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037B1 -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037B1
KR100230037B1 KR1019970022701A KR19970022701A KR100230037B1 KR 100230037 B1 KR100230037 B1 KR 100230037B1 KR 1019970022701 A KR1019970022701 A KR 1019970022701A KR 19970022701 A KR19970022701 A KR 19970022701A KR 100230037 B1 KR100230037 B1 KR 10023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tection ring
ring
detection co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059A (ko
Inventor
안광호
한각현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2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037B1/ko
Priority to JP9336169A priority patent/JPH10300595A/ja
Publication of KR1999000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차 구조를 갖는 2개의 검출링만을 사용하여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 사이의 편차를 보상하고 부품수의 감소와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소형화 및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부하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짧은 돌출부와 긴 돌출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 부하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 상기 제1 검출링의 짧은 돌출부와 제2 검출링의 돌출부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1 검출코일, 상기 제1 검출링의 긴 돌출부와 제2 검출링의 요부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2 검출코일, 제1 검출코일과 제2 검출코일에 접속되어 이에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본 발명은 치차 구조를 갖는 2개의 검출링만을 사용하여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 사이의 편차를 보상함과 동시에 부품수의 감소와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소형화 및 경량화는 물론 제조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중 또는 정지시에 조향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노면과 접촉하고 있는 바퀴도 회전하여 조향되는데, 바퀴와 노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어 동력전달 과정중의 손실에 의해 조향핸들의 회전각도만큼 바퀴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핸들과 바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토오크 센서이다.
즉, 토오크 센서를 통해 조향핸들의 회전각도와 바퀴의 회전각도 사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편차만큼 별개의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안전하게 조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조향핸들(10)과 결합된 구동축(20)과 일측단이 바퀴(도시하지 않음)측과 결합된 부하축(30)이 마련되고, 이 구동축(20)과 부하축(30)을 연결하며 상기 조향핸들(10)의 조향정도에 따라 비틀리는 토션바(TorsionBar)(40)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바(40)의 일단부가 구동축(20)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이의 타단부는 부하축(3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0)과 부하축(30)의 타단부 사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3개의 검출링(50)이 일정간격(GAP) 만큼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1 검출링(51)은 조향핸들(10)측의 구동축(20) 외주면에 결합되어 조향핸들(10)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운동하며, 제2 검출링(52)은 토션바(40)의 중심부 외주면, 그리고 제3 검출링(53)은 바퀴측에 연계된 부하축(30)의 타단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바퀴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회전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검출링(51)의 일면, 즉 제2 검출링(52)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요철부(51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도 역시 요철부(52a, 5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의 간격은 상기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 사이에 설정된 간격(GAP)의 2배값의 간격(GAP)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 사이의 외측면과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 사이의 외측면에는 제1 검출코일(60)과 제2 검출코일(70)이 각각 권선되어 있으며, 이는 차량의 적소에 마련된 신호 처리 장치(80)와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조향핸들(10)을 회전시키면, 토션바(40) 및 구동축(20), 부하축(30)도 일체로 회전하는데, 이때 조향핸들(10)측과 결합된 토션바(40)의 일측이 바퀴측과 결합된 타측보다 더 비틀려져 많이 회전된다.
즉, 바퀴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1 검출링(51), 제2 검출링(52) 그리고 제3 검출링(53) 순으로 회전각도가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의 대향면적은 거의 변하지 않는데, 각각의 요철부(52a, 53a)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의 대향면적은 변화되며, 따라서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 사이의 바깥측 자속의 변화로 제2 검출코일(70)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된다.
즉, 초기에는 제1 검출코일(60)과 제2 검출코일(70)의 인덕턴스 값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조향핸들(10)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 검출코일(60)의 인덕턴스 값은 일정하고 제2 검출코일(70)의 인덕턴스 값만 변하게 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80)에서는 제1 검출코일(60)의 인덕턴스 값에 대한 제2 검출코일(70)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향핸들(10)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기구적 장치에 있어서, 3개의 검출링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구동축(20)과 부하축(30)에 각각 제1 검출링(51)과 제3 검출링(53)을 고정 설치한 다음 제2 검출링(52)은 상기 구동축(20)에 연결된 제1 검출링(51)에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 별도의 기구적 구조가 필요하고 핀박음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기구적 구조가 자성체이므로 별도의 비자성체 링을 검출링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검출링(51~53) 간의 간격 설정도 상기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의 간격을 설정하고 나서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의 간격을 설정해야 하는 두 번의 간격 설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의 치차 구조를 갖는 2개의 검출링만을 사용하여 토오크 센서의 복잡한 기구적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토오크 센서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는, 구동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부하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짧은 돌출부와 긴 돌출부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 부하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 상기 제1 검출링의 짧은 돌출부와 제2 검출링의 돌출부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1 검출코일, 상기 제1 검출링의 긴 돌출부와 제2 검출링의 요부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2 검출코일, 상기 제1 검출코일과 제2 검출코일에 접속되어 각각의 검출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센서의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향핸들 200 : 구동축
300 : 부하축 400 : 토션바
500 : 검출링 510 : 제1 검출링
520 : 제2 검출링 600 : 제1 검출코일
700 : 제2 검출코일 800 : 신호 처리 장치
810 : 제1 AC-DC 변환기 820 : 제2 AC-DC 변환기
830 : 차등 증폭기 840 : V-I 변환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일측단이 차량의 조향핸들(100)과 결합된 구동축(200)과 일단부가 바퀴측에 결합된 부하축(300)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후술되는 토션바(400)로 연계되어 조향핸들(100)의 조작에 따라 같이 연동된다.
상기 토션바(400)는 그 일단부가 구동축(200)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부하축(3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부하축(300)과 구동축(200)의 타단면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는 검출링(500)이 구비되는데, 구동축(200)의 타단부 외주면에 자성체의 제1 검출링(510)이 마련되어 일체로 요동되는데, 이의 일단면, 즉 부하축(300)과 대향하는 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짧은 돌출부(511)와 긴 돌출부(512)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하축(300)의 타단부 외주면에도 역시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2 검출링(520)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도 제1 검출링(510)의 짧은 돌출부(511)와 대응되게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긴 돌출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검출링(510)의 짧은 돌출부(511)와 제2 검출링(520)의 긴 돌출부(521) 사이의 외측부에는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1 검출코일(600)이 권선되고, 제1 검출링(510)의 긴 돌출부(512)와 제2 검출링(520)의 요부 사이의 외측부에는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제2 검출코일(700)이 권선되어 후술되는 신호 처리 장치(8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토오크 센서의 신호 처리 장치(800)의 회로 구성도로서, 제1 검출코일(6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D-DC 변환기(810)와, 제2 검출코일(7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변환기(820)와,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과 상기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출력차이를 검출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차동 증폭기(830)와, 상기 차동 증폭기(830)의 출력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V-I 변환기(840)로 구성된다.
상기 V-I 변환기(84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류 신호에 의해 동력수단을 구동시켜 바퀴를 조향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조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의 주행중에 운전자가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향핸들(100)을 조향시키면 구동축(200)과 토션바(400) 및 부하축(300)을 통해 바퀴가 조향되어 주행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때, 일정이상의 조향력이 작용하게 되면, 바퀴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조향핸들(10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00)보다 토션바(400)로 연계된 부하축(300)의 회전각도가 줄어 토션바(400)가 비틀리게 된다.
그러면, 제1 검출링(510)과 제2 검출링(520)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2 검출코일(700)은 제1 검출링(510)의 긴 요철부(512)와 제2 검출링(520)의 요부와의 대향면적이 거의 변하지 않는 반면, 제1 검출코일(600)은 제1 검출링(510)의 짧은 돌출부(511)와 제2 검출링(520)의 긴 돌출부(521)와의 대향면적이 변화되어 이의 인덕턴스가 변화됨과 동시에 이에 흐르는 유기전압도 변화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제1 검출코일(600)과 제2 검출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조향핸들(1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2 검출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은 일정하고 제1 검출코일(600)의 인덕턴스 값만 변하게 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800)에서는 제2 검출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에 대한 제1 검출코일(600)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향핸들(100)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측정하게 된다.
즉, 각각의 제1 검출코일(600)과 제2 검출코일(700)의 자기저항변화에 의해 변화된 유기 전압값이 신호 처리 장치(800)에 입력되면, 제1 AC-DC 변환기(810)와 제2 AC-DC 변환기(820)에 입력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이어 차동 증폭기(830)에서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와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차이를 소정 증폭하여 V-I 변환기(840)를 통해 전류로 변환된다.
이후, 상기 V-I 변환기(840)에서 변환된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조향편차를 측정하고, 구동부를 통해 동력수단을 가동하여 조향핸들측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보상하도록 한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3개의 검출링을 사용하던 것을 2개의 검출링만 사용하여 각각 구동축과 부하축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기구적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고, 제1 검출링과 제2 검출링 사이의 일정 간격(GAP)을 한 번에 설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토오크 센서의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일단부가 차량의 조향핸들(100)측과 연계된 구동축(200), 상기 구동축(200)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일단부가 바퀴측과 연계된 부하축(300),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200)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하축(3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00)과 부하축(300)을 연계시키며 상기 조향핸들(100)의 조향운동에 따라 비틀리는 토션바(400), 상기 구동축(20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부하축(300)과 대향하는 일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각각의 짧은 돌출부(511)와 긴 돌출부(512)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510), 상기 부하축(30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검출링(510)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긴 돌출부(521)가 교호적으로 구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520), 상기 제1 검출링(510)의 짧은 돌출부(511)와 제2 검출링의 긴 돌출부(521)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제1 검출코일(600), 상기 제1 검출링(510)의 긴 돌출부(512)와 제2 검출링(520)의 요부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제2 검출코일(700), 상기 제1 검출코일(600)과 제2 검출코일(700)에 접속되어 각각의 검출코일(600, 700)에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800)는 상기 제1 검출코일(6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변환기(810)와, 제2 검출코일(7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변환기(820)와,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과 상기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출력차이를 검출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차동 증폭기(830)와, 상기 차동 증폭기(830)의 출력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V-I 변환기(8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19970022701A 1997-04-25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23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701A KR100230037B1 (ko)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JP9336169A JPH10300595A (ja) 1997-04-25 1997-12-05 車両用操向装置のトルクセン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701A KR100230037B1 (ko)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59A KR19990000059A (ko) 1999-01-15
KR100230037B1 true KR100230037B1 (ko) 1999-11-15

Family

ID=1950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701A KR100230037B1 (ko) 1997-04-25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99B1 (ko) * 2002-09-02 2007-05-22 주식회사 만도 토크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73B1 (ko) * 2008-09-22 2010-10-18 주식회사 트루윈 인덕티브형 조향축 광대역 앵글센싱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99B1 (ko) * 2002-09-02 2007-05-22 주식회사 만도 토크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5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697B1 (ko) 토오크 센서
US4745984A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JP3584624B2 (ja) トルクセンサ
US5578767A (en) Torque sensor
KR100216661B1 (ko) 코일 요크의 고정구조
JP2613449B2 (ja) 相対変位検出装置
US5986448A (en) Revolving speed detecting device with reduced eddy current loss
KR100230037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GB2097131A (en) Electromagnetic torque transducer
KR100226633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230038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200159423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219193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JP2002310819A (ja) トルクセンサ
JPH0721433B2 (ja) トルクセンサ
EP1260425B1 (en) Rotational angle detecting device, torque detecting device and steering apparatus
GB2187848A (en) Torque detecting device
JPH10300595A (ja) 車両用操向装置のトルクセンサ
KR19990000048U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1006151B1 (ko) 조향장치용 비접촉식 토크센서
KR19980043514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20050075880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200144406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100795048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200154795Y1 (ko) 자동차용 토오크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