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59B1 -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59B1
KR100228059B1 KR1019970045320A KR19970045320A KR100228059B1 KR 100228059 B1 KR100228059 B1 KR 100228059B1 KR 1019970045320 A KR1019970045320 A KR 1019970045320A KR 19970045320 A KR19970045320 A KR 19970045320A KR 100228059 B1 KR100228059 B1 KR 10022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secticide
fan
pestici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46A (ko
Inventor
김정무
Original Assignee
김정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무 filed Critical 김정무
Priority to KR101997004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01M1/205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using vibrations, e.g. ultrasonic or piezoelectric atomiz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55Holders or dispensers for solid, gelified or impregnated insecticide, e.g. volatile blocks or impregnated p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충제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와; 상기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상태의 살충제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된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기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기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을 구동할 시간과 구동시간 및 시간 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팬의 구동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팬을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 제어부에 인가함과 동시에, 팬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와 그 제어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살충제와, 고체 상태의 살충제 및,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의 살충제를 자동살포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색인어]
살충제 살포장치, 초음파

Description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살충제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상태의 살충제(殺蟲制)나, 고체 상태의 살충제, 또는 습포(濕布)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시간동안 자동 살포(撒佈)시키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살충제는 그 조제상태에 따라 액체 상태의 살충제와, 고체 상태의 살충제가 있으며, 이를 살포하는 방법은 그 제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르다.
즉, 액체 상태의 살충제는, 분무기나, 벤츄리관, 또는 휘발성 기체를 사용하여 살포하였으며, 고체 상태의 살충제는, 이를 액체 상태로 용해시킨 후, 상기 액체 상태의 살충제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살포하거나, 또는, 이를 연소시키거나 가열하여 살포하였다.
예를 들어, 모기향과 같은 고체 상태의 살충제는 이를 연소시켜 살포하였고, 농약과 같은 분말 상태의 살충제는 이를 물 등의 용제에 용해시켜 분무기를 사용하여 살포하였으며, 모기약과 같은 액체 상태의 살충제는 휘발성 기체를 사용하여 살포하였다. 또한, 전자모기향과 같은 살충제는 세라믹 히터 등의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살충제 살포방법은, 첫째, 살충제 살포시 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살포를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셋재, 살충제 살포시 적정량을 살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넷째, 살충제를 살포하는 데 있어서도 한번의 작업으로 장기간(몇일, 또는 몇달) 동안 지속적으로 살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섯째, 살충제 살포시 살충제가 작업자에게 피복됨으로 인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다시말해, 일정 시간마다 단속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주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동안 살충제를 살포하기 위해서는 살충제 살포시기마다 작업자가 일칠이 살포를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살충제를 살포할 경우에는 살충제가 인체에 피복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정량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반복작업으로 인한 숙련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백화점, 음식점, 작업장 등과 같이 일정 시간동안만 사용하는 생활공간에서는,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지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적정량의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종래의 살충제 살포방법으로는 숙련된 작업자가 상주하기 전에는 이를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액체 상태의 살충제나, 고체 상태의 살충제, 또는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량을 단속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자동 살포시킬 수 있는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구성1은,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와; 상기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도니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기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 용기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기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을 구동할 시간과 구동시간 및 시간 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팬의 구동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의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팬을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제어부에 인가함과 동시에, 팬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조작부는, 다수의 숫자키와 문자키로 이루어진 키패드(KEYPAD)나, 터치스위치로 이루어져 다입력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고, 팬구동제어부는 모터와 모터구동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나, 전전지등의 독립전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상태와 팬의 구동상태 및 설정시간과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등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1에 따른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 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시간을 재설정 하는 시간설정단계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살충제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살충제의 살포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새로운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는 살포 시간설정단계와; 설정된 살충제 살포 시간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팬을 구동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 살충제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1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팬을 구동하여 밀폐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하여,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살충제를 내부공기의 배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구성2는, 살충제를 고형화 시킨 고체 상태의 살충제와; 상기 고체 상태의 살충제를 가열하여 연무(煙霧) 상태로 변화시키는 히터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부와; 상기 고체 상태의 살충제와 히터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된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연무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연무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과 히터를 구동할 시간과 구동시간 및 시간 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팬과 히터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와, 히터제어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히터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제어부와 히터제어부에 인가함과 동시에, 팬과 히터의 동작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조작부, 팬구동제어부와, 전원공급부 및, 표시부는 상기 구성1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며, 히터제어부는 마이컴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히터에 인가하는 공지의 스위칭회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2에 따른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 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시간을 재설정 하는 시간설정단계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살충제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살충제의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새로운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와; 설정된 살충제 살포 시간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히터를 구동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 살충제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2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팬을 구동하여 밀폐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히터에 의해 연무화된 살충제를 내부공기의 배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구성3은, 상기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저장하는 살충제용기와; 상기 살충제용기에 설치되어 액체 살충제의 양을 검출하는 살충액검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살충제 보충시기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발생부와; 상기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분무시키는 초음파진동자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상기 살충제용기와 초음파진동자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된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타측벽에 설치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할 시간과 구동 시간 및 시간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팬과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살충제검출부와 경보신호발생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제어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에 인가하고, 팬과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 및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과 액체 살충제의 잔량 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다가, 액체살충제 보충시기를 상기 살충액검출부를 통해 검출하여 살충제 보충 시기가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경보신호발생부에 경보신호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전원공급부 및 표시부는, 상기 구성1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며, 상기 초음파구동제어부는 마이컴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소정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시키는 공지의 초음파발생회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충액검출부는, 액체 살충제에 의한 통전에 의해 스위칭되는 공지의 접점스위치, 또는 살충액의 수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과 뜨개, 또는, 살충액의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발생하는 공지의 광센서(포토 트랜지스터, 포토 다이오드 등)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발생부는, 상기 마이컴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살충제 보충시기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공지의 음발생회로 및 스피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3에 따른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 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시간을 재설정 하는 시간설정단계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살충제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살충제의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새로운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와; 살충액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살충제 보충시기를 판단하여, 살충제 보충시기가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경보신호발생부를 통해 살충제 보충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살충제량 검출경보단계와; 설정된 살충제 살포 시간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 살충제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3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팬을 구동하여 밀폐 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하여,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분무된 살충제를 내부공기의 배출과 함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의 살충제 살포 경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표시부와 사용자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 실시예 2에 따른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어흐름을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습포 2 : 통풍구
2' : 배출구 3 : 고체 살충제
4 : 살충제용기 5 : 액체 살충제
6 : 살충제주입구 10,10',10" : 밀폐 용기
11,27,31 : 사용자조작부 12,23,34 : 마이컴
13,26,37 : 팬구동제어부 14,25,36 : 팬
15,26,37 : 표시부 16,28,40 : 전원공급부
21 : 히터 22 : 히터제어부
32 : 살충액검출부 33 : 경보신호발생부
38 : 초음파구동제어부 39 : 초음파진동자
110,210,310 : 시간설정단계 120,220,320 : 살포 시간 설정단계
130,230,340 : 살충제 살포단계 330 : 살충제량검출경보단계
이하,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각 구성의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은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1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0)의 일측벽에 팬(14)을 설치하고, 다른 타측 벽에 통풍구(2)를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1)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살충제 지지구조는 도시 생략).
또한,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원의 인가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5a, 15b)와, 살충제 살포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5c)와, 팬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5d)와, 타이머 기능임을 나타내는 표시부(15e)와,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5f, 15g)와, 살충제 살포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5h)와, 시계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현재 시각을, 타이머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타이머 동작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5i)와, 살충제 살포 간격을 나타내는 표시부(15j)와, 타이머 동작의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부(15k)등을 액정 표시장치에 구비하여 표시부(15)를 구성한다.
또한,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이머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스위치(11a)와, 각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11b)와, 시간의 시(時)를 설정하는 스위치(11d)와, 시간의 분(分)을 설정하는 스위치(11e)와, 설정된 내용을 셋트(SET) 시키는 스위치(11c)를 다기능 버튼 스위치로 구성하여 사용자조작부(11)를 구성한다.
이후,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조작부(11)의 신호 출력단을 마이컴(12)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12)의 팬 구동 제어신호 출력단을 팬구동제어부(13)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팬구동제어부(13)의 모터회전축에 팬(14)을 장착하고, 상기 마이컴(12)의 표시신호 출력단에 표시부(15)의 신호 입력단을 접속한 후, 전원공급부(16)의 전원을 상기 각 부에 인가하여 본 실시예 1을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12)은,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상기 사용자조작부(11)로부터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조작부(1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시계의 시간을 재설정하는 시간설정단계(110)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조작부(11)의 기능선택 스위치(11b)에 의해 시간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시를 설정하는 스위치(11d)와 분을 설정 하는 스위치(11e) 및 셋트 스위치(11C)의 조작에 설정되는 시간으로 현재 시간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살충제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120)를 수행하여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과 살포 시간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다수개 설정할 수 있다.
제4도의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5f, 15g)는 상기 설정 시간이 2개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아침 시간과 저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계 기능은 마이컴(12)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간설정단계(110)와 살포 시간 설정단계(120)를 수행한 후에는, 현재 시간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팬(14)을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팬(14)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상태의 살충제가 기화되고, 기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공기를 밀폐 용기(10)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밀폐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팬을 구동시켰을 경우 형성되는 공기의 경로 및 기화된 살충제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의 살충제를 장기간에 걸쳐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 1은, 상기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살충제가 전부 기화되면, 액체 살충제를 습포에 보충하여 주는 간단한 동작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는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2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7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통풍구(2)와 팬(25)을 설치하고, 밀폐 용기(10') 하부에 히터(세라믹 히터, 열선, 또는 면상발열체)(21)를 설치한 후, 상기 히터(21)의 상부면에 고체 상태의 살충제(3)를 장착한다(히터 및 살충제 지지구조는 도시 생략).
여기서, 표시부(26)와 사용자조작부(27)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조작부(27)의 신호 출력단을 마이컴(23)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23)의 팬 구동 제어신호 출력단을 팬구동제어부(24)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팬구동제어부(24)의 모터회전축에 팬(25)을 장착하고, 상기 마이컴(23)의 표시신호 출력단에 표시부(26)의 신호 입력단을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23)의 히터 제어신호 출력단을 히터제어부(22)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히터제어부(22)의 출력단에 히터(21)를 접속한 후, 전원공급부(28)의 전원을 상기 각 부에 인가하여 본 실시예 2를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23)은, 제8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사용자조작부(27)로부터 인가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27)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시계의 시간을 재설정하는 시간설정단계(210)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조작부(27)의 기능선택 스위치에 의해 시간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시를 설정하는 스위치와 분을 설정 하는 스위치 및 셋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으로 현재 시간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된다.
마찬가지로, 살충제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220)를 수행하여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과 살포시간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다수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간설정단계(210)와 살포 시간 설정단계(20)를 수행한 후에는, 현재 시간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팬(5)과 히터(1)를 구동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히터(21)의 발열에 의해 고체 상태의 살충제(21)가 연소되어 연무 상태가 되고, 연무화된 살충제가 함유된 공기를 밀폐 용기(10')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의 살충제를 장기간에 걸쳐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 2는, 상기 고체 상태의 살충제(3)가 전부 연소되면, 고체 살충제를 교체하여 주는 간단한 동작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은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성3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10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통풍구(2)와 팬(36)을 설치하고, 밀폐 용기(10") 내에 액체 살충제(5)를 저장하는 살충제용기(4) 및 초음파진동자(39)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살충제용기(4)의 구조 및 초음파진동자(39)의 설치구조는 공지의 초음파 가습기의 구성원리와 동일함으로 그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2')는 배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시부(37)와 사용자조작부(31)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9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조작부(31)의 신호 출력단을 마이컴(34)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34)의 팬 구동 제어신호 출력단을 팬구동제어부(35)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팬구동제어부(35)의 모터회전축에 팬(36)을 장착하고, 상기 마이컴(34)의 표시신호 출력단에 표시부(37)의 신호 입력단을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34)의 초음파진동자 제어신호 출력단을 초음파구동제어부(38)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초음파구동제어부(38)의 출력단에 초음파진동자(39)를 접속하고, 살충액검출부(32)의 신호 출력단을 상기 마이컴(34)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마이컴(34)의 경보제어신호 출력단을 경보신호발생부(33)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한 후, 전원공급부(40)의 전원을 상기 각 부에 인가하여 본 실시예 3을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34)은, 제1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사용자조작부(31)로부터 인가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3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시계의 시간을 재설정하는 시간설정단계(310)를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조작부(31)의 기능선택 스위치에 의해 시간 설정 기능이 선택되면, 시를 설정하는 스위치와 분을 설정 하는 스위치 및 셋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으로 현재 시간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된다.
마찬가지로, 살충제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320)를 수행하여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과 살포시간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살충제 살포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다수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설정단계(310)와 살포 시간 설정단계(32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살충액검출부(32)에서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살충제 보충여부를 판단하여, 살충제를 보충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경보신호발생부(33)에 인가하여 살충제 보충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살충제량검출경보단계(33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살충제량 검출경보단계(330)를 수행한 후에는, 현재 시간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팬(36)과 초음파진동자(39)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초음파진동자(39)에 의해 분무된 살충제가 함유된 공기를 밀폐 용기(10")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살충제를 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의 살충제를 장기간에 걸쳐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진동자(39)를 통해 살충제를 분무시킴으로 인해 신속한 살포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살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36)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으로 인해, 배출구(2')와 통풍구(2)를 통해 살충제를 살포할 수 있어, 광범위한 지역이나, 굴곡진 지역, 또는 상호 격리된 공간을 하나의 살충제 살포장치를 가지고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살충제 살포시에는 팬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배출구와 통풍구를 통해 살충제를 살포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와 통풍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방과 후방에 대한 살충제 살포(살충제 살포 공간이 넓을 경우: 중앙에 설치함)는 물론, 전방과 측방에 대한 살충제 살포(살충제 살포공간이 굴곡져 있을 경우: 굴곡지점에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살충제 살포공간이 벽등으로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도 그 벽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한 대의 살충제 살포장치로 양측공간에 대해 모두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 3은, 상기 액체 살충제가 소모되면, 이를 살충제주입구(6)를 통해 보충해 주는 간단한 동작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 3에서의 표시부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나, 상기 표시부에 액체 살충제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성하여, 살충제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도록 하거나, 또는, 살충제 보충 시기가 도래하였을 경우 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구성하여 살충제 보충시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습포에 함유시킨 액체 살충제는 구성1에 따라, 고체 상태의 살충제는 구성2에 따라, 액체 상태의 살충제는 구성3에 따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의 살충제를 자동살포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저장하는 살충제용기와; 상기 살충제용기에 설치되어 액체 살충제의 양을 검출하는 살충액검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살충제 보충시기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발생부와; 상기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분무시키는 초음파진동자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상기 살충제용기와 초음파진동자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된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타측벽에 설치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를 살포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시킬 시각과 구동 시간 및 시간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상태, 팬의 구동상태,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 설정 시간, 시간, 살충제 보충시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살충액검출부와 경보신호발생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각에 설정되는 시간동안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제어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에 인가하고, 팬과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과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및 살충제의 잔량 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다가, 살충제 보충시기를 상기 살충액검출부를 통해 검출하여 살충제 보충 시기가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경보신호발생부에 경보신호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2.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저장하는 살충제용기와; 상기 살충제용기에 설치되어 액체 살충제의 양을 검출하는 살충액검출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살충제 보충시기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발생부와; 상기 액체 상태의 살충제를 분무시키는 초음파진동자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초음파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상기 살충제 용기와 초음파진동자를 내포하는 밀폐 용기와; 상기 밀폐 용기의 일측벽에 설치된 통풍구와; 상기 밀폐 용기의 타측벽에 설치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밀폐된 용기내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가 함유된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밀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므로 인해, 분무된 살충제를 살포하는 팬과; 소정의 제어신호의 의해 동작되어, 상기 팬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팬구동제어부와; 상기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시킬 시각과 구동 시간 및 시간 등을 설정하는 사용자조작부와;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상태, 팬의 구동상태,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 설정 시간, 시간, 살충제 보충시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조작부와 팬구동제어부와 표시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와 살충액검출부와 경보신호발생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시각에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팬구동제어부와 초음파구동제어부에 인가하고, 팬과 초음파진동자의 동작 상태와 설정 시간과 전원인가 상태와 시간 및 살충제의 잔량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인가하다가, 살충제 보충시기를 상기 살충액검출부를 통해 검출하여 살충제 보충 시기가 도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경보신호발생부에 경보신호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과;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시간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시간을 재설정 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시간을 재설정 하는 시간설정단계와; 상기 시간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살충제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살충제의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새로운 살포 시기 및 살포 시간을 설정하는 살포 시간 설정단계와; 상기 살포 시간 설정단계를 수행한 후, 살충액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살충제 보충시기를 판단하여, 살충제 보충시기가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경보신호발생부를 통해 살충제 보충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살충제량 검출경보단계와; 상기 살충제량 검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설정된 살충제 살포 시간의 도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살충제 살포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동안 팬과 초음파진동자를 구동하여 살충제를 살포하는 살충제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자동살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70045320A 1997-08-30 1997-08-30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2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20A KR100228059B1 (ko) 1997-08-30 1997-08-30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20A KR100228059B1 (ko) 1997-08-30 1997-08-30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46A KR19990021746A (ko) 1999-03-25
KR100228059B1 true KR100228059B1 (ko) 1999-11-01

Family

ID=1952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320A KR100228059B1 (ko) 1997-08-30 1997-08-30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743B1 (ko) 2010-03-16 2012-08-20 민준기 해충의 유충 및 성충 제거를 위한 초음파발생 및 분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300378A1 (en) * 2011-08-26 2014-03-1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Bed bug contro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heat and volatile insectici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03A (ko) * 1983-05-27 1985-04-10 후지사와 토모키찌로오 2,6-이중치환-1,4-디하이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과 이것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03A (ko) * 1983-05-27 1985-04-10 후지사와 토모키찌로오 2,6-이중치환-1,4-디하이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과 이것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743B1 (ko) 2010-03-16 2012-08-20 민준기 해충의 유충 및 성충 제거를 위한 초음파발생 및 분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46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9068B1 (en) Motion-sensing air freshener of the spray-type
US5029729A (en) Method of dispensing vapor to the air in a room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A2385089C (en) Programmable dispenser
US20140097266A1 (en) Scent disperser arrangement in an HVAC system
EP2111875A1 (en) Emanator for air treatment agent with odour detection
KR20090010954A (ko) 전기식 에어로졸 기구
JP2010509012A (ja) 揮発性液体を蒸発させるための装置
US4658985A (en) Method of dispensing vapor to the air in a room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2514519A (ja) 芳香剤供給器
CN102215877B (zh) 分配挥发性物质的方法
US20110068190A1 (en) Methods of Emitting a Volatile Material from a Diffuser
KR20120089728A (ko) 개선된 냄새 센서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처리제 분배 장치
KR20220108716A (ko) 무화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무화 동작 방법
CN102215878A (zh) 分配挥发性物质的方法
KR100228059B1 (ko) 살충제 자동살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566502A (en) Room insecticide dispenser
US102396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ffusing volatile substances
US11350675B2 (en) Vape coil cleaning device
JP4504869B2 (ja) 加湿装置
WO2017011875A1 (en) User controlled aerosol dispenser
JP2003169585A (ja) 薬剤揮散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薬剤揮散装置キット
JP2002005492A (ja) 加湿器
JP2016097209A (ja) 香り空間システム
JP3601809B2 (ja) 環境衛生機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H1080468A (ja) 手指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