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976B1 -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976B1
KR100221976B1 KR1019970031378A KR19970031378A KR100221976B1 KR 100221976 B1 KR100221976 B1 KR 100221976B1 KR 1019970031378 A KR1019970031378 A KR 1019970031378A KR 19970031378 A KR19970031378 A KR 19970031378A KR 100221976 B1 KR100221976 B1 KR 10022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base
suction
foam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58A (ko
Inventor
히데토시 후쿠오카
게이이치 사토
요시히로 모리
아키히로 모리타
아키히코 자코
히로후미 미쓰에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793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48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57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414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800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에 대한 과부화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비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33)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33)의 포형상체(32)를 흡입구본체(1)저면에 노출시킨 상태로 닦는 부재(33)를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므로서 닦는 부재(33)의 포형상체(32)를 노출시킨 채로 융단 등을 청소하는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접속되어 먼지 등의 흡입과 함께 피청소면의 닦는 청소를 행하는 흡입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바닥용 흡입구로서는 흡입구본체 하면에 천이나 걸레 등을 장착한 것이,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84846호 공보 (A47L 9/02) 및 일본국실공소 50-38223호 공보(92(3)D101.1)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흡입구는 천이나 걸레 등에 의해 흡입구본체 하면의 전체를 덮고 있으므로 먼지는 전기청소기에 흡입되지 않고, 천이나 걸레 등에 부착하여 청소동작에 수반하여, 먼지는 천이나 걸레 등에 부착한 채로 피청소면상을 이동하고, 피청소면에 상처를 입히는 결점이 있었다.
또, 천이나 걸레에 의해 흡기저항이 증대하여 청소기 본체의 흡기량이 저하하기 때문에 흡진능력이 저하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에 과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원 출원인은 흡입구본체 저면에 흡기구를 전후로 병설하고 후방의 흉기구에 닦는 부재를 장착시킨 흡입구를 일본국 특원평 7-104429호에 제안했다.
이 흡입구에 있어서는 후방의 흡기구에 닦는 부재를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고, 마루바닥 등을 청소할 때에는 닦는 부재를 흡기구로부터 돌출시키고 전후의 흡기구로부터 흡진하고, 닦는 부재로서 먼지를 흡착시킴과 동시에 마루바닥 등을 닦는 동작을 동시에 행한다.
또, 다다미나 융단 등을 청소할 때에는 닦는 부재를 후방의 흡기구내에 수납시키고, 닦는 부재가 피청소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전방의 흡기구로부터 흡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구성에 있어서는 닦는 부재를 단순히 상하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융단 등을 청소할 때에는 닦는 부재를 후방의 흡기구에 수납시킨 상태라도 피청소면이 닦는 부재에 접촉하여 닦는 부재를 불필요하게 오염시키거나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에 의해 피청소면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전동송풍기에 과부하를 가하거나 피청소면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이 먼지의 흡입과 피청소면의 닦는 청소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를 나타내는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3도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4도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5도는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제8도는 기초대의 부착·이탈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9도는 기초대의 부착·이탈조작을 설명하는 저면도.
제10도는 동측면도.
제11도는 기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동저면도.
제13도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4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닦는 부재의 부착·이탈조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16도는 닦는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단면도.
제18도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닦는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0도는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21도는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22도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23도는 동 저면도.
제24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닦는 부재를 수납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25도는 닦는 부재를 노출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구본체 7 : 흡기구
9 : 회전브러시 12 : 전동기
17 : 수납부 24 : 기초대
25 : 축지지축 26 : 돌기부
27 : 지지체 30 : 걸어맞춤부재
31 : 탄성체 32 : 포형상체
33 : 닦는 부재 34 : 전차륜
35 : 후차륜 36 : 플랩
37 : 안전스위치 40 : 홈
41 : 기초대 42 : 돌기
43 : 탄성체 44 : 걸어맞춤부재
45 : 걸어맞춤부재 48 : 닦는 부재
47 : 포형상체 56 : 수납부
57 : 안내홈 58 : 기초대
59 : 안내리브 61 : 지지부
63 : 닦는 부재 64 : 기초대
66 : 수납부
본 발명의 제1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번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와, 흡입구본체에 배치된 차륜을 구비하고, 기초대를 포형상체가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를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이다 :
상기한 기초대는 타측면이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타측면을 차륜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에 배치된 가용성을 갖는 플랩(flap)을 구비하고, 기초대를 포형상체가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를 플랩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복수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와, 그 기초대의 일측면에 부착 :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 5의 수단은 저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에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초대와, 그 기초대에 장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닦는 부재를 경질의 지지체에 설치된 탄성체와 그 탄성체를 덮어서 부착 :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부직포, 포 등의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형상체를 지지체와 기초대의 사이에서 끼워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제6의 수단은 저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입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와, 상기한 기초대의 적어도 타측면을 저마찰저항성 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의 타측면에 저마찰저항성 재료를 점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8의 수단은 저면에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입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의 타측면에 흡입구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9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의 타측면을 미세한 요철을 갖은 거친 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그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의 타측면을 흡입구본체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가장 피청소면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면의 제11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기구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그 흡입구본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와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와 흡입구본체에 설치되고 흡입구본체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구비하고, 닦는 부재의 흡입구본체 저면에의 장착시 닦는 부재를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기구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그 흡입구본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와,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수납부와 그 수납부에 수납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은 닦는 부재와, 그 흡입구본체에 설치되고 흡입구본체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수위치를 구비하고, 닦는 부재의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의 노출시, 닦는 부재를 안전수위치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닦는 부재의 수납부에의 수납시 닦는 부재를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의 수단은 저면에 흡기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와, 흡기구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그 흡입구본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와, 흡입구본체 저면의 흡기구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와, 상기한 그 흡입구본체에설치되고 흡입구본체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를 포형상체가 흡입구본체 저면측에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를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기초대를 타측면이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기초대의 타측면을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을 기초로 해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1은 흡입구본체로서,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으로 구성되고, 후면부 중앙에 도시하지 않은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접속관(4)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항과 동시에 접속관(4)에 대해 좌우 양측에 전동기수납실(5)과 전장품수납실(6)을 형성하고 있다.
7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 전방위치에 형성된 흡기구로서,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의 사이에 형성한 흡입로(8)를 거쳐서 접속관(4)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
9는 흡입구(7)에 임하게 해서 축받이부(10)에 의해 흡입구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브러시로서, 일단측에 풀리(11)를 장착시키고 있다.
12는 흡입구본체(1)의 후면부의 전동기수납실(5)에 배치되는 전동기로서, 회전브러시(9)의 풀리(11)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밸트를 가설하고, 회전브러시(9)를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13은 회전브러시(9)의 풀리(11) 및 풀리(11)근방의 축받이(10)를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부터 덮는 고정부재로서, 일단측에 형성한 걸어맞춤홈(14)에 흡입구본체(1)에 형성한 걸어맞춤돌기(15)를 걸어맞춤과 동시에, 타단측을 나사(16)에 의해 흡입구본체(1)에 고정시키므로서 흡입구본체(1)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있다.
17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 대략 중앙부에 흡입구본체(1)의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부로서, 후술하는 기초대(24)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었다.
18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수납부(17)에 연달아 통하는 오목부로서, 손가락을 삽입해서 후술하는 닦는 부재(33)를 기초대(24)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9는 흡입구본체(1) 한쪽의 수납부(17)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한 곳으로서, 수납부(17)와 오목한 곳(19)는 구획벽(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21은 상기한 구획벽(20)의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장착되는 지지편으로서, 구획벽(20)과 지지편(21)과의 사이에서 후술하는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다.
지지편(21)은 일단측에 형성한 걸어맞춤돌기(22)를 흡입구본체(1)에 걸어맞추고, 타단측을 고정부재(13)에 의해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부터 밀므로서 흡입구본체(1)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있다.
23은 상기한 오목한 곳(19)에 연달아 설치한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에 고정되는 조작체로서, 그 조작체(23)를 회전조작하므로서 기초대(24)를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다.
(24)는 수납부(17)에 배치되는 저마찰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기초대로서, 수납부(17)의 양측에 축지지된 축지지축(25)에 회전저지해서 장착되고 수납부(17)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있다.
기초대(24)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후술하는 닦는 부재(33)가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한 일측면과 상호대향하는 타측면은 기초대(24)의 전후방향의 대략중앙부가 가장 돌출하도록 대략 원호상으로 해서 미끄러지기 쉽게 형성되어 있고, 기초대(24)의 타측면을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축지지축(25)은 기초대(24)의 편심된 위치에 장착되고, 그 짧은 측이수납부(17)내를 회전하도록 기초대(24)일측에 회전규제용의 돌기부(26)형성 되어있다.
상기한 돌기부(26)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닦는 부재(33)를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흡입구본체(1)를 빌어 조작했을때에 기초대(24)의 회전을 규제하는 위치, 즉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흡입구본체(1)의 후방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7은 합성수지제의 지지체로서, 상면에 형성한 걸어맞춤돌기(28)를 축지지축(25)에 걸어맞추어서 기초대(24)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29는 상기한 지지체(27)의 오목부(18)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손걸이부로서, 이 손걸이부(29)에 손가락을 걸어서 지지체(27)를 기초대(24)로부터 떼어내게 되어 있다.
30은 지지체(27)상면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점착된 걸어 맞춤부재로서, 선단이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섬유상체를 다수 갖고 있다.
31으 기초대(24)의 하면측에 점착된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되 탄성체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연한 탄성을 갖는 섬유를 다수 식모한 재료, 소위 기모체 (起毛體)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탄성체(31)는 피청소면의 요철(凹凸)에 따르도록 비교적 탄력성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재료 이외에 예를들면 스펀지라도 된다.
32는 포형상체로서, 탄성체(31)를 덮은 상태에서 양단을 걸어맞춤부재(30)의 다수의 섬유의상체에 걸쳐서 걸어맞추게 되어 있고, 지지체(27)를 기초대(24)에 장착했을 때, 포형상체(32)의 양단이 기초대(24)와 지지체(27)와의 사이에 끼워 갖게 되어 있다.
포형상체(32)는 먼지포착성, 먼지보전성을 갖는 재료,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직포, 종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미세섬유로 된 부직포로 형성되고, 다시 또, 먼지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세섬유에 정전기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한 지지체(27), 탄성체(31) 및 포형상체(32)에 의해 닦는 부재(33)를 구성하고 있다.
34는 흡입구본체(1)의 하면 전방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전차륜, 35는 흡입구본체(1)의 하면 후방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후차륜으로서,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양차륜(34), (35)의 최하위치가 닦는 부재(33)의 하면보다 위쪽으로 위치하고 또한 닦는 부재(33)가 수납부(17)에 수납되고, 기초대(24)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양차륜(34), (35)의 최하위치가 기초대(24)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36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흡입구(7)와 닦는 부재(33)와의 사이에 배치된 플랩으로서, 고무 등의 탄성을 갖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랩(36)은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플랩(36)의 최하위치가 닦는 부재(33)의 하면보다 위쪽으로 위치하고, 또한 닦는 부재(33)가 수납부(17)에 수납되고, 기초대(24)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플랩(36)의 최하위치가 기초대(24)의 하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37은 흡입구본체(1)의 후면부의 기판수납실(6)에 수납되는 안전스위치로서, 그 검출부인 회전로울러(38)를 수납실(17)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돌출하고 있다.
안전스위치(37)는 흡입구본체(1)가 피청소면에 인접했를 때, 회전로울러(38)가 피청소면에 밀려서 흡입구본체(1)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39)를 조작해서 회전브러시(9), 구동용전동기(12)를 구동가능한 상태로 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39)를 조작해서 전동기(12)를 구동불가능한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로울러(38)는 닦는 부재(33)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임하게 한 상태에서는 닦는 부재(33)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흡입구본체(1)를 피청소면에 접지한 상태에서도 회전로울러(38)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지 않고, 회전브러시(9), 구동용전 동기(12)의 구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 닦는 부재(33)를 수납부(17)수납시키고, 기초대(24)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임하게 한 상태에서는 기초대(24)가 회전로울러(38)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흡입구본체(1)의 피청소면에의 접지에 의해 전동기(12)를 구동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한, 전동기(12)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청소기의 손잡이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해서 포형상체(32)로써 탄성체(31)의 아래쪽을 덮고 포형상체(32)의 양단을 지지체(27)에 설치한 걸어 맞춤부재(30)의 다수의 섬유 형상체에 걸쳐서 걸어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지지체(27) 의 걸어맞춤돌기(28)를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에 걸어맞추고 닦는 부재(33)를 기초대(24)에 장착시킨다.
마루바닥 등, 닦는 청소를 필요로 하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닦는 부재(33)가 안전스위치(37)의 회전로울러(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착오로 회전브러시(9), 구동용전동기(12)의 스위치를 조작해도 회전브러시(9)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회전브러시(9)를 구동시켜서 융단을 청소하려고 해도 회전브러시(9)가 구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을 인지할 수가 있다.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위치하도록 기초대(2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청소기본체를 작동시켜서 흡입구본체(1)를 이동시킨다.
흡인구본체(1)는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피청소면에 강하게 눌려지고, 역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흡입구본체(1)가 떠오르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닦는 청소는 흡입구본체(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주로 행해지고, 이 상태에서는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는 흡기구(7)로부터 흡입되고, 미세한 먼지는 닦는 부재(33)의 포형상체(32)에 포착됨과 동시에 피청소면에 부착한 기름오염 등이 닦는 부재(33)로써 닦아내어진다.
포형상체(32)는 그 섬유에 정전기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의 포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닦는 부재(33)는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흡기구(7)를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의 냉각에 충분한 공기를 흡인할 수가 있고, 전동송풍기가 과부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포형상체(32)의 양단은 걸어맞춤부재(30)에 의해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기초대(24)와 지지체(27)와의 사이에서 끼워갖게 되므로 청소에 수방하는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한 지지체(27)로부터의 포형상체(32)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륜차(34)과 후차륜(35)은 떠오른 상태가 되고, 모래 등이 떨어져 있어도 모래 등이 양차륜(34),(35)에 밀려서 피청소면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고, 모래 등은 닦는 부재(33)의 전방에 배치한 플랩(36)에 의해 닦는 부재에의 부착이 저지되고, 흡기구(7)로부터 청소기본체로 흡인된다.
기초대(24)는 돌기부(26)에 의해 흡입구본체(1)를 미는조작을 했을 때에 기초대(24)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있으므로 닦는 조작시에, 특히 힘이 가해지는 흡입구본체(1)의 미는조작시에 기초대(24)가 회전하는 일이 없고, 기초대(24)가 불팔요하게 회전해서 기초대(24)에 의해 피청소면에 상처를 주는 일은 없다.
포형상체(32)가 오염되었을 때에는 닦는 부재(33)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오목부(18)에 손가락을 삽입해서 지지체(27)의 손걸이부(29)를 잡아서 지지체(27)를 당기므로서 걸어맞춤돌기(28)와 축지지축(25)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해서 새로운 포형상체(32)와 교환한다.
만일, 교환할 포형상체가 없는 경우에는 포형상체(32)를 떼어낸 상태의 닦는 부재(33)를 기초대(24)에 장착시키고 닦는 부재(33)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닦는 조작을 행한다.
닦는 부재(33)는 포형상체(32)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탄성체(31)가 피청소면과 접촉하고, 탄성체(31)는 기모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탄성체(31)에 의해 피청소면의 닦는 청소를 할 수가 있다.
닦는 부재(33)는 기초대(24)에대해서 부착ㆍ이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체(31)에 의해 피청소면을 청소한 후, 닦는 부재(33)를 기초대(24)로부터 떼어내서 탄성체(31)를 세정할 수가 있다.
또, 만일 기초대(24)가 파손되어 기초대(24)를 교환할 때에는 고정부재(13)를 고정시키는 나사(16)를 풀어서 고정부재(13)를 흡입구본체(1)로부터 떼어낸다.
고정부재(13)를 떼어낸 상태에서 지지편(21)을 흡입구본체(1)로부터 떼어내고, 축지지축(25)을 지지편(21)과 구획벽(20)과의 사이에 지지된 측으로부터 떼어어내고, 기초대(24)를 흡입구본체(1)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새로운 기초대(24)를 흡입구본체(1)에 장착시키고, 지지편(21)을 흡입구본체(1)에 장착시켜서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을 지지편(21)과 구획벽(20)과의 사이에 지지하고, 다시 또, 고정부재(13)를 흡입구본체(1)에 장착시켜서 고정부재(13)를 나사(16)로 고정시킨다.
상기한 고정부재(13)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회전브러시(9)를 흡입구본체(1)로 부터 떼어내서 회전브러시(9)에 휘감긴 실밥 등을 제거할 수가 있다.
다다미나 융단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조작부(23)를 조작해서 기초대(24)를 회전시켜 닦는 부재(33)를 수납부(17)에 수납시켜서 기초대(24)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안전스위치(37)의 회전로울러(38)는 기초대(2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피청소면에의 접지에 의해 안전스위치(37)가 작동해서 회전브러시(9)가 구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다다미나 융단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때에는 기초대(24)로부터 닦는부재(33)를 떼내어도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기초대(24)의 닦는 부재(33)가 장착되는 일측면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전스위치(37)의 작동이 방해받는 일은 없고, 또 기초대(24)가 청소시의 저항이 되는 일도 없다.
상기한 닦는 부재(33)의 수납상태에서는 전차륜(34) 및 후차륜(35)이 피청소면에 접지되어 흡입구본체(1)의 이동성을 양호하게 한다.
또,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향하는 기초대(24)를 흡입구본체(1)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가장 낮게 되는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어하고 있으므로 피청소면과의 접촉저항이 저하하고, 또한 기초대(24)를 저마찰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융단 등을 청소할 때의 이동성이 일층 향상된다.
딱는 부재(33)가 불필요한 다다미나 융단 등의 청소시에는 닦는 부재(33)가 수납부(17)에 수납된 상태가 되므로 닦는 부재(33)의 포형상체(32)가 피청소면에 접촉해서 불필요하게 오염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닦는 부재(33)의 오염 등이 융단 등에 부착해서 융단 등이 오염되는 일이 없다.
기초대(24)는 편심된 위치에 축지지축(25)을 정착시키고, 그 짧은 측이 수납부(17)내를 회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수납부(17)의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고, 흡입로(8)가 협소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초대(24)를 저마찰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했으나, 기초대(24)의 닦는 부재(33)가 정착되는 면과 상호대향하는 면에 저마찰저항 성재료를 점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11 내지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대(24)에 흡입구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홈(40) 또는 돌기(41)를 형성해도 되고, 기초대(24)의 닦는부재(33)가 정착되는 면과 상호대향하는 면을 조임가공 등에 의해 미세한 요철을 갖는 거친면으로 가공해도 된다.
이들 구성에서는 융단 등의 피청소면과의 접촉면적이 저하하기 때문에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초대(24)와 닦는 부재(33)를 별개로 구성하고, 기초대(24)에 대해 닦는 부재(33)를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했으나,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기초대(24)와 닦는 부재(33)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도15 및 도16를 기초로 해서 제2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42는 흡입구본체(1)의 수납부(17)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대략 평판상의 기초대로서, 저마철저향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43은 기초대(42)의 일측면에 점착되는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된 탄성체로서, 제1실시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소위 기모체를 사용하고 있다.
44는 기초대(42)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점착된 걸어맞춤부재로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선단이 갈고리상으로형성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섬유상체를 다수 갖고 있다.
45는 기초대(42)의 걸어맞춤부재(44)가 점착된 측면과 상호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46)에 점착된 걸어맞춤부재로서, 걸어맞춤부재(44)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47은 포형상체로서, 탄성체(43)를 덮은 상태에서, 양단을 걸어맞춤부재(44), (45)의 다수의 섬유상체에 걸쳐서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포형상체(47)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먼지포착성 및 먼지보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체(43), 걸어맞춤부재(44), (45) 및 포형상체(47)에 의해 닦는 부재(48)를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마루바닥 등 닦는 청소를 필요로 하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닦는 부재(48)가 흡입구본제(1)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기초대(42)를 회전시키고 청소기본체를 작동시켜서 흡입구본체(1)를 이동시킨다.
닦는 조작은 흡입구본체(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주로 행해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는 흡기구(7)로부터 흡인되고, 미세한 먼지는 닦는 부재(48)의 포형상체(47)에 포착됨과 동시에 피청소면에 부착한 기름오염 등이 닦는 부재(48)로써 닦아내어진다.
포형상체(47)가 오염된 경우에는 닦는 부재(48)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포형상체(47)와 걸어맞춤부재(44),(45)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포형상체(47)를 떼어내서 새로운 포형상체(47)와 교환한다.
만일, 교환할 포형상체(47)가 없는 경우에는 포형상체(47)를 떼어내고 탄성체(43)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닦는 청소를 행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체(43)가 피청소면과 접촉하고 탄성체가 기모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탄성체(43)에 의해 피청소면을 닦는 청소를 할 수가 있다.
닦는 부재(48)가 장착된 기초대(42)는 흡입구본체(1)에 대해서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탄성체(43)에 의해 피청소면을 청소한 후, 기초대(42)를 흡입구본체(1)로부터 떼어내서 탄성체(43)를 세정할 수가 있다.
도17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기초대(24)의 반전조작구조를 제1의 실시형태와 달리하는 것이다.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49는 흡입구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조작레버로서, 그 단말부에 형성한 조작부(50)를 흡입구본체(1)의 상면에 돌출시키고 있다.
51은 조작레버(49)의 주축으로서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과의 사이에 벨트(52)를 가설하고 조작레버(49)이 회전을 기초대(24)의 축지지축(25)에 전달하고 기초대(24)를 반전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53은 조작레버(49)의 주축(51)과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원호면으로서, 조작레버(49)를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향하는 위치와 기초대(24)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으로 향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흡입구본체(1)에 점차시킨 탄성을 갖은 걸어맞춤체(54)가 걸어맞춤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서 조작레버(49) 및 기초대(24)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본 제3의 실시형태는 흡입구본체(1)상면측으로부터 조작레버(49)에 의해 기초대(24)의 회전을 조작할 수가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기타의 작용은 제1의 실시형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채를 도21 내지 도 23를 기초로 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형채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56은 흡입구본체(1)의 저면의 흡기구(7)의 후방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부로서, 한쪽이 개방되고, 그 개방구로부터 후술하는 기초대(58)가 수납부(56)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57은 수납부(56)의 전후벽에 형상된 안내홈으로서, 후술하는 기초대(58)의 안내리브(59)가 걸어맞추어져서 기초대(58)를 수납부(56)에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58은 저마찰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기초대로서, 전후에 수납부(56)의 안내홈(57)에 걸어맞추어지는 안내리브(59)가 형성되고, 안내리브(59)를 안내홈(57)에 안내해서 수납부(56)에 반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60은 기초대(58)의 일측면에 형성된 대략 원주상의 걸어맞춤들기로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닦는 부재(63)의 지제부(61)에 향성한 걸어맞춤부(62)가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게 되어 있다.
61은 합성수지제의 지지부로서, 일측면에 기초대(58)의 걸어맞춤돌기(60)에 걸어맞춤이찰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62)가 형성되고, 지지부(61)는 걸어맞춤부(62)의 걸어맞춤돌기(60)에의 걸어맞춤에 의해 기초대(58)에 대해서 약간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61)는 기초대(58)에 대해서 약간 요동가능하게 장착하므로서 후술하는 닦는 부재(63)를 바닥면의 요철에 따르도록 수가 있다.
지지부(58), 탄성체(31), 포형상체(32)에 의해 닦는 부재(63)를 구성하고 있다.
본 제4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초대(58)를 수납부(56)에 반전해서 장착시키므로서 닦는 부재(63)를 노출시켜서 마루바닥 등을 닦는 청소를 하는 상태 및 닦는 부재(63)를 수납시켜서 융단 등을 청소하는 상태로 분류 사용하는 것이다.
기타의 작용은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를 도24 및 도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64는 저마찰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기초대로서, 일단측에 형성한 축지지축(56)를 흡입구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수납부(66)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일측면에 닦는 부재(33)이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기초대(64)는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을 향하는 위치와 닦는 부재(33)가 수납부(66)에 수납되는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하고, 수납부(66)양측벽과의 사이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도25에 나타내는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을 향하는 위치와 도24에 나타내는 닦는 부재(33)가 수납부(66)에 수납되는 위치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닦는 부재(33)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닦는 부재(33)가 흡입구본체(1)의 저면측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회전브러시(9)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닦는 부재(33)의 하면이 전후차륜(34),(35)의 최하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닦는 부재(33)갈 수납부(66)에 수납되는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기초대(64)의 일측면이 흡입구본체(1)의 저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5의 실시형태도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의 저면을 흡입구본체의 차륜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피청소면에 모래 등이 떨어져 있어도 모래 등이 차륜에 밀려서 피청소면에 상처를 주는 일이 없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기초대의 저면을 차륜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융단 등의 청소상태에 있어서의 기초대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고 청소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플랩을 설치하므로서 피청소면과 흡입구본체의 간격으로부터 불필요하게 공기를 흡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융단 등의 청소시에 털속깊이 들어간 먼지 등을 확실히 흡진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플랩에 의해 닦는 부재에의 모래 등의 부착을 방지해서 모래 등이 닦는 부제에 부착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한 피청소면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를 기초대로부터 떼어내에 닦는 부재를 세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는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포형상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체에 의해 피청소면의 요철에 포형상체를 따르도록 할 수가 있고, 닦는 부재를 억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포형상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체에 의해 피청소면의 요철에 포형상체를 따르도록 할 수가 있고, 닦는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포형상체가 지지체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철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융단 등의 청소시에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기초대의 타측면을 저마찰저항 성재료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융단 등의 청소시에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기초대의 타측면의 저마찰저항성재료를 첨부시키고 있으므로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융단 등의 청소시에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기초대의 타측면에 다수의 홈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융단 등의 청소시에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기초대의 타측면을 미세한 요철을 갖는 거친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청소면과의 접촉면적을 적게 해서 흡입 구본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융단 등의 청소시에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기초대의 타측면을 흡입구본체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가장 낮은 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피청소면과의 마찰저항이 감소해서 흡입구본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거, 청소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의 흡입구본체 저면에의 장착시, 닦는 부재를 안전스위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므로서 닦는 부재를 장착시킨 채로 융단 등을 청소하는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의 흡입구본체 저면에의 장착시, 닦는 부재를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므로서 닦는 부재를 흡입구본체 저면측으로 노출시킨 채로 융단 등을 청소하는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나탠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에 대한 과부하 및 피청소면에의 상처를 방지하고, 피청소면의 먼지의 흡진과 동시에 닦는 청소를 행할 수가 있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융단 등의 청소시에 닦는 부재에 부착한 오염을 융단 등에 부착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닦는 부재의 포형상체를 흡입구분체저면에 노출시킨 상태로 닦는 부재를 안전스위치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므로서 닦는 부재의 포형상체를 노출시킨 채로 융단 등을 청소하는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5)

  1.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2.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와, 흡입구본체(1)에 배치된 차륜(34),(35)를 구비하고, 기초대(24)를 포형상체(32)가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32)를 차륜(34),(35)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3. 제2항에 있어서, 기초대(24)를 타측면이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타측면을 차륜(34),(35)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4.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측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측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24)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에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플랩(36)을 구비하고, 기초대(24)를 포형상체(32)가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32)를 플랩(36)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5.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복수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24)와, 그 기초대(24)의 일측면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33)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6.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에 흡기구(7)에 입접하는 위치에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초대(24)와, 그 기초대(24)에 장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33)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닦는 부재(33)를 경질의 지지체(27)와, 그 지지체(27)에 설치된 탄성체(31)와, 그 탄성체(31)를 덮어서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부직포, 포 등의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7. 제6항에있어서, 포형상체(32)를 지지체(27)와 기초대(24)와의 사이에서 끼워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8.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와 상기한 기초대(24)의 적어도 타측면을 저마찰저항성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9.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24)의 타측면에 저마찰저항성재료를 점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10.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를 구비하고,상기한 기초대(24)의 타측면에 흡입구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홈(40) 또는 돌기(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11.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24)의 타측면을 미세한 요철을 갖는 거친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12.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그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에 노출시키는 기초대(24)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24)의 타측면을 흡입구본체(1)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가장 피청소면에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13.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흡기구(7)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9)와, 그 흡입구본체(1)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9)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12)와,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부착·이탈이 자유롭게 정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부재(33)와, 흡입구본체(1)에 설치되고 흡입구본체(1)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12)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37)를 구비하고, 닦는 부재(33)의 흡입구본체(1)저면에의 장착시 닦는 부재(33)를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14.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흡기구(7)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9)와, 그 흡입구본체(1)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9)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12)와,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수납부(17)와, 그 수납부(17)에 수납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먼지포착성을 갖는 닦는 부재(33)와, 그 흡입구본체(1)에 설치되고 흡입구본체(1)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12)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재(33)를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닦는 부재(33)의 수납부(17)에의 수납시, 닦는 부재(33)를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닦는 부재(33)의 수납부(17)에의 수납시 닦는 부재(33)를 안전 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15. 저면에 흡기구(7)를 형성한 흡입구본체(1)와, 흡기구(7)에 임하게 해서 흡입구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게지지되는 회전브러시(9)와, 그 흡입구본체(1)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9)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12)와, 흡입구본체(1)저면의 흡기구(7)에 인접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먼지포착성을 갖는 포형상체(32)가 장착된 일측면 및 포형상체(32)가 장착되지 않은 타측면을 선택적으로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시키는 기초대(41)와, 상기한 그 흡입구본체(1)에 설치되고 흡입구본체(1)의 피청소면으로부터의 이간시 전동기(12)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37)를 구비하고, 상기한 기초대(41)를 포형상체(32)가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포형상체(32)를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기초대(41)를 타측면이 흡입구본체(1)저면측으로 노출되는 위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기초대(41)의 타측면을 안전스위치(37)의 검출부보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KR1019970031378A 1996-07-09 1997-07-07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KR10022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9323 1996-07-09
JP8179323A JPH1014828A (ja) 1996-07-09 1996-07-09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96-228575 1996-08-29
JP22857596A JP3754140B2 (ja) 1996-08-29 1996-08-29 電気掃除機用吸込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58A KR980008158A (ko) 1998-04-30
KR100221976B1 true KR100221976B1 (ko) 1999-09-15

Family

ID=2649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378A KR100221976B1 (ko) 1996-07-09 1997-07-07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21976B1 (ko)
CN (1) CN1110285C (ko)
TW (1) TW3215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95B1 (ko) * 2003-05-2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마루바닥 보호장치
CN103479308A (zh) * 2013-09-05 2014-01-01 梁海铭 扫地机车滚扫快速安装与卸载机构
DE102015100392A1 (de) * 2015-01-13 2016-07-1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düse
WO2018124543A1 (ko) *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3772B1 (de) * 1984-05-28 1988-09-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ubsaugermundstück
US5241724A (en) * 1990-12-14 1993-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wet wiping rag
KR930008471Y1 (ko) * 1991-11-01 1993-12-22 주식회사 금성사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60004684Y1 (ko) * 1992-08-12 1996-06-04 윤종룡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물걸레기능을 갖는 흡입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846A (zh) 1998-01-14
CN1110285C (zh) 2003-06-04
TW321597B (en) 1997-12-01
KR980008158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985B2 (en) Multi-mode cleaning apparatus with suction
US7013528B2 (en) Floor cleaner with dusting
RU2312580C2 (ru) Пылесос с чистящей головкой
KR20070106725A (ko) 청소 기구용 클리너 헤드
CN215937239U (zh) 真空清洁器及表面清洁系统
KR100221976B1 (ko)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GB2389035A (en) Carpet cleaner incorporating suction means and dustcloth
RU2096984C1 (ru) Пылесос,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ажной уборки
JPH101482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754140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04147759A (ja) 電気掃除機
JPH1011331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105728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4130162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
JPH101483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1014828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108038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220163166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0155673B1 (ko) 마루용 흡입구
JPH103343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JPH1099243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9980066975U (ko) 진공청소기
KR200353549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