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498B1 - 내압나선파형관 - Google Patents

내압나선파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498B1
KR100222498B1 KR1019920002832A KR920002832A KR100222498B1 KR 100222498 B1 KR100222498 B1 KR 100222498B1 KR 1019920002832 A KR1019920002832 A KR 1019920002832A KR 920002832 A KR920002832 A KR 920002832A KR 100222498 B1 KR100222498 B1 KR 10022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ase
tube
base plate
wall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188A (ko
Inventor
시로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시로오 가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오 가나오 filed Critical 시로오 가나오
Priority to KR101992000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498B1/ko
Priority to JP05795593A priority patent/JP3165982B2/ja
Publication of KR93001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매설하여 그 관내에 전선, 전화선 등의 통전케이블을 삽통하여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내압나선파형관에 관한 것으로, 이 관은 관벽(1)의 단면형상을 사다리꼴형 파형상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으로서, 제1철부(A)와 제2철부(B) 및 제1요부(C)와 제2요부(D)로 되는 2산1조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형성한 이들 제1철부(A)와 제2철부(B)중 한쪽의 제1철부(A)에 있어서, 그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양측벽부의 양옆으로 이어지는 요입부(5)의 일부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금속재대판을 사용하여 단면형상을 아래쪽으로 개방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그 하단부가 각각 옆 바깥쪽으로 수평방향에 돌출한 유리컵 형상을 덮어놓은 형상(역 U자형)으로 형상한 금속재대판(6)이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의 두터운 내부에 위치하도록 내외면 전면이 피복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다른 쪽의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들 양측벽부의 양옆으로 이어지는 요입부(5)의 일부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들 금속재대판(6)이 내장 배설되어 있는 제1철부(A)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는 제2철부(B)가 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나선파형관 구조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압나선파형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관의 일부를 절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관벽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참고 제품의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제9도는 다른 종래의 참고 제품의 관벽 부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벽 2 : 돌출정상부
3, 4 : 측벽부 5 : 요입부
6 : 금속재대판 7 : 내관벽
8 : 외관벽 A : 제1철부
B : 제2철부 C : 제1요부
D : 제2요부
본 발명의 내압나선파형관은 주로 지중에 매설하여 그 관내에 전선, 전화선 등의 통전용 케이블을 삽통하여 이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또 상하수도용 관이나 공장에서의 액체수송관으로 사용되는 관이다.
종래 이러한 내압나선파형관중 지중에 매설하는 관은 강력한 토압에 견디어 낼 필요가 있으며, 내압성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참고 예로 도시한 제8도 및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벽(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두터운 내부에 나선 파형의 돌출정상부(2)와 이 돌출정상부(2)의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요입부(5)의 일부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진 보강용 금속박판제의 금속재대판(6)을 매설시킨 지중매설용의 내압관은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것이다.
이와 같이 관벽(1)을 형성하는 모든 돌출정상부(2)와 양측벽부(3)(4), 또한 요입부의 일부에 걸쳐 금속재대판(6)을 형성하면 내압강도의 점에서 매우 우수한 관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관은 금속재대판(6)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관벽(1)의 요입부(5)의 일부, 상세하게는 요입부(5)의 중간부분만으로 되어지기 때문에 관이 강직관으로 되어 가요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연구와 시험제작을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의 관과 같이 보강용 금속막판제의 금속재대판(6)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내압강도를 높인 관이면서도 가요성에서도 우수한 관을 얻고자 한 것이다.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내압나선파형관의 구성을 실시예에서 도시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관벽(1)을 형성하는 요철 파형을 제1철부(A)와 제2철부(B) 및 제1요부(C)와 제2요부(D)로 되는 2산1조(二山一組)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들 제1철부(A)와 제2철부(B)중 제1철부(A)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 또는 제1요부(C)와 제2요부(D)중 제1요부(C)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지는 횡단면 형상을 역 U 자형으로 형성한 금속재대판(6)을 관벽(1)의 두터운 내부에 매설시키든지 또는 관벽(1)의 내면측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하여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다른 쪽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 또는 다른 쪽 제2요부(D)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상기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철부(A)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는 제2철부(B)와 또는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요부(C)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지 않은 제2요부(D)가 서로 순차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은 구조로 된 관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관벽(1)의 내주측에 내관벽(7)을 가진 것으로 하거나 관벽(1)의 외주측에 외관벽(8)을 가진 것으로 하거나 또는 내주측과 외주측에 각각 내외관벽(7)(8)을 가진 것으로 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관을 예를 들면 지중에 매설하는데는 종래의 경우와 아주 동일하게 배관 예정지를 소요 깊이로 굴착한 홈에 따라 배관하고 굴착토를 그 위에 덮어씌우는 것으로 매설한다. 이 관을 케이블선 보호용 관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선이나 전화선 등에 안내선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삽통배선한다. 본 발명의 관은 내압성에도 우수한 관이면서 배관예정지에 비교적 용이하게 맞추면서 배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라 함)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관의 전체적 형상을 도시하고, 제2도는 관벽(1) 부분의 단면형상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이 관은 관벽(1)의 단면형상을 사다리꼴형 파형상으로 형성한 나선파형관으로서, 제1철부(A)와 제2철부(B) 및 제1요부(C)와 제2요부(D)로 되는 2산1조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2산1조로 형성한 이들 제1철부(A)와 제2철부(B)중 한쪽의 제1철부(A)만에 있어서, 그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들 양측벽부(3)(4)의 양옆으로 이어지는 요입부(5)의 일부에 걸쳐서 일연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박판강제의 대판을 사용하여 단면형상을 아래쪽으로 개방한 사다리꼴 상으로 그 하단부가 각각 바깥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유리컵 형상을 덮어놓은 형상(역 U 자형)으로 형성한 금속재대판(6)이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의 두터운 내부에 위치하도록 내외면 전면이 피복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2산1조로 형성된 다른 쪽의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들 양측벽부(3)(4)의 양옆으로 이어지는 요입부(5)의 일부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들 금속재대판(6)이 내장 배설되어 있는 제1철부(A)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은 제2철부(B)와 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나선파형관 구조로 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는 관벽(1)의 형상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나선관으로서, 관벽(1)에 매설한 금속재대판(6)의 형상을 위로 향하여 개방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제1요부(C)와 제2요부(D)중, 제1요부(C)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에 이어지는 양측돌출정상부(2)의 일부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지는 횡단면 형상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대략 반대형상의 U 자형으로 형성한 스텐레스 박판제의 금속재대판(6)을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그 내외양면을 피복시켜 관벽(1)의 두터운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다른 쪽의 제2요부(D)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 양측벽부에 이어지는 양측돌출정상부(2)의 일부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요부(C)와 서로 순차적으로 2산1조로 되어 나선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관 구조로 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은 관벽(1)의 내주면측에 내면이 대략 직관상으로 되도록 내관벽(7)을 관벽(1)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내관벽(7)과 제1철부(A) 및 제2철부(B) 사이에 각각 공동부(9)가 형성되어 있고, 외관벽(8)과 제1요부(C) 및 제2요부(D) 사이에도 각각 제2 공동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 외관벽(8)은 반드시 내관벽(7)과 함께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내관벽(7)이 없는 상태에서 외관벽(8)만이 존재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4도에 도시한 제3 실시예는 관벽(1)의 단면형상을 돌출정상부(2)가 약간 평평하고 요입부(5)가 평활한 호상으로 이어지는 파형 형상으로 한 나선파형관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금속재대판(6)의 단면형상을 중앙부가 평활한 호상으로 요입시키고 위쪽으로 개방한 U 자형이며 그 상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형상의 것으로 하여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한쪽의 제1요부(C)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 양측벽부에 이어지는 양측정상부(2)의 일부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이들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요부(C)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는 제2요부(D)가 서로 순차적으로 나선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관 구조로 한 것이다.
제5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는 관벽(1)의 구조를 나선파형의 외면이 원호상으로 내주면이 직관상의 구조로 한 나선파형관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금속재대판(6)의 단면형상을 중앙부가 원호상으로 돌출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역 U 자형이며, 그 하단부분이 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의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한쪽의 제1철부(A)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 양측벽부에 이어지는 내면측의 내관벽(7)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지는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그 내외전면을 피복시켜 관벽(1)의 두터운 내부에 매설하고 있는 구조로 하고, 다른 쪽의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 양측벽부의 양측에 이어지는 요입부(5)의 전 부분이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나선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관 구조로 한 것이다.
이상 각 실시예에서는 금속재대판(6)의 내외양면을 전면에 걸쳐서 합성수지재 등의 관벽형성 소재에 의해 피복한 구조, 다시 말하면 합성수지재 등의 관벽형성 소재의 내부에 금속재대판(6)을 매설한 상태로 한 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금속재대판(6)은 그 전주면이 반드시 관벽형성 소재에 의해 피복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사용하는 금속재대판(6)의 소재 자체가 스텐레스 스틸과 같은 녹방지성 소재인 경우, 예를 들면 도금이나 전착도장(電着塗裝), 메탈릭도장, 수지도장 등의 녹발생 방지처리를 미리하여 둔 금속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재대판(6)의 일부가 관벽의 내면 측에서 피복되어 있지 않는 구조의 것으로 실시하여도 좋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제5, 제6 실시예는 금속재대판(6)의 내면측의 일부가 관벽(1)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 한 나선파형관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에 도시한 관은 관벽(1)의 전체구조를 상기 제1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대략 동일한 단면 즉 사다리꼴 형상의 역 U 자형으로 된 것으로서, 제1철부(A)의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재대판(6)의 내관벽(7)측에 면하는 내면부분이 관벽(1)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피복되어 있지 않고, 내관벽(7)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밀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내관벽(7)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밀폐 피복되어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관은 제1철부(A)의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재대판(6)의 단면형상을 중앙부가 원호상으로 요입한 아래쪽 개방의 역 U자형이며 그 하단부분이 횡방향으로 향하여 각각 호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형상의 것으로, 이 횡방향으로 향하여 구부러진 부분이 제1철부(A)의 양측에 위치하는 요입부(5)의 두터운 내부에 매입되어 제1철부(A)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의 내면부분이 관벽(1)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 한 것이다. 다른 쪽의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와 이 양측벽부의 양측에 이어지는 요입부(5)의 일부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순차적으로 나선상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금속재대판(6)을 배설한 제1철부(A)와 배설하지 않는 제2철부(B)의 형상은 반드시 동일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금속재대판(6)을 배설한 제1철부(A)의 형상에 비하여 금속재대판(6)을 배설하지 않는 제2철부(B)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옆폭을 넓고 좁게 변화한 것으로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제1실시예 및 기타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벽(1)의 내면측에 원통상의 내관벽(7)을 일체로 형성한 것의 경우에는 상하수도용 관 또는 액체 수송용 관으로 사용할 때, 액체 등의 저항이 적은 관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내관벽(7)을 포함한 관벽(1)의 형성소재, 특히 상기 금속재대판(6)을 배설하지 않는 부분의 관벽(1)의 형성소재 부분에 필요에 따라 실, 직물, 부직포, 유리섬유 등의 섬유제 물질이나 금속망 등의 보강물질을 매입하여 보강하고, 높은 내압에 견딜 수 있게 하면 고압수송관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금속재대판(6)의 재료로서는 스텐레스 박판이나 강제박판 외에 철판을 사용하여도 좋고 기타의 금속박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관벽(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나 염화비닐계의 합성수지가 주로 사용되지만 기타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고, 또 고무 혹은 합성고무와 같은 고무 계의 수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으로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구비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여 이하의 효과를 가지 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 설명에 의해 이미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벽을 형성하는 요철 파형을 2산1조로 하여 제1철부와 제2철부중 어느 한쪽의 철부를 형성하는 정상부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에 또는 제1요부와 제2요부 중 어느 한 쪽의 요부를 형성하는 요입부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지는 금속박판제의 대판이 관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혹은 고무재에 의해 적어도 한쪽 표면측이 피복된 상태로 하여 금속재대판을 배설형성하고, 다른 쪽의 철부를 형성하는 정상부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를 금속재대판이 존재하지 않는 관벽부분으로 하여 이들 금속재대판이 배설되어 있는 철부 또는 요부와 금속재대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철부 또는 요부가 순차적으로 일체로 나선관 구조로 한 것이므로, 그 제조에 있어서도 선행기술에서 이용한 기설의 관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매우 효율 좋게 제조할 수가 있으며, 제조된 관은 내압변형 성능이 우수한 관이면서도 가요성에도 우수한 관을 얻을 수 있으며, 관 전체 중량을 경감시켜 운반 취급 등에 편리하여 배관작업에도 용이한 관을 얻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관벽(1)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으로서, 이 관벽(1)의 요철 파형을 제1철부(A)와 제2철부(B) 및 제1요부(C)와 제2요부(D)로 되는 2산1조(二山一組)로 형성하여 제1철부(A)와 제2철부(B) 중 제1철부(A)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 또는 제1요부(C)와 제2요부(D) 중 제1요부(C)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에 걸쳐서 일련으로 이어져 있는 횡단면 형상을 역 U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한 금속박판제의 금속재대판(6)이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에 의해 표면 측과 내면 측의 양면 또는 내면 측의 일부를 남기고 피복된 상태로 배설 형성되며, 다른 쪽의 제2철부(B)의 정상부(2)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 또는 다른 쪽의 제2요부(D)의 요입부(5)와 그 양측에 이어지는 양측벽부(3)(4)가 관벽(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혹은 고무재만에 의해 형성되어 이들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철부(A)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는 제2철부(B)와 또는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는 제1요부(C)와 금속재대판(6)이 배설되어 있지 않는 제2요부(D)가 서로 순차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내압나선파형관.
  2. 제1항에 있어서, 관벽(1)의 내주측에 내관벽(7)이 형성되어 있는 내압나선파형관.
  3. 제1항에 있어서, 관벽(1)의 외주측에 외관벽(8)이 형성되어 있는 내압나선파형관.
KR1019920002832A 1992-02-25 1992-02-25 내압나선파형관 KR10022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832A KR100222498B1 (ko) 1992-02-25 1992-02-25 내압나선파형관
JP05795593A JP3165982B2 (ja) 1992-02-25 1993-02-22 耐圧螺旋波形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832A KR100222498B1 (ko) 1992-02-25 1992-02-25 내압나선파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188A KR930018188A (ko) 1993-09-21
KR100222498B1 true KR100222498B1 (ko) 1999-10-01

Family

ID=1932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832A KR100222498B1 (ko) 1992-02-25 1992-02-25 내압나선파형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65982B2 (ko)
KR (1) KR100222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406B1 (ko) * 2000-01-08 2004-04-08 민병이 가요 및 외압보강된 합성수지제 파이프
JP4870152B2 (ja) * 2006-03-29 2012-02-08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2011012877A (es) * 2009-06-02 2012-04-02 Prinsco Inc Construccion de reborde para accesorios de tuberia de gran diametro.
JP2011027196A (ja) * 2009-07-27 2011-02-10 Kanaflex Corporation 地中埋設用耐圧合成樹脂管
CN102563241B (zh) * 2012-01-09 2015-01-07 绍兴龙泽管道有限公司 一种d形螺旋波纹管
CN102705601B (zh) * 2012-01-20 2015-01-07 杭州小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由t形钩管骨架构成的波纹管
JP5927043B2 (ja) * 2012-05-31 2016-05-25 フルテック株式会社 凹凸型グローブボックス
CN103438297A (zh) * 2013-08-01 2013-12-11 江苏星鑫工程管道有限公司 一种改良的瓦斯抽放管
CN109296842A (zh) * 2018-11-23 2019-02-01 乐昌市联丰科技有限公司 一种内肋增强双组份螺旋波纹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5982B2 (ja) 2001-05-14
JPH0611076A (ja) 1994-01-21
KR930018188A (ko)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67B1 (ko) 내압 나선 파형관
CA2004564C (en) Leaching system conduit with high rigidity joint
US3699684A (en) Corrugated drainage tubes and fittings
US5156488A (en) Leaching system conduit with sub-arch
KR100222498B1 (ko) 내압나선파형관
US4759389A (en) Synthetic resin pipe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KR880002488B1 (ko) 지중매설용 내압나선관
US5193588A (en)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KR930005470B1 (ko) 내압나선파형관
US4922554A (en) Retainer for flexible drain pipes
US3855799A (en) Rigid corrugated tubing
US5184649A (en)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KR930001668B1 (ko) 내압 나선 파형관
KR200159662Y1 (ko) 합성수지제 나선관
KR970009012B1 (ko)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JPH0250351B2 (ko)
CA2103686A1 (en) Drainage pipe
KR950007032Y1 (ko) 합성수지 나선관
KR930002534B1 (ko) 내압나선파형관과 그 제조방법
KR20000077152A (ko) 합성수지관체
JPS5851227Y2 (ja) 暗渠用排水管
JPH11137893A (ja) 洗濯機用排水ホース
JPH0311510Y2 (ko)
JPH0724466Y2 (ja) 合成樹脂製u字溝
JPH03493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