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705B1 -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705B1
KR100228705B1 KR1019970003350A KR19970003350A KR100228705B1 KR 100228705 B1 KR100228705 B1 KR 100228705B1 KR 1019970003350 A KR1019970003350 A KR 1019970003350A KR 19970003350 A KR19970003350 A KR 19970003350A KR 100228705 B1 KR100228705 B1 KR 10022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ght source
rotating
las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362A (ko
Inventor
조성민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7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5Optical device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for lasers, e.g. for homogenisation of the beam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01S3/0071Beam steering, e.g. whereby a mirror outside the cavity is present to change the beam di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correction of secondary colour or higher-order chromatic aber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회전체 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을 배치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스폿(Spot) 형성으로 스캐닝 속도 향상 및 제품의 저가격화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원에서 출사되어 폴리건 미러를 통해 등선속도로 굴절되어 얻어진 레이저 빔을 편향표면으로부터 편향되도록 야기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주사를 시행하여 감광드럼에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을 갖고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수단과; 상기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상기 결상용 렌즈를 통해 출사시켜 감광드럼에 스폿을 형성하는 광원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콜리메이터 렌즈, 실린더형 렌즈,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를 사용치 않고도 복수의 스캐닝이 가능함으로 스캐닝 유니트의 가격이 낮아지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광학적으로 안정된 화질과 인쇄속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스캐닝하는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표면조사(照射)용 레이저 다이오드(SEL; Surface Emitting Laser Diode)의 광원을 회전체에 소정각도로 탑재시켜 복수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스캐닝함으로서 스캐닝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콤퍼런트, 포토 스캐닝 및 기록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프린터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를 회전시켜 홀로그램 디스크 등에 형성된 기록면을 소정의 광원 및 레이저 빔을 통하여 스캐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치에서 기록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의 각각에 대하여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홀로그램 등의 스캐닝 속도를 고속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려면 에어 베어링이나 마그네틱 베어링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장치는 그 가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보인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100)와; 상기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을 광축에 대해 평행 광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터 렌즈(101)와;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101)를 통한 평행 광을 부주사 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의 선형 광으로 만들어주는 실린더형 렌즈(102)와; 상기 실린더형 렌즈(102)를 통한 수평방향의 선형 광을 등선속도로 이동시켜 스캐닝하는 폴리건 미러(103)와; 상기 폴리건 미러(103)를 등선속도로 이동시켜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터(104)와; 광축에 대해 일정한 음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폴리건 미러(103)를 통한 등선속도의 광을 주 스캐닝 방향으로 편광 시키고 구면수차를 보정하여 스캐닝 면상에 포커스를 맞추어 주는 결상용 렌즈군(105)과; 상기 결상용 렌즈군(105)을 통한 레이저 빔을 수직으로 반사시켜 결상면인 감광드럼(107)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반사미러(106)와; 상기 결상용 렌즈군(105)을 통한 레이저 빔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켜 주는 수평동기 미러(108)와; 상기 수평동기 미러(108)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동기를 맞추어 주기 위한 광센서(109)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결상용 렌즈군(105)은, 상기 폴리건 미러(103)에서 등선속도로 굴절된 레이저 빔을 집속하여 편광 시키는 구면수차 보정용 구면렌즈(105a); 및 상기 구면렌즈(105a)를 통해 구면수차가 보정된 레이저 빔을 일정한 굴절률을 갖고 주 스캐닝 방향으로 편광 시켜 주는 토릭렌즈(Toric Lens)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반도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먼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100)로부터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레이저 빔이 출사된다.
상기 출사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101)에 의해 광축에 대해 평행한 광속으로 조절된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101)를 통한 평행 광은 실린더형 렌즈(102)에 의해 부주사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의 선형 광으로 조절된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101)를 통한 수평방향의 선형 광은 스캐닝 모터(104)의 회전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광편향 소자인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103)의 회전 반사에 의해 등선속도로 이동되어 대상물을 스캐닝하게 된다.
즉 다시 말해, 상기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103)에 수평방향의 선형 광이 집광되면, 그 폴리건 미러(103)가 스캐닝 모터(104)에 의해 회전하고 있으므로 각도에 따라 광이 등선속도로 굴절 이동되어 결상용 렌즈군(105)에 집광된다.
상기 결상용 렌즈군(105)은 폴리건 미러(103)로부터 등선속도로 굴절되어 집광되는 광을 주 스캐닝 방향에 대해 구면수차(fθ)의 오차를 보정하여 편광 시키게 된다(여기서, f는 초점거리이고 θ는 화각, 즉 주사 각이다).
즉, 상기 결상용 렌즈군(105)은, 구면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일정한 굴절률을 갖고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구면렌즈(105a)와, 이 구면렌즈(105a)와 다른 굴절률을 갖고 레이저 빔을 주 스캐닝 방향으로 편광 시켜 스캐닝 면상에 포커스를 맞추어 주는 토릭렌즈(10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결상용 렌즈군(105)을 통한 레이저 빔은 결상용 반사미러(106)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반사되어 감광드럼(107)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반도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서의 기록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 즉 폴리건 미러의 각각에 대하여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속도를 증가시켜, 홀로그램 등의 스캐닝 속도를 고속화하는 효과는 얻었으나, 이와 같이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고속화를 시키려면 에어 베어링이나 마그네틱 베어링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장치는 그 가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가격의 에어 베어링이나 마그네틱 베어링을 사용치 않고 전술한 도 1과 같은 볼베어링을 사용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그 제품의 가격 면에 있어서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반면에 하나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폴리건 미러에 레이저 빔을 주사시킴으로써, 즉 다시 말해 하나의 콜리메이터 렌즈 및 실린더형 렌즈에 대해 면적이 큰 하나의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한 라인의 스캐닝만을 수행함으로써, 스캐닝 속도가 상당히 저하될 뿐 아니라 주지하다시피 콜리메이터 렌즈와 실린더형 렌즈 및 폴리건 미러를 사용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져 결국 제품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반도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기기에서의 인쇄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회전체 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광원을 배치하여 스캐닝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기존의 콜리메이터 렌즈, 실린더형 렌즈 및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를 삭제하여 제품의 가격화를 다운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광학적으로 안정된 화질 및 인쇄속도 향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 폭을 제공하는 표면조사용 레이저를 소정의 직경을 갖는 회전체 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하여 하나의 구면렌즈에 대해 상기 다수의 레이저 빔을 상호 간섭 없이 수용케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보인 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의 스캐닝을 위한 회전체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00 : 회전체부 200a : 회전드럼
200b : 고정드럼 201-203 : 표면조사용 레이저다이오드
204 : 결상용 렌즈 205 : 감광드럼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광원에서 출사되어 폴리건 미러를 통해 등선속도로 굴절되어 얻어진 레이저 빔을 편향표면으로부터 편향되도록 야기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주사를 시행하여 감광드럼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을 갖고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수단과; 상기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소정각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상기 결상용 렌즈를 통해 출사시켜 감광드럼에 스폿을 형성하는 광원을 포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폭(line-width)을 제공하는 수직 결정면으로 이루어진 표면조사용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180°의 간격으로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수단은,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드럼모터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드럼; 및 상기 고정드럼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드럼을 관통한 스캐닝모터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소정각의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취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회전하는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에 의해 등선속도로 굴절되어 얻어지는 레이저 빔을 편광시켜 감광드럼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등속도로 회전하는 드럼모터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드럼과; 상기 고정드럼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드럼을 관통한 상기 드럼모터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상기 결상용 렌즈를 통해 출사시켜 감광드럼에 스폿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상기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회전체수단의 회전드럼 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광원을 배치하여 복수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스캐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콜리메이터 렌즈, 실린더형 렌즈 및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캐닝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스캐닝 유니트의 가격이 낮아지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광학적으로 안정된 화질과 인쇄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보인 실시예 구성도 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스캐닝을 위한 회전체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고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부(200)와; 상기 회전체부(200)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등간 격으로 출사시키는 광원으로서의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와; 상기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로부터 등간 격으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을 편향표면으로부터 편향되도록 야기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편광 시켜 감광드럼(205)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204)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회전체부(200)는,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드럼모터(도면에 미 도시)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드럼(200b)과; 상기 고정드럼(200b)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고정드럼(200b)을 관통한 드럼모터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드럼(200a)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는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폭(line-width)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 1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는 회전드럼(200a)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될 수도 있고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두 개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호 180°의 간격으로 취부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는 회전체부(200)의 회전드럼(200a)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된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원으로서의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를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이를 이용한 본 발명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동작을 더욱 구체화하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반도체 레이저는 여러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기로써, 최근 들어 상용되는 그 한 종류는 전술한 수직 결정면의 표면조사용 레이저(SEL)가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다양한 조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의 에픽택셀 성장면이 정확히 제어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결정면의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는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아울러 소단면을 이루는 결정면(Cavity)은 향상된 방향성과 더 작은 라인폭(line-width)를 제공해 준다.
이와 같은 수직 결정면의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를 상기한 회전체부(200)의 회전드럼(200a)의 원주면에 작게는 두 개 또는 많게는 세 개 이상으로 하되 이들은 회전드럼(200a)의 원주면에 120°또는 180°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레이저 빔을 출사시키도록 한다.
즉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에는 180°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취부하고 3개인 경우에는 120°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취부시킨다.
상기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들은 이후에 설명될 결상용 렌즈(204)를 통해 편광 되어 스캐닝 면상에, 즉 감광드럼(205)의 표면에 스폿을 형성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광원으로써 세 개의 표면조사용 레이저, 즉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부(200)의 회전드럼(200a)에 취부된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의 전원으로서는, 일반적인 브이씨알(VCR)의 회전트랜스에서 재생과 기록시 무접촉방식에 의한 비디오헤드로의 자계신호를 전달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회전체부(200)의 드럼모터가 등선속도로 회전을 하면 이의 회전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고정드럼(200b)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회전드럼(200a)이 회전을 함으로서 상기 제 1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로부터 120°의 간격으로 출사된 레이저 빔들이 결상용 렌즈(204)를 통해 편광되어 감광드럼(205)의 표면에 스폿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제 1 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로부터 출사된 빔들을 결상용 렌즈(204)의 입사면에 120°의 간격으로 입사시킴으로서 빔들간의 간섭이 배제된다.
그리고,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2개인 경우에 있어서는 180°의 간격으로 입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제 1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가 짝, 홀수로 인입되는 스캐닝 라인 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스캐닝과정을 실시하게 될 때 3개의 스캐닝 라인을 동시에 상기한 감광드럼(205)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회전하는 기존의 폴리건 미러를 2배 또는 3배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되어 결국 스캐닝 속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대신에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회전드럼(200a)의 원주면에 120°또는 180°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직 결정면으로 이루어진 제 1내지 제 3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201 내지 203)를 회전체부(200)의 회전드럼(200a)에 상호 120°의 간격으로 취부하여 복수의 레이저 빔을 결상용 렌즈(204)의 입사면에 입사시켜 스캐닝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인쇄속도가 향상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폭을 제공하는 수직 결정면으로 이루어진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SEL) 또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하여 복수의 레이저 빔들을 스캐닝함으로써 인쇄속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기존의 콜리메이터 렌즈, 실린더형 렌즈 및 다각형의 폴리건 미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품의 가격이 다운되어 그 결과 속도향상 및 저가격의 취지에 부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광원에서 출사되어 폴리건 미러를 통해 등선속도로 굴절되어 얻어진 레이저 빔을 편향표면으로부터 편향되도록 야기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주사를 시행하여 감광드럼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을 갖고 등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수단과;
    상기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상기 결상용 렌즈를 통해 출사시켜 감광드럼에 스폿을 형성하는 광원을 포함하여 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폭(line-width)을 제공하는 수직 결정면으로 이루어진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인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수단은,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드럼모터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드럼; 및
    상기 고정드럼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드럼을 관통한 드럼모터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체수단의 원주면에 180°의 간격으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8. 광원에서 출사되어 등선속도로 회전하는 폴리건 미러를 통해 굴절되어 얻어진 레이저 빔을 편향표면으로부터 편향되도록 야기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주사를 시행하여 감광드럼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렌즈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등속도로 회전하는 드럼모터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드럼과;
    상기 고정드럼의 상부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드럼을 관통한 상기 드럼모터의 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소정 각의 간격으로 취부되어 레이저 빔을 상기 결상용 렌즈를 통해 출사시켜 감광드럼에 스폿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120°의 간격으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180°의 간격으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작은 단면적을 갖고 방향성과 작은 라인폭(line-width)을 제공하는 수직 결정면으로 이루어진 표면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인 것을 특징으로 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19970003350A 1997-02-04 1997-02-04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022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50A KR100228705B1 (ko) 1997-02-04 1997-02-04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50A KR100228705B1 (ko) 1997-02-04 1997-02-04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362A KR19980067362A (ko) 1998-10-15
KR100228705B1 true KR100228705B1 (ko) 1999-11-01

Family

ID=1949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350A KR100228705B1 (ko) 1997-02-04 1997-02-04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7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362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089A (en) Two dimensional laser scanner with movable cylinder lens
JP3220061B2 (ja) レーザスキャニングユニット
US20070024995A1 (en) Light beam emitter and image-forming device
US5481392A (en) Axial mirror scanner system and method
JP3035993B2 (ja) 光走査装置
JP2000105347A (ja) マルチビ―ム光源装置、マルチビ―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35624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JP3493848B2 (ja) 光学走査装置
KR100228705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JPS60233616A (ja) 光学走査装置
KR100246445B1 (ko) 멀티빔레이저스캐너
JPH063610A (ja) 走査光学装置
JP3198750B2 (ja) 光走査装置
JPH08248345A (ja) 光走査装置
JPH09211366A (ja) 光学走査装置
KR100228706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광원장치
JPH04242215A (ja) 光走査装置
JPS595882B2 (ja) 多面体回転鏡の面たおれ補正光学装置
JP2970053B2 (ja) 光走査装置
EP0836106B1 (en) Light-beam scanning apparatus comprising divergent or convergent light-shaping means
JP2000255097A (ja) 画像形成装置
JPH0772403A (ja) 光走査装置
JP3092155B2 (ja) 光走査光学系
KR100364405B1 (ko) 광주사장치
KR100335625B1 (ko) 레이저빔주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