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346B1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346B1
KR100231346B1 KR1019970047342A KR19970047342A KR100231346B1 KR 100231346 B1 KR100231346 B1 KR 100231346B1 KR 1019970047342 A KR1019970047342 A KR 1019970047342A KR 19970047342 A KR19970047342 A KR 19970047342A KR 100231346 B1 KR100231346 B1 KR 10023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ulley
pin
piec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642A (ko
Inventor
박홍신
Original Assignee
박홍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신 filed Critical 박홍신
Priority to KR101997004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3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트용 조속기(Governor)의 록키 자동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가 전기적 고장 또는 기기 고장등으로 인하여 규정된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급하강할 때 풀리의 회전을 비상 정지토록 풀리의 축에 연동 설치된 래칫을 발톱으로 록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록크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풀리와 래칫을 축에 유설시키고, 풀리의 내부측에 핀으로 발톱과 작동추를 유설케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발톱의 외부측부와 래칫사이에 스프링을 탄설시키며 발톱의 힌지부의 상,하 일측에 돌출된 해제핀 및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이 형성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편 일측에는 작동추의 움직임에따라 이동하는 자동편을 일체로 하여 작동편의 끝단부에 고착시킨 볼트핀을 상기 작동추의 일측부에 맞닿게 하며, 상기 해제핀의 끝단부에는 작동추에 핀으로 고정시킨 해제수단의 걸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트용 조속기(Governor)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가 전기적 고장 또는 기기 고장등으로 인하여 규정된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급하강할 때 풀리의 회전을 비상 정지토록 풀리의 축에 연동설치된 래칫을 발톱으로 록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록크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1l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C)의 모터축(1)에 연결된 주풀리(2)에 로우프를(3)를 걸고, 상기 로우프(3) 양측 하방에 카(4)와 무게추(5)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카(4) 일측에 조속기(6)의 풀리(7)에 걸어진 일측의 로우프(8)를 고정시키고, 카(4) 하단에 고정설치된 브레이크(9)를 안내레일(4A)을 따라 승강자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10은 종동풀리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카(4)는 주풀리(2)의 회전에 의해 승강작동을 하게 되는데, 엘리베이터가 기기 고장 또는 전기적 고장에 의하여 규정된 정격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카(4)가 급하강하게 되어 카(4)의 파손은 물론 카(4)에 탑승한 승객이 매우 위험한 경우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속기(6)는 프레임(11)에 설치한 축(12)에 풀리(7)와 래칫(13)을 설치하고, 래칫(13)이 일측 근방인 풀리(7) 내측부에 핀(14)으로 발톱(15)과 작동추(16)를 유설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추(16)의 대향 방향의 풀리(7) 내측에는 핀(14A)으로 작동추(16A)가 유설되어 있다.
만일, 엘리베이터가 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고장이 발생하여 카(4)가 급하강하게 되면 카(4) 일측에 고정되고 풀리(7)에 걸어진 로우프(8)도 급하강되어 풀리(7)를 급격히 회전시키게 되고, 핀(14)(14A)에 유설된 작동추(16)(16A)가 풀리(7)의 급격한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어 핀(14)(14A)을 중심으로 풀리(7)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핀(14)을 회전시켜 발톱(15)을 래칫(13)의 요철(13A)측으로 회전시켜 요철(13A)에 발톱(5)이 걸리도록 하므로써 록크시키게 된다. 따라서 풀리(7)는 발톱(15)이 래칫(13)에 록크된 상태가 되므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카(4)의 급강하를 방지하게 되고, 이에의해 카(4)의 파손 방지는 물론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중 도시된 작동바(17)는 프레임(11) 일측의 브라켓(18)에 설치되고, 그 일측은 프레임(11)에 핀(19)으로 유설되며, 작동바(17) 타측의 작동축(17A)에는 스프링(20)이 탄설되어 있고, 스토퍼(17B)에는 끈(21)으로 브레이크(9)의 작동편(9A)에 연결되어 상기 록크상태 즉, 발톱(15)이 래칫(13)에 록크될 때 작동바(17)도 래칫(13)의 이동에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20)을 탄축시키면서 스토퍼(17B)도 이동시켜 끈(21)을 잡아 당기게 되므로 브레이크(9)의 작동편(9A)이 안내홈(9B)을 따라 상승되면서 안내레일(4A)을 잡아주게 되어 카(4)의 이송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도면중 22는 리미트 스위치(23)의 작동편으로서 비상시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속기(6)와 브레이크(9)에 의해 카(4)의 급강하를 저지하게 되는데, 이 상태는 전기적 고장을 해소하더라도 발톱(15)이 래칫(13)에 걸려져 있는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밖에 없어 엘리베이터가 규정속도 이상을 초과한 이유를 해소하더라도 엘리베이터는 정지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의 상층부에 설치된 조속기(6)측으로 수리자가 올라가서 래칫(13)에 걸려진 발톱(15)을 해제시킬 수 밖에 없고, 이에따라, 엘리베이터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키기 위한 고장 수리시간이 길게되고, 그 작업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조속기의 록크 해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카가 정격속도 이상을 초과하여 급강하할 때 카를 일시정지시키는 록크상태를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제어 없이 간단한 구조로서 해제시키도록 하므로써 조속기의 록크 해제 작업을 간단화하고, 이에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를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록크 해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격히 회전하는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력을 발생하는 작동추의 벌어짐과 작동추의 무게에 의해 원위치 하는 힘을 이용하여 급격히 회전하는 풀리를 록크한 직후 전자적, 전기적 구성없이 상기 록크상태를 자동해제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풀리와 래칫을 축에 유설시키고, 풀리의 내부측에 핀으로 발톱과 작동추를 유설케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발톱의 외측부와 래칫사이에 스프링을 탄설시키며 발톱의 힌지부의 상,하 일측에 돌출된 해제핀 및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이 형성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편 일측에는 작동추의 움직임에따라 이동하는 자동편을 일체로 하여 작동평의 끝단부에 고착시킨 볼트핀을 상기 작동추의 일측부에 맞닿게 하며, 상기 해제핀의 끝단부에는 작동추에 핀으로 고정시킨 해제수단의 걸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풀리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급격히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작동추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림수단의 작동편을 밀고, 이에따라 걸림수단이 회전하면서 발톱의 힌지부에 돌출된 돌출편에 걸려져 있던 걸림편이 벗어나게 되고, 이에따라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발톱이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래칫에 걸리게 되어 풀리의 회전을 저지한직후 작동추가 원위치 되면서 작동추에 고정 설치된 해제수단의 걸고리가 힌지부의 해제핀을 잡아 당기게 하여 래칫에 걸려져 있던 발톱을 벗어나게 함으로써 비상사태시 풀리의 회전을 록크시켜 엘리베이터의 안정성을 부여하고 그 직후 별도의 조작없이도 록크되어 있던 조속기를 자동 해제시키는 편리성과 간단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 설명을 위한 엘리베이터 전체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 평면도로서 풀리가 정격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 평면도로서 풀리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회전할시 발톱에 의해 래칫이 록크된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제5a도는 풀리가 정격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도.
제5b도는 발톱의 축이 회전하면서 래칫에 록크되기 전 상태도.
제5c도는 래칫이 발톱에 의해 록크된 상태도.
제5d도는 발톱이 래칫으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도.
제6도는 조속기의 배면도로서 풀리가 정격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도.
제7도는 조속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축 2 : 주 풀리
3 : 로우프 4 : 카
5 : 무게추 6 : 조속기
7 : 풀리 8 : 타측 로우프
9 : 브레이크 9A, 22, 30 : 작동편
11 : 프레임 11A : 회전저지봉
12 : 축 13 : 래칫
13A : 요철 13B : 장공
14, 14A, 19, 25, 31 : 핀 15 : 발톱
15A : 힌지부 15B : 해제핀
15C : 돌출편 16, 16A : 작동추
16B : 작동간 16C : 작동바
16D, 20, 26 : 스프링 17 : 작동바
17A : 작동축 17B : 스토퍼
18 : 브라켓 21 : 끈
23 : 리미트 스위치 27 : 걸림수단
28 : 걸림편 29 : 볼트핀
32 : 해제수단 32A : 걸고리
이하 도면 설명에서는 종래 구성과 일치되는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전체 개략도이다.
즉, 제어부(C)의 모터축(1)에 연결된 주풀리(2)에 로우프(3)를 걸고, 상기 로우프(3) 양측하방에 카(4)와 무게추(5)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카(4) 일측에 조속기 (6)의 풀리(7)에 걸어진 일측의 로우프(8)를 고정시키고, 카(4) 하단에 고정설치된 브레이크(9)를 안내레일(4A)을 따라 승강자재하도록 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 평면도로서 풀리(7)가 정격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도이다.
이에 의하면, 조속기(6)는 프레임(11)에 설치한 축(12)에 풀리(7)와 래칫(13)을 설치하고, 래칫(13)의 일측근방인 풀리(7) 내측부에 핀(14)으로 발톱(15)과 작동추(16)를 유설시키며, 상기 작동추(16)의 대향방향의 풀리(7) 내측부에는 핀(14A)으로 작동추(16A)를 유설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동추(16)와 작동추(16A) 제6도에 도시한 배면 상태도와 같이 작동간(16B)으로 연결되어 있고, 작동추(16)의 끝단부에는 작동바(16C)의 일단을 설치하며, 작동바(16C)의 타단은 풀리(7)에 설치하되, 스프링(16D)으로 탄설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추(16)와 작동추(16A)는 급격히 회전하는 풀리(7)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되어 풀리(7)의 내바깥측으로 동시에 이동되고, 풀리(7) 정지시 동시에 원위치되게 한다.
또한, 작동바(17)는 프레임(11) 일측의 브라켓(18)에 설치되고, 그 일측은 프레임(11)에 핀(19)으로 유설시키며, 작동바(17) 타측의 작동축(17A)에는 스프링(20)이 탄설되어 있고, 스토퍼(17B)에는 끈(21)으로 브레이크(9)의 작동편(9A)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17)의 타측은 래칙(13)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발톱(15)의 외측부와 래칫(13) 사이에 스프링(24)을 탄설시키고, 발톱(15)의 힌지부(15A)의 상,하 일측에 해제핀(15B)과 돌출편(15C)을 각각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15C)에는 풀리(7)에 핀(25)과 스프링(26)으로 탄력설치된 걸림수단(27)의 걸림편(28)이 정상시에는 걸리도록 하고, 상기 걸림편(28)의 일측에는 작동추(16)의 외측부에 맞닿는 볼트핀(29)이 끼워진 작동편(30)을 일체로 형성시키며, 상기 해제핀(15B)의 끝단부에는 작동추(16)에 핀(31)으로 고정시킨 해제수단(32)의 걸고리(32A)가 걸리도록 구성한다.
또한, 래칫(13)에는 래칫(13)의 회전 저지장고(13B)을 뚫고, 이 장공(13B)에는 프레임(11)에 끼워진 회전저지봉(11A)을 끼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톱(15)이 래칫(13)의 요철(13A)에 끼워진 록크상태에서 풀리(7)가 회전하더라도 래칫(13)은 회전 저지봉(11A)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며, 평상시에도 상기 회전저지봉(11A)에 의해 래칫(13)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장공(13B)의 기능은 발톱(15)이 래칫(13)의 요철(13A)에 걸려 록크되는 순간 상당한 힘이 부과되므로 래칫(13)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래칫(13)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도면 설명은 본 발명의 작용 설명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기기적으로나 전기적으로 발생하여 카(4)가 규격속도 이상으로 급격히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6)의 풀리(7)도 규격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작동추(16)(16A)가 핀(14)(14A)을 중심으로 풀리(7)의 내바깥측으로 원심력에 의해 회동하게 되면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작동추(16)의 일측에 맞닿은 볼트핀(29)을 제5b도와 같이 밀고, 이에의해 걸림수단(27)의 작동편(30)도 따라서 이동되어 걸림편(28)을 회동케 함으로써 발톱(15)의 힌지부(15A)의 하측에 돌출된 돌출편(15C)에 걸려있던 상기 걸림편(28)이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발톱(15)은 제5c도와 같이 핀(14)을 중심으로 스프링(24)의 복귀력에 의해 래칫(13)의 요철(13A)에 끼워져 록크되고, 록크될때의 힘에 의해 래칫(13)이 약간 회동되어지지만 래칫(13)의 장공(13B)에 끼워진 회전 저지봉(11A)에 의해 래칫(13)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며, 상기 래칫(13)이 장공(13B)만큼의 거리만큼 이동될 때 작동바(17)도 스프링(20)을 탄축시키면서 이동되어 스토퍼(17B)를 이동시키므로 끈(21)에 연결된 브레이크(9)의 작동편(9A)이 제3도과 같이 상승되어 안내레일(4A)을 꽉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급격히 회전되는 풀리(7)는 발톱(15)이 래칫(13)에 록크되고 카(4)가 브레이크(9)에 의해 잡아주게 되데 되므로 카(4)의 급강하를 이중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상태는 작동추(16)가 풀리(7)의 내바깥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해제수단(32)의 걸고리(32A)도 작동추(16)과 함께 이동된 상태이어서 힌지부(15A)의 해제핀(15B)과 걸고리는 제5b도와 같이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래칫(13)이 약간 이동될 때 리미트 스위치(23)를 제3도와 같이 작동편(22)이 쳐주게 되므로 엘리베이터를 전기적으로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풀리(7)가 발톱(15)과 래칫(13)에 의해 록크되고, 브레이크(9)에 의해 로우프(8)가 록크된 상태가 되면, 풀리(7)는 회전되지 못하므로 작동추(16)(16A)의 원심력은 없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제7도와 같이 스프링(16D)을 탄축시키면서 이동되었던 작동추(16)(16A)는 상기 스프링(16D)의 복귀력에 의해 자동적이고도 동시에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추(16)가 원위치하게 되면 해제수단(32)의 걸고리(32A)도 원위치하면서 힌지부(15A)의 해제핀(15B)을 잡아 당기게 되고, 이로인해 발톱(15)은 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스프링(24)을 탄발시키게 함으로써 래칫(13)의 요철(13A)에 걸려져 있던 발톱(15)의 끝단부가 빠져나와 자동적으로 록크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작동추(16)에 맞닿아 있던 걸림수단(27)의 볼트핀(29)과 작동편(30)도 핀(25)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26)의 힘에 의해 원위치되게 되어 걸림편(28)이 제5d도와 같이 힌지부(15A)의 돌출편(15C)에 걸리게 되므로 풀리(7)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이때 작동바(17)도 래칫(13)의 록크가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20)의 복귀력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래칫(13)을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동시켜 주게 하여 잡아 당겨져 있던 끈(21)의 장력을 없애게 하므로 브레이크(9)도 자동해제되어 카(4)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때, 래칫(13)은 회전 저지봉(11A)에 위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풀리(7)의 록크상태가 자동해제 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상층부의 제어부(C)에 설치된 조속기(6)에 올라가지 않더라도 해제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후에는 카(4)의 자중에 위해 서서히 카(4)가 하강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작동될수 있게 된다.
이는 일차적으로 고장 발생으로 인해 급격히 하강하는 카의 이동을 저지하여 카(4)와 인명을 보호하고 그 이후에는 엘리베이터가 전기적으로 오프된 상태으므로 카(4)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더라도 아무런 이상이 없게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은 작동바(17)가 원위치되면서 작동편(22)이 리미트 스위치(23)로부터 이격되게 되므로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통상과 같이 작동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격 속도 이상으로 엘리베이터가 작동될 경우 일차적으로 조속기의 풀리와 로우프를 록크시켜 카 및 카내에 인명을 보호하고, 그후 자동적으로 록크된 풀리를 해제시키게 하는 것으로, 전기적, 전자적 구성 없이도 간단한 구성으로 조속기의 록크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구성을 이룰 수 있고, 이로인해 록크 해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고장 수리 작업의 편리성과 인원 투입 절감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풀리(7)와 래칫(13)을 축(12)에 끼우고, 풀리(7)의 내측부에 핀(14)(14A)으로 발톱(15)과 작동추(16)(16A)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발톱(15)의 외측부와 래칫(13)사이에 스프링(24)을 탄설시켜 발톱(15)의 힌지부(15A)가 핀(14)(14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구성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5A)일측에 돌출시킨 돌출편(15C)과, 상기 돌출편(15C)에 걸리는 걸림편(28)이 형성된 걸림수단 (27)과; 걸림편(28)일측에 일체로 설치한 작동편(30)의 끝단부에 고착시킨 볼트핀 (29)을 작동추(16)의 일측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힌지부(15A)의 일측에 돌설시킨 해제핀(15B)의 끝단부에는 작동추(16)에 핀(31)으로 고정시킨 해제수단(32)의 걸고리(32A)가 걸리게 하는 해제수단(3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장치.
KR1019970047342A 1997-09-13 1997-09-13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KR10023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342A KR100231346B1 (ko) 1997-09-13 1997-09-13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342A KR100231346B1 (ko) 1997-09-13 1997-09-13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42A KR19990025642A (ko) 1999-04-06
KR100231346B1 true KR100231346B1 (ko) 1999-11-15

Family

ID=1952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342A KR100231346B1 (ko) 1997-09-13 1997-09-13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3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42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061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5015246B2 (ja) 検査されるエレベータの頂部や底部における最小空間を確保する安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5778722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3929724B2 (ja) エレベータ
US3980161A (en) Safety lock for a hoisting mechanism that ascends and descends a cable
JP420939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231346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록크 자동 해제 장치
EP0129678B1 (en) Automatic device for lifts or goods-lifts without safety lift-shafts
KR20040029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CN110615342B (zh) 电梯保养安全装置
EP3599211B1 (en) Elevator car apron
EP2039642A1 (en) Trigger device for the end positions of an elevator and operating procedure thereof
KR200299198Y1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KR100644080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KR200221490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3486158B2 (ja) 天井収納用昇降装置
KR960001508Y1 (ko) 주차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97000723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해치도어 안전장치
JPH0520763Y2 (ko)
KR96000600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KR100901223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38297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940002173Y1 (ko) 승강기의 브레이크 장치
JP2634515B2 (ja) ブラインドの制動装置
JPH1023106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