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048U -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048U
KR19990000048U KR2019970013198U KR19970013198U KR19990000048U KR 19990000048 U KR19990000048 U KR 19990000048U KR 2019970013198 U KR2019970013198 U KR 2019970013198U KR 19970013198 U KR19970013198 U KR 19970013198U KR 19990000048 U KR19990000048 U KR 19990000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tection ring
coil
output shaf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760Y1 (ko
Inventor
이상권
한각현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13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7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호 형태의 치차 구조를 갖는 검출링을 통해 공극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 사이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에 관한 것으로, 입력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출력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와 평면상 요부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 토션바 중심부 외주면에 마련되어 출력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와 평면상 요부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 출력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제2 검출링의 요철부에 대응되게 원호상 요부와 평면상 돌출부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3 검출링, 제1 검출링과 제2 검출링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온도 보상 코일, 제2 검출링과 제3 검출링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코일, 온도 보상 코일과 검출코일에 접속되어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본 고안은 원호 형태의 치차 구조를 갖는 검출링을 통해 공극(Air Gap)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 사이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중 또는 정지시에 조향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노면과 접촉하고 있는 바퀴도 회전하여 조향되는데, 바퀴와 노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어 동력전달 과정중의 손실에 의해 조향핸들의 회전각도만큼 바퀴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핸들과 바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토오크 센서이다.
즉, 토오크 센서를 통해 조향핸들의 회전각도와 바퀴의 회전각도 사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편차만큼 별개의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안전하게 조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조향핸들(10)과 결합된 입력축(20)과 일측단이 바퀴(도시하지 않음)측과 결합된 출력축(30)이 마련되고, 이 입력축(20)과 출력축(30)을 연결하며 상기 조향핸들(10)의 조향정도에 따라 비틀리는 토션바(Torsion Bar)(40)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바(40)의 일단부가 입력축(20)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이의 타단부는 출력축(3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20)과 출력축(30)의 타단부 사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3개의 검출링(50)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1 검출링(51)은 조향핸들(10)측의 입력축(20) 외주면에 결합되어 조향핸들(10)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운동하며, 제2 검출링(52)은 토션바(40)의 중심부 외주면, 그리고 제3 검출링(53)은 바퀴측에 연계된 출력축(30)의 타단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바퀴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회전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검출링(51)의 일면, 즉 제2 검출링(52)과 대향하는 면에는 요철부 (5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도 역시 요철부(52a,5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 사이의 외측면과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 사이의 외측면에는 온도 보상 코일(70)과 검출코일(60)이 각각 권선되어 있으며, 이는 차량의 적소에 마련된 신호 처리 장치(80)와 접속된다.
상기 제1 검출링(51)과 온도 보상 코일(70)은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검출코일(60)의 출력전압값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 보상 코일(70)의 형태와 구조는 검출코일(60)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운전자가 조향핸들(10)을 회전시키면, 토션바(40) 및 입력축, 출력축(20,30)도 일체로 회전하는데, 이때 조향핸들(10)측과 결합된 토션바(40)의 일측이 바퀴측과 결합된 타측보다 더 비틀려져 많이 회전된다.
즉, 바퀴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1 검출링(51), 제2 검출링(52) 그리고 제3 검출링(53) 순으로 회전각도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의 대향면적은 거의 변하지 않는데, 각각의 요철부(52a,53a)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의 대향면적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제2 검출링(52)과 제3 검출링(53) 사이의 바깥측 자속의 변화로 검출코일(60)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된다.
즉, 최초에는 검출코일(60)과 온도 보상 코일(70)의 인덕턴스 값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조향핸들(10)의 회전으로 온도 보상 코일(70)의 인덕턴스 값은 일정하고, 검출코일(60)의 인덕턴스 값만 변하게 됨으로써 온도 보상 코일(70)의 인덕턴스 값에 대한 검출코일(60)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 즉 검출코일(60)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조향핸들(10)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신호 처리 장치(80)에서는 검출코일(60)에서 유기되는 출력전압과 온도 보상 코일(70)의 온도에 의한 출력전압을 차동하여 증폭시킨 후 이를 전류값으로 변환한다.
즉, 신호 처리 장치(80)에서는 상기 검출코일(60)의 온도에 대한 출력전압(0.2mV/℃)과 온도 보상 코일(70)의 기울기(0.2mV/℃)가 서로 같으므로 차동 증폭하여 주변 온도 변화로 인한 인덕턴스, 즉 유기전압의 측정오차를 보상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는 제1 검출링(51)과 제2 검출링(52) 및 제3 검출링(53)에 가공이 쉽지 않은 별개의 요철부(51a,52a,53a)를 형성해야 함에 따라 기구적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토오크 센서의 전체적인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호 형태의 치차 구조를 갖는 검출링을 통해 공극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와 바퀴의 조향각도 사이의 편차를 측정하고 보상하며, 토오크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는, 입력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출력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와 평면상 요부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 토션바 중심부 외주면에 마련되어 출력축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와 평면상 요부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 출력축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검출링에 형성된 원호상 돌출부와 평면상 요부 구조의 요철부에 대응되게 원호상 요부와 평면상 돌출부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3 검출링, 상기 제1 검출링과 제2 검출링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온도 보상 코일, 제2 검출링과 제3 검출링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코일, 상기 온도 보상 코일과 검출코일에 접속되어 각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토오크 센서의 신호 처리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향핸들200 : 입력축
300 : 출력축400 : 토션바
500 : 검출링510 : 제1 검출링
520 : 제2 검출링530 : 제3 검출링
600 : 검출코일700 : 온도 보상 코일
800 : 신호 처리 장치810 : 제1 AC/DC 변환기
820 : 제2 AC/DC 변환기830 : 차동 증폭기
840 : V-I 변환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일측단이 차량의 조향핸들(100)과 결합된 입력축(200)과 일단부가 바퀴측에 결합된 출력축(300)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후술되는 토션바(400)로 연계되어 조향핸들(100)의 조작에 따라 같이 연동된다.
상기 토션바(400)는 그 일단부가 입력축(200)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출력축(3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출력축(300)과 입력축(200)의 타단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는 검출링(500)이 구비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200)의 타단부 외주면에 자성체의 제1 검출링(510)이 마련되어 일체로 요동되는데, 이의 일단면, 즉 출력축(300)과 대향하는 면에는 원호상 돌출부(511)와 평면상 요부(51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션바(400)의 중심부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검출링(520)은 출력축(300)과 대향하는 면에 원호상 돌출부(521)와 평면상 요부(51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력축(300)의 타단부 외주면에도 역시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3 검출링(530)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도 제2 검출링(520)의 원호상 돌출부(521)와 평면상 요부(51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에 대응되게 원호상 요부(531)와 평면상 돌출부(532)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검출링(510)의 요철부와 제2 검출링(520)의 평면 사이의 외측부에는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온도 보상 코일(700)이 권선되고, 제2 검출링(520)의 요철부와 제3 검출링(530)의 요철부 사이의 외측부에는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코일(600)이 권선되어 후술되는 신호 처리 장치(8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온도 보상 코일(700)은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검출코일(600)의 출력값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 보상 코일(700)의 형태와 구조는 검출코일(600)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토오크 센서의 신호 처리 장치(800)의 회로 구성도로서, 검출코일(6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변환기(810)와, 온도 보상 코일(7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변환기(820)와,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과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출력차이를 검출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차동 증폭기(830)와, 상기 차동 증폭기(830)의 출력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V-I 변환기(840)로 구성된다.
상기 V-I 변환부(84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류 신호에 의해 동력수단을 구동시켜 바퀴를 조향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조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의 주행중에 운전자가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향핸들(100)을 조향시키면 입력축(200)과 토션바(400) 및 출력축(300)을 통해 바퀴가 조향되어 주행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때, 일정이상의 조향력이 작용하게 되면, 바퀴와 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조향핸들(100)에 의해 회전되는 입력축(200)보다 토션바(300)로 연계된 출력축(300)의 회전각도가 줄어 토션바(400)가 비틀리게 된다.
그러면, 제1 검출링(510)과 제2 검출링(520)의 외측면에 마련된 온도 보상 코일(700)은 제1 검출링(510)의 요철부와 제2 검출링(520)의 평면 사이의 공극이 변하지 않는 반면, 검출코일(600)은 제2 검출링(520)의 원호상 돌출부(521) 및 평면상 요부(522)로 이루어진 요철부와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 검출링의 원호상 요부(531)와 평면상 돌출부(532)로 이루어진 요철부 사이의 공극이 변화하여 이의 인덕턴스가 변화됨에 동시에 이에 흐르는 유기전압도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검출코일(600)과 온도 보상 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조향핸들(100)의 회전으로 온도 보상 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은 일정하고 검출코일(600)의 인덕턴스 값만 변하게 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800)에서는 온도 보상 코일(700)의 인덕턴스 값에 대한 검출코일(600)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 즉 검출코일(600)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조향핸들(100)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측정하게 된다.
즉, 각각의 검출코일(600)과 온도 보상 코일(700)의 자기저항변화에 의해 변화된 유기 전압값이 신호 처리 장치(800)에 입력되면, 제1 AC/DC 변환기(810)와 제2 AC/DC 변환기(820)에 입력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이어 차동 증폭기(830)에서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와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차이를 소정 증폭하여 V-I 변환기(840)를 통해 전류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800)에서는 상기 검출코일(600)의 온도에 대한 출력전압과 온도 보상 코일(700)의 기울기가 서로 같으므로 차동 증폭하여 주변 온도 변화로 인한 인덕턴스, 즉 유기전압의 측정오차를 보상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V-I 변환기(840)에서 변환된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조향편차를 측정하고, 구동부를 통해 동력수단을 가동하여 조향핸들측과 바퀴측의 회전편차를 보상하도록 한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호 형태의 치차 구조를 갖는 검출링을 사용하여 토오크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검출코일의 형태와 구조가 동일한 온도 보상 코일을 구비하여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측정오차를 보상함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여도 정확한 조향편차를 측정하여 보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단부가 차량의 조향핸들(100)측과 연계된 입력축(200), 상기 입력축(200)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일단부가 바퀴측과 연계된 출력축(300), 일단부가 상기 입력축(200)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출력축(30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200)과 출력축(300)을 연계시키며 상기 조향핸들(100)의 조향운동에 따라 비틀리는 토션바(400), 상기 입력축(20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출력축(300)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511)와 평면상 요부(51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1 검출링(510), 상기 토션바(400) 중심부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출력축(300)과 대향하는 일면에 원호상 돌출부(521)와 평면상 요부(52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2 검출링(520), 상기 출력축(30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검출링(520)에 형성된 원호상 돌출부(521)와 평면상 요부(522) 구조의 요철부에 대응되게 원호상 요부(531)와 평면상 돌출부(532)가 교호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형성된 제3 검출링(530), 상기 제1 검출링(510)과 제2 검출링(520)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온도 보상 코일(700), 상기 제2 검출링(520)과 제3 검출링(530) 사이의 외측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검출 코일(600), 상기 온도 보상 코일(700)과 검출코일(600)에 접속되어 각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800)는 상기 검출코일(6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변환기(810)와, 상기 온도 보상 코일(700)에 접속되어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변환기(820)와, 상기 제1 AC/DC 변환기(81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과 제2 AC/DC 변환기(820)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의 출력차이를 검출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차동 증폭기(830)와, 상기 차동 증폭기(830)의 출력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V-I 변환기(8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2019970013198U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200160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98U KR200160760Y1 (ko)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198U KR200160760Y1 (ko)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48U true KR19990000048U (ko) 1999-01-15
KR200160760Y1 KR200160760Y1 (ko) 1999-11-15

Family

ID=1950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198U KR200160760Y1 (ko) 1997-06-02 1997-06-02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41A (ko) * 2000-11-24 2002-05-30 밍 루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471815B1 (ko) * 2001-12-18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비접촉식 토크 센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41A (ko) * 2000-11-24 2002-05-30 밍 루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471815B1 (ko) * 2001-12-18 2005-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비접촉식 토크 센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760Y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6257B2 (ja) ねじりモーメント測定装置
US7089809B2 (en) Torque sens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having same
US7568400B2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US5578767A (en) Torque sensor
US7387034B2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KR10098396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토크센서
JP4727209B2 (ja) センサ付車輪用軸受
JP2741388B2 (ja) 相対変位検出装置
KR200160760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230038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226633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JPH10300595A (ja) 車両用操向装置のトルクセンサ
KR200154795Y1 (ko) 자동차용 토오크 센서
KR100230037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 센서
KR100455674B1 (ko) 감시부를 구비한 차량용 조향장치
JP2000310573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42016A (ja) 変位センサ
JP3346102B2 (ja) トルクセンサ
JP2000356559A (ja) トルク検出装置
JP3157949B2 (ja) 光学式回転トルク検出装置
JPH0326932A (ja) トルク検出器
JPS63158433A (ja) トルクセンサ
KR100219193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100972336B1 (ko) 조향장치용 비접촉식 토크센서
JPH08145830A (ja) トルク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