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710B1 -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710B1
KR100228710B1 KR1019970018584A KR19970018584A KR100228710B1 KR 100228710 B1 KR100228710 B1 KR 100228710B1 KR 1019970018584 A KR1019970018584 A KR 1019970018584A KR 19970018584 A KR19970018584 A KR 19970018584A KR 100228710 B1 KR100228710 B1 KR 10022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distance call
long distance
call
regi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322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7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08Telephone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같은 지역내 또는 같은 도(道)내에서의 전화 시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여도 시외통화를 허용하도록 하는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같은 도내에서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로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는 과정; 상기 허용지역 등록 후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테이블화하여 등록된 시외통화 허용 지역내의 국번과 현재 다이얼링되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비교 검색하여, 제한된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외통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통화 금지가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서는 시외통화가 허용되도록 함으로써 시외통화 잠금 스위치 없이도 지역별로 시외통화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의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외통화에 있어서, 무조건적인 시외통화 금지가 아닌 우리나라 국번의 특성을 이용하여 각 지역별 또는 도별로 시외통화를 허용하게 함으로써 탄력적인 시외통화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라 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존의 팩시밀리, 스캐너(Scanner), 프린터(Printer), 복사기(Copier) 및 전화기 등의 각각의 단품으로 존재하던 단말을 하나로 엮어서 만든 다기능의 단말기로 컴퓨터와 연동이 되는 기능을 갖는, 즉 컴퓨터-인터페이스 기능이 가미된 다기능 주변장치(MFP; Multi Functional Peripheral)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복합기에 가미된 전화기 또는 별도의 무선전화기 및 일반 유선전화기에 있어서, 시외통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화 소유주가 전화기의 본체에 설치된 시외통화 방지스위치를 조작하여 놓은 상태에서 통화자가 소유주의 허락 없이 시외전화를 하기 위해 다이얼링을 하게 되면 복합기 또는 전화기 본체내의 중앙처리장치가 다이얼링되는 첫 번째 번호를 검색하여 번호가 "0"으로 시작되면 다이얼링이 더 이상 되지 않게 차단하여 시외통화를 방지하여 왔다.
이와 같이, 시외통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도 1과 같은 장치가 있다.
도 1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 복합기에서의 시외통화 방지 장치의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시외통화 방지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처리하며, 복합기의 프린팅 기능 수행 중에 원고의 화상데이터의 복사 및 송, 수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에 음성신호의 송, 수신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원고의 화상데이터 및 수신데이터를 억세스하거나 저장하는 메모리부(101)와, 시스템의 기능키이 데이터 및 전화통화에 필요한 다이얼링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이를 가지며 상기 키이 데이터 발생 시 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시키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조작패널(OPE; Operating Pannel)(102)과,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Scanning)하여 디지털 화상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는 스캐너(103)와, 상기 중앙처리장(10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원고 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 수신 입력을 복조하여 출력하는 모뎀(Modem)(104)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전화라인(Tip, Ring)의 통화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모뎀(104)의 변, 복조신호와 상기 전화라인(Tip, Ring)의 음성신호 및 원고 데이터를 인터페이싱 하는 통신콘트롤 유니트(10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캐너(103)로부터 읽어들인 원고 화상데이터와 모뎀(104)을 통한 수신데이터를 프린팅 목 복사하는 프린터(106)와, 기록지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는 센서부(107)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에러발생시 경고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모뎀(104)을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를 발생하는 스피커(108)와, 상기 모뎀(104)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모뎀(104), 네트워크 콘트롤 유니트(105)를 통해 전화라인(Tip, Ring)으로 전송하는 송수화부(109)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외전화 통화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는 잠금스위치(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복합기에서의 프린터(106)를 통한 인쇄과정과 스캐너(103)를 통한 원고의 화상데이터 스캐닝과정 및 스캐너(103), 메모리(101) 및 프린터(106)를 이용하여 원고를 복사하는 과정은 생략하고 여기서 전화기, 즉 다시 말해서 다수의 키이를 갖는 조작패널(102)과, 송수화부(109), 모뎀(104), 네트워크 콘트롤러 유니트(105) 및 잠금스위치(110)를 통한 시외통화 방지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쌍방간의 전화통화를 위해 송화자가 조작패널(102)의 숫자키이를 통해 다이얼링을 시작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조작패널(102)로부터 입력된 다이얼링 데이터를 메모리부(101)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자가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조작패널(102)을 통해 다이얼링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부(101)로부터 전화번호(상대방의 호출신호)를 읽어들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다이얼링신호는 모뎀(104)에서 변조되고 전화라인(Tip, Ring) 상태에 맞는 전송속도로 통신콘트롤 유니트(105)를 통해 전화국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교환국 측에서는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쌍방간에 링신호를 전송 후 상대방, 즉 수화자가 전화를 받게 되면(hook-off) 이때부터 링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통화로를 형성시켜 주게 된다.
통화로가 형성되어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신호가 전화라인(Tip, Ring), 네트워크 콘트롤러 유니트(105)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모뎀(104)은 입력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중앙처리장치(100)를 통해 송수화부(109)에 제공함으로써, 송화자는 그 송수화부(109)의 수화기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송화자의 음성신호는 송수화부(109)의 송화기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00), 모뎀(104), 네트워크 콘트롤 유니트(105) 및 전화라인(Tip, Ring)을 통해 전송됨으로써, 쌍방간의 통화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기 소유자가 시외통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화기 잠금스위치(110)를 시외통화 방지모드로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송화자가 소유자 허락 없이 조작패널(102)을 통해 다이얼링을 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조작패널(102)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신호의 첫 번째 번호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만약 조작패널(102)로부터의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입력되는 다이얼링신호를 무시, 즉 다시 말해서 전화를 걸 수 없게 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복합기 또는 유,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의 시외통화 방지 장치 구조로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되면, 즉 다시 말해서 지역번호의 숫자가 "0"으로 시작되면 이후의 다이얼링을 무시하게 되므로 가까운 통화 거리에 있는 지역조차도 전화를 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시외전화를 아이들이 장난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시외전화 방지 기능을 구동한다면 급한 전화용무가 있거나 또는 긴급을 요하는 일이 있을 경우 또는 가까운 친척들에게 전화를 걸때마다 기능을 구동시켰다 풀렀다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시외통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통화 금지가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서는 시외통화가 허용되도록 하면서 시외통화 잠금 스위치 없이도 종래의 것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화기의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시외통화 방지 기능을 갖는 장치가 가지는 같은 지역에서의 시외통화 방지모드에 의한 통화 불능상태와 이로 인한 시외통화방지모드를 반복 조작해야 하는 방법을 배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같은 지역내 또는 같은 도(道)내에서의 전화 시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여도 시외통화를 허용하도록 하는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각 도의 국번을 테이블로 작성하여 다이얼링되는 번호에 따라 시외통화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각 도의 국번 테이블에 작성된 시외통화 허용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의 통화 시에는 시외통화를 차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내의 국번과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와의 결과에 따라 제한된 시외통화를 허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시외통화 허용지역을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등록하고 그 특정키이 선택여부에 따라 시외통화 방지모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에서의 시외통화 방지 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복합기에서의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예 신호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에 제공되는 지역별 국번 리스트와 플래그 상태를 보인 테이블도.
도 4는 본 발명 도 2, 도 3에 따른 허용된 시외통화 번호의 비교 검색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중앙처리장치 101 : 메모리부
102 : 조작패널 103 : 스캐너
104 : 모뎀 105 : 네트워크 콘트롤 유니트
109 : 송수화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은, 같은 도내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로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는 과정; 상기 허용지역 등록 후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테이블화하여 등록된 시외통화 허용 지역내의 국번과 현재 다이얼링되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비교 검색하여, 제한된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과정은,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에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맞으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을 등록시키는 단계는, 각 지역 번호의 끝에 등록을 알리기 위한 "*"키이와 등록 완료 시 "#"키이를 눌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과정은, 할당된 특정키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외통화 방지 모드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시외통화 허용 과정은, 상기 시외통화 방지 모드에서, 전화번호 다이얼링 시 입력되는 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0"으로 시작되면 다음 입력되는 번호를 상기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에서의 국번인지와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번호가 시외통화 허용지역 번호이면 시외통화를 형성하고 그렇지 않은 번호일 경우에는 다이얼링을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에서의 국번은, 기 등록된 각 도별 국번 테이블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은, 같은 도내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와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허용지역 등록 후 할당된 특정키이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시외통화 방지 모드에서, 전화번호 다이얼링 시 입력되는 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0"으로 시작되면 다음 입력되는 번호를 상기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에서의 국번인지와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번호가 시외통화 허용지역 번호이면 시외통화를 형성하고 그렇지 않은 번호일 경우 다이얼링을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과정에 따라서 등록을 하게 되면 시외통화 방지모드에서 같은 지역내 또는 같은 도내에서의 전화를 할 시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여도 시외통화가 허용되고 또한, 시외통화 허용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의 통화 시에는 시외통화를 차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시외통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통화 금지가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서는 시외통화가 허용되도록 함으로써 잠금 스위치를 반복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고 아울러 잠금 스위치 없이도 지역별로 시외통화를 허용 또는 차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복합기에서의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예 신호흐름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T100)와, 상기 시외통화 방지모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T101)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기 설정된 번호와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ST102)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맞으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T103)와, 상기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같은 도내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로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고 완료하는 단계(ST1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 도 2에 따른 허용된 시외통화 번호의 비교 검색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드셋이나 온훅크 다이얼링을 훅크 오프시키는 단계(ST200)와, 상기 훅크 오프 후 할당된 특정키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ST201)와, 상기 시외통화 방지모드에서 조작패널을 통해 전화번호 다이얼링 시 입력되는 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가를 검색하는 단계(ST202, ST203)와,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번호가 "0"으로 시작되지 않으면 다이얼링을 계속 허용하는 단계(ST209)와, 상기 단계(ST203)에서 검색한 결과 입력된 번호가 "0"으로 시작되면 다음 입력되는 번호들을 차례로 테이블에 있는 번호와 비교 검색하는 단계(ST204-ST206)와,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국번이 테이블에 있는 번호일 경우 시외통화 허용 플래그가 온 되었는지를 검색하여 온 되었으면 다이얼링을 허용하여 시외통화를 형성해 주는 단계(ST207)와, 상기 단계(ST207)에서 검색한 결과 허용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 다이얼링을 중지시켜 시외통화를 단절시키는 단계(ST20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외통화 허용지역을 등록시키기 위해, 조작패널(102)에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로 들어간다(단계; ST100).
이와 같이, 조작패널(102)의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로 들어간 후에 다시 조작패널(102)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T101).
이는 다른 사람이 함부로 그 지역을 바꿀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조작패널(102)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메모리부(101)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교하여(단계; ST102)와 맞지 않으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를 해제시키고, 상기 단계(ST102)에서 비교한 결과 비밀번호가 맞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 모드를 선택하여 주게 된다(단계; ST103).
이와 같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에서,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각 도마다 미리 정해져있는 할당번호를 조작패널(102)을 통해 누르거나 또는 그 조작패널의 표시장치에 나타나는 지역을 선택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외통화 허용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우리 나라의 지역번호는 도 3과 같이, 서울이 두자리, 광역시가 세자리, 그 외에 나머지는 네자리씩이다.
따라서, 같은 도내에서 같은 번호로 시작하고, 비슷한 번호끼리 뭉쳐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패널(102)을 통해 시외통화 허용지역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할당된 번호를 누르고 그 번호의 끝에서 등록을 알리기 위해 "*"키이를 누르고, 이후 등록이 완료되면 "#"키이를 눌러 도 3과 같이, 테이블화된 시외통화 허용지역의 등록을 완료한다(단계; ST104).
이와 같이 하여 시외통화 허용지역의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방지 모드를 작동시킨다.
즉 다시 말해서, 핸드셋이나 온훅크 다이얼링을 훅크 오프시키고(단계: ST200) 조작패널(102)을 통해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 시외통화방지 모드를 작동시킨다(단계; ST201).
이때도 물론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그리고, 시외통화를 방지하고 싶지 않다면 상기 특정키이를 누르지 않으면 된다.
이제 시외통화방지 모드가 동작이 된다.
상기 조작패널(102)을 통해 다이얼링 하면(단계; ST202) 중앙처리장치(100)는 입력되는 번호를 검색하여 허용된 지역에서만 시외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조작패널(102)로부터의 첫 번째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면 그 번호를 검색한다(단계; ST203).
여기서 시외통화는 "0"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먼저 이것을 비교한다(단계; ST203).
상기 검색한 결과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지 않으면 다이얼링을 계속 허용한다(단계; ST209).
그리고, 상기 단계(ST203)에서 검색한 결과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되면 다음에 입력되는 번호들을 차례로 도 3과 같이 테이블에 있는 번호와 비교 검색하여(단계; ST204, ST205)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에서의 국번인지와 비교 검사한다(단계; ST206).
상기에서 허용지역에서의 국번은 미리 도 3과 같이 만들어져 있는 각 도별 국번 테이블에서 추출된다.
상기 단계(ST206)에서 비교한 결과 입력된 번호가 상기 테이블에 해당하는 번호가 아닐 경우 다이얼링을 허용하여 통화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단계(ST206)에서 비교한 결과 입력된 번호가 상기 테이블에 있으면 그 해당하는 번호의 플래그가 온 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207).
상기 단계(ST207)에서 허용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 다이얼링을 허용하여 시외통화를 형성시켜 주고 상기 단계(ST207)에서 허용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 다이얼링을 중지시켜 통화를 단절시켜 주게 된다(단계; ST208).
상기 적용례의 결과에서, 시외통화 방지모드에서 같은 지역내 또는 같은 도내에서의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여도 시외통화가 허용되고 또한, 시외통화 허용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의 통화 시에는 시외통화가 차단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구성, 즉 다시 말해서 시외 통화방지 모드가 세팅된 상태에서 같은 지역에서의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되면 무조건 다이얼링을 무시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같은 지역 내에서 다이얼링이 "0"으로 시작하여도 시외통화를 허용함으로써 잠금 스위치를 반복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외통화 방지모드에서 같은 지역내 또는 같은 도내에서는 시외통화를 허용되고 또한, 시외통화 허용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의 통화 시에는 시외통화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잠금 스위치 없이도 시외통화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에 의하면, 시외통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통화 금지가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서는 시외통화를 허용함으로써 별도의 잠금 스위치를 반복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됨과 아울러 잠금 스위치 없이도 지역별로 시외통화를 허용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9)

  1. 같은 도내에서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로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는 과정;
    상기 허용지역 등록 후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테이블화하여 등록된 시외통화 허용 지역내의 국번과 현재 다이얼링되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비교 검색하여, 제한된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과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과정은, 할당된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에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기 설정된 번호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맞으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을 등록시키는 단계는, 각 지역 번호의 끝에 등록을 알리기 위한 "*" 키이와 등록 완료 시 "#"키이를 눌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과정은, 할당된 특정키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외통화 방지 모드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시외통화 허용 과정은, 상기 시외통화 방지 모드에서 전화번호 다이얼링 시 입력되는 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0"으로 시작되면 다음 입력되는 번호를 상기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에서의 국번인지와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번호가 시외통화 허용지역 번호이면 시외통화를 형성하고 그렇지 않은 번호일 경우 다이얼링을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에서의 국번은, 기 등록된 각 도별 국번 테이블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7. 같은 도내에서의 같은 번호로 시작되는 유사 번호끼리 테이블화하여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와 특정키이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허용 지역을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허용지역 등록 후 할당된 특정키이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시외통화 방지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시외통화 방지 모드에서, 전화번호 다이얼링 시 입력되는 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0"으로 시작되면 다음 입력되는 번호를 상기 시외통화가 허용된 지역에서의 국번인지와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입력된 번호가 시외통화 허용지역 번호이면 시외통화를 형성하고 그렇지 않은 번호일 경우 다이얼링을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단계는, 상기 할당된 특정키이를 입력하여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
    상기 시외통화 허용지역 모드에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기 설정된 번호와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맞으면 시외통화 허용지역 등록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시외통화를 허용하는 각 지역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하여 등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을 등록시키는 단계는, 각 지역 번호의 끝에 등록을 알리기 위한 "*" 키이와 등록 완료 시 "#"키이를 눌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KR1019970018584A 1997-05-13 1997-05-13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KR10022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584A KR100228710B1 (ko) 1997-05-13 1997-05-13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584A KR100228710B1 (ko) 1997-05-13 1997-05-13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322A KR19980083322A (ko) 1998-12-05
KR100228710B1 true KR100228710B1 (ko) 1999-11-01

Family

ID=1950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584A KR100228710B1 (ko) 1997-05-13 1997-05-13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7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322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70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operation mode
KR100228710B1 (ko)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KR100247344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발신자식별정보를이용한착신링발생제한방법
KR20030025046A (ko) 전화기의 부재중 착신 전화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는장치 및 그 방법
JPH0591213A (ja) 通信装置
JP3313662B2 (ja) 携帯端末
KR19990019429A (ko)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KR100211832B1 (ko) 다수전화번호 리다이알 장치 및 방법
US6963639B2 (en) Phone apparatus having redialing function capable of surely preventing unauthorized person from intercepting stored contents
KR100381899B1 (ko) 교환기에서자동재다이얼장치및방법
JP3702896B2 (ja) 通信端末装置
US6614547B1 (en) Cordless facsimile system with telephone answ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47063B1 (ko)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JPH11225186A (ja) 通信端末装置
JPH10285274A (ja) 通信端末装置
JPS63144660A (ja) フアクシミリ着呼拒否方式
GB2309355A (en) A method of relaying facsimile data at an appointed time
KR20000009062A (ko) 전화번호의 오류수정 방법 및 장치
JPH10313354A (ja) 通信端末装置
JPH042301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19361A (ko) 원격제어에 의한 팩시밀리의 메모리 다이얼 리스트송신 방법
JP2005130037A (ja) 通信端末装置
JPH11284770A (ja) 通信端末装置
JP2004064522A (ja) 通信端末装置
JP2001339531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