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111B1 -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111B1
KR100225111B1 KR1019920001339A KR920001339A KR100225111B1 KR 100225111 B1 KR100225111 B1 KR 100225111B1 KR 1019920001339 A KR1019920001339 A KR 1019920001339A KR 920001339 A KR920001339 A KR 920001339A KR 100225111 B1 KR100225111 B1 KR 10022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dhesive
spot
upper layer
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650A (ko
Inventor
그로쉰 페에르
데물렝 베르나드
Original Assignee
베르나드 보자르트
레니에르 드 피카르디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38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1040B2/ja
Priority claimed from FR9101287A external-priority patent/FR2672313B1/fr
Application filed by 베르나드 보자르트, 레니에르 드 피카르디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베르나드 보자르트
Publication of KR92001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4Processes for the fixation or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in three-dimensional fo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 H01L21/28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liquid, e.g. electrolytic deposition using an external electrical current, i.e. electro-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3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0347Manufacturing methods using a lift-off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3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036Manufacturing methods by patterning a pre-deposited material
    • H01L2224/0361Physical or 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3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039Methods of manufacturing bonding areas involving a 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03912Methods of manufacturing bonding areas involving a 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the bump being used as a mask for patterning the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3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039Methods of manufacturing bonding areas involving a 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03914Methods of manufacturing bonding areas involving a 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the bonding area,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being used as a mask for patterning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75Plural external layers
    • H01L2224/05576Plural external layers being mutually engaged together, e.g. through inse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1147Manufacturing methods using a lift-off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13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1Sodium [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5Phosphorus [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2Titanium [T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4Chromium [C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7Cobalt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2Molybdenum [M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6Palladium [P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6Barium [B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8Cerium [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4Tungsten [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4Solde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29Gallium arsenide [Ga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1Analog devices
    • H01L2924/1423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4Component type
    • H01L2924/19041Component type being a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4Component type
    • H01L2924/19042Component type being an i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4Component type
    • H01L2924/19043Component type being a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07Inductance

Abstract

본 발명의 직물카버링은 다른 직물, 예를 들면 옷감에 성층화시켜서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의 물리적 특성, 즉 견고성, 섬유강도, 가요성, 촉감, 분량등은 제어 가능한 것으로서, 우수한 품질의 재품을 생산할 수 있고 단순한 공업적용이 가능한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빛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합체 스포트들이 정확하게 분포된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품 전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복합체에 대해 상당한 부풀음과 큰 분량, 양호한 가요성 및 탄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직물 카버링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자동제어 방식을 보여주는 개략도.
본 발명은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 지지체상에, 스포트로 분포된 형태로 열접착성 중합체층의 표피를 형성하여,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을 제조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직물 카버링은 다른 직물, 예를들면, 옷감에 성층화(成層化)시켜서,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의 물리직 특성, 즉, 건고성, 섬유강도, 가요성, 촉감, 분량 등은 제어 가능한 것이다.
이 복합체의 특성은, 옷감의 성질, 직물카버링의 섬유 지지체의 성질, 및 열접착성 물질층의 성질, 구성, 적용방식의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다.
제조후, 이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은 주위온도하에서 저장할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개 권취형상으로 저장되는 이 제품은, 그 인접층들이 서로 달라붙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이 열접착성 카버링은 꿰뚫은 자국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이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은 후에 옷감에 성층시켜서, 원하는 복합체가 되게끔 한다.
대부분의 경우 성층작업은, 프레스로서 수행하며, 프레스 작업은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수 데시바아(Decibar) 내지 수 바아(Bar)의 압력하에서 짧은시간 동안, 즉 10초 내지 30초 동안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직물카버링의 열접착성 증합체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 접착성을 회복하게 된다.
또 이 작업 수행중, 이 열접착성 중합체가 옷감을 뚫고 왕복하는것, 즉 직물카버링의 지지체를 뚫는 일이 없도록 피해야 한다.
이러한 뚫고 왕복하는 현상은 미관상 좋지않은 결과를 가져오며, 또 사용상 적합치 못한 직물카버링을 만들거나, 또는 최소한 원치않는 불리한 특성을 복합체에 부여한다.
TEINTEX (제37권 제11호, 1972년, PARIS, P 601-606)라는 문서는 열접착력을 일으키는데 사용되는 제품과, 그 방법과, 그것을 적용하는 물건들에 대해 설명한다.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의 처음 사용시에 뚫고 왕복하는 현상이 보였으며, 그후 이 결함을 피하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여왔다.
특히, 섬유지지체에, 상이한 특성을 가진 중합체층을 연속적으로 여러층 퇴적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미국특허 제 US-2,631,947호는 수선용 열접착성 직물에 대해 설명 하는데, 이것은 한 겹의 섬유지지체와 두겹의 접착성층으로 구성되며, 이 접착성층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나, 서로 상이한 점도를 가진다. 지지체와 접촉해 있는 접착성층은 표면층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따라서, 직물카버링이 수선할 옷감에 접착하는 강도가 보강되고, 그후 계속 세탁할때 견고성이 개선되며, 뚫는 현상이 제거된다.
특허 제 GB-A-1,133,331호, 및 제 GB-A-1,360,496호는 의류 제조용, 용융성 직물카버링을 제안하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천을 불연속적인 접착층이 덮고 있고, 이 층은 제1 열가소성 물질로서 구성되며, 각 스포트(Spot)에는 제2 중합체 물질이 덮여 있으며, 이 제2 중합체 물질은 열 교차 연결성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물질보다 더 높은 융점을 가지고 있다.
더 최근에 와서, 특허 제 FR-2,177.038호는 하나의 지지체에 두 층의 접착층을 순차적으로 최적시켜서, 직물카버링을 만드는 것을 제안했다. 제1층은, 고점도 및 고 융점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성의 분산체로서 스크린 프린팅 함으로서 피막형성을 하는 방식으로 퇴적시켰다.
제2층은, 제1층보다 낮은 점도와 낮은 융점을 가진 열 접착성 중합체 분말을 살포하여 형성하였다.
제1 점성층에 살포방식으로 제2층을 형성할때, 그 제2층에는 결과적으로 훌륭한 규칙성이 생겨나지 않는다. 더구나, 대부분의 경우, 이 제2층에 의해 형성된 스포트들은 제1층에 의해 형성된 스포트들을 벗어나며, 따라서, 성층시에 꿰뚫음을 유발한다.
또 특허 제 FR-2,318,914 및 제 FR-2,346,058호는, 깊이 조각한 실린더를 이용하여 마른 분말 형태의 중합체를 도포함으로서, 섬유지지체상에 2개의 층을 동시에 퇴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 하층은 제2층보다 높은 점도와 높은 융점을 가진 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깊이 조각한 실린더를 이용하여 건식으로 만든 피막들은 두층사이의 기계적 응집력이 결핍되어 문제가 된다. 두층사이의 접합면은 약한 부위를 형성하며, 이러한 직물카버링으로 만든 의류들은 조심해서 다루어도 지탱해 내지 못한다.
독일특허 제 P-2,461,845,9호는 스크린 프린팅 프레임에 의한 동시퇴적법을 제안하는데, 여기서, 두개의 점성 분산체 층에는, 서로 다른 점도와 서로다른 융점을 가지는 중합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두 반죽은 두개의 별도의 접합된 스크레이퍼를 사용하여 동일 프레임에 의해 공급된다.
이 기법은 수행상 불가능하다고는 할수 없지만, 극히 거추장스럽다. 경허에 의하면, 분산체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섬유지지체 상에 퇴적됨이 없이는 그라비아 실린더의 구멍들을 채우기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 퇴적방법은, 섬유지지체상에, 두 분산체의 혼합물에 의한 꿰뚫음을 발생시켜서, 우수한 품질의 직물카버링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제 FR-2,576,191호는, 서로 상이한 점도와 상이한 융점을 가진 중합체의 두층을 순차적으로 퇴적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여기서 상기 두층은 직물지지체의 양면에 퇴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수 있고, 단순한 공업적용이 가능한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지지체에 스포트로 분포된 열접착성 중합체 피막을 퇴적시키는,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지지체는 콘베이어 벨트에 일시적으로 결속되고, 스포트로 분포된 중합체의 하층은 제1 회전프레임에 의해 섬유지지체 상에 퇴적되며, 상기 하층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열접착성 중합체의 상층은 제2 회전프레임에 의해 전자 상에 퇴적되며, 표피층퇴적을 받은 섬유지지체는 콘베이어 벨트로 부터 분리되고, 곧 이 섬유 지지체는 연속 건조로를 거쳐 지나간후, 냉각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선호된 실시예에 있어서, 콘베이어 밸트는 폐쇄루프를 형성하며, 또 이것은, 피막처리된 직물지지체로 부터 분리된 후, 그리고 새로운 직물지지체를 피막처리하기전에, 세척한다.
가급적, 제2회전프레임의 회전속도와, 그 각도설정과, 지지벨트의 전진속도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 회전프레임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것이 좋다. 즉 이 프레임들의 주변부 속도가 지지벨트의 전진속도와 동일하고, 또 상층의 각 스포트가 하층의 스포트에 퇴적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각 스포트에 있어서, 제2 회전프레임의 천공부의 구멍 크기는 제1 회전프레임의 천공부의 구멍 크기와 같거나, 더 유리하게는, 그 보다 작아야 한다.
하층의 중합체들은 직물지지체 상에 퇴적된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연결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층의 중합체들은 열용융이 가능해야 하며, 반죽형태로 퇴적하게 된다.
또 이것들은 거품형태로 퇴적 시킬수도 있다.
하층은 상층의 열접착성 중합체들과 반으아능한 적어도 한 가지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또 하층은 섬유지지체 상에 퇴적된 후, 그리고 상층이 퇴적되기 전에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섬유지지체와, 그 한쪽면에,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열접착성 피막으로 구성된,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막의 각 스포트들은 중합체로서 형성한 하층과 열접착성 중합체로서 형성한 상층으로 구성된다.
각 스포트의 하층은 가급적 열안정성 교차연결성 중합체로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층의 각 스포트의 표면적은 하층의 각 스포트의 표면적과 최고의 경우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층의 열접착 특성은 하층과의 접촉부위로 부터 상부부위에 이르름에 따라 점차 변화한다.
선호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층은 교차연결성 실리콘, 폴리플루오로 화합물, 교차 연결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레이트으로 구성된 류에 속하는 중합체들로 구성된다.
상층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류에 속하는 중합체들로서 구성된다.
또 다른 선호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층은, 스티렌-에틸-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에폭시수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류에 속하는 반응성 기능을 가진 중합체들로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직물카버링(1)은 섬유지지체(2)와 열접착성 스포트(3)들로 구성된다.
섬유지지체(2)는 그 자체 공지된 것이다. 이것은 직물카버링 분야에서 종래 사용해 왔던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것은 직조섬유, 편직섬유 또는 부직섬유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 섬유들은 변성시킨 것이며, 그리고 피막 지지체로서 사용하기 전에 마무리 작업을 거친 것이다.
면이나, 스테이플(staple) 섬유직물을 사용할수도 있다. 그러나,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이나,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는데, 이 경우, 이 섬유들의 결속상태로 인하여, 보플이 생기는 것을 방지 할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는, 납작한 또는 꼬인 형태의 합성 다심성(多心性) 연속 방적사로 만든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첫 단계로서, 섬유지지체(2)는 콘베이어 벨트(100)에 결속된다.
이것을 위하여, 가급적 폐쇄루프로 구성되는 콘베이어 벨트(100)는 운송 실린더(101-104)들 상에서 이송된다.
콘베이어 벨트(100)는 교차연결성 실리콘 중합체의 층으로 덮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만드는 것이 좋다. 이 벨트는 특히 그 종방향으로 규격 안정성을 갖는것이 중요하다. 사실상, 아래에서 알수있는바와 같이, 그것은 큰 견인력을 받고, 온도차이에 노출되며, 또 이 조건에도 불구하고, 부착된 섬유 지지체(2)의 스포트들의 상대적 위치 이동을 일으켜서는 안된다. 또 이 벨트는 교차 연결성 실리콘 중합체의 층으로 덮인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된 직물로 만들수 있다.
안내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된 운송실런더(101)-(104)들은 프레임(112), (113)의 중심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벨트를 이송시키는 것을 보장하며, 또 상기 중심선에 대해 평행방향으로의 벨트(100)의 위치 안정을 보장한다. 변형 실린더로 알려진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장조(105)는 수성 접착제(106)를 담고 있으며, 스크레이퍼(107)는 수성 접착제의 연속 피막층(108)이 콘베이어 벨트(100)상에 퇴적되는 것을 보장한다.
사용되는 수성 접착제(106)로는, 전분, 덱스트린,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에틸셀룰로스 나트륨, 상대적인 고분자량 (4,000 이상)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수 있다. 이 접착제는 주위온도하에서 콘베이어 벨트(100)상에 퇴적을 하는 조건하에서, 양호한 접착력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접착제가 질량기준으로 균등하계 분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퇴적한 물질의 분량은 1 내지 4 g/㎡ 정도이다.
섬유지지체는 롤(109)로 부터 투입시킨다. 콘베이어 벨트(100) 및 섬유 지지체(2)의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실린더/카운터 실린더 조립체 (110), (111)는 상기 양자를 접촉시키게끔 보장하며, 따라서, 섬유지지체는 콘베이어 벨트(100)상에 결착되는 것이다.
스포트(4), (5)형태로 분포된 중합체의 두 피막층은 섬유지지체(2)에 순차적으로 도포되며, 이것을 다시 회전프레임 (112), (113)에 의해 콘베이어벨트상에 결착시킨다. 이 프레임들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 전술한 바와같이 안정화된 콘베이어 벨트(100)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그 자체 이미 공지된 이들 회전프레임들은 한편 스크레이퍼 (114), (115)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또 한편 카운터 실린더 (116), (117)들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서 스포트 형태로 피막을 형성한다.
이들 회전프레임들은 습식으로 피막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경우, 수성분산체 속에서, 매우 작은 입자로된 중합체 분말은 속이 빈 스크레이퍼에 의해 섬유지지체에 도포되며, 상기 속이 빈 스크레이퍼는 천공된 얇은 벽을 가진 회전 로울러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반죽이 실린더의 개구내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두개의 피막층을 순차적으로 퇴적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추구하여 그것을 발견함으로서, 본 발명은 중요한 기여를 하게된다. 즉, 상기 스포트 형태를 좀 더 실명하면, 상층의 각 스포트(5)는 하층(4)의 스포트 상에 퇴적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치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2 회전프레임(113)의 회전속도와, 그 각도 위치 설정과, 지지벨트(100)의 전진속도를 제1 회전프레임(112)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는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광-전자식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각 실린더들은 그 주변부에 기준 마크(118), (119)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준 마크들을 광감지기(120, 121)들이 판독하게 된다. 이 감지기들이 제공하는 전기정보는 처리장치(122)로 전달되며, 이 처리장치(122)는 모터(123), (124), (125)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112), (113)의 회전속도와 상기 콘베이어 벨트(100)의 전진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회전 프레임(112), (113)의 주변부 속도가 콘베이어벨트(100)의 전진속도, 즉 섬유지지체(2)의 전진속도와 동일하게끔 제어한다. 상층의 각 스포트(5)는 이리하여 하층의 스포트(4)상에 퇴적된다. 광 전자식 시스템이 상기 제어를 양호하게 수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 시스템은 전기-기계식, 전자식, 또는 전기-자기식일 수도 있다.
중합체(4)로 된 하층과, 열접착성 중합체로된 상층(5)을 섬유지지체(2)에 퇴적시킨 후에, 상기 콘베이어벨트(100)와 피막된 섬유지지체(2), (3), (4)의 조립체는 연속건조로(126)를 통과한다. 이 건조로는 열접착성 중합체와 함께 피막처리시 퇴적된 반죽을 형성하는 분산체와 습기를 확실히 증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로의 온도는 중합체의 융점과 비슷해야하며, 이 로는 열공기로이거나, 마이크로파로이거나, 방열식로이거나, 일 수 있으며, 또 통기식으로도 가능하다.
건조시간 10초를 수행하고서 양호한 결과를 얻은바 있다.
건조로(126)를 통과한 후, 피막된 섬유지지체(2, 4, 5)는 콘베이어 벨트(100)에서 분리하여, 냉각시킨다. 그 다음에는 롤(127)로서 저장한다.
콘베이어 벨트(100)가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이 벨트는 브러쉬(128)로 문질러서 세척을 해야하며, 이 브러쉬는 욕탕(129)에 담구어 둔다.
회전 프레임(112), (113)은, 전술한 바와같이, 천공부를 구비하며, 이 천공부는 하층과 상층을 피막할때, 각 스포트(4), (5)들을 형성한다.
이 천공부의 구멍의 크기는 스포트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콘베이어 벨트(10)와 회전 프레임(112), (113)의 접촉부의 스포트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작아서, 상층이 퇴적될때, 하층은 아직 말라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층은 건조시 하층과 강력한 연결을 형성한다.
이와는 반대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층을 도포하기 전에 하층의 건조를 필요로 한다. 이것을 위하여 제2도(150)를 회전 프레임(112)과 회전프레임(113) 사이에 설치한다.
이상에서, 중합체 반죽으로부터 직물 카버링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스포트(3)의 분량, 특히 중합체로된 상층(5)의 분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회전 프레임(113)에는 기포성 중합체를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기포는 중합체 반죽 분산체를 채운 혼합기 내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며 또 공기도 주입한다.
이렇게 형성된 기포는 회전 프레임에 의해 퇴적된다. 피막부가 로(126)를 통과할때, 발포작용에 의해 형성된 공기 방울들은 제품의 분산과 동시에 배출되며, 열접착성 중합체는 남아 있게 된다.
정확하게 조각한 인쇄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제2회전 프레임(113)이 제1프레임(112)과 꼭 같은 모양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즉 제2회전 프레임(113)의 각 스포트(5)의 크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 프레임(112)의 스포트(4)보다 작다하더라도, 피막된 스포트(4), (4)들에 해당하는 조각부의 중심점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다.
인쇄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서, 여러가지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롤-엠보씽법(rol1-embossing)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즉,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조각모양과 동일한 작은 직경으로 볼록부의 롤(roll)로서 조각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이 매트릭스를 전해질 용액에 담궈서, 프레임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제2의 기법으로는, 조각의 모양을 컴퓨터로서 작성하는 것이다. 이 모양의 좌표축으로서 수치제어식 레이져를 제어하며, 이 레이저는 로울러 슬리이브상에 조각을 하게되며, 즉 교차연결성 수지로 덮여있든 로울러 슬리이브상에, 전해질 퇴적부위를 조각하며, 상기 퇴적부위는 후에 프레임 상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둘러싸게 되는 것이다.
이 기법은 직경 500 내지 1000 마이크론 정도의 구멍에 대해 10 마이크론 정도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하층(4)은 가급적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제1회전프레임(112)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두께는 0.05㎜와 0.20㎜ 사이에 드는 것이 좋다. 하층은 물/농축제/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단일 수성 분산체로서 퇴적 시킨다. 중합체는 교차 연결성인 것이 좋다. 교차 연결성 실리콘, 불화폴리에틸렌, 교차연결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하는 분산제를 사용하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층의 중요한 역할은 상층이 섬유지지체(2)를 꿰뚫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섬유지지체(2)의 물리적 섬유특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상층(5)의 두께는 0.4㎜와 0.8㎜사이에 드는 것이 좋다.
상층 피막용으로 사용되는 수성 분산체는 다음 같은성분(질량기준)을 갖는 것이 좋다.
- 물 40 ~ 60%
- 열접착성 중합체 25 ~ 35%
- 암모니아화 폴리아크릴레이트 농축제 1 ~ 2%
- 분산제 25 ~ 35%
열접착성 중합체로는,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이거나, 또는 상기 중합체들의 혼합물로 하는 것이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열접착성 중합체에 의해 반응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티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또는 더 일반적으로, 반응성 기능을 가진 모든 중합체에 의해 반응 시스템을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산제는, 솔벤트, 가소제, 지방산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분산제는 또한 유동제와 씩소트로피제(Thixotropic agent)로서 구성된다.
상기 여러가지 성분의 혼합물은 균질성의 반죽을 형성해야하며, 상기 방법의 수행시, 성분들이 상호 분리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이 반죽의 점도는 프레임을 통과할때 감소되여, 다시 로를 통과할 때 그 점도가 높아지고, 스포트의 분량도 증가한다.
상층의 두께를 결정하는 상기 제2프레임(113)의 두께는 피막의 스포트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30 메쉬의 피막(200스포트/㎡)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프레임(113)의 두께는 1000분지 1㎜ 내지 1300분지 1㎜로 하는 것이 좋다.
11메쉬의 피막(20스포트/㎡)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두께는 1600분지 1㎜ 내지 2000분지 1㎜로 하는 것이 좋다.
하층에 퇴적된 중합체의 질량은 1 ∼ 4g/㎡ 정도이며, 상층에 퇴적된 중합체의 질량은 4 ∼ 14g/㎡정도이다.
본발명은 중합체 스포트들이 정확하게 분포된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품은 전체의 일부을 구성하는 섬유복합체에 대해, 상당한 부풀음과 큰 분량과, 양호한 가요성과, 양호한 탄력을 보장한다.

Claims (19)

  1.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열접착성 중합체의 피막이 섬유지지체에 도포된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섬유지지체가 콘베이어 벨트에 결착되며,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중합체의 하층은 제1회전 프레임에 의해 상기 섬유 지지체 상에 퇴적되며, 상기 하층과 동일한 형태로,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열접착성 중합체의 상층은 제2회전 프레임에 의해 상기 하층상에 퇴적되며, 피막된 섬유 지지체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로 부터 분리되며, 상기 피막된 섬유지지체는 연속건조로를 통과한 후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는 폐쇄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는, 피막된 섬유지지체에서 분리된후, 그리고 다음 피막될 새로운 섬유지지체를 접수하기전에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프레임의 회전속도와, 그 각도 설정과, 상기 지지 벨트의 전진속도를 상기 제1회전 프레임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의 주변부 속도가 상기 지지벨트의 전진 속도와 동일하게하며, 상기 상층의 각 스포트는 하층의 스포트에 퇴적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 스포트에 해당하는 상기 제2회전 프레임의 천공부의 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1회전 프레임의 천공부의 구멍의 크기와 같거나 그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중합체들은 상기 섬유지지체에 퇴적된 후 최소한 부분적으로 교차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중합체들은 열용융성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중합체들은 반죽형태로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중합체들은 기포형태로 퇴적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은 상기 상층의 열접착성 중합체들과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최소한 한가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은 상기 섬유 지지체상에 퇴적된 후 그리고 상기 상층이 퇴적되기 전에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에 대해, 상기 상층이 퇴적되기전에, 자외선처리, 마이크로파처리, H.F.(고주파)처리, 전자선처리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의 제조방법.
  13. 열접착성 직물카버링으로서, 섬유지지체와, 그일표면에 스포트 형태로 분포된 열접착성 피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막의 각 스포트들은 중합체들로서 형성된 하층과 열접착성 중합체들로서 형성된 상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각 스포트들은 열안전성 교차연결성 중합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각 스포트들은 상기 하층의 각 스포트의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작은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열접착특성은, 상기 하층과의 접촉부위로부터 그 상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7. 제13항의 있어서, 상기 하층은 교차연결성 실리콘, 불화 폴리에틸렌, 교차연결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류에 속하는 중합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틸렌의 류에 속하는 중합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스티렌-에틸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에폭시수지와 같은 공중합체의 류에 속하는 반응기능을 가진 중합체들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성 직물 카버링.
KR1019920001339A 1991-02-05 1992-01-30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KR100225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1287 1991-02-05
FR92-01287 1991-02-05
JP3038086A JP2731040B2 (ja) 1991-02-05 1991-02-05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R9101287A FR2672313B1 (fr) 1991-02-05 1991-02-05 Procede de fabrication d'entoilages thermocollants, entoilage thermocol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650A KR920016650A (ko) 1992-09-25
KR100225111B1 true KR100225111B1 (ko) 1999-10-15

Family

ID=7300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339A KR100225111B1 (ko) 1991-02-05 1992-01-30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1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650A (ko) 199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2521B2 (ja) 熱接着性被覆布とその製造方法
EP05643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non-woven fabric marked with a print
CN1081693C (zh) 热融衬的制造方法
FI8908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vaotpressfilt och en vaotpressfilt
US3250655A (en)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EP0331215B1 (en) A process for laminating textiles
US3822176A (en) Carpet underlay
KR100225111B1 (ko) 열접착성 직물카버링 및 그 제조방법
SK284226B6 (en) Method of production of fusible composition
US3695962A (en) Method of making pile fabrics
SI9111134A (en) Procedure for preparation of needled spinning fleece
CZ141299A3 (cs) Způsob výroby nitě a výrobek obsahující takovou nit
KR100191839B1 (ko) 마이크로섬유 포함의 열접착 인터라이닝
FI114440B (fi) Menetelmä termoadhesiivisen kangaspäällyksen valmistamiseksi ja termoadhesiivinen kangaspäällys
KR102448159B1 (ko) 열가소성 웹필름을 이용한 탄소섬유직물 프리폼
US3755036A (en) Non-woven articles made by coating filaments with binder and drying the binder until non-migratory before providing filament-to-filament contact
IE920536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thermoadhesive fabric coverings,¹thermoadhesive fabric covering
EP1582623A2 (en) Procedure for the continuous uneven dyeing or discoloring of fabrics
NO180123B (no)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varmeklebende stoffovertrekk, samt varmeklebende stoffovertrekk
KR100290542B1 (ko) 자동차의 부직포 헤드 라이닝 표피재
Shim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United States
JP2565760B2 (ja) 接着芯地の製造方法
KR100435025B1 (ko) 가용성 의류심지와 그의 제조방법
CN111139655A (zh) 一种仿超纤合成革基布的加工方法
JPS63126977A (ja) 接着芯地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