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67B1 -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 Google Patents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67B1
KR100222367B1 KR1019920019112A KR920019112A KR100222367B1 KR 100222367 B1 KR100222367 B1 KR 100222367B1 KR 1019920019112 A KR1019920019112 A KR 1019920019112A KR 920019112 A KR920019112 A KR 920019112A KR 100222367 B1 KR100222367 B1 KR 10022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estoring
force
state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345A (ko
Inventor
신이찌 모리모또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93000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01K89/0189Coaxial of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5Ratchet-type dr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일의 클러치 조작기구는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조작력을 스푸울(2)에 대한 회전구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회전구동계에 개입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기구(C), 클러치기구(C)를 ON, OFF 각 상태로 전환시키는 클러치조작구(3), 클러치기구(3)와 클러치기구(C)를 연동 연결하는 클러치 연계기구(B),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권상조작에 따라 상기 클러치기구(C)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강제적으로 복원 조작시키는 클러치 복원기구(A)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복원기구(A)는 상기 회전구동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기구(C)의 개입장착부위로부터 전동 상부측에 개입 장착된 회전체(19)와,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작용을 받는 작용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권상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작용력을 받아 대기위치에 퇴치하여 클러치 ON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와 연계되어 있는 복원부재(12)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융통기구(E)는 상기 복원부재(12)와 클러치조작구(3)와의 사이의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 내에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받으면 그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한다.

Description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제1도는 본 발명 리일의 우측 리일 몸체내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2도는 우측 리일 몸체내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3도는 리일의 평면도.
제4도는 탄성융통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5도는 탄성융통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6도는 탄성융통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푸울 A : 클러치 복원기구
3 : 클러치 조작구 B : 클러치 연계기구
5 : 낚싯줄 권상조작구 C : 클러치기구
12 : 복원부재 E : 탄성융통기구
19 : 회전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낚싯줄 권상(券上)조작구에서의 조작력을 스푸울에 대한 회전구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회전구동계에 클러치 기구를 끼워서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 기구를 ON, OFF 각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조작구와, 상기 클러치기구를 클러치 연계기구로 연동 연결하고,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의 권상조작에 따라 상기 클러치기구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강제적으로 복원 조작하는 클러치복원기구를 설정한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클러치 연계기구를 클러치조작구 및 복원부재에 밀접된 상태로 연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클러치 OFF 상태에서 캐스팅을 행할 경우, 낚싯줄 권상조작구를 배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기가 의복 끝에 걸리게 하여 뜻하지 않게 낚싯줄 권상조작구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복원부재를 대기위치에 강제적으로 복원시킬려고 하나 클러치 조작구를 OFF 상태에 조작하고 있으므로 클러치 조작구로 복원부재의 대기위치에의 이동을 저지하고 클러치 연계기구 등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게 되어 반복에 의한 피로 파괴를 야기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과부하에 대해서도 견딜수 있게 하려면, 클러치 연계기구 등을 강도가 있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그와 같은 강도가 높은 구조를 채용하면 클러치 연계기구로서의 기본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만으로는 공연히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 연계기구 등에 간단한 기구를 추가 구성하는 것만으로 반복에 의한 피로파괴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고, 클러치 연계기구로서의 기본적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과잉원가로 되지 않는 클러치기구 등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클러치 복원기구가 상기 회전구동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기구의 개입장착(介入裝着)부위보다 전동상부측에 개입 장착된 회전체와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로부터 복원작용을 받는 작용위치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낚싯줄 조작구의 권상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체로부터 복원작동력을 받아서 대기상태로 퇴피시켜 클러치 ON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와 연계되어 있는 복원부재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복원부재와 클러치 조작구와의 사이의 클러치 연계기구 내에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로부터 복원 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 이상의 복귀력을 받으면 그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하는 탄성융통기구를 설정해 둔 점에 있다.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클러치 OFF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구로 클러치 연계기구와 복원부재를 일정상태로 설정해둔 곳에 예측밖에 낚싯줄 권상조작구가 작동하면 통상의 복원조작력 이상의 복원력이 작용한다. 그렇게 하면 탄성융통기구가 작동하여 복원부재가 회전체에 의해 대기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클러치 연계기구 및 클러치 조작구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클러치 조작구에의 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낚싯줄 권상조작구가 작동하여도 복원부재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통상의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클러치 연계기구 등에는 과부하는 작용하지 않고 탄성융통기구가 클러치 연계기구의 일부로서 작동하여 클러치 조작구를 클러치 ON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탄성융통기구를 설정하는 것만의 간단한 개조를 실시함으로써 반복에 의한 피로파괴를 감소시킬 수 있고, 클러치 연계구 등을 필요한 기본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제작원가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관한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클러치 조작구조를 사용한 베이트 캐스팅용 양축받이 리일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다. 이 리일은 리일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의 사이드몸체(1, 1)사이에 레벨 와인드기구(L), 낚싯줄을 감는 스푸울(2), 클러치 조작구(3), 각각을 배치하는 동시에 우측의 사이드몸체(1)에 드래그 조작구, 낚싯줄 권상조작구로서의 핸들(5), 캐스트 제어기(6) 각각이 구비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몸체(1)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5)과 연결되는 핸들축(16)이 헐겁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드래그 조작구(4)는 이 핸들축(16)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너트부재(17)에 바깥 끼움되어 있다. 드래그 조작구(4)를 회전조작시킨 경우에는 조작량에 대응한 너트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이 베어링(18)을 통하여 드래그기구(D)에 전달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16)에는 드래그기구(D)회전체인 래칫휘일(19), 전동기어(20) 각각이 구비되어 있고, 래칫휘일(19)은 한 쌍의 래칫클릭(21, 21)이 각각 상이한 회전위상으로 래칫휘일(19)의 톱니부(19A...)에 맞물려 핸들(5)의 역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동기어(20)는 상기 레벨와인드기구(L)의 나사축(33)의 입력기어(22)에 맞물려서 이 레벨와인드기구(L)가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푸울(2)에는 이 스푸울(2)과 일체 회전하는 스푸울축(23)을 가지며, 이 스푸울축(23)은 베어링(24,24)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중간부에는 걸어맞춤핀(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스푸울축(23)에는 걸어맞춤핀(25)과 걸고 벗기기 가능한 클러치 슬리이브(26)가 슬라이드조작이 자유롭게 바깥 끼움되어 있다.
상기 드래그기구(D)의 출력기어(27)와, 이 클러치 슬리이브(26)의 입력기어(26A)를 맞물리게 하고 있으므로 클러치 슬리이브(26)의 걸어맞춤(26B)을 걸어맞춤핀(25)에 걸어맞춘 상태로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5)을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스푸울(2)을 회전시켜서 스푸울(2)에 대하여 낚싯줄(도시않음)을 감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핀(25)과 클러치 슬리이브(26)를 합쳐서 클러치기구(C)라 칭한다. 캐스팅을 행할 경우에는 이 클러치기구(C)는 OFF 조작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슬리이브(26)와 걸어 맞추어서 이 클러치 슬리이브(26)를 슬리이브 조작하는 시프터(28)가 스푸울축(23)과 평행한 자세의 한 쌍의 지지축(29, 29)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29, 29)에는 시프터(28)를 클러치 ON 측에 조작하는 코일스프링(30, 30)이 바깥 끼움되어 있다.
또 이 시프터(28)를 클러치 OFF 측에 조작하는 링형상 캠이 스푸울축(23)과 동축심주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링 형상캠(7)에는 한 쌍의 캠면(7A, 7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링 형상캠(7)은 제1토글스프링(8)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기구(C)가 ON 상태로 되는 제1조작위치와, 클러치기구(C)가 OFF 상태로 되는 제2조작위치에 설정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링 형상캠(7)이 가이드부재(34)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중간 전동부재(9)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 조작구(7)로부터 사이드몸체(1)내에 연이어 설치된 연계핀(3B)과 연계되어 있다.
또 이 링 형상캠(7)에는 제2토글스프링(11)이 작용하는 복원부재(12)가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복원부재(12)의 요동끝부분이 래칫휘일(19)의 톱니부(19A)로부터 이간된 대기위치로 퇴피하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는 상기 복원부재(12)의 요동끝부분이 래칫휘일(19)의 톱니부(19A)에 간섭할 수 있는 작용위치까지 요동된 자세로 전환된다.
그 때문에 핸들(5)을 감기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킨 경우에는 래칫휘일(19)로부터 복원부재(12)를 통하여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링 형상 캠(7)이 회전하는 결과, 제1토글스프링(8)의 가압력과, 상기 지지축(29, 29)에 바깥 기움하는 코일스프링(30, 30)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기구(C)는 ON 조작된다.
이상 링 형상 캠(7) 및 중간 전동부재(9)를 클러치 연계기구(B)라 칭한다. 또 복원부재(12)와 랫치휘일(19)을 클러치 복원기구(A)라 칭한다.
래칫휘일(19)을 스푸울(2)에 대한 회전구동계에 개입장착된 회전체라 칭한다.
다음에 중간전동부재(9)와 링 형상 캠(7)과의 연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전동부재(9)의 선단과 링 형상 캠(7)에 걸쳐서 토션스프링(13)이 가설되어 있다. 양자(9, 7)가 설정이상으로 이간되면 토션스프링(13)이 양자(9, 7)를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휘여서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한다.
따라서 클러치조작구(3)를 밀어 넣기 조작하게 클러치 OFF 상태를 설정한 상태로 던지기 조작을 행할 때, 핸들(5)이 예기치 않게 낚싯줄 감기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복원부재(12)가 래칫휘일(19)로부터 복원조작력을 받아 대기위치로 퇴피하나, 클러치조작구(3)가 중간전동부재(9)의 복원이동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토션스프링(13)이 통상의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받아 휨이 생겨 클러치 연계기구(B)에 작용하는 과잉작용력을 완화한다.
토션스프링(13)을 회전체로부터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받으면, 그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하는 탄성융통기구(E)라 칭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탄성융성기구(E)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 캠(7)의 일부를 중간전동부재(9)의 선단부에 향하여 루프형상으로 뻗게하는 동시에 그 루프형상으로 뻗게한 루프형상연결부(7B)를 중간전동부재(9)의 선단에 연결한다.
따라서 클러치 OFF 상태로 일정 이상의 복원력이 복원부재(12)에 작용하면 루프 형상 연결부(7B)가 그 탄성에 의해 변위하여 신장하고 복원력을 완화시킨다.
② 또한 탄성융통기구(E)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전동부재(9)의 선단부와 링 형상 캠(7)의 일부에 걸쳐 인장 스프링(14)을 가설하고, 회전체(19)로부터 받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에 대하여 인장 스프링(14)이 신장하여 복원력을 완화하는 구성을 취하여도 무방하다.
③ 또한 탄성융통기구(E)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터(28)를 구동시키는 형태로서 회전형의 링 형상 캠(7) 대신에 슬라이드형의 클러치판(15)을 사용하고, 그 클러치판(15)선단에 복원부재(12)를 연결하고 있다.
즉, 클러치판(15)의 선단에 걸어맞춤 연결용의 긴구멍(15A)을 형성하는 동시에 복원부재(12)의 일부를 긴구멍(15A)근방까지 뻗게 하고, 그 일부에 걸어맞춤핀(12A)을 돌출설치한다. 그리고 걸어맞춤핀(12A)을 긴구멍(15A)에 연계시켜 양자(12, 15)를 일체화시키는 동시에 양자(12, 15)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31)을 긴 구멍(15A)내에 장착한다.
클러치 OFF 상태로 일정이상의 복원력이 복원부재(12)에 작용하면, 복원부재(12)가 압축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클러치판(15)의 선단에 근접하여 그 압축스프링(31)이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한다.
④ 클러치 복원기구(A)로서는 회전체(19)의 회전면에 핀을 복수개 돌출 설치하여 이 핀과 복원부재(12)를 간섭시켜서, 클러치를 복원 조작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⑤ 회전체로서는 래칫휘일(19)을 겸용하는 구성은 아니고, 전용의 회전체를 설정하여도 된다.
⑥ 클러치조작구(3)를 직접 링 형상 캠(7) 혹은 클러치판(15)에 연결시켜도 된다.

Claims (9)

  1.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조작력을 스푸울(2)에 대한 회전구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회전구동계에 개입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기구(C), 상기 클러치기구(C)를 ON, OFF 각 상태로 전환시키는 클러치 조작구(3), 상기 클러치기구(3)와 상기 클러치기구(C)를 연동 연결하는 클러치 연계기구(B),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권상조작에 따라 상기 클러치기구(C)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강제적으로 복원 조작시키는 클러치 복원기구(A)로 이루어진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복원기구(A)는 상기 회전구동계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기구(C)의 개입장착부위로부터 전동 상부측에 개입 장착된 회전체(19)와,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작용을 받는 작용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5)의 권상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작용력을 받아 대기위치에 퇴치하여 클러치 ON 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와 연계되어 있는 복원부재(12)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융통기구(E)는 상기 복원부재(12)와 클러치조작구(3)와의 사이의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내에 클러치 OFF 상태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받으면 그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C)는 상기 스푸울(2)의 축(23)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맞춤핀(25)과, 이 걸어맞춤핀(25)과 걸거나 벗기기 가능한 클러치 슬리이브(2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는 상기 스푸울축(23)과 동 축심 주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링 형상 캠(7)과 가이드부재(34)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이동하는 중간전동부재(9)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캠(7)은 제1토글스프링(8)의 작용에 의해 상기 클러치기구(C)가 ON 상태로 되는 제1조작위치와, 상기 클러치기구(C)가 OFF 상태로 되는 제2조작위치에 설정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융통기구(E)가 상기 중간 전동부재(9)의 선단과 상기 링 형상 캠(7)에 걸쳐서 가설되어 있는 토션스프링(13)으로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복원조작력을 초과하는 일정이상의 복원력을 받으면, 그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권상조작구(5)가 핸들이며, 상기 클러치복원기구(A)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체(19)가 상기 핸들축(16)에 설정되어 있는 래칫휘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융통기구(E)가 상기 링 형상 캠(7)의 일부를 중간전동부재(9)의 선단부에 향하여 루프형상으로 뻗게하는 동시에, 그 루프형상으로 뻗은 루프형상 연결부(7B)를 중간 전동부재(9)의 선단에 연결하여 구성되고, 클러치 OFF 상태로 일정 이상의 복원력이 상기 복원부재(12)에 작용하면 상기 루프형상 연결부(7B)가 그 탄성에 의해 변위하여 신장하고, 복원력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융통기구(E)가 상기 중간전동부재(9)가 선단부와 상기 링 형상 캠(7)의 일부에 걸쳐 가설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4)으로서 상기 회전체(19)로부터 받은 일정 이상의 복원력에 대하여 상기 인장스프링(14)이 신장하여 복원력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계기구(B)가 클러치판(15)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클러치판(15)의 선단에 상기 복원부재(12)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탄성융통기구(E)가 상기 클러치판(15)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연결용의 긴 구멍(15A)내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으로서, 상기 복원부재(12)의 일부가 상기 긴 구멍(15A) 근방까지 뻗쳐있는 동시에 상기 복원부재(12)의 일부에 걸어맞춤핀(12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핀(12A)을 상기 긴 구멍(15A)에 연계하여 상기 복원부재(12)와 상기 클러치판(15)을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스프링(31)이 상기 복원부재(12)와 상기 클러치판(15)의 양자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러치 OFF 상태로 일정 이상의 복원력이 상기 복원부재(12)에 작용하면 이 복원부재(12)가 상기 압축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클러치판(15)선단에 근접하고, 상기 압축스프링(31)이 복원력을 변위하여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KR1019920019112A 1991-10-18 1992-10-17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KR100222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84993U JP2552465Y2 (ja) 1991-10-18 1991-10-18 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91-84993 1991-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45A KR930007345A (ko) 1993-05-20
KR100222367B1 true KR100222367B1 (ko) 1999-10-01

Family

ID=1384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112A KR100222367B1 (ko) 1991-10-18 1992-10-17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88778A (ko)
JP (1) JP2552465Y2 (ko)
KR (1) KR100222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986A (en) * 1994-09-08 1999-03-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US7222403B2 (en) * 2004-08-26 2007-05-29 Intel Corporation Pad gripping and removal apparatuses
US8777146B2 (en) * 2012-01-27 2014-07-1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7084736B2 (ja) * 2018-02-01 2022-06-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717634B2 (en) * 2018-07-12 2020-07-21 Hall Labs Llc Releasable line gu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427A (en) * 1979-12-28 1983-09-27 Ryobi Limited Clutch mechanism for use in fishing reels
SE431389B (sv) * 1982-11-09 1984-02-06 Abu Ab Fiskerulle med en frikopplingsmekanism
US5275353A (en) * 1990-01-16 1994-01-04 Shimano, Inc. Fishing reel with clutch control mechanism
JP2563861Y2 (ja) * 1990-10-18 1998-02-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188321A (en) * 1991-07-19 1993-02-23 Compucube, Inc. Keyboard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4867U (ja) 1993-05-14
US5388778A (en) 1995-02-14
KR930007345A (ko) 1993-05-20
JP2552465Y2 (ja)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9873T2 (de) Schaltvorrichtung mit einem mechanischen Dreistellungsanzeigeorgan
KR970004303B1 (ko) 개폐기용 조작 장치
KR870000225Y1 (ko) 가중 차단기
KR100222367B1 (ko) 리일의 클러치 조작구조
CN101425401A (zh) 装备有螺旋弹簧型机械制动器的电动机械致动器
KR950008076B1 (ko) 스피닝 릴
KR100743518B1 (ko) 낚시질용 전동 릴
US4369936A (en) Fishing reel clutch control mechanism
CN207489690U (zh) 自动转换开关的手动操作机构
US4331114A (en) Auxiliary engine stoppage apparatus
US8357867B2 (en) Controller unit for switching device
CN108520834B (zh) 一种高压开关用手动操纵三工位机构
US5312063A (en) Stopper apparatus for a spinning reel
KR970007485B1 (ko) 전자식 동력조향장치
CN212277065U (zh) 按键机构及双稳态开关
DE1153440B (de) Antriebsvorrichtung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DE2049849A1 (de) Lenkstockschalter für Kraftfahrzeuge
EP1535791B1 (en) Device for actuating on-load disconnectors for power lines, particularly for railroad power lines
US5320302A (en) Baitcasting reel having a swing arm type clutch controller
US2727609A (en) Electric trip pull devices for farm machines
JPH035062Y2 (ko)
DE1665492B2 (de) Antrieb fuer hochspannungsschalter
SU1556575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ручивани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при его забивании
EP0688031B1 (de) Leistungsschalter mit einem Anzeigeorgan für den Zustand eines Energiespeichers
JPS61181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