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266B1 - 영상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266B1
KR100227266B1 KR1019960043502A KR19960043502A KR100227266B1 KR 100227266 B1 KR100227266 B1 KR 100227266B1 KR 1019960043502 A KR1019960043502 A KR 1019960043502A KR 19960043502 A KR19960043502 A KR 19960043502A KR 100227266 B1 KR100227266 B1 KR 10022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lation coefficient
area
searc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464A (ko
Inventor
권순호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최춘길
태석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길, 태석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춘길
Priority to KR101996004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2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인식방법을 공개한다. 그 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영역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되는 비교될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비교될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소정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소정수의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각각 구하는 제1탐색단계; 상기 소정수의 영역 중 상관계수가 가장 큰 영역 주위의 탐색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제2탐색단계;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큰 경우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과 상기 탐색 영역의 위치오차를 계산하는 위치 오차 계산단계; 및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수의 영역중 상관계수가 다음으로 큰 영역 주위의 탐색영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2탐색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영상의 위치로부터 비교될 영상의 어느 위치로 이동했는지를 찾는데 필요한 연산횟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 인식방법
본 발명은 영상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설정된 영상과 비교될 영상의 위치오차를 추출하기 위한 영상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인식방법이란 미리 설정된 영상이 찾아보고자 하는 영역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 또는 미리 설정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소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가 등의 판단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과 비교할 영상을 비교 검사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도구가 필요로 하게된다.
그런데, 종래의 영상 인식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상과 비교할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비교함에 의해서 비교할 영상이 미리 설정된 영상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영상의 움직임을 추출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할 영상이 미리 설정된 영상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영상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되는 비교될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비교될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소정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소정수의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각각 구하는 제1탐색단계; 상기 소정수의 영역 중 상관계수가 가장 큰 영역 주위의 탐색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제2탐색단계;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큰 경우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과 상기 탐색 영역의 위치오차를 계산하는 위치 오차 계산단계; 및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수의 영역중 상관계수가 다음으로 큰 영역 주위의 탐색 영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2탐색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미리 설정된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로부터 비교할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까지의 오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2(a)도 및 제2(b)도는 종래의 영상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영상 인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상이 존재하는 우치로부터 비교할 영상이 존재하는 위치까지의 오차를 측정하는 방법은 제1도에 나타내었다. 물체(P2)까지의 위치벡터(Px)를 알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위치(P1)에서 위치(P2)까지의 오차벡터(Perror)를 측정함으로써 위치벡터(Px)를 구할 수 있다. 즉, Px = Pknown+Perror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굵은 글씨는 벡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오차벡터(Perror)를 구하는 것이 위치를 구하는 관건이다.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오차벡터(Perror)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차벡터(Perror)에서 물체(P1)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놓고, 물체(P1) 주위에서 물체(P1)와 가장 유사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 위치를 찾는데 그 위치까지의 벡터가 오차벡터(Perror)이다. 여기에서, "가장 유사하다"의 판단이 문제가 된다.
두 개의 이차원 영상이 유사하다고 하는 것은 두 영상의 명암도의 오차가 작다는 의미가 된다.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것처럼, 미리 설정된 영상(F1)의 소정 영역(T1)내의 UDD상 데이터를 v(m,n)이라 하고, 비교될 영상(F2)의 영상 데이터를 u(m,n)이라 하자. 여기에서, 0mM, 0nN(단, N과 M은 자연수)이다. 그러면, 두 영상(T1, F2)의 오차의 합(SD)은 아래의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
오차의 합(SD)이 최소인 점을 찾으면 되나, 어떠한 경우에도 최소인 점은 발생하고, 화면에 물체가 없더라도 마치 있는 것처럼 판단할 수 있다. 즉,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오차의 제곱의 합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두 영상 u(m,n), v(m,n)간의 상관계수(p)는 아래의 수학식 2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에서 E[ ]는 기대치를 의미하고 E[x], E[xy], E[x2]은 각각 아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되어진다.
[수학식 3]
만일, 영상 v(m,n)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의 영상이라고 하고 영상 u(m,n)이 그 주위에서의 한 위치에서의 영상이라고 한다면, 기대치들(E[v2], E[v], E2[v])의 값은 미리 계산할 수 있는 값이 되고, 주변에 대하여 기대치들(E[u2], E[u], E2[uv])을 계산하여 상관계수(p)를 구할 수 있다. 이 상관계수(p)가 최대치가 되는 점이 바로 찾고자 하는 점이 된다. 그런데, 상관관계(p)가 -1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으므로 어느 정도 유사한지가 수치로 표현된다. 만일, 상관계수(p)가 0.9이면 90유사하다고 할 수 있고, 특정한 값 이상이면 물체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가 그 문턱값을 쉽게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관계수(p)를 구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블럭의 영상 데이터(T1)를 비교될 영상의 전 영역(F2)에 걸쳐서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연산을 고속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블럭(T1)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세제곱의 크기에 비례하여 연산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탐색 영역에 대하여 상관계수(p)를 구하는 것은 연산횟수가 많아 고속처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만일 영상이 갖는 최고 주파수가 어떤 범위 내에 있다고 하면 모든 탐색영역(F2)에 대하여 상관계수를 구할 필요 없이 몇 화소씩 건너 뛰면서 구할 수 있다.
이제, 제3(a)도 내지 제3(d)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3(a)도에 나타낸 것처럼, 미리 설정된 영상(F1)의 소정블럭(T1)의 데이터의 값과 좌표를 저장하여 둔다. 다음으로,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될 영상(F2)을 입력하여 이 영상(F2)을 소정 블럭(T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소정 개수의 블럭으로 나눈다. 제3(b)도에서는 비교될 영상(F2)이 16개의 블럭으로 나누어진 것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블럭(T1)의 영상 데이터와 16개의 블럭의 영상 데이터의 상관계수(p)를 상기 수학식 2에 의해서 구한다. 그래서, 가장 상관계수(p)가 큰 블럭을 찾는다. 그래서, 만일 상관계수(p)가 가장 큰 블럭이 6번 블럭(T2)이라고 하고 그 다음으로 상관계수(p)가 큰 블럭이 11번 블럭(T3)이라고 하자. 제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6번 블럭(T2) 주위의 탐색영역(SA1)의 영상 데이터와 블럭(T1)의 영상 데이터의 상관계수(p)를 계산하여 계산된 상관계수(p)들 중에 주어진 값보다 높은 값이 있다면 블럭(T1)과의 벡터차이값을 계산하게 되고, 높은 값이 없다면 이 영역 내에서는 블럭(T1)과 일치하는 영상 데이터가 없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번 블럭(T3)주위의 탐색영역(SA2)의 영상 데이터와 블럭(T1)의 영상 데이터의 상관계수(p)를 계산하여 계산된 상관계수(p)들 중에 주어진 값보다 높은 값이 있다면 블럭(T1)과의 벡터차이값을 계산하게 되고, 높은 값이 없다면 이 영역 내에서도 블럭(T1)과 일치하는 영상 데이터가 없는 것이므로 다음으로 상관계수(p)가 큰 블럭으로 가서 제3(c)도 및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블럭의 영상 데이터와 비교될 영상의 데이터를 소정 블럭으로 분할하여 그 소정 블럭과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대략적으로 상관계수가 가장 큰 영상 데이터가 위치할 위치를 1차 탐색하고, 그 다음으로 1차 탐색된 블럭 주위를 2차 탐색하는 방법으로 상관계수가 가장 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위치를 찾아 그 위치오차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은 와이어 본더와 같은 장치에 응용되어 반도체 칩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항상 원하는 자리에 본딩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인식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상의 위치로부터 비교될 영상이 어느 위치로 이동했는지를 찾는데 필요한 연산횟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되는 비교될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비교될 영상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 데이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소정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소정수의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각각 구하는 제1탐색단계; 상기 소정수의 영역 중 상관계수가 가장 큰 영역 주위의 탐색 영역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 영역의 데이터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제2탐색단계;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큰 경우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의 소정 영역과 상기 탐색 영역의 위치 오차를 계산하는 위치 오차 계산단계; 및 상기 제2탐색단계에서 구해진 상관계수가 설정된 상관계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수의 영역중 상관계수가 다음으로 큰 영역 주위의 탐색 영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2탐색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인식방법.
KR1019960043502A 1996-10-01 1996-10-01 영상 인식방법 KR10022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02A KR100227266B1 (ko) 1996-10-01 1996-10-01 영상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02A KR100227266B1 (ko) 1996-10-01 1996-10-01 영상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64A KR19980025464A (ko) 1998-07-15
KR100227266B1 true KR100227266B1 (ko) 1999-11-01

Family

ID=1947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502A KR100227266B1 (ko) 1996-10-01 1996-10-01 영상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2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64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809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stereo image
US51990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characters on a label
US5999653A (en) Fast techniques for searching images using the Hausdorff distance
KR20030066582A (ko) 순환적 히스토그램 벡터 발생과 매칭하는 팔레트-기초히스토그램
EP0513678A2 (en) Fast character segmentation of skewed text lines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EP1246119B1 (en) Fingerprint/palmprint imag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KR20200054344A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인스턴스 객체별 거리값 검출 장치 및 방법
WO2015136709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センサ、画像処理方法
WO1991019273A1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thinning alphanumeric characters
KR100227266B1 (ko) 영상 인식방법
US5361309A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low-resolution storage for character extraction
US20060018554A1 (en) Block-based motion estimation method
JP3066137B2 (ja)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
WO1993015474A1 (en) Method of inspecting articles
US20040146194A1 (en) Image matching method, image matching apparatus, and wafer processor
JP2858530B2 (ja) エッジ強調装置
JPH0737893B2 (ja)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
KR19990016894A (ko) 영상 데이터베이스 검색방법
KR19990005319A (ko) 영상 데이터베이스 검색방법
JP2897439B2 (ja) コーナ位置検出方法
JPH1021403A (ja) 対応点抽出方法及び装置
JP2000311244A (ja) 画像のマッチング方法
JPH1139477A (ja) 対応点探索装置
JPH04157577A (ja) 位置合わせ装置
JP2835269B2 (ja) 画像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