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91B1 - 치환된 베타-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환된 베타-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91B1
KR100222391B1 KR1019970704497A KR19970704497A KR100222391B1 KR 100222391 B1 KR100222391 B1 KR 100222391B1 KR 1019970704497 A KR1019970704497 A KR 1019970704497A KR 19970704497 A KR19970704497 A KR 19970704497A KR 100222391 B1 KR100222391 B1 KR 10022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alanyl
mmol
acetic acid
amidinobenzo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하야시
다케오 하라다
준 가타다
아키라 다치키
다케오 오카자키
요시미 사토오
히로시 미야자키
도오루 아사리
Original Assignee
다카시 아사무라
닛폰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시 아사무라, 닛폰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시 아사무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182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295/185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from aliphatic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46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 hydrogen atom as the second substituent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치환된 β-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
하는 약학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을 가지는 신규한 화합물 및 그를 유효성분
으로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체외순환하는(extracorporeal circulation)혈액의 혈액응고, 동맥 폐색 EH는 PTCA 후의 관상동맥의 재폐색(reocclusion)을 저해하는 약학 조성물 및 혈소판 응집, 체외순환하는 혈액의 혈액응고 또는 관상동맥의 폐색을 저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혈소판은 손상된 혈관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지혈(hemostasi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질환 상태에서 혈소판 응집은 주로 혈전(thrombus)을 형성시켜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혈류차단으로 인하여 산소 및 영양분이 조직과 기관에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고, 결국에는 순환계 기관에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및 뇌경색(cerebral infarction)과. 같은 허혈성 (ischemic) 질환이 야기된다. 현재, 전기와 같은 허혈성 질환은 그의 치사율이 높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인공 심장 및 폐를 사용하는 외과수술시, 신장질환 관자의 신장투석시와 같은 혈액의 체외순환을 수반하는 의료처치를 수행할 때, 혈소판의 활성화와 응집에 의해 체외순환하는 혈액의 혈액응고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처치에 심각한 장애가 된다.
혈소판 응집은 심근경색 환자의 관상동맥에 있는 혈전에 적용되는 경피경관혈관성형(peri 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saty, PTCA) 후의 급성 재폐색에 관여한다고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므로써 혈전형성, 혈액응고 및 관상동맥의 수술 후의 재폐색을 예방하는 것이 허혈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혈액의 체외순환을 수반하는 의료처치를 안전하게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혈소판 응집이 동맥경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혈소판 응집의 과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 진다. 즉, 혈소판의 활성화와 계속되는 혈장에 있는 단백질인 "피브리노겐"(fibrinogen)의 가교화에 의한 응집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사용된 혈소판 응집 저해제는 거의 모두 첫번째 활성화 과정에 촛점을 둔 것으로, 환산소첨가효소(cyclooxygenase) 저해제인 아스피린, 아데닐사이클라제(adenylate cyclase) 활성화제인 티클로피딘(ticlopidine).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 저해제인 디피리다몰(dipyridamole)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기능의 특이성 및 응집 저해능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보다 특이성이 있는 기능을 가지고 효능이 있는 약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어 왔다.
피브리노겐에 의한 응집과정에 관하여는, 피브리노겐이 혈소판막의 표면에 있는 피브리노겐 수용체인 당단백질(glycoprotein) "gpllblla"에 매우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써 혈소판과 결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혈소판 특이적인 결합을 저해하므로써 매우 특이성이 있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피브리노겐에 의한 응집과정이 저해되면 심지어 활성화된 혈소판도 응집할 수 없기 때문에, 혈소판이 피브리노겐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효능이 있고 매우 특이성이 있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를 개발할 수 있다.
분자 생물학의 관점에 의한 연구에서, 앤드류 등은 피브리노겐이 피브리노겐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은 주로 피브리노겐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 즉, 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르트산-페닐알라닌(RGDF)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참조: Andrieux et al., J. Biol. Chem., 264:9258- 9265(1989)).
이 일부분의 펩타이드 및 그 유사물질을 합성하고 그들을 피브리노겐 수황체 길항제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 평 1-190699호 및 제 평 2-62892호, EPO 422937 Al 및 미합중국특허 제4952562호는 RGD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테트라펩타이드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소 63-215696호는 펩타이드로 구성된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고, 제 평 3-l18331호, 제 평 2-62892호 및 WO 91/01331은 RGD 펩타이드의 환상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RGD 펩타이드는 생체내에서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생체에서 안정하며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한 특성의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혈액의 체외순환 및 외과수술과 같은 약물의 지속적인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을 위하여, 가능한 천연 펩타이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매우 효능있는 펩타이드의 제조가 부작용이 없거나 거의 없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의 개발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다양한 연구의 결과, 일본국 특허공개 제 평 4-23864호, 제 평 5-203962호, 제 평 6-139107호 및 제 평 6-23574호에 개시되어 있는 신규한 펩타이드를 개발하였다.
또한, 다소의 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구조가 더욱 유도 및/또는 변형된 소위 뀁티도미메틱스(peptidomimetics)가 일본국 특허공개 제 평 3-248808호, WO 93/16697, EP 0503548, EP 0502536, WO 93/08181, WO 93/08174, WO 93/07867, WO 94/08577, EPO 445796 및 EP0 505868에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기능을 필요로 하는 약물에는 생체 내에서 안정한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필요하다. 또한, 경구적 약물의 경우에는, 소화관에서 화합물의 안정성 및 흡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는 안정성이 낮아서 오래 지속되는 기능을 갖는 그러한 약물에는 적당하지 않다.
EP 445796에는 혈소판 혈전 형성 저해 기능이 있는 β-알라닌 잔기를 가지는 아세트산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자들은, 무관하게 β-알라닌 잔기 또는 단치환된 β-알라닌 잔기를 갖는 아세트산 유도체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전기 화합물은 실용적인 목적에 사용될만큼 충분히 큰 생리 활성을 갖지 못하여, 생리활성이 더 큰 화합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브리노겐 수용체의 기능을 길항하고 큰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 및 생체내에서 의 안정성을 가지는 신규한 화합물, 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규한 약학 조성을 및 그 화합물을 이용하는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α 위치에 두 개의 저급알킬기를 갖는 β-아미노산 유도체가 큰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 및 혈액응고 저해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유도체의 β 위치를 변형하므로써 생리활성이 증가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0
상기에서,
Rl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아미노 보호기이고;
R3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케닐, 저급알키닐, 아르(저급)알킬 또는 아릴이며;
R4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케닐, 저급알키닐, 히드록시(저급)알킬, 아미노(저급)알킬 또는 복소찬이 치환된 저급알킬, 아르(저급)알킬, 아르(저급)알케닐 또는 아르(저급)알키닐(이때,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아릴 또는 복소환기(이때,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3 내지 8원환으로 된 시클로알킬(이 때, 환부(ring portion)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기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킬, 저급알키닐 또는 저급 알케닐; 또는 저급알킬옥시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거나, 서로 연결되어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형성된 시클로알킬이며;
R5는 수소 또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X는 질소 또는 탄소이며;
Yl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히드록시, 저급알콕시, 저급아실옥시, 아실, 카르복실, 저급알콕시카르보닐, 니트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및,
m은 0 내지 2인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체외순환하는 혈액의 혈액응고 또는 관상동맥의 재폐색을 저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량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체외순찬하는 혈액의 혈액응고 또는 관상동맥의 재폐색을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α 및 β 위치는 각각, β-알라닌 잔기, 즉 3-아미노프로피온산 잔기의 2 및 3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의에 대한 적당한 예 및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달리 명시하지 않을 경우에, "저급"이란 단어는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원자단을 의미한다.
일반식(I)에서 Rl또는 R2로 표시되는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시클로펜틸, 헥실, 이소헥실, 시클로헥실, 헵틸, 5-메틸헥실, 시클로헵틸, 옥틸, 6-메틸헵틸, 노닐, 7-메틸옥틸, 데실 및 8-메틸노닐과 같은 Cl-l0직쇄상 및 분지상 알길 및 시클릭알킬을 포함한다.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l-6알킬이 바람직하고, 직쇄상 알킬이 분지상 및 시클릭알킬 보다 바람직하다.
Rl또는 R2로 표시되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아미노 보호기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하다고 알려진 어떠한 아미노 보호기라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히로카와가 개시한 것과 같은 결합모드로 아미노기를 보호하는 기가 있다. (참조: Hirokawa Shoten, "Development of Medicines", vol. 13, "Drug Delivery", p. 116, Table 2.29, Jin Sezaki ed. (1989)). 보호기의 예로는, 아세틸과 같은 지방산 잔기, 유리 카르복실산을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 및 그의 보호된 아미노산 잔기, 벤질옥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 및 1-아실옥시알킬 옥시카르보닐과 같은 카바메이트가 있으며, 특히, 에톡시카르보닐, 아세톡시메틸옥시카르보닐 및 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이 바람직하다.
R3로 표시되는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시클로펜틸, 헥실, 이소헥실, 시클로헥실, 헵틸, 5-메틸헥실, 시클로헵틸, 옥틸, 6-메틸헵틸, 노닐, 7-메틸옥틸, 데실 및 8-메틸노닐과 같은 Cl-l0직쇄상 및 분지상 알킬 및 시클릭알킬을 포함한다.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l-6알킬이 바람직하고, 직쇄상 알킬이 분지상 및 시클릭알킬보다 바람직하다.
R3로 표시되는 "저급알케닐"은 비닐 및 프로페닐과 같은 C2-10직쇄상 및 가지상 알케닐을 포함하며,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2-6알케닐이 바람직 하다.
R3표시되는 "저급알키닐"은 에티닐, 프로피닐 및 부티닐과 같은 C2-10직쇄상 및 가지상 알키닐을 포함하며,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2-6알키닐이 바람직하다.
R3로 표시되는 "아르(저급)알킬"은 벤질 및 펜에틸(Phenethyl)과 같은 페닐알킬을 포함한다. 이 때, 페닐과 같은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아르(저급)알킬 및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보호된 히드록실"에서 보호기는 벤질, 꿴에틸 및 트리틸(trityl)과 같은 아르(저급)알길, 레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t-부틸과 같은 저급알킬, 아세틸 및 벤조일과 같은 아실 뿐만 아니라,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및 메톡시메틸을 포함한다. 아르(저급)알킬의 바람직한 예로는 페닐, 벤질, 4-히드록시벤질 및 4-히드록시메틸벤질이 있다. 이것은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R3로 표시되는 "아릴"은 페닐 및 나프틸 및 안트라닐과 같은 축합된 다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이 때, 방향족환은 저급알킬,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및/또는 보호된 히드록실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족환은 평면구조를 갖으므로 입체장애가 적고 소수성이 커서 본 발명에 적합하다. 페닐은 바람직한 방향족환이다. 저급알킬 자체 또는 방향족환의 치환기로서의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1-C3알킬이다.
일반식(I)에서, R4, P 및 Q로 표시되는 치환기의 탄소원자의 전체수는 분자 안정성 및 소수성의 증진을 위해, 2 내지 20이 바람직하다.
R4, P 또는 Q로 표시되는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시클로펜틸, 헥실, 이소헥실, 시클로헥실, 헵틸, 5-메틸헥실, 시클로헵틸, 옥틸, 6-메틸헵틸, 노닐, 7-메틸옥틸, 데실 및 8-메틸노닐과 같은 Cl-l0직쇄상 및 분지상 알길 및 시클릭알킬을 포함한다.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l-6알킬이 바람직하고, 직쇄상 알킬이 분지상 및 시클릭알킬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P 및 Q는 양자 모두 메틸이 바람직하다.
P 및 Q는 서로 연결되어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시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다. 시클로알킬의 예로는 3 내지 8원환으로 된 시클로알킬이 있으며, 입체 장애를 고려할 때 3 내지 6원환으로 된 시클로알킬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저급알케닐"은 비닐 및 프로페닐과 같은 C2-10직쇄상 및 분지상 알케닐을 포함하며,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2-6알케닐이 바람직하다.
R4표시되는 "저급알키닐"은 에티닐, 프로피닐 및 부티닐과 같은 C2-10직쇄상 및 분지상 알키닐을 포함하며, 입체장애를 고려할 때 C2-6알키닐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히드록시(저급)알킬"의 저급알킬부는 Cl-10저급알킬을 포함하며, Cl-6알킬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저급)알킬의 예는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2-히드록시에틸 및 3-히드록시프로필을 포함한다.
R4로 표시되는 "아미노(저급)알킬"의 저급알킬부는 Cl-l0저급알킬을 포함하며, Cl-6알킬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저급)알킬의 예는 아미노메틸, 1-아미노에틸, 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및 피페리딘을 포함한다. 아미노(저급)알킬에서 아미노기는 알킬기로 치환되어 변형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1-N,N-디메틸아미노메틸, 2-N,N-디메틸아미노에틸, 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1-N,N-디에틸아미노메틸, 2-N,N-디에틸아미노에틸 및 3-N,N-디에틸아미노프로필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복소환이 치환된 저급알킬"은 최소한 질소와 같은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5 내지 6원소로 된 복 소환으로 치환된 저급알킬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예로는 피페리딘메틸 및 피페리딘에틸과 같은 피페리딘(저급)알킬 및 피페라진메틸 및 피페라진에틸과 같은 피페라진(저급)알킬이 있다. 복소환이 치환된 저급알킬은 또한 질소와 같은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불포화 축합 복소환으로 치환된 저급알킬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예로는 피리딘메틸 및 피리딘에틸과 같은 피리딘(저급)알킬 및 인돌메틸 및 인돌에틸과 같은 인돌(저급)알킬이 있다.
R4로 표시되는 "아르(저급)알킬"은 벤질 및 펜에틸과 칼은 페닐알킬을 포함하며, 이 때 페닐과 칼은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o, p 및/또는 m 위치에 치환기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클로로,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아미노, 카르복실, 니트로 또는 디메틸아미노를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는 벤질, 펜에틸 및 페닐프로필을 포함하며, 벤질, 펜에틸, 페닐프로필, 4-히드록시벤질, 3-히드록시벤질, 4-메톡시벤질, 4-플루오로벤질, 4-클로로벤질, 4-히드록시펜에틸, 3-히드록시펜에틸, 4-메톡시펜에틸, 4-플루오로펜에틸 및 4-클로로펜에틸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아르(저급)알케닐"은 시나밀(cinnamyl) 및 스티릴(styryl)과 같은 페닐알케닐을 포함한다. 이 때, 페닐과 같은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o, p 및/또는 m 위치에 치환기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클로로,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아미노, 카르복실, 니트로 또는 디메틸아미노를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는 시나밀 및 스티릴을 포함하며, 시나밀, 스티릴, 4-히드록시시나밀, 3-히드록시시나밀, 4-메톡시시나밀, 4-플루오로시나밀, 4-클로로시나밀, 4-히드록시스티릴, 3-히드록시스티릴, 4-메톡시스티릴, 4-플루오로스티릴 및 4-클로로스티릴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아르(저급)알키닐"은 페닐에티닐 및 페닐프로피닐과 같은 페닐알키닐을 포함한다. 이 때, 페닐과 같은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o, p 및/또는 m 위치에 치환기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클로로,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아미노, 카르복설, 니트로 또는 디메틸아미노를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는 페닐에티닐 및 페닐프로피닐을 포함하며, 페닐에티닐, 페닐프로피닐, 4-히드록시에티닐, 3-히드록시에티닐, 4-메톡시에티닐, 4-플루오로에티닐, 4-클로로에티닐, 4-히드록시프로피닐, 3-히드록시프로피닐, 4-메톡시프로피닐, 4-플루오로프로피닐 및 4-클로로프로피닐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아릴"은 페닐 및 나프틸 및 안트라닐과 같은 축합된 다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이 때, 방향족환은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및/또는 보호된 히드록실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족환은 평면구조를 갖으므로 입체장애가 적고 소수성이 커서 본 발명에 적합하다. 페닐은 바람직한 방향족환이다. 저급알킬자체 또는 방향족환의 치환기로서의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C3알킬이다.
R4로 표시되는 "복소환"은 복소환 작용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피리딜, 퓨릴(furyl), 피롤릴(pyrrolyl), 티오펜(thiophene), 옥사졸릴(oxazolyl), 티아졸릴(taiazolyl) , 이미다졸릴(imidazolyl), 피라졸릴(pyrazolyl), 테트라졸릴(tetrazolyl), 트리아졸릴(triazolyl), 인돌릴(indolyl), 벤조티아졸릴(benzothiazolyl), 벤즈이미다졸릴(benzimi dazolyl), 벤즈옥사졸릴(benzoxazolyl), 쿠마릴(coumaryl), 카바졸릴(carbazolyl), 피라닐(pyranyl), 피로닐(pyronyl), 퀴놀릴(quinolyl), 이소퀴놀릴(isoquinolyl), 피리미딜(pyrimidyl), 피라지닐(pyrazinyl), 피페리딜(piperidyl), 피페라질(piperazyl) 및 테트라히드로퓨릴(tetrahydrofuryl)이 있다. 이 때, 복소환은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로 치환될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복소환의 바람직한 예로는 피리딜, 피페리딜 및 퓨릴이 있다.
R4로 표시되는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킬"의 저급알킬부는 Cl-l0알킬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l-3알킬이다. 적당한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킬은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실에틸, 시클로펜틸에틸, 시클로헥실프로필 및 시클로펜틸프로필을 포함한다.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로 치환된 저급알킬의 환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 3-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 4-메톡시시클로헥실메틸, 4-플루오로시클로헥실메틸, 4-클로로시클로헥실메틸, 3-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3-메톡시시클로펜틸메틸, 3-플루오로시클로펜틸메틸, 3-클로로시클로펜틸메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 3-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틸, 4-메톡시시클로헥실에틸, 4-플루오로시클로헥실에틸, 4-클로로시클로헥실에틸, 3-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틸, 3-메톡시시클로펜틸에틸, 3-플루오로시클로펜틸에틸, 3-클로로시클로펜틸에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필, 3-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필, 4-메톡시시클로헥실프로필, 4-플루오로시클로헥실프로필, 4-클로로시클로헥실프로필, 3-히드록시시클로펜틸프로필, 3-메톡시시클로펜틸프로필, 3-플루오로시클로펜틸프로필 및 3-클로로시클로펜틸프로필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키닐"의 저급알키닐부는 Cl-l0알키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2-3알키닐이다. 시클로알킬(저급)알키닐은 시클로헥실에티닐 및 시클로헥실프로피닐을 포함한다.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키닐의 환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 3-히드록시시클로헥실에티닐, 4-메톡시시클로헥실에티닐, 4-플루오로시클로헥실에티닐, 4-클로로시클로헥실에티닐, 3-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티닐, 3-메톡시시클로펜틸에티 닐, 3-플루오로시클로펜틸에티닐, 3-클로로시클로펜틸에티닐, 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피닐, 3-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피닐, 4-메톡시시클로헥실프로피닐, 4-플루오로시클로헥실프로피닐, 4-클로로시클로헥실프로피닐, 3-히드록시시클로펜틸프로피닐, 3-메톡시시클로펜틸프로피닐, 3-플루오로시클로펜틸프로피닐 및 3-클로로시클로펜틸프로피닐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케닐"의 저급알케닐부는 Cl-l0알케닐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2-3알케닐이다. 시클로알킬(저급)알케닐은 2-시클로헥실비닐, 2-시클로펜틸비닐, 3-시클로헥실-2-프로페닐및 3-시클로펜틸-2-프로페닐을 포함한다. 3 내지 8원환을 가지는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케닐의 환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길,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가질 수 있다. 저급알킬 그 자체 또는 히드록시(저급)알킬에서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4-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 2-(3-히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 2-(4-메톡시)시클로헥실비닐, 2-(4-플루오로)시클로헥실비닐, 2-(4-클로로)시클로헥실비닐, 2-(3-히드록시)시클로펜틸비닐, 2-(3-메톡시)시클로펜틸비닐, 2-(3-플루오로)시클로펜틸비닐, 2-(3-클로로)시클로펜틸비닐, 3-(4-히드록시)시클로헥실-2-프로페닐, 3-(3-히드록시)시클로헥실-2-프로페닐, 3-(4-메톡시)시클로헥실-2-프로페닐, 3-(4-플루오로)시클로헥실-2-프로페닐, 3-(4-클로로)시클로헥실-2-프로페닐, 3-(3-히드록시)시클로펜틸-2-프로페닐, 3-(3-메톡시)시클로펜틸-2-프로페닐, 3-(3-플루오로)시클로펜틸-2-프로페닐 및 3-(3-클로로)시클로펜틸-2-프로페닐이 바람직하다.
R4로 표시되는 "저급알킬옥시"의 저급알킬부는 Cl-l0저급알킬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Cl-6알킬이다. 저급알킬옥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및 이소부톡시를 포함한다.
R5로 표시되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카르복설 보호기"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하다고 알려진 어떠한 카르복실 보호기라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히로카와가 개시한 것과 같은 결합모드로 카르복실기를 보호하는 보호기가 있다(참조: Hirokawa Shoten, "Davelopment of Medicines", vol. 13, "Drug Delivery", p.116, Table 2.29, Jin Sezaki ed. (1989)). 보호기의 예로는 메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 프로필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및 부틸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알콕시기, 유리 아미노기를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 그의 보호된 아미노산 잔기 및 1- 아실옥시알콕사이드가 있으며, 특히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록시 및 아실옥시메톡시가 바람직하다.
X는 질소 또는 탄소, 바람직하게는 탄소이다.
Yl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같은 원자 또는 원자단, 바람직하게는 H 또는 할로겐이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저급알킬"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입체장애가 적은 Cl-3알킬이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 또는 클로린이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저급말죽시"는 메톡시 및 에톡시를 포함하며, 입체장애가 적은 메톡시가 바람직하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저급아실옥시"는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및 벤조일옥시를 포함하며, 입체장애가 적은 아세톡시가 바람직하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아실"은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및 벤조일을 포함하며, 아세틸이 바람직하다. Yl및 Y2에 의해 표시되는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및 부톡시카르보닐을 포함하며,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는 2-메틸, 3-메틸, 2-클로로, 2,6-디클로로, 2-플루오로, 2,6-디플루오로, 2-히드록시, 2-메톡시, 2-아세톡시, 2-아세틸, 2-원조일, 2-카르복설, 2-메톡시카르보닐, 2-니트로, 3-니트로 및 2-트리플루오로메틸이 있다.
m은 0 내지 2인 정수,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 중에, P 및 Q가 양자 모두 메틸이고, m이 1이며, X가 탄소인 하기 일반식(ll)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1
상기에서, Rl, R2, R3, R4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일반식(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N-(N-4-아미디노벤조일-α, α-디메틸-β-알라닐)- 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n-펜틸-α, α-디메틸-β-알라닐 )-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 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 (N-4-아미디노벤조일-β-펜에틸-α ,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3-퓨릴)-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스티릴- 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4-피페리딜)-α, α-디메틸- 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2-나프틸)-α, α-디메틸-β-알라닐)-4 -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 ,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n-부틸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i-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o-메톡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 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노벤조일-β-1-프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 β-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P- N, N-디메틸아미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 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 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2-플루오로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2-클로로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 )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N-(7-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펜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티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N-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N-(H-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일반적으로 비독성 염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면, 소듐염 및 포테슘염), 알칼리토금속염(예를 들면,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및 암모늄염)과 같은 무기 염기가 있는 염: 유기 아민염(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염, 피리딘염, 피콜린염, 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및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과 같은 유기 염기가 있는 염: 무기산 부가염(예를 들면, 염화수소, 불화수소, 설페이트 및 포스페이트): 유기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 부가염(예를 들면, 포르메이트(formate),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말리에이트(maleate), 말레이트(malate), 타르트레이트(tartrate), 숙시네이트(succinate), 시트레이트(citrate), 메탄술포네이트(methanesul fonate), 벤젠술포네이트(benzenesulfonate), 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글리콜레이트); 및, 염기성 또는 산성인 아미노산(예를 들면,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및 글루타민 산(glutamic acid)를 가지는 옇을 포함하는 염기 및 산 부가염이 존재하는 염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구조적으로 세 단위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단위부분을 합성하고 결합하여 제조하는데, 세 단위부분은 각각 (a) 일반식(I)의 좌측에 위치한 아미디노벤조산 부분, (b) 중간에 위치한 치환된 p-아미노산 잔기부분, (c) 우측에 위치한 4-위치에 카르복실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가지는 피페리딘 또는 피페라진 부분이다. 이들 단위부분들이 시판되는 경우에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작용기를 보호하거나 하지 않고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들 단위부분들이 시판되지 않을 경우에는, 적당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의 펩타이드 화학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각 단위부분들의 합성적 전구물질을 축합하여 수득한 화합물을 목적하는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분자내에 두 개의 펩타이드 결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아미노산 유사 단위부분들이 쉬로우더 및 루케의 문헌(참조; Schroder and Luhke, "The Peptides", vol.1, Academic Press, new york, u.s.a.(1966)), 및 노부오 등의 문헌(참조; Nobuo lzumiya et al., "The Fundamentals and Experiments of Peptide Synthesis", Maruzen(1985)) 및 기타 문헌에 개시된 것과 같은 펩타이드 화학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액상 또는 고상에서 합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에는 컬럼법 또는 배치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면,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축합법은 아자이드(azide)법, 산클로라이드(acid chloride)법, 산무수물(acid anhydride)법,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법, 카르보디이미드 첨가물법, 활성 에스테르(active ester)법, 카르보닐 이미다졸(carbonyl imidazole)법, 산화환원(redox)법, 효소법 및 우드워드(Woodward) 시약 K, 하투(HATU) 시약 또는 밥(Bop)시약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고상법에 의해 축합반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산무수물법, 카르보디이미드법 및 활성 에스테르법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펩타이드 사슬(chain)이 고상법에 의해 확장될 때, C-말단 아미노산은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불용성인 수지(resin)와 같은 지자체에 결합된다. 이 때, 수지는 수지에 아미노산을 결합시키기 위해 작용기를 도입하거나, 수지와 작용기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하거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는 소위 "핸들(handle)"을 사슬에 도입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클로로메틸 수지와 같은 할로메틸 수지, 옥시메틸 수지, 4-(옥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메틸 수지, 4-(옥시메틸)-페녹시 메틸 수지, C-말단 아미드화를 위한 수지 등이 포함된다.
축합반응에 앞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카르복실, 아미노, 히드록실 및 아미디노기는 통상적인 공지기술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반응에 직접 참여하는 카르복실 및 아미노기는 활성화될 수 있다.
Greene이 개시한 것과 같은 유기화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가 각 단위부분의 축합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작용기의 보호에 사용될 수 있다(참조;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Inc.(1981)).
카르복실기의 보호기의 예로는,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보호기인 다양한 종류의 메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 벤질 에스테르, P-니트로벤질 에스테르, T-부틸 에스테르, 시클로헥실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아미노기의 보호기의 예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이소보닐옥시카르보닐(isobornyloxycarbony1) 및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9-0fluorneylmethoxycarborny1)이 포함된다.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치환된 β-아미노산 잔기에서 히드록실기의 보호기의 예로는, t-부틸, 벤질, 트리메틸실릴(trimethylsilyl) 및 테트라히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이 포함된다.
아미노기의 보호기의 예로는 벤질옥시카르보닐이 포함된다.
활성화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카르복실기에 대응하는 산무수물; 아자이드; 펜타플루오로페놀, 2,4-디니트로페놀, 시아노메틸 알코올, P-니트로페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히드록시-5-노보넨-2,3-디카르복스이미드(N-hydroxy-5-norbornene-2,3-dicarboximide),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이 포함된다.
활성화된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아미노기에 대응하는 아미드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펩타이드 합성을 위한 축합반응은 대개 용매에서 행하며, 용매의 예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피리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N-메틸피롤리돈, 물, 메탄올 등 및 그의 혼합용매가 있다. 축합반응은 대개 -30 내지 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펩타이드 제조과정에서 수행되는 탈보호기 반응의 종류는 펩타이드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호기를 제거할 수만 있다면,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어느 것이나 선택될 수 있다. 탈보호기 반응의 예로는, 염화수소, 불화수소, 무수 불화수소,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그의 혼합산과 같은 산으로 처리하는 것;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히드라진, 디메틸아민, 피페리딘 등과 같은 알칼리로 처리하는 것; 액체 암모니아에 현탁된 소듐으로 처리하는 것; 카본에 담지된 팔라듐으로 환원하는 것;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trimethylsilyl triflate), 트리메틸실릴 브로마이드 등으로 실릴화(silylation)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의 산 또는 실릴화제로 탈 보호기 반응을 하는데 있어서, 아니솔(anisole), 페놀, 크레솔, 티오아니솔 및 에탄디티올과 같은 양이온-트랩핑화제(cation-trapping agents)를 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고상법에 의해 합성된 화합물은 고상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탈보호기가 제거될 수 있다. 탈보호기 반응의 예로는 상기한 산 또는 실릴화제로 처리하는 것이 있다.
상기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한 일련의 반응 후에 통상적인 공지 수단에 의해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가령, 추출, 분배, 재침전, 재결정,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보다 정제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각 단위부분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위부분 (a)의 아미디노벤조산은 단위부분의 축합에서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4-시아노벤조산으로 전환한 다음 축합하고 시나오기를 아미디노기로 다시 전환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다음 식을 참조)
Figure kpo00003
단위부분 (b)는 치환된 β-아미노산을 합성하는 일반적인 방법, 예를 들면, 유세비오의 문헌 및 그 문헌에 인용된 문헌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참조: Eusebio Juaristi et al.,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β-Amino acid", Aldrichimica Acta, vol. 27, No. 1, pp. 3-11(1994)). 또한, 단위부분 (b)는 β-락탐 유도체가 가수분해에 의한 락탐 고리의 절단에 의해 치환된 β-아미노산을 제공하기 때문에, 코이치 등의 문헌 및 그 문헌에 인용된 문헌에 개시된 것처럼 β-락탐을 제조하고 계속해서 가수분해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하게 수득할 수 있다(참조: Koichi Imai, "A Synthetic Chemistry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the Reaction of β-lactam Ring Formation" vol. 50 of "Organic Synthetic Chemistry", No. 2, pp. 112-130(1992), David J. Hart and Deok-Chan Ha, "The Ester Enolate-Imine Condensation Route to beta-Lactams", Chemical Reviews, vol. 89, No. 7, pp. 1447-1465(1989)). 반복단위(c)는 대응되는 4-카르복시알킬피리딘을 환원하거나 카르복실기의 탄소원자를 포함하여 같은 수의 곁사슬 탄소원자를 가지는 4-히드록시알킬피리딘의 히드록실기를 산화하고 피리딘 고리를 환원하여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소판 응집에 의해 1차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혈소판 응집 저해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심근경색 및 뇌경색에서처럼 혈전 형성에 의해서 야기되는 동맥폐색을 저해하거나 예방하는데, 약제로서 유효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i) 경피경관혈관성형(PTCA)을 협심증(angina) 또는 심근경색 환자의 협착된(stensed) 관상동맥에 적용한 후에 발생하는 급성 재vPtior ii) 유로키나제(urokinase)와 같은 피브린용해제(fibrinolytic agent)를 동맥의 혈전에 사용되는 혈전용해 요법(thrombolytic therapy)를 적용할 때 혈전으로부터 나오는 재활성된 혈소판에 의해 야기되는 재폐색; 및, iii) 혈액의 체외순환을 수반하는 의료처치에서의 혈액응고 및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기 위한 약제로서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정착저해제(cell adhesion-inhibiting agents)m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s), 항류마트스제(anti-rheumatic agents), 항골다공증제(anti-ostepoprosis) 및 암전이저해제(cancer metastasis-inhibiting agents)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이 혈소판 응집 저해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될 때, 그 및 그의 염은 고상 또는 액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재(diluent), 즉, 부형제(excipient), 안정제(stabilizer)등과 함께 조성물로 형성된다. 제약의 조제에서, 담체에 대한 유효성분의 비는 1 내지 90중량%의 범위이다. 조제는 과립, 미립(fine granules), 산제(powders), 정제, 캡슐, 환제(pills), 액제(liquid) 및 용액제(solution)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조제는 벌크산제(bulk powder)의 형태로 경구투여 되거나 정맥주사, 근육주사 또는 피하주사될 수 있다. 주사제는 사용 직전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분말로부터 조제될 수 있다.
경구적, 장관내성(enteral) 또는 장관외성(parenteral) 투여에 적당한 유기 또는 무기, 고상 또는 액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가
본 발명의 혈소판 응집 저해제를 조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 젤라틴, 젖당, 녹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활석(talc), 동물성 지방 및 동물성유, 식물성 지방 및 식물성유, 벤질 알코올, 고무(gums), 폴리알킬렌 글리콜, 석유수지, 코코낫유, 라놀린(lanolin) 및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모든 담체가 본 발명의 혈소판 응집 저해제의 담체 또는 희석제로 사용쥘 수 있다. 안정화제, 습윤제(wetting agents), 유화제 및 조제의 삼투몰농도(osmolarity) 또는 pH를 조절하기 위한 염을 보조제(adjuvant)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혈소판 응집 저해제는 다른 종류의 혈소판 응집 저해제과 같은 다른 약학적으로 유효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혈소판 응집 저해제가 과립, 미립, 분말, 정제 또는 캡슬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의 함량은 5 내지 80증량%가 바람직하다. 혈소판 응집 저해제가 액제 또는 용액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의 함량은 1 내지 30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혈소판 응집 저해제가 주사제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의 함량은 1 내지 10증량%가 바람직하다.
혈소판 응집 저해제가 경구투여될 때, 유효성분의 임상적 투여량은 성인환자의 경우에 1일 100 내지 1000mg이 바람직하며, 환자의 연령, 치료되는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혈소판 응집 저해제는 상기한 1일 투여량을 하루에 한 번 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루에 두 번 또는 세번으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주사의 경우에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성인 환자의 경우에 한번 주사할 때마다 1 내지 수백 밀리그램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주사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수행되거나, 적주법(drip infusion) 등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over time) 계속될 수 있다.
혈액의 체외순환을 수반하는 의료처치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주사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혈소판 응집 저해제의 경우와 같다.
하기의 비교 실시 예에서 보듯이, α 위치가 단일치환된 β-아미노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생리활성이 크지 않으며, 치환기가 전기 유도체의 β위치에 도입되면, 생리활성은 급격히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α 위치에 두 개의 저급알킬이 치환된 본 발명의 β-아미노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비치환된 β-아미노산 유도체보다 생리활성이 약 10배 정도 크고, 더욱이, β-위치에 치환기를 도입하면, 생리활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β-아미노산 유도체의 α 위치에 있는 두 치환기와 아미드기 사이의 β? 위치에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β 위치에 있는 치환기의 공간적인 위치가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β-아미노산 잔기는 일반적으로 생체내에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β-아미노산 잔기로부터 거의 비자연적인 β-아미노산 잔기로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부분을 변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전기 변환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펩타이드 결합의 생체내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켜, 생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해를 저해시키고 약물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 β-아미노산 잔기에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분자의 소수성을 증가시켜, 펩타이드 결합의 친수성에 의해 야기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같은 펩타이드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낮은 생체내 이용률(bioavailability)이 경구투여에서의 생체내 이용률이 증가되는 것과 같이 조절된다.
피브리노겐 수용체의 기능을 길항하기 위하여, 화합물은 염기성 및 산성 위치가 분자 내에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존재하여, 피브리노겐 수용체에 결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염기성 위치는 아미디노기이고 산성 위치는 피페리딘환의 4 위치에 있는 지방산 잔기이다. 기본적으로, β-아미노산 잔기의 치환기로서는, 두 개의 상기한 수용체 인식위치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할 만큼 크지 않고 생체내 안정성 및 소수성이 커서 경구적 생체내 이용률을 증진시킬 수 있는 치환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큰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을 갖기 위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치환기는 다음 이유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치환기는 소수성을 갖으므로 수용체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새로운 위치를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용체와의 결합력은 더욱 증가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개시된 치환기를 도입하여 자유도가 큰 직쇄상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운동성을 조절하고, 입체 분자구조를 고정시킴으로써,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입체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고 수용체 결합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은 화합물의 유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제조에 관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β-아미노산 관기는 항생제로서 이용되는 β-락탐을 합성하는 방법을 직접 응용하므로써 합성될 수 있다. 다양한 β-락탐의 합성법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이하고 저렴하게 합성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명백하듯이, 치환된 β-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로서 유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마우스 간의 파쇄액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태양]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화합물들의 합성]
[실시예 1]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04
(1) 메틸 2,2-디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
메틸 시아노아세테이트(15ml)와 메틸 아이오다이드(200g)를 교반하고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서 아세톤에서 4일간 환류시킨 후, 탄산칼률을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아세톤을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진공(16mmhg, 76℃)으로 증류시켜 메틸 2,2-디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19.5G, 73%)를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5
(2) N-(N-t-부톡시카르보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메틸 2,2-디메틸-시아노아세테이트(2.0g)를 수소 분위기 및 로듐-알루미나 촉매의 존재하에서 1N 암모늄-함유 메탄올/에탄올(1:1) 혼합용액에 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용액으로부터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에 4N 카우스틱 소다(caustic soda, 3ml)와 디옥산(3ml)을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에 디옥산(20m1)에 용해되어 있는 디-t-부틸 카르보네이트(2.9g)와 2N 탄산나트륨 수용액(25m1)을 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에테르로 세척한 후 빙냉시키면서 시트르산으로 pH3으로 적정시켰다. 그런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3회 추출시켰다. 유기층을 포화된 NaCl로 3회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켜 N-t-부톡시카르보닐-7,7-디메틸-7-알라닌(2.5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N-t-부톡시카르보닐-7,7-디메틸-7-알라닌(1.1g), 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토실레이트(1.52g),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rop, 2.20g) 및 트리에틸아민(1.7ml)을 염화 메틸렌(15m1)에 용해시키고 흔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12.5 × 40cm, Si-60, 용출액 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하여 N-(N-t-부톡시카르보닐-α,α-디메틸기-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55g, 96.0%)를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6
(3) N-(N-4-시아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N-t-부톡시카르보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6g)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m1)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으로부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핵산으로 3회 세척하고 휘발성 생성물을 진공에서 톨루엔과 공비시켜 제거하였다. 수득된 잔류물, 4-시아노벤조산(0.83g), WSDC(2.16g), HOBT(0.76g) 및 트리에틸아민(3.2ml)을 염화 메틸렌(50m1)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1ψ2.5 × 40cm, Si-60, 용출액: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하여 N-(N-4-시아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26g, 76.0%)를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7
(4)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N-4-시아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 )-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0.6g)를 피리딘(15m1)에 용해시키고 황화 수소 가스를 1시간 동안 주입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메틸 아이오다이드(2g)를 가한 후, 아세톤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으로부터 용매와 과다한 메틸 아이오다이드를 증류시키고, 암모늄 아세테이트(0.2G)을 가하여 혼합물을 6시간 동안 메탄올에서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소량의 염화 메틸렌에 용해하고 헥산으로부터 재침전시켜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0.25g, 40.0%)를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8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0, lOg)를 수소 분위기 및 히드록사이드 촉매의 존재 하에서 50% 물/메탄을 혼합용액에서 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켰다.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수득된 용액을 고속액상 크로마토그래피(HPLC)[칼럼: ODS 5C18(μ bondasphere, Φ 19 × 150mm), 이동상: (A) 0.1% TFA, (B) 100% CH3CN/0.1% TFA, 구배(gradient): (A): (B)=80:20-70:30, 20분, 유속: 17m1/분]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5m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09
[실시예 2]
N-(N-4-아미디노벤조일-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10
(1)Fmoc[N-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4-피페리딘아세트산
4-피리딘아세트산 히드로클로라이드(10g)를 6N HCI(30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산화 플라티늄(1g)을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3일 동안 수소 흐름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용액으로부터 HCI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고진공 펌프로 완전히 건조시켜 백색 결정(9.5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결정을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187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디옥산(100m1)에 용해되어 있는 Fmoc-Cl(13.6g) 용액을 빙 냉하면서 한방울씩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켜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빙냉하면서 수용성 층을 농축 HCI로 pH 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포화된 Na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증류시키고 핵산으로부터 재결정화를 통해 결정을 수득하였다(14.5g, 79.2%).
Figure kpo00011
(2) 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n-핵산에 녹아 있는 n-부틸 리튬 용액(14.4ml, 24mmo1)을 테트라히드로퓨란(15m1)에 녹아 있는 디이소프로필아민 용액(3.4ml)에 -78℃에서 가하고, 반응을 -78℃에서 20분 동안 수행하였다. 전기 반응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퓨란(10m1)에 녹아 있는 에틸 이소-부틸레이트 용액(2.68m1, 20mmo1)을 한 방울씩 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테트라히드로퓨란(10m1)에 녹아 있는 1,1,1,3,3,3-헥사메틸디실라잔 용액(4.8ml)과 n-핵산에 녹아 있는 n-부틸 리튬용액(13.2ml, 22mmo1)을 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키고 용매를 진공으로 증류시킨 후 테트라히드로퓨란(10m1)에 녹아 있는 벤즈알데히드 용액(2.25m1, 27mmo1)을 한 방울씩 가하고 30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N-(트리메틸실릴)벤즈알디민을 사전에 제조하였다.
염화 암모늄 포화 수용액을 반응 용액에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3회 세척하였다. 모은 유기층을 NaCl 포화 수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수득된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2.5 × 40cm)에 가하고 혼합 용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으로 용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2.189, 62.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2
(3) N-Fmoc-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2.18g, 12.4mmol)에 6N HCI(100m1)을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고 용매를 증류시켜 β-페닐-α,α-디메틸-7-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81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3
수득한 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2.Og, 10.8mmol)를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46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디옥산(20m1)에 녹아 있는 Fmoc-Cl 용액(3.35g, 12.96mmol)을 빙냉하면서 한 방울씩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물에 용해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용성 층을 빙냉하면서 농축 HCI로 pH 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모은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창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수득된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2.5 × 40cm)에 가하고 혼합용액(클로로포름 메탄올=50:1)으로 용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Fmoc-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21g, 26.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4
(4) 4-아미디노벤조산 히드로클로라이드
4-아미디노벤조산 히드로클로라이드(lOg)를 6N HCI(300m1)과 아세트산(50m1)의 혼합용액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10℃에서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빙냉하고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4-아미디노벤조산 히드로클로라이드 결정(10.4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5
(5)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p-알콕시벤질 알코을 수지[히드록실기 함량: 0.92meq/g](HOCH2-Ph(1,4)-OCH2-Ph(1,4)- Polymer) (0.272g, 0.25mmo1)를 반응 용기에 넣고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현탁시켰다. 수득된 현탁액에 N-Fmoc-4-피페리딘아세트산(366mg, 1mmol)과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0.167m1, 1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31mg, 0,25mmo1)의 존재 하에서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세척하여 N-Fmoc-4-피페리딘아세트산-수지를 수득하였다. 표 1과 같이 흔들 및 여과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N-Fmoc-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과 4-아미디노벤조산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차례로 N-Fmoc-4-피페리딘아세트산-수지에 주입하여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피페리딘아세틸 수지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수지를 m-크레졸(1ml), 티오아니솔(1ml) 및 에탄디티올(0.2ml)을 포함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0ml)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수득된 수지를 유리 필터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상온에서 농축시켰다. 농축액에 디에틸 에테르를 빙냉하면서 가하여 원하는 화합물의 조분말을 수지로부터 분리된 채로 수득하였다. 전기 분말을 디에틸 에테르로 다시 세척한 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고속액상 크로마토그래피(HPLC)[칼럼; ODS 5C18(μ bondasphere, Φ 19 × 150mm), 이동상: (A) 0.1% TFA, (B) 100% CH3CN/0.1% TFA, 구배(gradient): (A): (B)=80:20-70:30, 20분, 유속: 17m1/분]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N-(N-4-아미디노벤조일-B스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8.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6
HPLC 분석
CrestPak C18T-5(Φ 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DP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8.04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2.1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17
(6) 액상법에 의한 표제
(6-1)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88g, 8.19mmol)를 DMF(10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Et3N) (3.5ml, 25.llmmol)과 4-시아노벤조일-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4-시아노벤조일-OSu) (2.2g, 9.01mmo1)를 빙냉하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5% 암모니아수에 용해시킨 후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용성 층을 빙냉하면서 시트르산으로 pH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모은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포화된 Na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에테르-헥산 혼합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를 통해 N-4-시아노벤코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을 수득하였다(2.54g, 96.2%).
Figure kpo00018
(6-2)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0.5g, 1.55mmol)을 염화 메틸렌(3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BOP 시약(0.89g, 4.03mmo1)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 (1.67ml, 9.3mmol)을 빙냉하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08g, 4.65mmo1)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이어 5% 시트르산 수용액,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NaCl 포화 수용액으로 각각 3회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2.2 × 20cm)에 가한 후 혼합 용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칙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0,58g, 69.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19
(6-3)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50mg, 0.279mmo1)를 피리딘(1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ml)을 가하고, 혼합물을 황화 수소 가스로 포화시켰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피리딘을 증류시키고 휘발성 생성물을 두 번 톨루엔과 공비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톤(15m1)에 용해시키고, 이에 메틸 아이오다이드(1ml)를 가하여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1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암모늄 아세테이트(100mg)를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1.5 × 14cm)에 가한 후 혼합 용액(클로로포름·메탄올=5: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72mg, 46.5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0
(6-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63mg, 0.114mmo1)를 2% 아세트산을 포함한 80% 메탄을 수용액(10m1)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팔라듐 히드록사이드(507g)를 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에서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고속액상 크로마토그래피(HPLC)하여 정제시켜,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47.5mg, 89.9%)을 수득하였다. NMR, MS 및 HPLC 분석을 통하여, 수득한 생성물은 고상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과 동일한 화합물임을 밝혀내었다.
[실시예 3]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21
(1) 4-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와 프로피온알데히드(4.0ml, 5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3.33g, 52.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2
(2) N-4-시아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닌 4-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15.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 클로라이드 분말(2.31g, 81.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3
수득한 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5.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32g, 87.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4
(3) N-4-시아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닌(0.5g, 1.82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일-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0.6g, 67.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5
(4) 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45mg, 0.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81mG, 31.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6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40mg, 0.09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1mg, 63.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7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6.73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N(N-4-아미디노벤조일-β-n-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28
(1) 4-n-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와 n-부틸알데히드(4.51ml, 50m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n-프로필-3,3-디매틸-2-아제티디논 결정(2.95g, 41.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29
(2)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닌
4-n-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2.95g, 20.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n-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3.33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0
β-n-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5.11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닌 결정(0.99g, 67.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1
(3)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닌(400mg, 1.3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75mg, 25.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2
(4) N-4-아미디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75mg, 0.3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므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69.1mg, 38.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3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아미디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일-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35mg, 0.067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n-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4.3mg, 84.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4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2.51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N(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35
(1) 4-이소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와 이소부틸알데히드(4.93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이소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3.87g, 54.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6
(2)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4-이소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14.2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68g, 97.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7
수득한 β-이소프로필-α, α-다ㅣ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5.11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26g, 85.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8
(3)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0.4g, 1.3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05mg, 15.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39
(4) 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 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60mg, 0.318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99mg, 60.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0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45mg, 0.08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이소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3.8mg, 64.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1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5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9.80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N(N-4-아미디노벤조일-β-노르말-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42
(1) 4-n-부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n-발레로알데히드(valeroaldehyde, 5.13ml, 50 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n-부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4.07g, 52.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3
(2)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닌
4-n-부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12.8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65g, 98.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4
수득한 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4.8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0.61g, 41.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5
(3)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닌(200mg, 0.66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207mg, 58.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6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06mg, 0.20mmo1)를 피리딘(10m1)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ml)을 가하고 혼합물을 황화 수소 가스로 포화시켰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피리딘을 증류시키고 휘발성 생성물을 두 번 톨루엔과 공비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톤(15m1)에 용해시키고, 이에 메틸 아이오다이드(1ml)를 가하여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1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암모늄 아세테이트(100mg)를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수득한 조(crude)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32mg, 0.06mmol)를 5% 아세트산을 포함한 50% 메탄을 수용액(10m1)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팔라듐 히드록사이드(50mg)를 가하고 흔합물을 수소 분위기에서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HPLC로 정제하여, N-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6,5mg, 24.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7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9.77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N(N-4-아미디노벤조일-β-노르말-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48
(1) 4-n-펜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1-헥산알(5.27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n-펜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오일(4.41g, 52.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49
(2)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닌
4-n-펜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11.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37g, 90.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0
수득한 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2.37g, 12.7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820mg, 20.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1
(3)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닌(200mg, 360mg, 1.1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461mg, 76.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2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31mg, 0.43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02mg, 42.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3
수득한 N-4-시아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52mg, 0.09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n-펜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40mg, 92.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4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5.94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N(N-4-아미디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55
(1) 4-p-메톡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m-메톡시벤즈알데히드(6.08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p-메톡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3.39g, 33.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6
(2)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4-p-메톡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1.54g, 7.5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01g, 77.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7
수득한 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3.8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860mg, 63.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8
(3)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200mg, 0.5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230mg, 72.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59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00mg, 0.1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6-(4)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메톡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6.1mg, 18.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0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2.64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9]
N(N-4-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061
(1) 4-m-클로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m-클로로벤즈알데히드(6.80ml, 6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m-클로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3.39g, 33.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2
(2)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4-m-클로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9.55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47g, 98.4%)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3g, 4.9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6g, 92.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4
(3)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300mg, 0.84mmol)을 염화 메틸렌(30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빙냉하면서 BOP 시약(409mg, 0.92mmol)과 트리에틸아민(1ml)을 가하고 혼압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572mg, 3.36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2.2 × 20cm)에 가하고 혼합 용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오일(270mg, 65.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5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m-크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80mg, 0.16mmo1)를 피리딘(1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ml)을 가하고, 혼합물을 황화 수소 가스로 포화시켰다. 반응용기를 밀봉하고 반응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피리딘을 증류시키고 휘발성 생성물을 두 번 톨루엔과 공비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톤(15m1)에 용해시키고, 이에 메틸 아이오다이드(1ml)를 가하여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10m1)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암모늄 아세테이트(100mg)를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수득한 조 N-4-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18mg)을 50% 메탄을 수용액(10m1)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2N 리튬 히드록사이드 수용액(3ml)을 상온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3N HCI을 사용하여 pH 7로중화시킨 후,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HPLC로 정제하여 20.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6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50.10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N-(N-4-아미디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Figure kpo00067
(1) 4-p-플루오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p-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5.30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p-플루오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2.64g, 27.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8
(2)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4-p-플루오로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0.97g, 5.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1.13g, 91.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69
수득한 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0.50g, 2.02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0.64g, 93.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0
(3)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닌(200mg, 0.5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69mg, 51.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1
(4)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42mg, 0.256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66.2mg, 45.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2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30mg, 0.0524mmol)를 사용하여 실시에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p-플루오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3mg, 901.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3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2.77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N-(N-4-아미디노벤조일-β-펜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74
(1) 4-펜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과 3-페니르프로피온알데히드(6.57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펜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3.50g, 34.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5
(2) N-4-시아노벤조일-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4-펜에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3.50g, 17.2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4.42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6
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600mg, 2.33mmol)를 DMF(100ml)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Et3N) (0.98ml, 6.99mmol)과 N-4-시아노벤조일-OSu(630mg, 2.56mool)를 빙냉하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2N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수용성층을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pH 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모은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포화된 Na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수득한 조 N-4-시아노벤조일-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200mg, 0.57mmol)을 N-4-시아노벤조일-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12mg, 65.8%)로 유도하였다.
Figure kpo00077
(3)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00mg, 0.17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노벤조일-β-펜에틸-α,α-디메틸-β-알라닌-4-피페리딘아세트산(14.1mg, 16.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78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3.67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N(N-4-아미디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79
(1) 4-시클로헥실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염화 메틸렌에 녹아 있는 옥사졸릴 디클로라이드 용액(3.6ml, 46.8mmol)에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3.3ml, 58.5mmol)를 -78℃에서 한 방울씩 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염화 메틸렌에 녹아 있는 2-시클로헥실에탄올 용액(5.5ml, 39.0mmol)을 한 방울씩 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20ml)과 물(100ml)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화 암모늄 및 NaCl 포화 수용액으로 각각 3회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수득된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2.5 × 40cm)에 가하고 혼합 용액(클로로포름:메탄올=10:1)으로 용출하였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시클로헥실아세트알데히드(2.88g, 58.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에틸 이소부틸레이트(2.14ml, 17.8mmol)와 수득한 시클로헥실아세트알데히드(2.25g, 17.8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시클로헥실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0.464g, 13.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0
(2)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
4-시클로헥실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0.46g, 2.36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0.51g, 87.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1
수득한 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0.4g, 1.6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244g, 44.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2
(3)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100mg, 0.292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22mg, 74.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3
(4)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22mg, 0.21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52mg, 41.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4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8mg, 0.049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0.2mg, 85.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5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51.49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N(N-4-아미디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86
(1) 4-(3-퓨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 and 3-퓨릴알데히드(4.32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3-퓨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4.83g, 58.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7
(2) N-4-시아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닌
수산화 나트륨(378mg, 9.45mmol)과 테트라히드로퓨란(10ml)을 4-(3-퓨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1.2g, 7.21mmol)에 가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닌 나트륨염 분말(1.4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8
수득한 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닌 나트륨염(1.4g, 7.21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244g, 44.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89
(3) N-4-시아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헥실메틸-α,α-디메틸-β-알라닌(400mg, 1.2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9-(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오일(367mg, 64.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0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210mg, 0.4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9-(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3-퓨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4mg, 10.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1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5.23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N(N-4-아미디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92
(1) 4-스티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 및 시남알데히드(6.3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스티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6.94g, 69.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3
(2)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닌
4-스티릴-3,3-디메틸-2-아제티디논(2.5g, 12.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0.78g, 30.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4
수득한 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0.4g, 1.56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615mg, 60.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5
(3)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4-피레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203mg, 0.86mmol)를 사용하여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닌(100mg< 0.287mmol)으로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오일(46mg, 30.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6
(4)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118mg, 0.223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오일(53.2mg, 43.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7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아미디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30mg, 0.055mmol)를 TEA(10ml) 및 물(0.5ml)의 혼합 용액에 용해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EA를 상온에서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시예 2-(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N-4-시아노벤조일-β-스티릴-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7.2mg, 26.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098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5.68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N(N-4-아미디노벤조일-β-(4-피페리딜)-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099
(1) 4-(4-피리딜)-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와 피리딘-알데히드(4.77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4-피리딜)-3,3-디메틸-2-아제티디논(4.05g, 46.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0
(2)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닌
4-(4-피리딜)-3,3-디메틸-2-아제티디논(1.76g, 1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51g, 93.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1
수득한 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0.4g, 1.5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0.70m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2
(3)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닌(0.32g, 1.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251mg, 46.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3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4-피리딜)-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50mg, 0.46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4-피페리딜)-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3.0mg, 10.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4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5.74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N(N-4-아미디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05
(1) 4-(2-나프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와 2-나프트알데히드(7.81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2-나프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결정(9.85g, 87.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6
(2)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닌
4-(2-나프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2.25g, 12.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81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7
수득한 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5g, 5.3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65g, 82.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8
(3)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닌(600mg, 1.61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425mg, 45.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09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80mg, 0.31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2-나프틸)-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5.3mG, 3.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0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54.39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N(N-4-아미디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11
(1) 4-시클로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부틸레이트(6.68ml, 50mmol) 및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시알데히드(3.74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시클로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7.02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2
(2)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4-시클로프로필-3,3-디메틸-2-아제티디논(2.0g, 14.3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2.16g, 78.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3
수득한 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2.1g, 10.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 결정(2.2mg, 70.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4
(3)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닌(420mg, 1.4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9-(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오일(590mg, 95.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5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340mg, 0.8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9-(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시클로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77.3MG, 22.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6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9.85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N(N-4-n-부틸-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17
(1) 표제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9-(3)에서 제조한 N-4-시아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70mG, 0.141mmol)를 피리딘(10ml)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ml)을 가하고, 혼합물을 황화 수소 가스로 포화시켰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피리딘을 증류시키고 휘발성 생성물을 두 번 톨루엔과 공비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톤(15ml)에 용해시키고, 이에 메틸 아이오다이드(1ml)를 가하여 30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10ml)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n-부틸아민(1ml)을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수득한 조 N-4-n-부틸-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50% 메탄올 수용액(10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2N 리튬 히드록사이드 수용액(3ml)을 상온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용액을 3N HCl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킨 후, 용매를 증류시켰다. 잔류물을 1N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HPLC로 정제하여 N-(N-4-n-부틸-아미디노벤조일)-β-m-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3.5mg, 6.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18
Wakosil-II 5C1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20-5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9.11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119
(1)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에틸 4-피페리딘 아세테이트(1.59g, 9.31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β-알라닌(1.0g, 3.10mmol)으로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오일(0.96g, 65.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0
(2)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360mg, 0.7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오일을 수득하였다. 전기 오일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켰다(193mg, 51.8%)
Figure kpo00121
[실시예 20]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의 합성
Figure kpo00122
(1)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t-부틸 4-피페리딘 아세테이트(0.93g, 4.66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0.5g, 1.55mmol)으로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오일(470mg, 60.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3
(2)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450mg, 0.89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T-부틸 에스테르 오일(200mg, 43.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4
[실시예 21]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25
(1) N-메틸-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1.75g, 10mmol)의 테트라히드로퓨란(40ml) 용액에 소듐 히드리드(60% 오일) (0.48g, 12mmol)를 0℃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에, 메틸 아이오다이드(0.74ml, 12mmol)를 한 방울씩 가하고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회복시켰다. 반응을 2시간 동안 수행하고 염화 암모늄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NaCl 포화 수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시켰다. 수득된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에 가한 후 혼합 용액(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2: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메틸-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1.89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6
(2) 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
N-메틸-4-페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2.43g, 12.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3.00g, 96.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7
수득한 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13g, 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 결정(1.02g, 60.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8
(3) N(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0.67g, 2.0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결정(1.13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29
(4)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N-4-시아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417mg, 0.7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58mg, 37.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0
(5) 표제 화합물의 합성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05mg, 0.18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N-메틸-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39.6mg, 44.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1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8.94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N(N-4-아미디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32
(1) 4-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
밀봉한 상태로 압력 용기 내에서 클로로술포닐 이소시아네이트(이하에서는 "CSI"라 약칭함) (7ml, 71mmol)를 -78℃에서 2-메틸-2-부텐(20ml, 188mmol)에서 한 방울씩 가하고, 반응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빙냉하면서 2N 소듐 티오술페이트 수용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에, 4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가하여 수조의 pH를 9-10의 범위로 유지시켰다. 수득한 혼합물의 분리 후에, 수용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추출하였다. 모은 유기층을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숨 상에서 건조시켰다. 마그네슘 술페이트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진공으로 증류시켜 원하는 4-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7.8g, 68mmol, 96%)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3
(2) N(N-4-시아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6N HCl(100ml)을 4-메틸-3,3-디메틸-2-아제티디논(1.7g, 10mmol)에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류시켜 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미노산을 DMF(100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Et3N)(15ml)과 4-시아노벤조일-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4-시아노벤조일-OSu) (2.5g, 10.1mmol)를 빙냉하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1N 탄산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빙냉하면서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수용성층을 pH 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켜 조 N-4-시아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닌을 수득하였다.
정제되지 않은 조 N-4-시아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닌(2.6g, 10mmol)을 염화 메틸렌(30ml)에 용해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BOP 시약(4.5g, 10mmol) 및 츠리에틸아민(Et3N) (6-5ml, 50mmol)을 빙냉하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메틸 4-피페리딘아세테이트(3.2g, 20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메틸 4-피페리딘아세테이트(3.2g, 20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시트르산 수용액,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NaCl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대로 각각 3회씩 세척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에 가한 후 혼합 용액(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3: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4-시아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오일(2.1g, 5.2mmol, 수율 : 아미노산을 기초로 하여 5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4
(3)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165mg, 0.41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9-(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68mg, 0.16mmol,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5
[실시예 23]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36
(1)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0.87g, 3.72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0.48g, 70.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7
(2)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20mg, 0.4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므로써,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80mg, 36.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8
수득한 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70mg, 0.13mmol)를 사용하여 실시에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VPSLF-α, α-ELAPXLF-β-알라닐)-4-피페라진아세트산(32mg, 53.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39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0.5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N-(N-4-아미디노벤조일-β-i-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40
이소발레릭 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i-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34.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41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3.22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N-(N-4-아미디노벤조일-β-p-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42
p-클로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p-클로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6.4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43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6.96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N-(N-4-아미디노벤조일-β-o-메톡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44
o-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o-메톡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9.3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45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8.2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7]
N-(N-4-아미디노벤조일-β-p-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46
p-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p-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5.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47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6.2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8]
N-(N-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48
p-벤질옥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7.7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49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8.35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9]
N-(N-4-아미디노벤조일-β-l-프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50
크레톤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l-프로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2.3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51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0.28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0]
N-(N-4-아미디노벤조일-β-3,3,3-트루플루오로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52
4,4,4-트리플루오로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5.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53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3.82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1]
N-(((N-4-아미디노벤조일)-1-아미노)-1-펜틸-1-시클로헥산-카르보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54
메틸 헥사히드로벤조에이트와 n-부티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1-아미노)-1-펜틸-1-시클로헥산카르보닐)-4-피페리딘아세트산(11.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55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0.80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2]
N-(N-4-아미디노벤조일-β-p-N,N-디메틸아미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56
p-N,N-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p-N,N-디메틸아미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07.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57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9.28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3]
N-(N-4-아미디노벤조일-β-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α, α-디메틸-β-알
*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58
m-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m-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19.3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59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5.09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4]
N-(N-4-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60
p-n-부틸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38.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1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54.72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5]
N-(N-4-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62
(1)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닌
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3.65g, 17.40mmol)를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18.4ml)에 용해하였다. 생성된 용액에 디-t-부틸카르보네이트(4.6g, 20.87mmol)의 디옥산 용액(50ml)을 빙냉하면서 가하고,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켜 에테르로 세척한 후, 빙냉하면서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pH 3으로 적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을 몇 회 실시하였다. 모은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에테르-헥산 혼합 용매로서 재결정화시켜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닌 결정(3.16g, 66.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3
(2)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닌-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30ml)에 녹아있는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닌 용액(1.68g, 6.13mmol)에 HATU 시약(2.8g, 7.37mmol) 및 디-i-프로필에틸아민(6.68ml, 36.8mmol)을 빙냉하면서 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에 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1.45g, 9.19mmol)를 가하고 상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시트르산,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소금물로 각기 3회씩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2.2 × 20cm)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2:1로 용출시킴으로써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분말(1.70g, 67.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4
(3) N-(N-2-플루오로-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N-Boc-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77g, 1.86mmol)에 아니솔(0.7ml) 및 TEA(20m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하면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EA를 진공으로 상온에서 제거한 후, 생성된 잔류물을 헥산으로 3회 세척하고, 빙냉하면서 DMF(20ml)에 용해하였다.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2-플루오로-4-시아노벤조산(0.40g, 2.42mmol), HOBT(0.33g, 2.42mmol) 및 WSDC(0.56g, 2.91mmol)를 가하여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시트르산,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소금물로 각기 3회씩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1.8 × 20cm) 헥산:에틸 아세테이트=3:1로 용출시킴으로써 N-(N-2-플루오로-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분말(366mg, 42.8%)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5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N-2-플루오로-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20g, 0.44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9-(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2-플루오로-4-시아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0.1mg, 9.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6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5.10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6]
N-(N-4-아미디노-2-클로로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67
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5-(1,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2-클로로-4-시아노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으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2-클로로벤조일-β-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5.1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68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6.92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7]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69
(1) α-아세톡시에틸-p-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
p-니트로페놀 및 α-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사용하여 알렉산더(J.Alexander)의 논문(J. Med. Chem. 31, 318-322(1988))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두 단계를 통하여 α-아세톡시에틸-p-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51.0%)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0
(2)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실시예 6-(3)에서 제조한 N-(N-4-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150mg, 0.28mmol)에 탈수시킨 THF(20ml) 및 트리에틸아민(2m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α-아세톡시에틸-p-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82.9mg, 0.31mmol)의 탈수시킨 THF 용액(5m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시트르산, 5%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소금물로 각기 3회씩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8 × 20cm) 클로로포름:메탄올=50:1로 용출시킴으로써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92.8mg, 52.8%)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1
(3) 표제 화합물의 합성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78.0mg, 0.12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n-부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7mg, 39.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2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2.83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8]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kpo00173
N-(N-4-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200mg, 0.42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37-(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조생성물(243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에테르-헥산 혼합 용액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N-((N-4-(N-1-아세톡시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디노벤조일-)β-p-n-부틸페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63mg, 63.9%)를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4
[실시예 39]
N-(N-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펜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75
m-벤질옥시시남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m-히드록시펜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94.3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6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9.06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0]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티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77
4-에티닐-3,3-디메틸-2-아제티디논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에티닐-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2.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78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4.16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1]
N-(N-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79
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에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6.7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0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6.01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2]
N-(N-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81
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3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2-플루오로벤조일-β-메틸-α, α-디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25.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2
Wakosil-II 5Cl8HG(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1.7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N-(N-4-아미디노벤조일-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83
(1)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Fmoc-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56.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4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0-40% 구배(4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9.60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2]
N-(N-4-아미디노벤조일-β-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85
(2) N-Fmoc-이-2-아미노-n-부티르산
2-아미노-부티르산(5g)를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하여 N-Fmoc-이-2-아미노-n-부티르산 결정(12.1g, 76.7%)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6
(2)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이-2-아미노-n-부티르산를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38.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7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2.0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3]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88
(1) N-Fmoc-DL-β-페닐-β-알라닌
DL-3-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2g)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DL-β-페닐-β-알라닌 결정(3.2g, 68.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89
(2)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DL-β-페닐-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19.1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0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3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2.4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4]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91
(1) N-t-부틸옥시카르보닐(Boc)-α-에틸-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
t-부틸옥시카르보닐-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2.26g)를 테트라히드로 퓨란(10ml)에 녹아 있는 디이소프로필아미드(LDA) 용액(6.9ml, 13.8mmol)에 -78℃에서 한 방울씩 가하고, 이에 헥사메틸포스포로아미드(HMPA) (2ml)를 가하였다. 반응 용액의 온도를 1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20℃로 상승시키고, 다시 -78℃로 낮추었다. 반응 욕액에, 에틸 브로마이드(0.76ml)를 한 방울씩 가하였다. 용액의 온도를 2시간에 걸쳐 0℃로 상승시키고, 염화 암모늄 포화 수용액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료시켰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 5% 시트르산 수용액 및 NaCl 포화 수용액으로 각각 3회 세척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2.5 × 40cm)에 가하고 혼합 용액(헥산:에틸 아세테이트=40: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t-부틸옥시카르보닐-α-에틸-β-알라닌-t-부틸 에스테르 오일(0.98g, 38.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2
(2) N-Fmoc-α-에틸-β-알라닌
아니솔(0.5ml)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ml)을 N-t-부틸옥시카르보닐-α-에틸-β알라닌-t-부틸 에스테르(0.98g)에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물(5ml)에 용해시키고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생성물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시켰다.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Fmoc-α-에틸-β-알라닌 결정(437mg, 36%)을 얻었다.
Figure kpo00193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α-에틸-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33.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4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3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5.75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5]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95
(1) 4-페닐-3-에틸-2-아제티디논
에틸 n-부틸레이트(6.6ml, 50mmol)와 벤즈알데히드(5.0ml, 50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페닐-3-에틸-2-아제티디논(1.56g, 18.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6
(2) N-Fmoc-β-페닐-α에틸-β-알라닌
6N HCl(100ml)을 4-페닐-3-에틸-2-아제티디논(1.56g, 9.45mmol)에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류시키고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전기 오일을 실리카겔 칼럼(1ψ2.5 × 40cm)에 가하고 혼합 용액(클로로포름:메탄올=50:1)으로 용출시켰다. 원하는 분획을 모으고 용매를 증류시켜 N-Fmoc-β-페닐-α-에틸-β-알라닌(1.69g, 44.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7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β-페닐-α-에틸-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에틸-β-알라닌)-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25.8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198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9.12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6]
N-(N-4-아미디노벤조일-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199
(1) 4-트랜스-스티릴-3-에틸-2-아제티디논
에틸 n-부틸레이트(6.6ml, 50mmol) 및 시남알데히드(50ml, 6.6mmol)를 사용하요 비교 실시예 5-(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트랜스-스티릴-3-에틸-2-아제티디논(1.74g, 17.3%)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0
(2) N-Fmoc-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닌
4-트랜스-스티릴-3-에틸-2-아제티디논(1.74g, 9.66mmol)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하여 N-Fmoc-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닌(0.79g, 21.9%)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1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7.6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2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40.65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7]
N-(N-4-아미디노벤조일-α-이소프로필-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203
(1) N-t-부틸옥시카르보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아이오다이드(1.8ml)를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4-(1)과 동일한 과정으로 N-t-부틸옥시카르보닐-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2.0g)를 이소프로필화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 오일(990mg, 4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4
(2) N-Fmoc-α-이소프로필-β-알라닌
4N HCl을 포함한 디옥산을 N-t-부틸옥시카르보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 t-부틸 에스테르(0.93g)에 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Te다. 용매를 증류시킨 후, 잔류물을 물(25ml)에 용해시키고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생성물을 Fmoc으로 보호시켰다.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N-Fmoc-α-이소프로필-β-알라닌 결정(790mg, 6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5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α-이소프로필-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α-이소프로필-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18.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6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3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15.68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8]
N-(N-4-아미디노벤조일-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207
(1) 4-페닐-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발레레이트(7.5ml, 50mmol) 및 벤즈알데히드(5mL, 50mmol)를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5-(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페닐-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 결정(2.13g, 22.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8
(2) N-Fmoc-β-페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
4-페닐-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2.13g, 11.25mmol)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하여 N-Fmoc-β-페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 결정(1.48g, 32.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09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β-페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이소프로필-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1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0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1.41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9]
N-(N-4-아미디노벤조일-β-트랜스-스티릴-α-에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Figure kpo00211
(1) 4-트랜스-스티릴-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
에틸 이소발레레이트(7.5ml, 50mmol) 및 시남알데히드(6.6ml, 50mmol)를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5-(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트랜스-스티릴-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8.7g, 83.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2
(2) N-Fmoc-β-트랜스-스티릴-α-이소프로필-β-알라닌
4-트랜스-스티릴-3-이소프로필-2-아제티디논(6.28g, 30mmol)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Fmoc으로 보호하여 N-Fmoc-β-드랜스-스티일-α-이소프로필-β-알라닌(1.51g, 21.5%)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3
(3) 고상법에 의한 표제 화합물의 합성
N-Fmoc-β-트랜스-스티릴-α-이소프로필-β-알라닌을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2-(5)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드랜스-스티일-α-이소프로필-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분말(9.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4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3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31.37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0]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kpo00215
(1) 4-페닐-3-메틸-2-아제티디논
에틸 프로피오네이트(5.73ml, 50mmoL) 및 벤즈알데히드(8.0ml, 50mmol)를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2-(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4-페닐-3-메틸-2-아제티디논(1.19g, 15.0%)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6
(2)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닌
4-페닐-3-메틸-2-아제티디논(1.19G, 7.37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β-페닐-α-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 분말(1.32g, 83.2%)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7
수득한 β-페닐-α-메틸-β-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1.0g, 4.63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닌 결정(1.43g, quant.)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8
(3)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0.5g, 1.62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6-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0.75g, 88.4%)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19
(4) 표제 화합물의 합성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500mg, 0.95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2-(6-3)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 오일(185mg, 35.8%)을 수득하였다. N-4-시아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 벤질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2-(6-4)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N-(N-4-아미디노벤조일-β-페닐-α-메틸-β-알라닐)-4-피페리딘아세트산(111mg, 95.1%)을 수득하였다.
Figure kpo00220
CrestPak Cl8T-5(1ψ4.6 × 250mm) 칼럼을 1.0ml/분의 유속, 상온 및 0.1% TEA에 녹아있는 아세토니트릴 10-40% 구배(60분)에 의한 용출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분석 HPLC의 스펙트럼은 26.83분의 보유시간에서 한 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험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 (PRP를 사용하는 시험관 내(in vitro) 사람 혈소판 응집의 측정)
적어도 2주 동안 어떤 약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남성 자원자들이 피험자로 선택되었다. 3.8% 소듐 시트레이트 용액이 1/10 부피로 미리 채워진 플라스틱 주사기와 #19 바늘을 사용하여 공복의 각 피험자의 팔뚝 정맥으로부터 채혈을 하였다. 채혈 후 즉시, 주사기를 부드럽게 흔들어 소듐 시트레이트 용액과 혈액이 섞이도록 하였다. 혼합된 혈액을 상온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1100 rpm, 250g)하고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을 멈추었다. 이후, 코마곰(Komagome) 형 피펫으로 상층액을 취하여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platelet-rich plasma: PRP)을 얻었다. 전기 PRP를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남은 혈액은 상온에서 15분 동안 더 원심분리하고(3500 rpm, 1500g)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을 멈추었다. 상층액을 취하여 혈소판이 거의 없는 혈장(platelet-poor plasma: PPP)을 얻었다. PRP의 제조 후에, 혈소판의 수를 세고 밀리리터 당 2 × 108개 이상의 혈소판을 포함한 시료만을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PRP를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에서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8-채널 혈소판 응집 측정기구(Hematracer, Nikoh Bioscience, Tokyo, Japan)를 사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측정하였다. 먼저, PPP 및 PRP(각 200μ1)를 유리 큐벳에 넣고 37℃에 놓아 두었다. 이후,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PPP의 투과율을 100%로 정하고 PRP의 투과율을 0%로 정하였다. 그런 다음, 생리 식염수 또는 시료-함유 생리식염수 10μ1를 PRP에 가하고 37℃에서 1분 동안 반응시켰다. 100μg/m1 농도의 콜라겐 용액(10μ1)을 가하여(최종 농도: 57g/m1) 응집을 유도하고, 이후 투과율을 7분에 걸쳐 측정하였다. 콜라겐 및 ADP에 의한 응집이 확인된 후에, 콜라겐에 의한 최대 응집이 적어도 70%인 시료들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를 2.2 × 10-2M의 농도가 되도록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키고, 실험에 사용하기 위해 계속해서 2배씩 희석하였다. 생리 식염수에 녹지 않는 시료들은 10% DMSO(디메틸 술폭사이드)를 포함하는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켰다.
결과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kpo00221
시료 농도에 대한 퍼센트 응집 저해의 그래프를 작성하고, 응집이 50%로 저해되는 농도(IC50)를 그래프로부터 계산하였다. 각 시료의 IC50을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222
Figure kpo00223
Figure kpo00224
표 2에서 보듯이, β위치가 치환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2-디메틸-치환 화합물 및 실시예 2-18과 21-36에서 제조한 α-디알킬-치환 화합물들이 비교 실시예에서 제조한 비치환, β-모노알킬-치환 또는 α-모노알킬-치환 화합물들보다 더 높은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β위치가 치환된 비교 실시예 5-6 및 8-10에서 제조한 α-모노알킬-치환 화합물들이 더 낮은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을 나타냄이 확실하다.
실시예 19, 20, 37 및 38에서 제조한 화합물들은 프로드러그(jprodrugs)이다.
[실험 실시예 2]
마우스 간 파쇄액에서의 화합물의 안정성
본 발명의 화할물의 마우스 간 파쇄액에서의 안정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약 30 그람의 무게가 나가는 수컷 ICR 마우스를 본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간을 절제하고 차가운 인산-완충 식염수(PBS)에 5분 동안 파쇄시켰다. 이후 파쇄액을 얼음 상에서 5분 동안 초음파 분쇄시키고, 이 분획을 간 파쇄액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및 참조 화합물들을 5mM이 되도록 PBS에 용해시켰다. 전기 화합물용액(0.3ml)을 얼음 상에서 상기 간 파쇄액 2.7ml에 가한 후, 혼합 용액을 37℃에서 반응시켰다. 30, 60 및 120분 후에, 400μ1의 혼합 용액을 따내어 100μ1의 아세토니트릴을 가하고 혼합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불용성 분획을 제거하기 위하여 1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에 존재하는 각 화합물의 농도를 Cl8 분석 칼럼(Wakopack, Wako Pure Chem, Co. Ltd., Tokyo, Japan)을 이용한 역상 HPLC에 의해 결정하였다.
제1도는 전기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데, 횡좌표는 시료의 반응 시간을 나타내고 종좌표는 각 시접에서 시료의 상대 농도를 나타낸다. 0시간(37℃에서의 반응 없이)에서의 시료의 농도를 100%로 정의하였고, 각 시점에서의 농도를 상대 값으로 나타내었다. 제1도에서 보듯이, 본 실험의 참조 화합물인 RGDS(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르트산-세린)가 매우 빨리 분해되었고 30분 후에는 미량만이 관찰되었다. 한편, 실시예 2의 화합물과 실시예 3의 화합물은 120분의 반응 기간 동안 전혀 분해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매우 안정하며, 분자 내에서 2개의 펩티드 결합을 포함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분해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안정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적인 특질로 인할 것이다; 이들은 분자 중앙의 α- 및 β-위치 모두에서 측쇄를 갖는 비자연적 β-알라닌 구조를 가지며, 전기 측쇄들은 펩티드 결합 가까이에서 공간적 장애를 일으키므로 결국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펩티드 분해효소의 접근과 반응을 낮추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시험관 내에서의 고안정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화합물이 안정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약학적 표과를 적어도 몇 시간 동안 유지하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 실시예 3]
급성 독성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을 100mg/kg의 양으로 마우스에 정맥 주사하였으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제형화 실시예 1]
실시예 1-42에서 제조한 각 화합물들(100mg)을 100ml의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켰다. 무균 상태에서, 수득한 용액을 2.5ml 부피 앰플에 넝고 앰플을 밀봉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화 실시예 2]
실시예 1-42에서 제조한 화합물(500mg) 중 한 가지, 결정질의 셀룰로스(50mg) 및 락토오스(450mg)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에탄올 및 물의 혼합용매(1ml)를 가하고, 두 혼합물을 잘 섞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물을 과립화시켜 과립을 제조하였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을 가지도록 피브리노겐 수용체를 길항하는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하며, 혈소판 응집 저해기능, 체내에서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 및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전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기 약학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 체외순화하는 혈액의 혈액응고 및 동맥의 폐색을 저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혈전증 치료시와 후, 관상 동맥 및 기타 동맥의 혈관성형(angioplasty) 후 및 관상 동맥 대체혈관의 치료 후의 혈소판 혈전증, 혈전색전증 및 곤상 동맥의 재폐색의 예방 및 치료; 및, 체외순환하는 혈액의 혈액응고의 저해에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kpo00225
    상기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아미노 보호기이고; R3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케닐, 저급알키닐, 아르(저급)알킬 또는 아릴이며; R4는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케닐, 저급알키닐, 히드록시(저급)알킬, 아미노(저급)알킬 또는 아르(저급알키닐(이 때, 아릴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아릴 또는 복소환기(이 때,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3 내지 8원환으로 된 시클로알킬(이 때, 환부는 치환기로서 저급알킬,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히드록시(저급)알킬, 히드록실 또는 보호된 히드록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기 시클로알킬이 치환된 저급알키르 저급알키닐 또는 저급 알케닐; 또는 저급알킬옥시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저급알킬이거나, 서로 연결되어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형성된 시클로알킬이며; R5는 수소 또는 생리적으로 절단가능한 카르복실 보호기이고; X는 질소 또는 탄소이며; Y1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히드록시, 저급알콕시, 니트로 또는 트리플루오로매틸이고; 및, m은 0 내지 2인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P 및 양자 모두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P 및 Q는 양자 모두 메틸이고, m은 1이며, X는 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
  5.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체순환용 혈액응고 저해제.
  6.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관상동맥 재폐색 저해제.
  7.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사람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방법.
  8.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사람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외순환하는 혈액의 응고 저해방법.
  9.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사람을 제외한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상동맥 재폐색 저해방법.
KR1019970704497A 1994-12-28 1995-12-28 치환된 베타-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0222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980/1994 1994-12-28
JP32898094 1994-12-28
JP252841/1995 1995-09-29
JP25284195 1995-09-29
JP341746/1995 1995-12-27
JP34174695A JP3874438B2 (ja) 1994-12-28 1995-12-27 置換β−アミノ酸残基を有するフィブリノーゲン受容体拮抗物質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製剤
PCT/JP1995/002763 WO1996020172A1 (en) 1994-12-28 1995-12-28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S HAVING SUBSTITUTED β-AMINO ACID RESIDU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391B1 true KR100222391B1 (ko) 1999-10-01

Family

ID=2733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497A KR100222391B1 (ko) 1994-12-28 1995-12-28 치환된 베타-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00516B1 (ko)
JP (1) JP3874438B2 (ko)
KR (1) KR100222391B1 (ko)
AT (1) ATE205829T1 (ko)
AU (1) AU692656B2 (ko)
CA (1) CA2208682C (ko)
DE (1) DE69522827T2 (ko)
ES (1) ES2164168T3 (ko)
TW (1) TW442469B (ko)
WO (1) WO19960201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897B1 (ko) 2019-02-12 2019-05-07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KR20200098358A (ko) 2019-04-16 2020-08-20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이중의 씰링부재가 마련되어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455B2 (ja) * 1996-06-27 2007-01-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フィブリノーゲン受容体拮抗物質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製剤
US8048917B2 (en) 2005-04-06 2011-11-01 Xenoport, Inc. Prodrugs of GABA analog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6818787B2 (en) 2001-06-11 2004-11-16 Xenoport, Inc. Prodrugs of GABA analog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7186855B2 (en) 2001-06-11 2007-03-06 Xenoport, Inc. Prodrugs of GABA analog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5617799B2 (ja) 2010-12-07 2014-11-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学増幅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7153A1 (en) * 1990-03-09 1991-09-10 Leo Alig Acetic acid derivativ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897B1 (ko) 2019-02-12 2019-05-07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KR20200098358A (ko) 2019-04-16 2020-08-20 주식회사 에스브이티 이중의 씰링부재가 마련되어 기밀성이 강화된 볼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2469B (en) 2001-06-23
JP3874438B2 (ja) 2007-01-31
JPH09151175A (ja) 1997-06-10
AU692656B2 (en) 1998-06-11
ATE205829T1 (de) 2001-10-15
DE69522827T2 (de) 2002-04-11
ES2164168T3 (es) 2002-02-16
EP0800516B1 (en) 2001-09-19
WO1996020172A1 (en) 1996-07-04
DE69522827D1 (de) 2001-10-25
AU4356796A (en) 1996-07-19
EP0800516A1 (en) 1997-10-15
CA2208682A1 (en) 1996-07-04
CA2208682C (en) 200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8123B (en) Antithrombotic compounds
CN105358550A (zh) 新型组蛋白脱乙酰基酶抑制剂
JP2000511559A (ja) N―置換2―シアノピロリジン
CN108349926A (zh) 曲前列环素衍生物及其组合物和用途
TW200911787A (en) New aza-bicyclohexane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thrombin
KR100222391B1 (ko) 치환된 베타-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N104797573A (zh) 新的组蛋白脱乙酰基酶抑制剂及其在治疗中的用途
CN115298198A (zh) 用于肾相关癌症靶向治疗的新型化合物和组合物
US7176199B2 (en) Aryl-substituted alicyclic compound and med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5045442B2 (ja) ベンゼン誘導体又はその塩
RU2001126348A (ru) 4-гетероциклилсульфонамидил-6-метокси-5-(2-метоксифенокси)-2-пиридил пиримид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DE102007010815B3 (de) Meta-substituierte Phenylsulfonylamide sekundärer Aminosäureamid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Hemmstoffe der Matriptase
JP2000514427A (ja) フィブリノーゲンレセプター拮抗薬プロドラッグ
JPS63275575A (ja) ピペラジン誘導体
KR100251622B1 (ko)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물질 및 전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제제
CN114075123A (zh) 苄胺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100584032B1 (ko) 항혈전제로서의 비스피페리딘
AU741766B2 (en) Thrombin inhibitors
JP2001517623A (ja) トロンビン阻害薬
JP2760633B2 (ja) 抗ヒスタミン剤
US5866592A (en)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JPH09249661A (ja) オキシインドール誘導体
US7084134B2 (en) Thrombin inhibitors
JPH08225450A (ja) 脂質酸化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