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506B1 -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 Google Patents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506B1
KR100228506B1 KR1019940039911A KR19940039911A KR100228506B1 KR 100228506 B1 KR100228506 B1 KR 100228506B1 KR 1019940039911 A KR1019940039911 A KR 1019940039911A KR 19940039911 A KR19940039911 A KR 19940039911A KR 100228506 B1 KR100228506 B1 KR 10022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xyethyl
alkyl group
hydrogen
thio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523A (ko
Inventor
문광율
오성호
김충렬
남기평
손희성
김미리
정원희
김용주
오정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4003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506B1/ko
Publication of KR96002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47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47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6
    • C07D477/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and with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with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6 with hetero atoms or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n ester or nitrile radical,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3
    • C07D477/20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arbapenicillins, thienamyc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ph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477/02Preparation
    • C07D477/06Preparation from compounds already containing the ring or condensed ring systems, e.g. by dehydrogenation of the ring, by introduction, elimination or modification of substitu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제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의 신규한 카바페넴 유도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무독성 염, 생리학적으로 가수분해 가능한 그의 에스테르, 수화물, 용매화물 및 그의 이성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항생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1-히드록시에틸, 1-아미노에틸, 1-플루오로에틸 또는 히드록시메틸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C1-4알킬기 아미노메틸 또는 2-아미노에틸을 나타내며, R3는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내며, R4는 수소, C1-4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아미노기 -NRR'(여기서 R과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며, R5는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내거나, R4및 R5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3∼6 원환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본 발명은 항생제로서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의 신규 카바페넴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무독성 염, 생리학적으로 가수분해 가능한 에스테르, 수화물 및 용매화물과 이들의 이성질체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제조과정 중의 중간체와 그들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1-히드록시에틸, 1-아미노에틸, 1-플루오로에틸 또는 히드록시메틸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C1-4알킬기 , 아미노메틸 또는 2-아미노에틸기를 나타내며, R3는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내며, R4는 수소, C1-4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아미노기 -NRR'(여기서 R과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며, R5는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또는 아실옥시알킬기를 나타내거나, R4및 R5는 그들이 부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3∼6 원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Ⅰ)은 나타날 수 있는 에피머릭, 디아스테레오 이성질체 및 토토머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1976년 종래의 페니실린이나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의 베타락탐 고리를 가진 티에나마이신(Thienamycin)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틀레야(Streptomyces cattleya)의 배양액으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되었다(J. Am. Chem. Soc. 1978, 100, 6491). 이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이 광범위한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카바페넴계 항생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티에나마이신의 구조적 특이성에 기인한 화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한 이미페넴(Imipenem)이 머크(Merck)사에 의하여 개발되었다(J. Med. Chem. 1979, 22. 1435).
그러나, 티에나마이신과 마찬가지로 이미페넴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디히드로펩티다제(DHP-I, Dehydropeptidase-I)에 의해 분해되는 단점이 발견되었으며, 그 결과 DHP-I 저해제인 실라스타틴(Cilastatin)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요구된다(J. Antimicrob. Chemother. 1983. 12.(Suppl. D), 1). 카바페넴계 항생제는 병원성 박테리아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며 특히 페니실린 화합물과 같은 다른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에 의한 질병치료와 페니실린 과민성 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미페넴의 너무 빈번한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주의 발견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카바페넴계 유도체에 대한 연구는 이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특허와 보고자료들은 계속 공표되고 있다. 특히 그람 양성 및 음성균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지니면서, 신장에서 분비되는 DHP-I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β-락타마제(β-lactamase)에 대해서도 매우 안정한 카바페넴계 유도체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화합물이 스미토모(Sumitomo)사에서 보고한 메로페넴(Meropenem)이다(J. Antibiot. 1990. 519). 한편, 끊임없는 내성균의 발현으로 더욱 광범위하고 강력한 항균력을 지닌 항생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카바페넴 모핵의 C-2 위치가 치환된 메틸 그룹으로 연결된 여러가지 유도체들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들어, 슈미트등은 문헌을 통해(J. Antibiot. 1988, 780) 다음 일반식(가)의 카바페넴 항생물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아세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실기이며, R2는 수소, 칼륨, 또는 음이온이다.
그러나, 그 제조과정이 다단계이고, 항균력이 광범위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무타 등은 문헌을 통해(Chem. Pharm. Bull. 1991, 39, 663 및 672) 다음 일반식(나)의 카바페넴 항생물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칼륨, 또는 음이온이며, Het은 치환된 피리딘, 피리디니움, 피리미디니움 유도체들이다. 그러나, 녹농균들을 포함하여 그 항균력이 광범위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아놀드 등은 문헌을 통해(Tetrahedron Lett. 1992, 7133) 다음 일반식(다)의 카바페넴 항생물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R1, R2은 각각 수소 또는 보호기이며, R3는 아릴 또는 아실기이며, A는 산소, 질소, 황 등의 원소이다. 그러나, 그들의 항균력에 대해선 전혀 언급이 없다.
센도 등은 문헌을 통해(Chem. Pharm. Bull. 1992, 40, 2410) 다음 일반식(라)의 카바페넴 항생물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Het은 티아디아졸등의 헤테로고리이며, X는 불소, 니트릴기, 히드록시, 또는 아세틸옥시이다. 그러나, 그들의 제조방법이 다단계이고 중간체가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합성1W분리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항균력에 있어서도 이미페넴에 비해 녹농균 등에 대하여 오히려 열등하다.
한편, 미합중국 특허 제5,064,954호에서는 다음 일반식(마)의 2-할로메틸 카바페넴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며, R2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며, R3는 수소 또는 카르복시 보호기이며, Hal은 할로겐이다.
이 제법 특허는 카바페넴 모핵의 C-2 위치에 다양한 치환된 메틸 유도체를 도입하는 유용한 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바페넴의 C-2 위치에 다양한 유도체를 도입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핵심인 (5,6-치환-4-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기를 가진 카바페넴 화합물이 광범위한 병원균에 대해 강력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기하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식(Ⅰ) 화합물의 용매화물(수화물 포함)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 또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연산, 포름산, 말레인산, 수산, 호박산, 벤조인산, 주석산, 푸말산, 만데린산, 아스코르빈산, 말린산과 같은 유기 카르복실산 또는 메탄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같은 술폰산과의 염 및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른 산들과의 염을 포함한다. 이들 산부가염들은 통상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다. 또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무독성 염기부가염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염기는 알카리 금속 히드록사이드류(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카리 토금속 히드록사이드류(예: 칼슘히드록사이드),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탄산염 또는 준탄산염(예: 중조, 중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등의 무기염기와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염기가 포함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생리학적 가수분해가 가능한 에스테르의 예로는 인다닐, 프탈리딜, 메톡시메틸, 피바로일옥시메틸, 글리실옥시메틸, 페닐글리실옥시메틸,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 메틸 및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사용되는 다른 생리학적으로 가수분해 가능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스테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일반식(Ⅰ)화합물은 여러가지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박테리아 감염에 대해 예방 및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식(Ⅰ) 화합물은 알려진 제약용 담체와 부형체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되며 단위 투여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들어 있다. 이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로 되며, 통상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성물은 예를들면 발열성물질이 제거된 무균수로 사용전에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가 되기도 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통상의 좌약기제를 이용하는 좌약으로 제제화시킬 수 도 있다. 원한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페니실린 또는 세팔로스포린과 같은 다른 항균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형성할 때는 일반식(Ⅰ) 화합물의 활성성분을 약 50 내지 1,500함유하는 것이 좋다. 일반식() 화합물의 용량은 환자의 체중과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소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경로에 따라 하루에 약 500 내지 5,000의 범위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시 일회 투여량으로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150 내지 3,000의 전체 투여량이 충분할 것이나, 일부 균주의 감염의 경우 더 높은 하루 투여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광범위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 활성이 높고, 이 활성은 β-락타마제를 생성하는 많은 그람 음성균에도 적용된다. 특히 페니실린 내성균주인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대조약제인 메로페넴(Meropenem)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다. MRSA균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강한 균으로서, 이 균의 감염증에 대한 치료가 용이하지 않음에 감안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용성은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음 일반식(Ⅰ)의 화합물,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그의 무독성 염, 생리학적으로 가수분해 가능한 그의 에스테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다음의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필요하다면 반응 전이나 후에 히드록시 보호기 또는 산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는 상기 일반식(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6은 수소, C1-4알킬기, C3-6알케닐기, C3-7시클로알킬기, 아실옥시알킬기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로서, 알킬(C1-12)기(예 : 이소프로필, t-부틸 등),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기(예 :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이소부톡시메틸 등), 저급 지방족 알콕시 저급 알킬기(예 : 아세톡시메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부티릴옥시메틸, 피바로일옥시메틸 등),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저급알킬기(예 : 메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1-에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 등), 아릴 저급알킬기(예 : p-메톡시벤질, o-니트로벤질, p-니트로벤질, 벤즈히드릴, 프타리딜 등), 트리(저급알킬)실릴기(예 : 트리메틸실릴, t- 부틸디메틸실릴 등), 디아릴(저급알킬)실릴(예 : t-부틸디페닐 실릴 등), 트리(저급알킬)실릴 저급알킬기(예 : 트리메틸실릴에틸 등), 알케닐(C2-6)기(예 : 알릴, 비닐에틸 등)이고, R7은 1-플루오로에틸, 1-아미노에틸, 또는 -CH(Ra)-ORb 기이며, 여기에서 Ra는 수소 또는 C1-4알킬기를 나타내며, Rb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저급 알케닐기(예 : 알릴 등), 저급 알카노일(예 : 아세틸 등),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 : t-부톡시카르보닐 등), 저급 알케닐옥시카르보닐기(예 : 알릴옥시카르보닐 등), 아릴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기(예 : 벤조일옥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조일옥시카르보닐 등), 트리저급알킬실릴기(예 : 트리메칠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등) 또는 아릴저급 알킬기(예 : 벤질 등)이며, L은 이탈기로서, 할로겐, 알카노일옥시기, 알칸술포닐옥시, 아릴술포닐옥시, 알콕시 카르보닐옥시 또는 포스포릭 에스테르이다.
화합물(Ⅱ)와 (Ⅲ)을 반응시킬 때 적합한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류의 유기용매이다. 반응은 안정화제로서 알카리 금속 할라이드, 예를들면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륨, 브로모나트륨, 브로모칼륨 및 칼륨 티오티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무기염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25에서 35사이가 적당하다.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카바페넴에 관한 다른 문헌들(예 : 미합중국 특허 제5064954호)에 그 제조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필요하다면 통상의 방법으로 히드록시 보호기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들의 보호기는 기본구조의 파괴되는 정도가 최소가 되게 하면서 산, 염기, 금속, 또는 효소촉매 가수분해나 환원 등의 적합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제거시킨다.
상기 반응의 반응 생성물로부터 재결정화, 이온영동법,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여러 방법에 의해 원하는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분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R1이 1-히드록시에틸이고 R2가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상기식에서, R3, R4, R5는 일반식(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들 화합물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화합물은 아래와 같다.
I-a : (1S, 5R, 6S)-2-[(4,6-디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b : (1S, 5R, 6S)-2-[(4-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c : (1S, 5R, 6S)-2-[(4,6-디아미노-5-메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d : (1S, 5R, 6S)-2-[(4-아미노-6,7-디히드로-5H-시클로펜타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e : (1S, 5R, 6S)-2-[(4-아미노-5,6,7,8-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Ⅰ) 및 그의 무독성염(바람직하게는 알카리금속염, 알카리토금속염, 유기염, 무기산염 및 유기산염 또는 아미노산과의 염)은 다양한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을 포함한 광범위한 병원성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력을 보이며,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있어서 박테리아성 감염의 치료에 유용하다. 그 유용성을 공지의 화합물인 메로페넴(Meropenem)을 대조약제로 하여 표준균주에 대한 최소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시험 화합물을 2배 희석법에 의해 희석시킨후, 뮐러-힌톤 아가(Mller-Hinton Agar) 배지에 분산시킨 다음, ml 당 107CFU를 갖는 시험균주를 2ml씩 접종하고, 37에서 20시간 배양하여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식 (I-a) 내지 (I-d)의 화합물은 최근 문제화되고 있는 MRSA 균주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다음 실시예 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I)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가) 알릴 (1S, 5R, 6S)-2-[(4,6-디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0.55mmole, 320)를 무수 아세토니트릴(3ml)에 용해시킨후에 요오드화 나트륨(3 eq)를 0에서 적가한다. 0에서 2시간 교반한 다음, 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된 4,6-디아미노-2-피리미딘티올(1.1 eq)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1 eq)을 천천히 적가한다. 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표제 화합물(194, 수율 72)을 얻는다.
(나) (1S, 5R, 6S)-2-[(4,6-디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a)
실시예 1(가)에서 합성한 화합물 (450, 0.92mmole)과 2,2-디메틸-1,3-디옥산-4,6-디온(Meldrum's acid, 4.4 eq)을 질소하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2ml)와 디클로로메탄(2ml)에 녹인 다음, 디클로로메탄(3ml)에 용해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2 eq)을 천천히 적가한다. 반응기에 빛을 차단하고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해 침전물을 생성시킨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과 에테르로 세척하여 미색 고체인 표제화합물(270)을 얻는다(융점 : 165이상에서 분해, 수율 74%).
[실시예 2]
(가) 알릴 (1S, 5R, 6S)-2-[(4-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가)와 유사한 방법으로,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와 4-아미노피리미딘-2-티올로부터 원하는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나) (1S, 5R, 6S)-2-[(4-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b)
실시예 1(나)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가)에서 합성한 화합물로부터 원하는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
(가) 알릴 (1S, 5R, 6S)-2-[(4,6-디아미노-5-메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가)와 유사한 방법으로,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와 1,4-디아미노-5-메틸피리미딘-2-티올로부터 원하는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나) (1S, 5R, 6S)-2-[(4,6-디아미노-5-메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c)
실시예 1(나)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가)에서 합성한 화합물로부터 원하는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4]
(가) 알릴 (1S, 5R, 6S)-2-[(4-아미노-6,7-디히드로-5H-시클로펜타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가)와 유사한 방법으로,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와 4-아미노-6,7-디히드로-5H-시클로펜타피리미딘-2-티올로부터 원하는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나) (1S, 5R, 6S)-2-[(4-아미노-6,7-디히드로-5H-시클로펜타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d)
실시예 1(나)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가)에서 합성한 화합물로부터 원하는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5]
(가) 알릴 (1S, 5R, 6S)-2-[(4-아미노-5,6,7,8-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로-5H-2-일)티오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
실시예 1(가)와 유사한 방법으로,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와 4-아미노-5,6,7,8-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2-티올로부터 원하는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나) (1S, 5R, 6S)-2-[(4-아미노-5,6,7,8-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2-일)티오메틸]-6-[(1, 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e)
실시예 1(나)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5(가)에서 합성한 화합물로부터 원하는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제조예]
실시예 1-5까지의 출발물질인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는 아래의 방법으로 얻는다. 알릴 (1S, 5R, 6S)-2-히드록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284)를 무수 디클로로메탄(4ml)에 용해시킨 후, -78에서 디메틸아미노피리딘(1.2 eq)을 적가하고, 곧이어 디페닐클로로포스페이트(1.1eq)를 천천히 적가한다.
-78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30ml)로 희석하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2회 세척한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감압증류시켜 알릴 (1S, 5R, 6S)-2-[(디페닐옥시포스포릴옥시)메틸]-6-[(1, R)-(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레이트(435)를 얻는다.

Claims (4)

  1.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카바페넴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무독성 염 또는 이의 이성질체 :
    상기식에서, R1은 1-히드록시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내며, R3는 수소 또는 C3-6알케닐기를 나타내며, R4는 수소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R5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를 나타내거나, R4및 R5는 그들이 부착된 탄소원자와 함께 포화 또는 불포화된 3∼6 원탄소환을 형성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1-히드록시에틸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다음 화합물(I-a) 내지 (I-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무독성 염, 또는 이의 이성질체 : I-a : (1S, 5R, 6S)-2-[(4,6-디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b : (1S, 5R, 6S)-2-[(4,6-아미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c : (1S, 5R, 6S)-2-[(4,6-디아미노-5-메틸)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d : (1S, 5R, 6S)-2-[(4-아미노-6,7-디히드로-5H-시클로펜타피리미딘-2--일)티오메틸]-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I-e : (1S, 5R, 6S)-2-[(4-아미노-5,6,7,8-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2-일)티오메틸]-6-[(1'R)-히드록시에틸]-1-메틸카바펜-2-엠-3-카르복실산.
KR1019940039911A 1994-12-30 1994-12-30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2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11A KR100228506B1 (ko) 1994-12-30 1994-12-30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11A KR100228506B1 (ko) 1994-12-30 1994-12-30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523A KR960022523A (ko) 1996-07-18
KR100228506B1 true KR100228506B1 (ko) 1999-11-01

Family

ID=1940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911A KR100228506B1 (ko) 1994-12-30 1994-12-30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5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523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0391B1 (en) Carbapenem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072710B1 (en) Carbapenem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5255250A (ja) 新規第四級アミンチオール化合物
KR100530478B1 (ko) 카르바페넴 화합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중간체 화합물
US4613595A (en) Penem derivatives,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m
KR100228506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US4076826A (en) 3-(.beta.-Hydroxyethylidene)-6-(α-Hydroxyethyl)-7-oxo-4-oxaazabicyclo[3.2.0]heptene-2-carboxy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JPH0516433B2 (ko)
US5449672A (en) Alkylaminoalkylpyrrolidinylthiocarbapenem derivatives
KR100246947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46946B1 (ko) 신규 카바폐넴계 항생제
KR100246949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46948B1 (ko) 신규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46952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46953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100246950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11389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3232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KR910009270B1 (ko) 카바펜엠 항생제의 제조방법
KR970011388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5384317A (en) Bridged biphenyl carbapenem compounds,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JPH0798821B2 (ja) 2−(9−フルオレノニル)−カルバペネム
JPH04154782A (ja) 2―(2―ビニルピロリジニルチオ)カルバペネム誘導体
KR100246951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3233B1 (ko) 신규 카바페넴계 항생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