66910B (es) 1993-02-12
JPH04112612A (ja) 1992-04-14
US5016952A (en) 1991-05-21
DE69025876D1 (de) 1996-04-18
DE69025876T2 (de) 1996-07-25
CA2032097C (en) 1994-10-04
KR910013646A (ko) 1991-08-08
CA2032097A1 (en) 1991-06-23
EP0434254A2 (en) 1991-06-26
EP0434254A3 (en) 1992-02-05
EP0434254B1 (en)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444B1 (ko) 강력흡수성 발포재료 물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밀폐부 및 그 사용방법
KR100201512B1 (ko) 방수 광섬유 케이블부
US10509191B2 (en) Optical termination enclosure
US4802732A (en) Optical fiber cable preventing water from spreading toward cable interior
US5173573A (en) Hermaphroditic gel closure
CA2166920C (en) Enclosure for cable splice assembly
AU645192B2 (en) Fibre optic cable having spliceless fibre branch
US7016585B2 (en) Compressible layer for fiber optic cable
US4670069A (en) Protection of cable splice
JP4237612B2 (ja) 光伝送素子
US20200088964A1 (en) Mechanical cable entry port
EP2452404B1 (en) Sealing member
US20050221650A1 (en) Cable connecting structure
RU24014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RU2229190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узел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и способ уплотнения
CA2068509C (en) Steam-resistant cable such as steam-resistant optical fiber cable
US4554401A (en) Buried cable splice closure
JP3490610B2 (ja) ケーブル導入モジュール
US4818310A (en) Pressurized cable splice closure apparatus and method
US4686327A (en) Protection of cable splice
JPH11326717A (ja) 光ファイバ―ケ―ブル用ウォ―タ―ブロッキング構成要素
US11953745B2 (en) Fiber optic cable transition tube
US8754331B2 (en) Strain relief device
US5796901A (en) Indoor/outdoor transition cable
EP0062992B1 (en) Telephone cable spl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