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01B1 -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01B1
KR100232301B1 KR1019960041405A KR19960041405A KR100232301B1 KR 100232301 B1 KR100232301 B1 KR 100232301B1 KR 1019960041405 A KR1019960041405 A KR 1019960041405A KR 19960041405 A KR19960041405 A KR 19960041405A KR 100232301 B1 KR100232301 B1 KR 10023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lf
hinge
detachable structur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299A (ko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4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3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통신 장비의 셀프 도어 착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셀프(10)의 전면 바닥에 형성되며 양단에 요부(11)가 구비되고 그 선단에는 단턱(12)이, 후방 상면에는 안착부(13)를 형성하여서 된 압출빔(20)과, 상기 압출빔(20)의 안착부(13)에 체결되도록 일측의 고정부(21)와 그 전방에 고정홈(22)을 갖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진 힌지편(30)과, 상기 힌지편(30)이 고정홈(23)에 결합되도록 양측 하단 힌지부(31) 상에 힌지편(30)을 돌출 형성하여서 된 셀프 도어(40)로 구성되어 셀프(10) 전면에 셀프 도어(40)를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셀프(10) 내부의 점검이나 유지 보수시 또는 시험 등의 필요에 의해 도어를 개폐 또는 착탈함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셀프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셀프의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작동 상태 설명도로서,
제3(a)도는 셀프도어의 착탈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b)도는 셀프도어의 개폐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셀프 11 : 요부
12 : 단턱 13 : 안착부
20 : 압출빔 21 : 고정부
22 : 고정홈 23 : 지지부
30 : 힌지편 31 : 힌지부
32 : 힌지핀 40 : 셀프도어
본 발명은 전자 통신 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프의 전면 바닥면에 압출빔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 힌지를 체결 조립하여 상기 힌지상에서 결합되어 착탈되도록 셀프도어 양측에 힌지핀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통신 장비는 바닥면에 랙이 입설되어 있으며, 이 랙상에는 대략이 함체형으로 되는 다수의 셀프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는 후방의 마더보드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인쇄 회로기판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 일례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형의 셀프(1) 내부에는 다수의 인쇄 회로기판(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 회로기판(2)의 전면으로는 내부에서 인출된 광 케이블(3)이 노출되어 지며, 전면에는 통상 도어가 장착되지 않거나 장착된 경우에도 셀프(1)상에 도어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개폐가 곤란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셀프(1) 전면에 도어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는 노출된 광 케이블(3)의 보호가 곤란하고, 도어가 장착되어도 고정식으로 설치된 경우는 사용자가 장비를 시험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해 기기내부를 검사하는 등의 작업을 행함이 곤란하여 부득히 도어부를 해체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셀프 전면에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개폐 또한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출된 광 케이블의 보호는 물론 기기의 유지 보수나 시험 등의 점검을 함에 있어 그 작업성이 양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통신 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셀프의 전면 바닥에 형성되는 압출빔과, 이의 양단에 조립 설치되는 힌지편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편과 대응 결합되도록 도어의 하단 양측에도 힌지판을 형성하여 이로써 상호 결합에 의해 착탈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로서, 함체형의 셀프(10) 전면 바닥에는 압출에 의해 성형되는 압출빔(20)이 형성되는데, 이 압출빔(20)은 양단에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요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1)의 선단에는 단턱(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12)이 상면에 안착부(13)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압출빔(20)의 양단에 형성된 요부(11)이 안착부(13)에는 힌지편(30)이 안착되어 체결구(34)로써 상기 압출빔(20) 자체에 체결 고정되는데, 이 힌지편(30)은 일측의 고정부(21)와 그 전방에 고정홈(22)을 갖는 지지부(2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셀프(10) 전면에 착탈되는 셀프도어(40)는 양측 하단의 힌지부(31)에 힌지핀(32)이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며 그 상측단에는 래치(33)가 구비되어 셀프 도어(40)의 잠금시 상기 셀프(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구와 결합되어 잠금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그 조립에 있어,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10) 전면의 압출빔(20)에 힌지편(30)을 설치하되, 그 압출빔(20)의 요부(11)에 구비된 안착부(13)에 상기 힌지편(30)의 고정부(21)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측에서 체결구(34)로 일체되게 체결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셀프(10)의 압출빔(20)에 힌지편(30)이 고정되면 셀프 도어(40)를 상기 힌지편(30)이 지지부(23)에 결합되게 설치함으로써 조립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셀프 도어(40)의 하단 양측 힌지부(31)에 돌출 형성된 힌지핀(32)이 상기 힌지편(30)의 지지부(23) 고정홈(22)에 걸려지게 하여 결합되게 함으로써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셀프 도어(40)의 상측단에 구비된 래치(33)는 도시되지 않은 셀프(10)의 내측면 고정구와 결합되도록 하여 잠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셀프(10) 전면에 셀프 도어(40)가 설치되면 필요에 의해, 즉 기기 내부의 점검이나 시험 또는 유지 보수시에 상기 셀프 도어(40)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셀프 도어(40) 상측단의 래치(33)를 해제하여 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킨 후 전면 또는 상단 일곳에 구비된 손잡이 등의 개폐구를 잡고 상기 힌지편(30)의 고정홈(22)과 그 내부의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측으로 내리면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개방과는 별도로 완전히 상기 셀프 도어(40)를 떼어낼 필요가 있을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셀프 도어(40)의 양측단에 구비된 힌지핀(32)부가 힌지편(30)의 지지부(23) 상면의 고정홈(22)으로부터 이탈되게 들어내면 완전분리가 가능해지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되게 하거나 또는 설치되게 하여 셀프(10) 본체로부터 착탈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셀프(10) 전면에 셀프 도어(40)를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셀프(10) 내부의 점검이나 유지 보수시 또는 시험 등의 필요에 의해 도어를 개폐 또는 착탈하기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특징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셀프(10)의 전면 바닥에 형성되며 양단에 요부(11)가 구비되고 그 선단에는 단턱(12)이, 후방 상면에는 안착부(13)를 형성하여서 된 압출빔(20)과, 상기 압출빔(20)의 안착부(13)에 체결되도록 일측의 고정부(21)와 그 전방에 고정홈(22)을 갖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진 힌지편(30)과, 상기 힌지편(30)이 고정홈(23)에 결합되도록 양측 하단 힌지부(31) 상에 힌지편(30)을 돌출 형성하여서 된 셀프 도어(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통신 장비의 셀프 도어 착탈 구조.
KR1019960041405A 1996-09-21 1996-09-21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KR10023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405A KR100232301B1 (ko) 1996-09-21 1996-09-21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405A KR100232301B1 (ko) 1996-09-21 1996-09-21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99A KR19980022299A (ko) 1998-07-06
KR100232301B1 true KR100232301B1 (ko) 1999-12-01

Family

ID=1947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405A KR100232301B1 (ko) 1996-09-21 1996-09-21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439B1 (ko) 2006-02-13 2007-01-03 주식회사 쏠리테크 회전식과 부착식 겸용 통신장비 셀프
KR20220048903A (ko) 2020-10-13 2022-04-20 조의성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439B1 (ko) 2006-02-13 2007-01-03 주식회사 쏠리테크 회전식과 부착식 겸용 통신장비 셀프
KR20220048903A (ko) 2020-10-13 2022-04-20 조의성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299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9247B1 (en) Enclosure
US6288332B1 (en) Component support frame
US6070293A (en) Latching hinged cover
KR100232301B1 (ko)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US6314691B1 (en) Inspection opening frame
KR100388670B1 (ko) 컴퓨터 본체용 케이싱
JP3663530B2 (ja) 火災受信機
KR0120752Y1 (ko) 힌지를 사용한 pcb 랙 고정기구
JP3591276B2 (ja) 分電盤
KR0131705Y1 (ko)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KR200143467Y1 (ko) 교환기의 사후 보수를 위한 주 분배반 개폐구조
JP2001149613A (ja) 遊技機
KR200336296Y1 (ko) 가로형 양방향 옥외 분전반
KR200165712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200147195Y1 (ko) 트럭용 적재함 도어의 체결 구조
JP4124335B2 (ja) ラック
KR970002224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박스(battery box)
KR0133175Y1 (ko) 전자 통신장비의 도어 설치구조
KR19990026343U (ko) 통신시스템용 렉의 테스트기 받침장치
KR940004122Y1 (ko) 수리가 용이한 오디오(audio)용 인쇄회로기판 취부장치
KR0130296Y1 (ko) 모니터용 파워피시비의 장착구조
JP3764099B2 (ja) 部品取付基台の補強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KR200151774Y1 (ko) 대형문틀의 상부피보트용 고정구
KR200187923Y1 (ko) 가구용 도어
KR900002183Y1 (ko) Pcb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