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705Y1 -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705Y1
KR0131705Y1 KR2019950056582U KR19950056582U KR0131705Y1 KR 0131705 Y1 KR0131705 Y1 KR 0131705Y1 KR 2019950056582 U KR2019950056582 U KR 2019950056582U KR 19950056582 U KR19950056582 U KR 19950056582U KR 0131705 Y1 KR0131705 Y1 KR 013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protruding
insertion groo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6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346U (ko
Inventor
홍기철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50056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705Y1/ko
Publication of KR970048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6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lightning or EMI protection, e.g. shielding or grou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1Constructional details using pivot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2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니트(20)를 셀프(10)로 부터 착탈시키는 장탈착장치(23)의 구조를 개선하여 셀프(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장해파의 방출을 차단하고, 유니트(20)의 착탈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셀프 유니트용 장탈착장치(23)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조는 상기 전면판(30)의 상하부에 장탈착장치(23)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을 설치하되, 상기 삽입홈(32)의 내측부의 폭이 줄어들어 걸림삽입부(322)가 형성된 삽입홈(32)이 구비되고, 상기 장탈착장치(23)는 양측면에 전면판(3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홈(32)의 걸림삽입부(322)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2)과, 배면에는 전면프레임(lla, llb)쪽에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봉(44)과, 타측는 후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횡으로 나사구멍(542)이 형성된 고정돌출부(46)와, 전면 양쪽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에 횡으로 핀구멍(482)이 통공된 지지판(48)으로 구성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 지지판(48)의 핀구멍(482)에 끼워지는 힌지핀(484)과, 일측은 상기 힌지핀(484)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전면프레임(lla, llb)쪽 단부 양측에 전후로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52a, 52b)를 구비하고 그 타측은 길게 돌출형성된 손잡이(50)와, 상기 장탈착장치(23)가 설치된 방향의 전면프레임(lla, llb)의 일측면에 횡으로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회전작동시 손잡이(50)의 지지돌기(52a, 52b)를 지지하는 지지턱(114)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탈착장치가 설치된 셀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탈착장치가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동작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가 장착된 셀프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유니트의 분리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8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유니트를 셀프에 장착시키는 작동상태도.
제8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유니트를 셀프에서 분리시키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전면판 32 : 삽입홈
321 : 걸림턱 322 : 걸림삽입부
40 : 고정구 401 : 걸림단차부
42 : 고정홈 44 : 위치결정봉
46 : 고정돌출부 462 : 나사구멍
48 : 지지판 482 : 핀구멍
484 : 힌지핀 486 : 스토퍼
49 : 나사공 49a : 고정나사
49b : 탭 492 : 유도가이드벽
114 : 지지턱 50 : 손잡이
503 : 내측전면 52a,52b : 지지돌기
54 : 양측면 542 : 나사구멍
60 : 스프링 62 : 삽입고정편
본 고안의 셀프 유니트용 장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니트를 셀프로 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키는 장탈착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셀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차단하고, 유니트의 착탈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셀프 유니트용 장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는 전자부품들이 배치된 다수의 유니트가 모여서 하나의 셀프를 구성하고 또 여러개의 셀프가 모여서 하나의 통신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이들 통신기기가 구동될 때는 회로동작 및 인체에 유해한 장해를 유발하는 전자장해파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방사하게 된다.
이러한 EMI를 차단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출시키게 되면 주위의 다른 통신장비에 잡음으로 작용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 EMI의 방사량은 규칙에 의해 엄격히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 들어 통신기기 시스템에 대한 EMI의 규제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특히 EMI검증을 인정받지 못한 장비는 생산 및 판매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종래의 셀프는 강화된 EMI의 규제 한도를 만족시키기 매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EMI를 차단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의 기본이 되는 셀프는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10)의 골격을 이루는 전후부 상하에 횡으로 설치된 4개의 프레임(lla,llb, llc, lld)과, 좌우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4개의 프레임(lla, llb, llc, lld)을 고정하는 셀프측판(12)과, 후측에 설치된 백플레인(13)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셀프(10)의 내부에는 전자회로가 배치된 다수의 유니트(2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배열되며, 이 유니트(20)는 크게 회로기판(21), 유니트 전면판(30), 백플레인(13)에 설치된 백플레인 콘넥터(14)에 대응결합되는 유니트 콘넥터(22)등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니트(20)가 셀프(10)에 배열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하 전후로 설치된 프레임(lla, llb, llc, lld)에 상하 마주보는 구조로 횡으로 홈(111)을 형성하고, 이에 회로기판(21)을 안내 고정시키는 가이드 레일(35)이 전후방향으로 조립되어 횡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35)의 마주보는 면에 유니트(20)의 회로기판(21)이 안내되는 기판안내홈(351)이 전후로 형성되어 이에 회로기판(21)이 일정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21)은 후측에 콘넥터(22)가 형성되어 상하 가이드 레일(35)에 안내되어 셀프(10)의 내부에 삽입된 후, 백플레인(13)에 설치된 백플레인 콘넥터(14)에 대응접속된다. 이때, 유니트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에 억지끼움식으로 접속되므로 접속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며,이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도에서와 같이 유니트(20)의 전면판(30) 상하부에 설치된 장탈착장치(23)가 사용된다.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탈착장치(23)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종래이 장탈착장치(23)는 크게 회로기판(21)의 상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래킷(24)과, 상기 고정브래킷(24)과 힌지(244)결합되어 전방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바(25)로 구성되는데,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바(25)의 양측에 금속플레이트(26)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26)의 힌지(244)부쪽 단부가 폭이 좁게 연장되어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lla, llb)의 지지홈(113)에 삽입되는 지지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244)부 반대측 단부에는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는 손잡이(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7)가 위치한 회전바(25)의 단부 내측에는 록킹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28)는 세로형 판구조로 V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는 회전바(25)의 단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장치(28)의 일측은 손잡이(27)의 배면 중앙부가 절결되어 이를 통해 세로로 돌출된 누름구(281)가 형성되고, 타단은 고정브래킷(2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단부에 걸림돌기(286)가 형성된 고정편(28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바(25)의 내부에 록킹장치(28)절곡된 부위에는 절곡된 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 지지편(2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편(283)의 배면과 회전바(25)의 사이에 스프링(285)이 절곡탄설되어 그 탄성력에 의해 누름구(281)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24)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24)은 상단부 전면이 돌출되고, 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24)은 하단부의 전면이 각각 돌출되어 이에 상기 회전바(25)가 힌지(244)결합되며, 상기 회로기판(21)과 결합되는 고정브래킷(24)의 배면 일측으로 편재되게 돌출편(24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출편(242)은 고정브래킷(24)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편(242)이 일측으로 편재됨에 따라 고정브래킷(24)과 돌출편(242)사이에는 단턱(2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24)은 회전바(25)의 단부에 설치된 록킹장치(28)의 고정편 걸림돌기(286)가 걸리는 돌출턱(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종래의 장탈착장치(23)를 작동시켜 유니트(20)를 셀프(10)에 장착시킬 때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유니트(20)를 전방으로 밀어 가이드레일(35)의 기판안내홈(351)을 타고 셀프(10)의 내부로 삽입시켜 후측의 유니트 콘넥터(22)를 백플레인 콘넥터(14)로 접촉시킨 다음, 상기 손잡이(27)를 잡고 회전바(25)를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되는 회전바(25)는 양측의 금속플레이트(26)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261)가 상기 프레임(lla,llb)의 지지홈(113)에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된다. 따라서 지렛대 원리로 유니트(20)는 후측으로 더욱더 이동하여 유니트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에 완전히 접속완료되어 전기적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다. 이때 상기 록킹장치(28)의 걸림돌기(286)가 회로기판(21)에 고정된 고정브래킷(24)의 돌출턱(231)에 걸림되어 회전바(25)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니트(20)를 셀프(10)로 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손잡이(27)를 잡고 누름구(281)를 눌러 고정편(282)의 걸림돌기(286)를 고정브래킷(24)의 돌출턱(231)으로 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바(25)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바(25)의 금속플레이트(26)단부에 형성된 지지부(261)가 전면프레임(lla,llb)의 지지홈(113)을 지지하여 지렛대원리로 유니트(20)를 전방으로 분리시키므로 유니트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로 부터 분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 및 작동되는 장탈착장치(23)를 유니트(20)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회로기판(21)에 고정된 장탈착장치(23)의 회전바(25)가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유니트(20)의 전면판(30)의 상하부를 장탈착장치(23)의 고정브래킷(24)의 길이 만큼 절결홈(32)을 형성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그 절결홈(32)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21)은 전방에서 절결홈(3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이를 통해 많은 양의 전자파가 방출되게 되어 주변의 통신기기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기 장탈착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유니트에 장탈착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유니트 전면판에 장탈착장치 삽입홈을 형성할 때 그 절결범위가 최대한 작은 크기가 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니트의 착탈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측면에 셀프의 백플레인 콘넥터에 접속되는 유니트 콘넥터를 구비하여 상하 전후면 프레임에 연결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배설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판으로 구성된 유니트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를 셀프로 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키는 장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상하부에 장탈착장치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설치하되, 상기 삽입홈의 내측부의 폭이 줄어들어 걸림삽입부가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탈착장치는 양측면에 전면판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의 걸림삽입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과, 배면에는 전면프레임 쪽에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봉과, 타측은 후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횡으로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돌출부와, 상기 전면 양쪽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에 횡으로 핀구멍이 통공된 지지판으로 구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 지지판의 핀구멍에 기워지는 힌지핀과, 일측은 상기 힌지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전면프레임쪽 단부 양측에 전후로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그 타측은 길게 돌출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그 선단하면에 횡으로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장탈착장치의 지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 지지판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면판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의 전면이 손잡이의 지지돌기가 걸림되는 걸림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 위치결정봉의 사이에는 전후로 통공된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과 가까운 위치의 지지판 쪽에 나사가이드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전면프레임에는 탭이 형성됨과 동시에 탭의 양측으로 상기 위치결정봉이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일측이 힌지부 반대쪽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부위의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고정구에 힌지결합된 부위가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이 회로기판쪽으로 돌출되어 고정구의 지지판의 외측에 접면됨과 동시에 횡으로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가 중공을 이룬 손잡이의 배면 단부가 힌지결합부 쪽으로 연장 돌출된 걸림편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탈착장치에는 일측단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고정구의 양측 고정홈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편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홈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다시 힌지핀을 감으면서 역으로 탄성활곡되어 손잡이의 내측전면에 탄지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가 장착된 셀프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유니트 및 장탈착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8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유니트를 셀프에 장착시키는 작동상태도이며, 제8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탈착장치를 이용하여 유니트를 셀프에서 분리시키는 작동상태도이다.
제5도,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번호 30은 전면판으로서, 상하부에는 고정구(40)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은 내측으로 폭이 좁아져 걸림삽입부(322)가 형성된다.
이때 중요하게는 전면판(30)의 상하부가 아래 설명될 회로기판(21)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그 상하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32)은 정면에서 볼때 회로기판(21)이 노출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 번호 lla, llb는 전면프레임으로서, 상기 전면프레임(lla, llb)의 전면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방향으로 지지턱(112)이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번호 21은 회로기판이고, 도면 번호 23은 유니트(20)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회로기판(21)의 상하부를 고정하면서 동시에 전면판(30)이 고정되게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유니트(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장탈착장치(23)로서, 크게 고정구(40)와 손잡이(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40)는 상기 전면판(30)의 삽입홈(32)에 삽입되면서 전면판(30)쪽의 양측면에 삽입홈(32)의 걸림삽입부(322)가 억지끼움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고, 고정구(40) 배면의 전면프레임(lla,llb)쪽에는 양측으로 위치결정봉(44)이 후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배면 타측에는 고정돌출부(46)가 형성되어 그 단부에 횡방향으로 나사구멍(46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40)의 전면에는 단부에 횡으로 핀구멍(482)이 통공된 지지판(48)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핀구멍(482)에는 힌지핀(484)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40)의 위치결정봉(44)의 사이에 전후로 통공된 나사공(49)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8)의 사이에 고정나사(49a)를 안해하는 유도가이드벽(49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49)과 대응되는 전면프레임(lla, llb)의 전면에는 고정나사(49a)에 의해 고정되는 탭(49b)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탭(49b)의 양측에는 위치결정봉(44)이 삽입되는 위치결정공(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48)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면판(30)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스토퍼(48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40)의 전면이 손잡이(50)의 지지돌기(52a, 52b)가 걸림되는 걸림단차부(4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50)는 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힌지부 반대쪽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부위의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고정구(40)와 결합된 부위가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54)이 회로기판(21)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횡으로 상기 힌지핀(484)이 삽입되는 나사구멍(542)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54) 선단부에 프레임(lla, llb)쪽 전후로 돌출된 지지돌기(52a, 52b)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가 중공을 이룬 손잡이(50)의 배면이 힌지결합부 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핀(5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탈착장치(23)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60)은 일측단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고정구(40)의 양측 고정홈(42)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편(62)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홈(32)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고 다시 힌지핀(484)에 역으로 탄성활곡되어 손잡이(50)의 내측전면(503)에 탄지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50)가 항상 전방으로 회전돌출된 상태로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삽입고정편(62)은 조립시 고정구(40)의 양측 고정홈(42)에 상기 삽입홈(32)의 걸림삽입부(322)가 결합될 때, 그 사이에 쐐기와 같은 역활로 개재됨과 동시에 그 끝단이 삽입된 걸림고정편(62)이 걸림삽입부(322)의 전면을 탄지하므로 견고하게 고정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장탈착장치(23)로 상기 유니트(20)를 셀프(10)에 착탈시키는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8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탈착장치(23)의 손잡이(50)를 그대로 두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60)의 끝단이 손잡이(50)의 내측전면(503)을 탄지하고 있으므로 그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50)가 힌지부(25)를 축으로 회전하여 후단부가 전방으로 회전돌출되는데, 손잡이(5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56)이 상기 고정구(40)의 스토퍼(486)와 걸림단차부(401)에 걸림됨과 동시에 선단부의 전방에 위치한 지지돌기 (52a, 52b)가 고정구(40)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삽입부(322)에 걸리게 되어 상기 손잡이(50)의 후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일측단에 셀프(10)와 가까운 위치의 지지돌기(52a, 52b)가 프레임(lla, llb)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니트(20)를 가이드 레일(35)의 기판안내홈(351)에 맞추어 밀어넣게 되면 후측에 있는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에 밀착되게 되며, 프레임(lla, llb)의 선단부의 걸림턱(112)이 손잡이(50)의 지지돌기(52a, 52b)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면 제8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전된 손잡이(24)를 전면판(30)쪽으로 밀게 되면 앞부분에 위치한 지지돌기(52a)의 선단이 프레임(lla, llb)의 걸림턱(112)에 접촉되어 상기 걸림턱(1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한 반작용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면서 위치결정봉(44)이 전면프레임(lla, llb)의 위치결정홈(44b)에 삽입되며, 회로기판(21)의 후측에 설치된 유니트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에 완전히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40)의 위치결정봉(44)사이에 형성된 나사공(49)에 고정나사(49b)를 체결하여 유니트(20)를 셀프(10)에 고정시킴으로써 유니트(20)의 설치가 완료되고 하나의 셀프(10)가 완성된다.
또한, 분리시에는 도면 제8b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니트(20)전면판(30)의 나사를 풀은 다음, 손잡이(24)를 후측으로 회전시켜 전방에 위치한 지지돌기(52a, 52b)(24a, 24b)를 프레임(lla, llb)의 걸림턱(112)으로 부터 이탈시키면서 후측에 위치한 지지돌기(52b)가 걸림턱(112)의 후측면을 가압하여 이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원리로 상기 걸림턱(112)을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24)는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결합된 회로기판(21)의 콘넥터(22)가 백플레인 콘넥터(14)로 부터 빠지게 되어 유니트(20)가 셀프(10)로 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작동되는 장탈착장치(23)는 설치할 때 전면판(30)의 삽입홈(32)이 회로기판(21)의 정면에 노출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됨에 따라 삽입홈(32)을 통해 방출되는 전자장해파의 방출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홈(32)에 삽입된 고정구(40)가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42)에 억지끼움되므로 장탈착장치를 전면판(30)에 설치할 때 틈이 발생되지 않게 결합되므로 더더욱 전자장해파의 방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후측면에 셀프(10)의 백플레인 콘넥터(14)에 접속되는 유니트 콘넥터(22)를 구비하여 상하 전후면 프레임에 연결설치된 가이드 레일(35)에 배설된 회로기판(21)과, 상기 회로기판(21)의 전면의 전면판(30)으로 구성된 유니트(20)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20)를 셀프(10)로 부터 용이하게 착탈시키는 장탈착장치(23)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30)의 상하부에 장탈착장치(23)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을 설치하되, 상기 삽입홈(32)의 내측부의 폭이 줄어들어 걸림삽입부(322)가 형성된 삽입홈(32)이 구비되고, 상기 장탈착장치(23)는 양측면에 전면판(3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홈(32)의 삽입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2)과, 배면에는 전면프레임(lla, llb)쪽에 후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봉(44)과, 타측는 후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횡으로 나사구멍(542)이 형성된 고정돌출부(46)와, 전면 양쪽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에 횡으로 핀구멍(482)이 통공된 지지판(48)으로 구성된 고정구(40)와, 상기 고정구(40) 지지판(48)의 핀구멍(482)에 끼워지는 힌지핀(484)과, 일측은 상기 힌지핀(484)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전면프레임쪽 단부 양측에 전후로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52a, 52b)를 구비하고 그 타측은 길게 돌출형성된 손잡이(50)와, 상기 전면프레임은 전면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하로 마주보는 면의 선단에 횡으로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손잡이(50)의 지지돌기(52a, 52b)를 지지하는 지지턱(114)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 지지판(48)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면판(30)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스토퍼(48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40)의 전면이 손잡이(50)의 지지돌기(52a, 52b)가 걸림되는 걸림삽입부(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 위치결정봉(44)의 사이에는 전후로 통공된 나사공(49)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 돌출형성된 지지판(48)의 나사(49)쪽에 유도가이드벽(492)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전면프레임(lla, llb)에는 탭(49b)이 형성됨과 동시에 탭(49b)의 양측으로 상기 위치결정봉(44)이 삽입되는 위치결정홈(4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0)는 일측이 힌지부 반대쪽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부위의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고정구(40)에 힌지결합된 부위가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54)이 회로기판(21)쪽으로 돌출되어 고정구(40)의 지지판(48)의 외측에 접면됨과 동시에 횡으로 상기 힌지핀(484)이 삽입되는 나사구멍(54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가 중공을 이룬 손잡이(50)의 배면 단부가 힌지핀(484)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핀(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탈착장치(23)에는 일측단부가 양측으로 갈라져 고정구(40)의 양측 삽입홈(32)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편(62)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홈(32)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다시 힌지핀(484)에 역으로 탄성활곡되어 손잡이(50)의 내측전면(503)에 탄지되는 스프링(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KR2019950056582U 1995-12-31 1995-12-31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KR013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582U KR0131705Y1 (ko) 1995-12-31 1995-12-31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6582U KR0131705Y1 (ko) 1995-12-31 1995-12-31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346U KR970048346U (ko) 1997-07-31
KR0131705Y1 true KR0131705Y1 (ko) 1998-12-01

Family

ID=1944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6582U KR0131705Y1 (ko) 1995-12-31 1995-12-31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366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통신장비용 셀프의 이젝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366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통신장비용 셀프의 이젝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34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979B2 (en) Latch with bail-type mounting
JP3094150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取付構造
US66182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elding electronic components
US4716495A (en) Printer circuit board chassis with power interlock
US5831822A (en) Personal computer having quick-release cooling fan
KR0131705Y1 (ko) 통신기기 유니트용 장탈착장치
US5400214A (en) Brackets and levers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motherboards in computer systems
JP2001007573A (ja) ダミー表面板
KR20030041207A (ko) 컴퓨터
KR0140474Y1 (ko) 셀프의 유니트 착탈장치용 범용 고정브래킷
KR20040059095A (ko) 냉장고 도어의 핸들 장착구조
KR100222411B1 (ko) 통신장비용 셀프의 스티프너구조
JP2002285962A (ja) 圧縮機の電装部品
US20030151889A1 (en) Bracket for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of system components in a computer system
KR200179749Y1 (ko)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및 가이드구조
KR200177820Y1 (ko) 셀프의 설치구조
KR920002006Y1 (ko) 전자제품의 전면판넬 분리레버장치
KR200157484Y1 (ko) 셀프의 emi차단 프레임
KR100237442B1 (ko) 케이블덕트겸용 서브랙 고정장치
KR0130881Y1 (ko) 노트북 컴퓨터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착탈장치
KR0128432Y1 (ko) 통신기기용 전면도어 착탈장치
KR19990060777A (ko) 컴퓨터의 입출력포트쉴드플레이트 및 그 장착구조
JPS6316174Y2 (ko)
KR100435110B1 (ko) 컴퓨터
KR200172456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파워회로부 전자계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