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681B1 -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 Google Patents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681B1
KR100227681B1 KR1019940017283A KR19940017283A KR100227681B1 KR 100227681 B1 KR100227681 B1 KR 100227681B1 KR 1019940017283 A KR1019940017283 A KR 1019940017283A KR 19940017283 A KR19940017283 A KR 19940017283A KR 100227681 B1 KR100227681 B1 KR 10022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otoelectric conversion
conversion element
stabilizer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4001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81B1/ko
Priority to US08/500,825 priority patent/US5606382A/en
Priority to CN95108434A priority patent/CN1115866A/zh
Priority to JP7181787A priority patent/JPH085455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카메라의 촛점을 조정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과; 카메라의 촛점조절을 수동으로 절환 하기 위한 수동절환 스위치와; 상기의 전원이 카메라 촛점조절모드가 수동일 경우에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절전부와; 내부에는 성벽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좌우로 돌릴수 있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광전변환소자와;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이가 제1광전변환소자와 90도가 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광전변환소자와; 상기 제2광전변환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안정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안정부와; 상기 제1광전변환소자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신호 안정부의 안정된 신호를 클럭 입력으로 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플립플롭(120)으로 구성되어, 신호 안정부를 이용하여, 매뉴얼 포커스 조정을 할 경우에 노이즈에 의해 동작이 불안정한 것을 안정하게 하고, 수동으로 촛점조절을 할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을 동작상의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에 관한 것.

Description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상세회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각부 동작 파형도이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각부 정방향 동작 파형도이다.
제5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각부 부방향 동작 파형도이다.
제6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내의 회전링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5,7,11,13,14,15,16,18 : 저항
2T,4T,6T,12T,17T : 트랜지스터 4D : 발광다이오드
6D : 발광다이오드 4 : 제1광전변환소자
6 : 제2광전변환소자 22 : 절전부
23 : 신호 안정부 21 : 수동 절환 스위치
21 : 디플립플롭
이 발명은 이너 포커스 렌즈(INNER FOCUS LEN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너 포커스 렌즈에서 신호 안정부를 이용하여 매뉴얼 포커스(MANUAL FOCUS) 조정을 할 경우에 노이즈에 의해 동작이 불안정한 것을 안정하게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포커싱 방법에는 오토 포커싱과 매뉴얼 포커싱의 두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으며, 매뉴얼 포커싱에서는 수동으로 카메라 사용자가 회전링을 돌리면 매뉴얼 포커싱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촛점을 맞추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상세 회로도로서 그 구성은, 회로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VCC)과; 사용자가 수동으로 좌우로 돌릴수 있고, 돌기가 형성된 수동링과(80); 상기 수동링(80)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이가 90도가 되게 위치한 제1광전변환소자(40), 제2광전변환소자(60); 상기 광전변환소자(40, 60)에서 생성되는 펄스 신호(S90, S100)를 출력하기 위한 저항(50, 70)과; 상기 저항(50, 70)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S90, S100)를 입력으로 하여 신호(S110)를 출력하는 디플립플롭(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전원(VCC)이 제1광전변환소자(40), 제2광전변환소자(60)의 발광다이오드(4D, 6D)에 인가되어 발광을 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동링(80)을 돌리면 회전링(80)의 돌기부분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4D, 6D)의 빛의 통과와 차단이 교대로 되어 전기적으로 온오프되어 펄스 신호(S90, S100)가 저항(50, 70)을 통하여 출력되며, 이 때의 동작파형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 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펄스 신호(S90, S100)는 두 신호(S90, S100)의 상호간섭에 의해 불필요한 노이즈를 포함하게 된다. 이중에서 디플립플롭(120)의 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S(1000)는 디플립플롭(120)을 통해 출력되며, 이 때의 동작파형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펄스 신호S(1000)의 일정기간 동안의 펄스수를 계수하여 회전량을 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는 상기한 펄스 신호S(1000)의 노이즈가 출력신호(S120)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이즈 때문에 펄스수가 증가하는 오동작하여 회전수를 정확히 알 수 없고, 디플립플롭(120)의 출력 즉 회전방향신호(S110)가 정·부로 교대로 출력됨으로 정방향·부방향을 판단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을 제한적조건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일반 저노이즈 IC를 사용하여도 오동작을 일으키는 노이즈는 히스테리시스폭이 크기 때문에 일반 저노이즈 IC의 히스테리시스폭으로는 단속적으로 오동작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 회로는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항상 전원을 광전변환소자로 인가해 주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너포커스 렌즈에서 신호 안정부를 이용하여 매뉴얼 포커스 조정을 할 경우에 노이즈에 의해 동작이 불안정한 것을 안정하게 하고, 수동으로 촛점조절을 할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발명의 구성은,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과; 카메라의 촛점조절을 수동으로 절환 하기 위한 수동절환 스위치와; 상기의 전원이 카메라 촛점조절모드가 수동일 경우에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절전부와; 내부에는 성벽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좌우로 돌릴수 있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광전변환소자와;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이가 제1광전변환소자와 90도가 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광전변환소자와; 상기 제2광전변환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안정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안정부와; 상기 제1광전변환소자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신호 안정부의 안정된 신호를 클럭 입력으로 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플립플롭(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신호 안정부는 히스테리스스폭을 조정하여 안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4, 5도는 각방향, 각부에서의 동작파형도이고, 제6도는 회전링의 상세도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의 구성은, 전원의 공급하기 위한 전원(VCC)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제1광전변환소자(4)의 제1발광다이오드(4D)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제2광전변환소자(6)의 제2발광다이오드(6D)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절전부(22)의 트랜지스터(2T)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2)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변이 가능한 저항(1)이 연결되고, 저항(1)에는 수동절환 스위치(2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광전변환소자(4, 6) 중간에 회전링(8)이 위치하고, 전원(VCC)이 각각의 트랜지스터(4T, 6T)에 연결되고, 저항(5, 7)은 상기 트랜지스터(4T, 6T)의 에미터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6T)의 에미터에 신호 안정부(23)의 저항(11), 트랜지스터(12T), 트랜지스터(17T)의 순서로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12T, 17T)에는 저항(13, 14, 15, 16, 18)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4T)의 컬렉터는 디플립플롭(21)의 입력으로 연결되고, 신호 안정부(23)의 트랜지스터(17T)의 콜렉터는 디플립플롭(21)의 클럭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링(8)은 센서(4, 6)를 포함하며, 제6도에 확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키싱 회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사용자가 수동절환 스위치(24)를 온시키면 저항(1)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WT)는 도통상태가 되어 제1광전변환소자(4)의 제1발광다이오드(4D)에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이 인가되면, 제1발광다이오드(4D), 제2발광다이오드(6D)가 발광을 하고, 저항(3)을 통해 전원이 트랜지스터(2T)로 인가된다.
카메라 사용자가 회전링(8)을 돌리면 회전링(8)의 돌기부분에 의해 발광다이오드(4D, 6D)의 빛이 통과와 차단이 교대로 되어 전기적으로 온오프되는 펄스 신호(S9, S10)가 저항(5, 7)으로 출력되며, 그 파형은 정방향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고, 부방향이 제5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펄스 신호(S10)는 신호 안정부(23)의 저항(11)을 통해 트랜지스터(12T), 트랜지스터(17)를 통해 안정화된 신호(S20)로 출력되는데, 그 때의 정방향 동작 파형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고, 부방향 동작파형도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안정화된 신호(S20)는 디플립플롭(21)의 클럭 입력이 되며, 상기의 펄스 신호(S9)가 디플립플롭(21)의 입력이 된다. 디플립플롭(21)은 그 결과 신호(S19)를 출력하며, 그 때의 정방향 동작 파형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고, 부방향 동작 파형도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안정호된 펄스 신호(S20)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구해진다. 저항(14)이 트랜지스터(12T, 17T)의 공통 에미터 저항으로 동작하여 입력되는 펄스 신호(S10)가 저항(14)에 유기되는 전압보다 낮으면 트랜지스터(12T)가 오프 상태가 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17T)는 저항(15, 16)에 의해 베이스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온 상태가 되어 출력 신호(S20)는 로우 상태가 된다.
입력신호(S10)가 저항(14)에 유기되는 전압과 같아지거나 커지면 트랜지스터(12)는 온오프가 되어 트랜지스터(12T)의 콜렉터 전압이 낮아져서 트랜지스터(17T)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력 신호(S20)는 하이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14)을 조정함으로써 출력신호(S20)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변화되는 전압을 가변하고, 저항(1,5 16)을 조정하여 출력신호(20)가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화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폭을 가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 안정부를 이용하여 매뉴얼 포커스 조정을 할 경우에 노이즈에 의해 동작이 불안정한 것을 안정하게 하고, 수동으로 촛점조절을 할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전원과; 카메라의 촛점조절을 수동으로 절환 하기 위한 수동절환 스위치와; 상기의 전원이 카메라 촛점조절모드가 수동일 경우에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절전부와; 내부에는 성벽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좌우로 돌릴수 있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광전변환소자와; 상기 회전링의 돌기부분에 맞추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이가 제1광전변환소자와 90도가 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광전변환소자와; 상기 제2광전변환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안정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안정부와; 상기 제1광전변환소자의 펄스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신호 안정부의 안정된 신호를 클럭 입력으로 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호 안정부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작용을 이용하여 안정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신호 안정부는 저항을 가변하여 전압을 변화하는 방법으로 안정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전부는 트랜지스터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의 촛점조절을 수동으로 할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디플립플롭의 클럭단자로 제1광전소자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한 디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는 상기한 신호 안정부의 출력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KR1019940017283A 1994-07-18 1994-07-18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KR10022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283A KR100227681B1 (ko) 1994-07-18 1994-07-18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US08/500,825 US5606382A (en) 1994-07-18 1995-07-11 Manual focusing circuit using a signal stabilizer
CN95108434A CN1115866A (zh) 1994-07-18 1995-07-14 采用信号稳定器的手动聚焦电路
JP7181787A JPH0854554A (ja) 1994-07-18 1995-07-18 信号安定部を用いたマニュアルフォーカシング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283A KR100227681B1 (ko) 1994-07-18 1994-07-18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681B1 true KR100227681B1 (ko) 1999-11-01

Family

ID=1938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283A KR100227681B1 (ko) 1994-07-18 1994-07-18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6382A (ko)
JP (1) JPH0854554A (ko)
KR (1) KR100227681B1 (ko)
CN (1) CN11158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061B2 (ja) * 2002-07-09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電源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760563B2 (en) 2010-10-19 2014-06-24 Hand Held Products, Inc. Autofocusing optical imaging device
US8692927B2 (en) 2011-01-19 2014-04-08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terminal having focus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45Y2 (ko) * 1980-04-30 1991-05-17
US4613224A (en) * 1982-07-10 1986-09-23 Nippon Kogaku K. K. Motor driver for auto-focus camera
JPH0722256B2 (ja) * 1988-04-20 1995-03-08 株式会社東芝 パルス発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866A (zh) 1996-01-31
JPH0854554A (ja) 1996-02-27
US5606382A (en) 1997-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272B1 (ko) 클럭발생기
JP3002396B2 (ja) 自動防眩ミラー
KR100227681B1 (ko) 신호 안정부를 이용한 매뉴얼 포커싱 회로
US4720762A (en) Current drive circuit
KR920003448B1 (ko) 펄스발생회로
JPH0936471A (ja) 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SU587607A1 (ru) Тактируемый д-триггер
KR0181919B1 (ko) 엔코더를 이용한 음량제어장치
JP2684701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KR930006697Y1 (ko) 인코더의 인코딩 증가회로
SU1039020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940002612Y1 (ko) 로우레벨 pwm 인버터회로
KR940009475B1 (ko) 펄스폭 변조회로
KR900000535Y1 (ko) 세탁기의 수류 제어회로
JPH0531671B2 (ko)
KR200156173Y1 (ko) 슈미트 트리거를 이용한 리셋신호 안정화 회로
KR880003263Y1 (ko) 리모콘 시그날의 복조회로
JPH028435Y2 (ko)
SU1401551A1 (ru) Фотодатчик
KR930006135Y1 (ko) 펄스 발생회로
SU1251295A2 (ru) Симметричный триггер
JPH0119472Y2 (ko)
SU905992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30000912Y1 (ko) 시그날 온 딜레이 타이머 회로
KR960003378Y1 (ko) 전원공급장치의 쵸퍼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