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975B1 -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 Google Patents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975B1
KR100221975B1 KR1019960048665A KR19960048665A KR100221975B1 KR 100221975 B1 KR100221975 B1 KR 100221975B1 KR 1019960048665 A KR1019960048665 A KR 1019960048665A KR 19960048665 A KR19960048665 A KR 19960048665A KR 100221975 B1 KR100221975 B1 KR 10022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plate
lever
bracke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9410A (en
Inventor
조수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975B1/en
Publication of KR1998002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9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험용 뒷돌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dolly structure for a side impact test of a vehicle.

바퀴(52a∼52d)가 설치된 플레이트(51) 중앙에 스풀(5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53)의 전방쪽의 플레이트(51)면에 후방으로 복귀가능하게 탄력설치되고 일측에 스풀(53)을 구속시킬 수 있는 걸림편(57)이 돌출된 가동브래킷(58)을 밀 수 있도록 가동브래킷(58)과 스풀(53)의 사이에 레버(59)의 일단이 위치하는 것에 있어서, 플레이트(51)의 후방 상면에 보강플레이트(501)를 부착하고, 보강플레이트(501)의 일측에 보강브래킷(502)을 형성시키며, 보강브래킷(502)에 레버(59)의 선회각을 제한시킬 수 있는 완충패드(503)를 설치하여, 플레이트(51)가 레일을 따라 활주하다가 레버(59)가 스톱퍼에 부딪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선회하는 레버(59)의 타단이 완충패드(503)에 충돌해 그 충격을 흡수하면서 플레이트(51)가 멈추게 된다. 이 때 스풀(53)은 걸림편(57)의 구속으로 부터 해방되어 스풀(53)에 걸려 있던 이동대차의 끈이 원활하게 풀려나게 된다.A spool 53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51 on which the wheels 52a to 52d are installed and is elastically provided to be able to return to the rear of the plate 51 on the front side of the spool 53, One end of the lever 59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58 and the spool 53 so that the engaging piece 57 capable of restraining the movable member 53 can be pushed by the protruding movable bracket 58, A reinforcing plate 501 is attached to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plate 51 and a reinforcing bracket 50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501 to restrict the pivoting angle of the lever 59 to the reinforcing bracket 502 When the plate 51 slides along the rail and the lever 59 hits the stopper and is bent backward, the other end of the lever 59 pivots against the cushioning pad 503 The plate 51 is stopped while absorbing the impact. At this time, the spool (53)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of the retaining piece (57), so that the string of the moving car hanged on the spool (53) is loosened smoothly.

Description

측면 충돌 시험용 뒷돌리 구조Rear dolly structure for side impact tes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측면충돌시험시에 차체의 측면에 부딪히도록 견인되는 이동대차의 후방 저면을 붙잡고 있다가 충돌전에 차체 근방에서 해제시키는 측면충돌시험용 뒷돌리구조(Rear Dolly Structure for Side Impact Test)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impact structure for a side collision test in which a back bottom of a moving vehicle is pulled to collide with a side surface of a vehicle body during a side impact test of a passenger car, .

측면충돌시험(FMVSS 214 SIDE IMPACT TEST)이라 함은 일종의 시뮬레이션으로서, 더미(마네킹)를 승용차 내에 착석시켜 안전띠로 고정시키고, 레일을 활주하는 1,368kg의 이동대차(Moving Truck)를 속도 32.9±0.5 마일(약 53km)로 견인시켜 충돌되도록 할 때 더미가 받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것이다.A side impact test (FMVSS 214 SIDE IMPACT TEST) is a kind of simulation in which a dummy (mannequin) is seated in a passenger car and secured with a safety belt and a 1,368 kg moving truck sliding the rail at a speed of 32.9 ± 0.5 mph (About 53 km) to make a collision.

이러한 측면충돌시험을 위해서 사용되는 이동대차(M)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구조물인 레일(R1,R2)을 따라 직선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이동대차(M)는 실질적으로 이동대차(M)의 저면 전후방에서 와이어(W)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레일(R1,R2)을 따라 이동하는 앞돌리(Front Dolly)(FD)와 뒷돌리(Rear Dolly)(RD)에 의하여 그 이동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ing carriage M used for the side impact tes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linearly along the rails R1 and R2, which are structures provided on the ground. The front dolly FD and the rear dolly RD which are moved substantially along the rails R1 and R2 while being pulled by the wire W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carriage M The movement is done.

뒷돌리(RD)는 이동대차(M)에 양단이 고정된 끈(도 4 참조)을 걸도록 하고 있고, 상기한 지상의 레일(R1,R2)에서 차체(B) 근방에는 도 3과 같이 스톱퍼(S)가 돌출되어 있는 바, 특히 뒷돌리(RD)가 차체(B) 근방에 접근할 때 뒷돌리(RD)가 스톱퍼(S)에 부딪치게 되면 뒷돌리(RD)에 걸려 있던 끈이 풀어지면서 이동대차(M)가 저항없이 차체(B)에 충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rear wheel RD is provided with a strap (see Fig. 4) to which both ends are fixed to the moving carriage M.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body B from the ground rails R1 and R2, When the rear wheel RD hits the stopper S when the rear wheel RD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vehicle body B, the string hanging on the rear wheel RD is released The mobile truck M collides with the vehicle body B without resistance.

종래의 뒷돌리는 도 5와 같이 레일(R1,R2)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4개의 바퀴(52a,52b,52c,52d)를 플레이트(51)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하고, 플레이트(51)의 상면 일측에는 +형태의 스풀(5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스풀(53)의 전방에 해당하는 플레이트(51)면에는 사각의 슬롯(54)을 형성하며, 이 슬롯(54)의 전방에는 고정브래킷(55)을 설치하고 후방에는 상기 고정브래킷(55)의 중앙에 끼워져 리턴 스프링(56)으로 복귀가능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후방쪽으로 상기 스풀(53)의 하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편(57)이 돌출되는 가동브래킷(58)을 설치하고, 이 가동 브래킷(58)과 스풀(53)의 사이에는 전기한 스톱퍼(S)에 의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레버(59)의 일단을 개재시킨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rear wheels 52a, 52b, 52c and 52d, which can slide along the rails R1 and R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e 51, A spool 53 of a positive type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ool 53. A rectangular slot 5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51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pool 53, The fixing bracket 55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xing bracket 55. The fixing bracket 55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bracket 55 and can be moved forward to be returned to the return spring 56, A movable bracket 58 protruding from the movable bracket 58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58 and the spool 53. One end of a lever 59 which can be turned rearward by an electric stopper S It is intervening.

따라서, 스풀에는 이동대차 저면의 끈이 걸려 있고, 스풀은 가동브래킷의 걸림편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다. 플레이트가 레일을 따라 차체측인 전방(도 5의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스톱퍼에 레버가 걸리게 되면 가동브래킷이 레버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면서 걸림편이 스풀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끈은 이동대차의 관성에 의하여 생겨나는 장력이 스풀을 돌리고, 이후에 끈이 스풀로 부터 벗겨져 나가도록 한 것이다.Thus, the spool is caught by the string on the bottom of the moving carriage, and the spool is restrained by the holding piece of the movable bracket. When the plate is moved to the front side (upper side in Fig. 5) along the rail toward the vehicle body side and the lever is hooked on the stopper, the movable bracket is pushed forward by the lever, and the latch piece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spool. As a result, the string is tensioned by the inertia of the moving carriage to turn the spool, and then the string is pulled out of the spoo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뒷돌리에서는 스톱퍼와 레버가 부딪칠 때 레버가 후방으로 선회하였다가 스톱퍼가 빠져나가면서 다시 순식간에 원위치하므로 스풀로 부터 미처 풀리지 못한 끈이 그대로 스풀에 걸려 있어 이동대차가 차체에 정확한 충격을 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ar dolly described above, when the stopper and the lev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ever pivots backward, and the stopper comes out of position again instantaneously, so that the untreated string is caught by the spool.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urate impact can not be applied to the vehicle body.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플레이트의 후방쪽(도 6의 점표시부분)이 찌그러져 들어가므로 인하여 재시험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side of the plate (dotted portion in FIG. 6) is distorted in this process, it is not possible to use it for retesting.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톱퍼와 부딪치는 레버가 후방으로 선회하였다가 다시 복귀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동대차가 뒷돌리로 부터의 구속에서 원활히 해제되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 lever that hits a stopper from rotating backward and then returning to the stopper, thereby releasing the moving carriage smoothly from restraint from the rear dol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톱퍼와 레버가 부딪칠 때 플레이트의 후방이 찌그러지지 않게 하여 시험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ear of the plate from being collapsed when the stopper and the lev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late can be reused in the test.

도1은 본 발명의 뒷돌리가 적용되는 시험장치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test apparatus to which a rear do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일반적인 뒷돌리 플레이트의 레일설치도.Figure 2 is a rail installation view of a typical rear dolly plate.

도3은 일반적인 스톱퍼의 레일설치도.Fig. 3 is a rail installation view of a general stopper. Fig.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뒷돌리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rear dolly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종래의 뒷돌리 평면도.Fig. 5 is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dolly; Fig.

도6은 본 발명의 뒷돌리 평면도.6 is a rear dolly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51 : 플레이트 52a,52b,52c,52d : 바퀴51: Plates 52a, 52b, 52c, 52d:

53 : 스풀 54 : 슬롯,53: spool 54: slot,

55 : 고정브래킷 56 : 리턴스프링55: Fixing bracket 56: Return spring

57 : 걸림편 58 : 가동브래킷57: engaging piece 58: movable bracket

59 : 레버 501 : 보강플레이트59: lever 501: reinforcing plate

502 : 보강브래킷 503 : 완충패드502: reinforcing bracket 503: cushion pad

C : 끈 FD : 앞돌리C: String FD: Front dolly

M : 이동대차 R1,R2 : 레일M: Moving carriage R1, R2: Rail

S : 스톱퍼 W : 와이어S: Stopper W: Wir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 전후방에 4개의 바퀴가 설치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풀과, 이 스풀의 전방쪽의 플레이트면에 후방으로 복귀가능하게 탄력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스풀을 구속시킬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된 가동브래킷, 그리고 상기 가동브래킷을 밀 수 있도록 상기 가동브래킷과 상기 스풀의 사이에 일단이 위치하는 레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 상면에 보강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이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보강브래킷을 형성시키며, 이 보강브래킷에 상기 레버의 선회각을 제한시킬 수 있는 완충패드를 설치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ool, comprising: a plate provided with four wheels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 spool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And a lever having one end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and the spool so as to push the movabl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s reinforced And a reinforcing brack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a cushion pad capable of restricting the pivoting angle of the lever is provided on the reinforcing brack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플레이트가 레일을 따라 활주하다가 레버가 스톱퍼에 부딪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선회하는 레버의 타단이 완충패드에 충돌해 그 충격을 흡수하면서 플레이트가 멈추게 된다. 이 때 스풀은 걸림편의 구속으로 부터 해방되어 스풀에 걸려 있던 이동대차의 끈이 원활하게 풀려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plate slides along the rail and the lever bumps against the stopper to be bent backward,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lever collides with the buffer pad and stops the plate while absorbing the impact. At this time, the spool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of the engaging piece, and the string of the moving luggage hooked on the spool is loosened smoothly.

또, 상기와 같이 레버의 선회가 제한되므로서 스톱퍼가 레버를 통과하는 일은 없게 되며, 레버의 충격을 완충패드가 일차로 흡수하고, 보강플레이트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되므로 보강플레이트 부착부분의 찌그러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urning of the lever is restricted, the stopper does not pass through the lever. The shock absorbing pad absorbs the shock of the lever and the strength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plate.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뒷돌리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그 평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선행기술과 뒷돌리의 일반적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5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dolly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planar configuration thereof.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3 and FIG. 5 are used to describe the general state of use of the prior art and rear dolly,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플레이트(51)의 후방 상면에는 삼각형 모양의 보강플레이트(501)가 부착되어 있고, 이 보강플레이트(501)의 일측으로는 보강브래킷(502)이 플레이트(51)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보강브래킷(502)에는 완충패드(503)가 설치된 것이다. 완충패드(503)는 중간부분이 실질적으로 보강브래킷(502)의 내부에 끼워진 것이다.A reinforcing plate 501 having a triangular shape is attached to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plate 51. A reinforcing bracket 50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late 51 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501, And a cushioning pad 503 is provided on the base 502. The buffer pads 503 are such that the middle portion is substantially embedded within the reinforcing bracket 502. [

상기 플레이트는 뒷돌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레일(R1,R2)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4개의 바퀴(52a,52b,52c,52d)를 플레이트(51)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하고, 플레이트(51)의 상면 일측에는 +형태의 스풀(53)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스풀(53)의 전방에 해당하는 플레이트(51)면에는 사각의 슬롯(54)을 형성하며, 이 슬롯(54)의 전방에는 고정브래킷(55)을 설치하고 후방에는 상기 고정브래킷(55)의 중앙에 끼워져 리턴 스프링(56)으로 복귀가능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후방쪽으로 상기 스풀(53)의 하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편(57)이 돌출되는 가동브래킷(58)을 설치하고, 이 가동 브래킷(58)과 스풀(53)의 사이에는 전기한 스톱퍼(S)에 의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레버(59)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The plate is constituted by the rear dolly and four wheels 52a, 52b, 52c and 52d which can slide along the rails R1 and R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e 51, Shaped spool 53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l 53 and a rectangular slot 5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51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spool 53, A fixing bracket 55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a rear bracket 55 is fitt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bracket 55 so as to be forwardly movable to return to the return spring 56, A movable bracket 58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iece 57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58 and the spool 53. A lever 59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58 and the spool 53, This is one place to be.

상기한 완충패드(503)의 선단부분은 가동브래킷(58)의 걸림턱(57)이 스풀(53)로 부터 완전히 빠져 스풀(53)이 완전하게 회전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힌지축(50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59)의 타단이 상기와 같은 거리조건에서 완충패드(503)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ushioning pad 503 may be pivoted such that the stopping pawl 57 of the movable bracket 58 completely slips out of the spool 53 and the spool 53 can be rotated shall. In other words, the other end of the lever 59, which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509, must be caught by the cushion pad 503 under the above-mentioned distance condi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뒷돌리(RD)를 앞돌리(FD)와 함께 와이어(W)상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이동대차(M)를 위치시켜 이동대차(M)의 저면에 양단이 고정된 끈(B)을 스풀(53)의 뒷쪽에 건 상태가 도 4이다.Therefore, the rear wheel 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wire W together with the front dolly FD and the moving carriage M is placed thereon, B are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spool 53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는 리턴 스프링(56)이 가동브래킷(58)을 스풀(53)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가동브래킷(58)의 걸림편(57)은 스풀(53)의 전방 하단을 밀고 있어서 스풀(53)은 회전하지 못하며, 끈(C)은 그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return spring 56 pushes the movable bracket 58 toward the spool 53, so that the engaging piece 57 of the movable bracket 58 pushes the lower front end of the spool 53, , And the cord (C) remains in the engaged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레이트(51)가 레일(R1,R2)을 따라 차체(B)측인 전방(도 4의 좌측과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스톱퍼(S)에 레버(59)가 걸리게 되면 레버(59)의 타단(외측단)이 후방으로 선회하면서 완충패드(503)에 부딪혀 정지하게 된다.When the plate 51 is moved forward along the rails R1 and R2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B as shown in Fig. 4 and the upper side of Fig. 6 and the lever 59 is engaged with the stopper S, The other end (outer end) of the pawl 59 hits the buffer pad 503 while rotating backward.

이와 동시에 가동브래킷(58)이 레버(59)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면서 걸림편(57)이 스풀(53)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끈(C)은 이동대차(M)의 관성에 의하여 생겨나는 장력이 스풀(53)을 돌리고, 이후에 끈(C)이 스풀(53)로 부터 벗겨져 나가도록 한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movable bracket 58 is pushed forward by the lever 59, so that the latching piece 57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spool 53. As a result, the string C causes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inertia of the moving carriage M to rotate the spool 53, and then the string C is peeled off from the spool 53. [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톱퍼가 레버와 부딪칠 때 젖혀지는 레버가 완충패드에 닿아 정지되므로 그 충격력이 완충패드에 의하여 감쇄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가 스톱퍼를 통과하거나 끈이 스풀로 부터 해제되지 않는 현상은 없게 되므로서 정확한 측면충돌시험을 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per abuts against the lever, the leaning lever is stopped by touching the buffer pad, so that the impact force is attenuated by the buffer pad, so that the plate does not pass through the stopper or the string is not released from the spool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side impact test.

또한, 완충패드의 완충력과 더불어 플레이트의 상면에 보강플레이트가 보강력을 갖게 되므로 플레이트의 후방이 찌그러지는 일이 없게 되어 시험시에 재사용이 가능하게되는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n addition to the buffering force of the buffer pad, the back of the plate is not crushed and can be reused at the time of testing.

Claims (1)

양측 전후방에 4개의 바퀴가 설치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풀과, 이 스풀의 전방쪽의 플레이트면에 후방으로 복귀가능하게 탄력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스풀을 구속시킬 수 있는 걸림편이 돌출된 가동브래킷, 그리고 상기 가동브래킷을 밀 수 있도록 상기 가동브래킷과 상기 스풀의 사이에 일단이 위치하는 레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 상면에 보강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이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보강브래킷을 형성시키며, 이 보강브래킷에 상기 레버의 선회각을 제한시킬 수 있는 완충패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돌 시험용 뒷돌리 구조.A spool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a spring which is resiliently installed to be able to return back to the plate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spool, and which is capable of restraining the spool on one side And a lever having one end positioned between the movable bracket and the spool so as to push the movabl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a rear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Wherein a reinforcing bracket is formed on the reinforcement bracket and a cushioning pad capable of restricting the turning angle of the lever is provided on the reinforcement bracket.
KR1019960048665A 1996-10-25 1996-10-25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KR100221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65A KR100221975B1 (en) 1996-10-25 1996-10-25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65A KR100221975B1 (en) 1996-10-25 1996-10-25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10A KR19980029410A (en) 1998-07-25
KR100221975B1 true KR100221975B1 (en) 1999-09-15

Family

ID=1947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665A KR100221975B1 (en) 1996-10-25 1996-10-25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9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6576A (en) * 2014-12-04 2015-03-1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Laser positio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6576A (en) * 2014-12-04 2015-03-1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Laser pos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10A (en)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9531B2 (en) Child seat-ISOFIX
US4988134A (en) Inertia latching mechanism with floating striker bar
KR100837910B1 (en) A device maintaining height of an active headrest
CN111845480B (en) Side impact protection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US4640545A (en) Lock for vehicle infant restraint
US10589644B2 (en) Apparatus for use in a child safety seat
KR100221975B1 (en) Lever rotation angle control of rear dolly for side impact test
CN104847186A (en) Lateral collision unlocking preventing device of car door lock
US4768809A (en) Seat belt pre-tensioning device
KR100887852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from opening of door
WO2005030535A1 (en) Vehicles having shock-absorbing space extendable before crash occurs
US7568649B2 (en)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control with suppressed Z-axis sensitivity
JPH07205733A (en) Vehicle safety mechanism
KR20130051828A (en) Hood extension device for vehicle
KR100550403B1 (en) Console Locking Mechanism For Cars
KR100598517B1 (en) Tray apparatus for vehicles
KR100379960B1 (en) Device for buffering impact of bumper for automobile
KR200237316Y1 (en) Arm type seat belt
CN212047018U (en) Vehicle seat
KR20070109285A (en) Steering wheel for an automobile
KR0159477B1 (en) Neck protection equipment of headrest
JP3214306B2 (en) Vehicle spare tire carrier equipment
US3427070A (en) Safety seat for vehicles
KR20040031254A (en) facia mounting type mounting bracket for a shift lever
KR101964243B1 (en) Outside by the door handles, open the side of the vehicle crash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