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501B1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501B1
KR100221501B1 KR1019960058224A KR19960058224A KR100221501B1 KR 100221501 B1 KR100221501 B1 KR 100221501B1 KR 1019960058224 A KR1019960058224 A KR 1019960058224A KR 19960058224 A KR19960058224 A KR 19960058224A KR 100221501 B1 KR100221501 B1 KR 10022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product code
bill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229A (ko
Inventor
신창둔
허재두
정유현
조평동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6005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501B1/ko
Priority to FR9706246A priority patent/FR2756395A1/fr
Publication of KR1998003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3Metering,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6Packet switching, X.25, frame r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코드 조회 요청을 받아 처리하며, 상품코드 정보에 대한 등록/삭제/변경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품 코드 처리 수단과, 가입자망 정합 수단에서 전송한 과금 정보를 기록 수단에 수록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과금 정보 처리 수단으로 구성되고, 방법은 정보 이용자가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한 후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정보 서비스와 접속을 하고, 접속된 서비스의 정보 제공자에게 화면을 처리하고, 정보 이용자가 상품 코드 조회를 하면 정보 제공자 측에서 응답을 하고, 상품 코드 조회 결과를 확인한 후 정보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정보 전송을 승인할 경우 정보 전송을 시작하고,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 도중 서비스 종료를 원하거나 상품 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상품 정보 전송을 종료하고, 상품 정보 전송이 종료되면 과금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하고, 과금 정보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되거나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한 경우 정보 서비스를 해제하고, 통신처리시스템을 해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본 발명은 기존 정보 제공자별 정보이용료 과금 처리방법과 소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과금 처리방법에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양한 가입자망을 지원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현재 개발중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망(014XY 하이텔서비스망)에서 제공될 정보이용료 상세과금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과금 처리방법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부분 장치인 가입자망 정합 장치와 패킷망서비스처리장치 그리고 지역관리장치(LOMS : Loc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에서 수행되며 전화망, 패킷망, ISDN의 이용자에게 정보이용료 상세과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는 전화망 정합 장치(TNAS : 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패킷망 정합 장치(PNAS : 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 ISDN 정합 장치(INAS : ISDN Access Service System)으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 패킷망 수용 기능을 제공하여 HiNET-P 이외의 패킷망에서도 정보 이용료 상세과금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현재, 대부분의 서비스 제공 호스트(정보제공자)는 독자적인 과금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이용자에게 이용료를 부과하고 자체적으로 회수한다.
이러한 과금처리방법은 정보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정보제공자가 많아질수록 납부해야 할 이용료 계정이 늘어나는 불편이 생기고, 정보이용자 입장에서는 이용자가 늘어날수록 이용료 회수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소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정보이용료 상세과금 처리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방법은 전화망 가입자만 수용하고, 앞으로 많이 이용될 ISDN, PSDN 가입자들을 수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품코드 조회 방법은 조회요청처리부와 조회응답처리부가 패킷망으로 연결되어 매 상품코드 조회시 마다 패킷망에 호접속을 실시해야 하므로 조회응답 속도 및 패킷망에 부하가 가중되고, 상세과금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용료 과금 프로토콜이 너무 복잡하여 이를 정보제공자 시스템에 포팅하기가 어렵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전화망, 패킷망, ISDN을 수용하는 가입자망 정합 장치를 개발하여 정보 제공자를 대신하여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고자 한다.
또한, 상품 코드 조회 방법에 있어서, 내부 스위치로 연결된 지역 관리 장치에 상품 코드 응답부를 구성하여 외부망(패킷망)에 접속하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조회 속도를 향상시켰다.
그리고, 정보 이용료 과금 프로토콜을 재설계하여 프로토콜 동작 절차를 대폭 줄였으며,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복수 패킷망을 수용하여 HiNET-P 이외의 패킷망에서도 정보 이용료 상세 과금 처리방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 제공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반 UNIX 컴퓨터로 구현되어 거의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처리 관련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 처리 관련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처리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처리시스템의 접속 및 정보서비스 선택 단계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접속 단계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처리 단계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조회 및 응답 단계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조회 결과 확인 단계 흐름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전송 시작 단계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전송 종료 단계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 및 저장 단계 흐름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해제 단계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처리시스템 해제 단계 흐름도이다.
기존의 정보 제공자별 정보이용료 과금 처리방법과 소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과금 처리방법에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양한 가입자망을 지원하기 위해 가입자망 정합 수단과, 내부 스위치 수단과, 운용망 정합 수단과, 지역 장치 관리 수단과, 패킷망 서비스 처리 수단과, 가입자망 정합수단으로부터 상품 코드 조회 요청을 받아 처리하며, 상품 코드 정보에 대한 등록/삭제/변경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품 코드 처리 수단과,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에서 전송한 과금 정보를 기록 수단에 수록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과금 정보 처리 수단으로 구성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에 있어서, 정보 이용자가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하고,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선택한 정보 서비스와 접속을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접속된 서비스의 정보 제공자에게 화면을 처리하는 제3단계와, 정보 이용자가 상품 코드 조회를 하면, 정보 제공자 측에서 응답을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수행된 상품 코드 조회 결과를 확인하고 정보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정보 전송을 승인할 경우 정보 전송을 시작하는 제6단계와,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 도중 서비스 종료를 원하거나 상품 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상품 정보 전송을 종료하는 제7단계와, 상품 정보 전송이 종료되면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8단계와, 제8단계에서 과금 정보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3단계에서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한 경우 정보 서비스를 해제하는 제9단계와, 사용자가 제1단계에서 접속한 통신처리시스템을 해제하는 제10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서비스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처리 관련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 처리 관련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처리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처리시스템의 접속 및 정보서비스 선택 단계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접속 단계 흐름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처리 단계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조회 및 응답 단계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조회 결과 확인 단계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전송 시작 단계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전송 종료 단계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 및 저장 단계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서비스 해제 단계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처리시스템 해제 단계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이 제공되는 서비스망을 정보 검색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과,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100)와,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300)와, 상기 정보 이용자(100)와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을 연결하는 전화망(110), 패킷망(120) 및 ISDN(130)과,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과 상기 정보 제공자(300)를 연결하는 패킷망(301)과, 개방형 정보 서비스 접속을 위한 이용자 정보 조회에 사용되며 상기 패킷망(301)에 연결되는 안내 및 이용자 서비스 시스템(GAUSS : Guide And User Service System)(302)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은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와, 내부스위치(HSSF : High Speed Switching Fabric)(220)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부분 장치(200)를 관리하는 지역 관리 장치(LOMS : Loc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250)과, 상기 LOMS(250)과 상기 HSSF(220)을 연결하며, 과금 정보 관리 및 형상 관리 기능을 하는 운용망 정합 장치(ONAS : Operational Network Access Subsystem)(240)과, 상기 패킷망(301)과의 연결을 하는 패킷망 서비스 처리 장치(23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는 전화망(110)을 통해 접속을 요구할 경우 동작하는 전화망 정합 장치(TNAS : 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211)와, 패킷망(120)을 통해 접속을 요구할 경우 동작하는 패킷망 정합 장치(PNAS : 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212)와, ISDN(130)을 통해 접속을 요구할 경우 동작하는 ISDN 정합 장치(INAS : ISDN Access Subsystem)(2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고 정보 검색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은 상기 정보 이용자망(10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와 상기 패킷망(301)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정보 제공자(300) 사이에서 관문 역할을 하는 기능과 이를 원활히 수행하는 기능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상기 정보 이용자(100)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여 상기 전화망(110) 또는 패킷망(120) 또는 ISDN(130)을 통해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에 접속을 원하면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인 상기 전화망 정합 장치(211) 또는 상기 패킷망 정합 장치(212) 또는 ISDN 정합 장치(213)가 동작하여 원활한 호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는 호 접속 과정에서 서비스 접속호에 대한 발신자 번호를 축출하여 과금 부과의 대상으로 처리하고,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 접속된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내부 스위치(220)의 통신을 이용해 상기 패킷망 서비스 처리 장치(230)에 연결하고, 상기 패킷망(301)을 통해 정보 제공자(300)에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코드 처리부는 이용자 호처리 및 과금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제1서비스 처리부(214)와, 상기 서비스 처리부(214)와 정보 교환을 통해 상품 코드 조회 처리를 하는 상품 코드 조회 처리부(215)와,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 쪽에서 상기 내부 스위치(220)와 통신을 하는 제1내부 스위치 통신부(216)와, 상기 운용망 정합 장치(240) 쪽에서 상기 내부 스위치(220)와 통신을 담당하는 제2내부 스위치 통신부(242)와, 상기 운용망 정합 장치(240)에서 LAN 통신을 관리하는 제1LAN 통신부(243)와, 상기 제2내부 스위치 통신부(242)와 상기 제1LAN통신부(243) 사이의 제어 및 프로토콜 정합기능을 하는 제1프로토콜 정합부(241)와, 상기 지역 관리 장치(250)에서 LAN통신을 관리하는 제2LAN통신부(251)와, 상기 제2LAN통신부(251)로부터 상품 코드 조회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상품 코드 조회 응답부(252)와, 상품 코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53)와, 상품 코드 데이터베이스(255)와, 상품 코드 정보에 대한 등록/삭제/변경의 기능을 하는 상품 정보 관리부(254)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금 정보 처리부는 이용자 호처리 및 과금 정보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제2서비스 처리부(214')와, 상기 제2서비스 처리부(214')로부터 송신할 과금 정보를 받아 전달하는 과금 송신큐(217)와, 상기 과금 송신큐(217)의 내용을 처리하는 과금 송신 정보 처리기(218)와,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 쪽에서, 상기 과금 송신 정보 처리기(218)의 내용을 상기 내부 스위치(220)로 송신하는 제3내부 스위치 통신부(216')와, 상기 내부 스위치(220)의 내용을 상기 운용망 정합 장치(240)에서 읽어 들이는 제4내부 스위치부(242')와, 상기 운용망 정합 장치(240)에서 LAN 통신을 관리하는 제3LAN 통신부(243')와, 상기 제4내부 스위치 통신부(251')와 상기 제3LAN통신부(243') 사이의 제어 및 프로토콜 정합 기능을 하는 제2프로토콜 정합부(241')와, 상기 지역 관리 장치(250)에서 LAN 통신을 관리하는 제4LAN통신부(251')와, 상기 제4LAN통신부(251')로부터 수신되는 과금 정보를 전달하는 과금 수신큐(256)와, 과금처리 관련 명령어를 처리하는 운용자 명령어 처리기(259)와, 상기 과금 수신큐(256) 및 상기 운용자 명령어 처리기(259)의 정보를 받아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257)와, 상기 과금 처리부(257) 및 상기 운용자 명령어 처리기(259) 사이에 운용자 명령을 전달하는 운용자 명령큐(258)와, 상기 과금 처리부(257)에서 처리된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 수단(260)은 백업파일(261), 과금 데이터베이스(262), 과금 마그네틱 테이프(263)의 세종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과금 처리부는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서 전송한 과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및 기록 장치에 수록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이용료 과금 프로토콜은 일반 데이터 전송시에는프로토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과금 생성 및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시에만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이용료 과금 프로토콜 플래그의 구조도이다.
정보제공자를 대신하여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정보 이용료를 생성하려면 필수적으로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서 과금 정보를 생성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과금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와 정보제공자(300)가 교환해야 한다. 따라서 과금 생성 정보 전송 및 개방형 접속을 위한 이용자 ID 정보 전송 같은 최소한의 동작절차에 대해서만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고, 일반 데이타 전송시에는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서 정보제공자(300)로의 프로토콜 전송기 표 1에 설명된 Ox31, Ox33, Ox36, Ox38 플래그를 전송하는데, 그 형식은 표 2와 같다. 이때, 일반 데이타 전송시에는 프로토콜 프래그 없이 이용자 정보를 그대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제공자(300)에서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으로의 프로토콜 전송시 Ox32, Ox34, Ox35, Ox37, Oxf0 플래그 전송할 때 표 3의 형식으로 전송하고, 일반 데이타 전송시에는 프로토콜 플래그 없이 정보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한다.
표 1 내지 표 3에서, 상기 플래그 Ox31은 정보제공자에 접속할 때 사용하며 10자리의 상품코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래그 Ox32는 정보 제공자가 이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해당하는 상품코드를 통신처리시스템에 조회할 때 사용하고, 플래그 Ox32은 조회에 사용되는 상품정보 전송 시작 통보 플래그이다.
플래그 Ox35는 상품정보 전송이 완료되었을 때 이를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하며, 플래그 Ox36은 상품정보 전송완료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처리부(214')에서 산출한 상품정보의 사용시간과 사용 정보량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 플래그 Ox37은 이용자 정보 조회시 사용하며,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는 플래그는 Ox38이다.
마지막으로 사용되는 플래그 Oxf0은 정보제공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플래그 Ox32, Ox34, Ox35, Ox37, Ox38를 보낼 때 프로토콜 플래그 앞에 위치하여 일반 데이타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래그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과금 처리방법은 정보 이용자가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하고,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1단계(310)와, 상기 제1단계(310)에서 선택한 정보 서비스와 접속을 하는 제2단계(320)와, 상기 제2단계(320)에서 접속된 서비스의 정보 제공자에서 화면을 처리하는 제3단계(330)와, 정보 이용자가 상품 코드 조회를 하면, 정보 제공자 측에서 응답을 하는 제4단계(340)와, 상기 제4단계(340)에서 수행된 상품 코드 조회 결과를 확인하고 정보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350)와, 상기 제5단계(350)에서 정보 전송을 승인할 경우 정보 전송을 시작하는 제6단계(360)와,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 도중 서비스 종료를 원하거나 상품 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상품 정보 전송을 종료하는 제7단계(370)와, 상품 정보 전송이 종료되면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8단계(380)와, 제8단계(380)에서 과급 정보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3단계(330)에서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한 경우 정보 서비스를 해제하는 제9단계(390)와, 사용자가 제1단계(310)에서 접속한 통신처리시스템을 해제하는 제10단계(400)로 구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계(310) 즉, 통신처리시스템 접속 및 정보 서비스 선택 단계의 세부 처리 과정은 먼저, 정보 이용자(100)가 014XY을 입력하여 상기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 호접속을 요구하면서 시작된다(311).
상기 정보이용자(100)가 접속한 망에 따라 전화망(110)으로 접속하면 전화망 정합 장치(211)로 연결되고, 패킷망(120)으로 접속하면 패킷망정합 장치(212)에 연결되고, ISDN망(130)으로 접속하면 ISDN정합 장치(213)에 연결된다.
각 가입자망 정합 장치(100)는 호접속 과정에서 이용자의 발신 번호를 축출하여 개방형 정보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부과 대상으로 처리하고(312), 호접속이 완료되면, 접속한 망의 종류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초기 접속화면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313).
상기 (313)에서 나타난 초기 접속화면의 메뉴에 따라 정보서비스를 선택하면 접속방법이 결정되고(314), 상품코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직접 접속하기를 원하면(315), 각 가입자망 정합 장치의 서비스 처리부(214)는 상품코드 조회 프레임을 생성하여(316), 내부스위치(220)를 거쳐 지역 관리 장치내의 상품코드 조회응답부(252)로 전송한다(317).
그러면, 상기 상품코드 조회응답부(252)에서 상품코드 조회 결과 응답을 받은(318) 서비스 처리부(214)는 상품코드 조회 성공여부를 확인하여(319), 이용자가 상품 코드를 선택하였으면, 상품코드 접속 타입을 결정(319')하고, 이용자가 상품 코드를 선택하지 않고 정보제공자명으로 접속하기를 원하면, 접속타입은 정보 제공자명이 된다(319'').
도6를 참조하면, 제2단계(320) 즉, 정보 서비스 접속 단계는 먼저, 접속 타입을 확인한 후(321), 접속타입이 상품 코드이면 상품 코드 접속 프레임을 생성(322)하고, 상품 코드가 아니면 IP명 접속 프레임을 생성(323)한다.
그 다음은 패킷망서비스처리장치(230)을 통해 정보 제공자(300)로 X.25 호접속을 수행(324)하고,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200)과 정보 제공자(300)간 호 접속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자(300)는 서비스처리부(214')로 서비스 시작 프레임을 전송한다(325).
상기 서비스 시작 프레임을 수신한 서비스처리부(214')는 생성된 접속 프레임을 정보 제공자(300)로 전송한다(326). 상기 접속 프레임을 수신한 정보제공자(300)는 접속 타입을 파악한 후(327), 정보제공자명 접속타입이면 화면 처리단계(300)로 넘어가고, 수신한 접속 프레임의 접속타입이 상품코드이면 상품코드를 축출하여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하고(328), 가능한 상품코드이면 상품정보 전송 시작 단계로 진행하고, 확인되지 않으면 화면 처리단계로 넘어간다(329).
도7를 참조하면, 제3단계(330) 즉, 화면 처리 단계는 정보 제공자는 접속 타입의 일반 접속(즉, 정보제공자명 접속)이면 분야별 메뉴를 제공하고(331), 이 메뉴를 보고 이용자가 검색 분야를 선택(332)한 후, 그에 따른 상세메뉴를 출력한다(333).
그리고, 이용자가 메뉴를 통해 최종 서비스를 선택하면(334), 서비스에 해당하는 상품코드를 확인(335)한 후 상품코드 조회 및 응답단계(340)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정보 서비스 해제여부를 확인(336)하여, 정보 서비스 해제이면, 정보 서비스 해제 단계(390)로 진행되고, 아니면, 분야별 메뉴 정보를 출력(331)한다.
도8를 참조하면, 제4단계(340) 즉, 상품 코드 조회 및 응답 단계는 먼저, 상품코드가 선택되면 상품코드 조회 프레임을 생성하고(341), 이를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의 서비스처리부(214)로 전송한다(342). 상품코드를 수신한 서비스처리부(214)는 지역관리장치(250)내의 상품코드 조회 응답부(252)로 조회한다(343). 그러면, 상품코드를 수신한 상품코드 조회 응답부(252)는 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확인하고(344), 조회결과를 서비스처리부(214)로 전송한다(345). 상품코드 조회 결과를 확인한 서비스처리부는(214) 조회성공 여부에 따라(346) 조회 결과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품코드 조회가 성공하면, 이용자에게 선택한 상품코드에 대한 정보이용료를 게시(347)한 후 이용여부를 확인한다(348). 확인된 상품코드에 이용승인이 있으면 조회결과 프레임내에 상품정보 전송 승인을 나타내는 표시인 'A'를 기록(349)하고, 조회결과가 실패거나, 이용 승인을 받지 못하면 조회결과 프레임내에 상품정보 전송 거부를 나타내는 표시인 'N'를 기록(349')한다.
도9를 참조하면, 제5단계(350) 즉, 상품코드 조회결과 확인단계는 먼저, 정보 제공자는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에서 전송한 상품코드 조회 결과 프레임을 수신(351)하고, 상품 정보 전송 승인필드를 확인하여(352) 전송승인이면 상품정보 전송을 시작(360)하며, 조회결과가 이용거부이면(상품정보 전송 미승인) 이를 이용자에게 알린(353) 후 정보서비스 접속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354).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자가 정보서비스 접속 해제를 요청하면 호 접속을 해제(390)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메뉴화면으로 이동(330)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6단계(360) 즉, 상품정보 전송 시작단계는 먼저, 이용자(100)로부터 상품정보 전송 승인을 받은 정보 제공자(300)가 즉시 상품정보 전송시작 프레임을 생성하고(361), 가입자망 정합장치(210)내의 서비스처리부(214')로 전송한다(362).
상품정보 전송시작 프레임을 수신한(363) 서비스처리부(214')는, 과금이용시간을 시작하고(364) 동시에 정보이용량에 대한 과금 데이타 수집을 시작한다(365).
도11를 참조하면, 제7단계(370) 즉, 상품 정보 전송 종료 단계는 먼저, 이용자가 정보서비스 도중에 서비스 종료를 원하거나 상품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자(300)는 상품정보 전송종료 프레임을 생성(371)한 후, 가입자망 정합장치(210)내의 서비스처리부(214')로 전송(372)한다. 그러면, 상품정보 전송종료 프레임을 수신(373)한 서비스처리부(214')는, 과금이용 시간을 종료하고(374) 동시에 정보이용량에 대한 과금 데이타 수집을 종료한다(375).
도12를 참조하면, 제8단계(380) 즉, 과금 정보생성 및 저장단계는 먼저, 상품정보 전송종료 프레임에 의해 과금 데이타 수집을 종료한 후, 상품정보 이용시간(381) 및 정보 데이타 이용량(382)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품코드 조회시 확인한 과금방법 (383) 및 과금요율을 결정하여 과금정보를 생성한다(384). 상기와 같이 생성된 과금내역은 정보 제공자(300)로 과금정보내역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한다(385). 그러면, 정보 제공자(300)는 과금정보 내역 프레임을 수신하여 저장한다(386). 과금정보 내역 프레임을 정보 제공자(300)로 전송한 서비스처리부(214')는 과금정보를 지역관리장치내 과금처리부(257)로 전송한다(387). 과금정보를 수신한(388) 과금처리부는 과금정보를 데이타베이스 및 마그네틱 테이프에 저장한 후(389) 그 결과 메세지를 운용자에게 출력한다(389').
도13를 참조하면, 제9단계(390) 즉, 정보 서비스 해제 단계는 먼저, 이용자가 정보서비스를 이용후 서비스 해제의 요청여부를 파악(391)하여,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청하면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로 정보 서비스호 접속 해제 요청을 전송(392)하고, 이를 수신한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는 정보서비스호 접속을 해제한다(393). 만약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는 분야별 메뉴 정보출력 단계(331)로 진행된다.
도14를 참조하면, 제10단계(400) 즉, 통신처리시스템 해제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제공자는 접속된 호가 해제되면 가입자망 정합 장치(210)는 다시 초기화면을 출력(401)하고, 이용자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해제를 원하는지 확인(402)하여, 해제를 원하면 접속후 이제까지의 과금 내역을 열람할 것인가를 확인(403)하고, 이용자가 열람을 원하면 이용 과금 내역을 출력(404)한 후, 호해제를 실시한다(405).
상기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해제를 원하는지 확인 단계(402)에서 해제를 원하지 않을 경우는 접속 방법 선택 단계(314)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방식은 전화망, 패킷망, ISDN 등 다양한 종류의 공중통신망을 이용하는 정보이용자에게 정보서비스에 개방적으로 접속시켜주고, 서비스 이용량에 대한 종량제 과금 방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과금정보 생성에 필요한 프로토콜 동작 절파를 대폭 줄임으로써 고속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고, 복수 패킷망을 수용함으로써 HiNET-P 이외의 패킷망에서도 정보이용료 상세과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품코드 조회 방법에 있어서 내부 스위치로 연결된 지역관리장치에 상품코드 응답부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망(패킷망)에 접속하는 부하 감소와 조회 속도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정보 제공자의 과금부과 및 회수 부담을 줄여 정보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Claims (11)

  1. 가입자망 정합 수단과, 내부 스위치 수단과, 운용망 정합 수단과, 지역 장치 관리 수단과, 패킷망 서비스 처리 수단과, 가입자망 정합수단으로부터 상품 코드 조회 요청을 받아 처리하며, 상품 코드 정보에 대한 등록/삭제/변경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품 코드 처리 수단과,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에서 전송한 과금 정보를 기록 수단에 수록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과금 정보 처리 수단으로 구성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에 있어서, 정보 이용자가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하고, 원하는 정보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선택한 정보 서비스와 접속을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접속된 서비스의 정보 제공자에서 화면을 처리하는 제3단계와, 정보 이용자가 상품 코드 조회를 하면, 정보 제공자 측에서 응답을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수행된 상품 코드 조회 결과를 확인하고 정보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정보 전송을 승인할 경우 정보 전송을 시작하는 제6단계와,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 도중 서비스 종료를 원하거나 상품 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상품 정보 전송을 종료하는 제7단계와, 상품 정보 전송이 종료되면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8단계와, 제8단계에서 과금 정보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되거나, 상기 제3단계에서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한 경우 정보 서비스를 해제하는 제9단계와, 사용자가 제1단계에서 접속한 통신처리시스템을 해제하는 제10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정보 이용자가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에 접속 번호를 입력하여 호접속을 요구하는 제11단계와,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이 호접속 과정에서 이용자의 발신 번호를 축출하여 개방형 정보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부과 대상으로 처리하는 제12단계와, 호접속이 완료되면 접속한 망의 종류에 따라 이용자에게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초기 접속 화면을 제공하는 제13단계와, 상기 초기 접속 화면의 메뉴에 따라 정보 서비스를 선택하여 접속 방법을 선택하는 제14단계와, 상품 코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직접 접속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제15단계와, 상기 제15단계 결과 상품 코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직접 접속하고자 하면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에서 상품 코드 조회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16단계와, 상기 제16단계에서 생성된 상품 코드 조회 프레임을 상기 내부 스위치 수단을 거쳐 상기 지역 관리 수단 내의 상품 코드 조회 응답부로 전송하는 제17단계와, 상기 지역 관리 수단 내의 상품 코드 조회 응답부에서 상품 코드 조회 결과 응답을 수신하는 제18단계와, 상기 제18단계에서 상품 코드 조회 결과 응답을 받은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이 상품 코드 조회 여부를 확인하는 제19단계와, 상기 제19단계 결과 상품 코드 조회를 승인하면 접속 타입을 상품 코드로 결정하고, 상품 코드 조회를 승인하지 않으면 상기 제13단계로 돌아가는 제20단계와, 상기 제15단계 결과 이용자가 상품 코드를 선택하지 않고 정보 제공자명으로 접속하기를 원하면, 접속 타입을 정보 제공자명으로 결정하는 제21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접속 타입을 확인하는 제22단계와, 상기 제22단계 결과 접속 타입이 상품 코드이면 상품 코드 접속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3단계와, 상기 22단계 결과 접속 타입이 정보 제공자명이면 정보 제공자명 접속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4단계와, 패킷망 서비스 수단을 통해 정보 제공자로 호접속을 수행하는 제25단계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과 정보 제공자간 호접속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자에서 가입자망 정합 처리 수단으로 서비스 시작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26단계와, 상기 서비스 시작 프레임을 수신한 가입자망 정합 처리 수단에서 생성된 접속 프레임을 정보 제공자로 전송하는 제27단계와, 상기 접속 프레임을 수신한 정보 제공자가 접속 타입을 파악하는 제28단계와, 상기 제28단계 결과 정보 제공자명 접속 타입이면 상기 제3단계로 진행되고, 제공자명 접속 타입이 아니면 수신된 상품 코드를 확인하는 제29단계와, 상기 제29단계 결과 가능한 상품 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3단계로 진행되고, 가능한 상품 코드인 경우 제6단계로 진행되는 제30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정보 제공자의 접속 타입이 정보 제공자명 접속일 경우 분야별 메뉴를 제공하는 제31단계와, 상기 제31단계에서 제공된 분야별 메뉴에서 이용자가 검색 분야를 선택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제32단계 결과 선택된 검색 분야의 상세 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33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제33단계에서 출력된 상세 메뉴에서 최종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34단계와, 상기 제34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가 최종 서비스이면 서비스에 해당되는 상품 코드를 확인하는 제35단계와, 상기 제34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가 최종 서비스가 아니면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제9단계로 진행되고, 정보 서비스 해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1단계로 진행되는 제36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품코드가 선택되면 상품 코드 조회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상품 코드 조회 프레임을 가입자망 정합장치로 전송하는 제42단계와, 상기 상품 코드 조회 프레임을 수신한 가입자망 정합수단이 상기 지역 관리 수단에서 코드를 조회하는 제43단계와, 상기 지역 관리 수단이 수신한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는 제44단계와, 상기 제43단계의 조회 결과를 상기 가입자망 정합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45단계와, 상기 가입자망 정합수단에서 조회 결과가 성공적인지를 확인하는 제46단계와, 상기 제46단계 결과 상품 조회가 성공하면, 이용자에게 선택한 상품 코드에 대한 정보 이용료를 게시하는 제47단계와, 사용자의 정보 이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48단계와, 상기 제48단계 결과 사용자가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면, 조회 결과 프레임에 전송 승인 표시를 하여 전송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49단계와, 상기 제48단계 결과 사용자가 정보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조회 결과 프레임에 전송 거부 표시를 하여 정보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50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정보 제공자가 가입자망 정합수단에서 전송된 상품 코드 조회 결과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51단계와, 정보 제공자가 상품 정보 전송 승인 필드를 확인하는 제52단계와, 상기 제52단계 결과 전송을 거부한 경우는 제6단계로 진행되고, 전송을 승인한 경우는 조회 결과를 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53단계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정보 서비스 접속 해제 여부를 확인하여 접속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는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메뉴화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정보 이용자로부터 상품 정보 전송 승인을 받으면 즉시 상품 정보 전송 시작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61단계와, 상기 상품 정보 전송 시작 프레임을 가입자망 정합수단으로 전송하는 제62단계와, 상기 가입자망 정합수단이 과금 시간을 시작하고, 정보 이용량에 대한 과금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는 제6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 도중에 서비스 종류를 원하거나 상품 정보 제공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자가 상품 정보 전송 종료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71단계와, 상기 제71단계에서 생성된 상품 정보 전송 종료 프레임을 가입자망 정합수단으로 전송하는 제72단계와, 상기 제72단계에서 상품 정보 전송 종료 프레임을 수신한 가입자망 정합수단에서 과금 이용 시간을 종료하고, 정보 이용량에 대한 과금 데이터 수집을 종료하는 제7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는 상기 가입자망 정합 처리 수단에서 상품 정보 전송 종료 프레임에 의해 과금 데이터 수집을 종료한 후 상품 정보 이용시간 및 상품 정보 이용량에 계산하는 제81단계와, 상품 코드 조회시 확인한 과금 방법 및 과금 요율을 결정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제82단계와, 상기 제82단계에서 생성된 과금 내역의 과금 정보 내역 프레임을 생성하여 정보 제공자로 전송하는 제83단계와, 정보 제공자가 상기 과금 정보 내역 프레임을 저장하는 제84단계와, 상기 과금 정보 내역 프레임을 정보 제공자로 전송한 가입자망 정합 수단이 과금 정보를 지역 관리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85단계와, 상기 지역 관리 수단이 수신한 과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및 저장 수단에 저장한 후 결과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86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는 정보 이용자가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후 서비스 해제를 요청하면, 정보 서비스 호접속 해제를 요청하고, 그렇지 않으면 메뉴 화면으로 돌아가는 제91단계와, 상기 제91단계의 접속 해제 요청에 따라 정보 서비스 호접속을 해제하는 제9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정보 제공자에 접속된 호가 해제되면 가입자망 정합수단이 다시 초기 화면을 출력하는 제93단계와, 이용자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해제를 원하는지를 확인하는 제94단계와, 상기 제94단계 결과 통신처리시스템의 해제를 요구하는 경우 이용 과금 내용 열람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제14단계로 진행되는 제95단계와, 상기 제95단계 결과 이용 과금 내용 열람을 요청한 경우 접속후 이용 과금 내역을 출력하는 제96단계와, 호접속을 해제하는 제97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방법.
KR1019960058224A 1996-11-27 1996-11-27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KR10022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224A KR100221501B1 (ko) 1996-11-27 1996-11-27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FR9706246A FR2756395A1 (fr) 1996-11-27 1997-05-22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facturation detaillee dans un systeme de traitement de communication de grande capac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224A KR100221501B1 (ko) 1996-11-27 1996-11-27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229A KR19980039229A (ko) 1998-08-17
KR100221501B1 true KR100221501B1 (ko) 1999-09-15

Family

ID=1948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224A KR100221501B1 (ko) 1996-11-27 1996-11-27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1501B1 (ko)
FR (1) FR2756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557A (ko) * 2001-02-12 2002-08-19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과 가입자 정보관리 서버를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인증 및 대금 통합청구 방법
KR20030008756A (ko) * 2001-07-20 2003-01-29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소액결제를 위한 인증, 상품구매/취소 처리 방법
KR100450398B1 (ko) * 2001-12-20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 개방형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연동을 통한 소액지불과금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67050B1 (ko) * 2006-01-09 2007-01-11 박동호 백밀러의 가동이 가능한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155A (ko) * 1994-12-19 1996-07-20 양승택 대용량 전전자 교환기에서 정보료수납대행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타 생성 수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606A (en) * 1993-06-30 1995-06-27 Moskowitz; Scott A. Digital information commodities exchange
US5694549A (en) * 1994-03-03 1997-12-02 Telescan, Inc. Multi-provider on-line communications system
FI99073C (fi) * 1995-06-28 1997-09-25 Finland Telecom Oy Menetelmä tietokonejärjestelmän käyttäjän laskuttamiseksi sekä tietokonejärjestelmä
US5745556A (en) * 1995-09-22 1998-04-28 At&T Corp. Interactive and information data services telephone bill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155A (ko) * 1994-12-19 1996-07-20 양승택 대용량 전전자 교환기에서 정보료수납대행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타 생성 수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229A (ko) 1998-08-17
FR2756395A1 (fr) 199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608B1 (ko) 웹 인포샵 서비스 시스템의 대체 인증 및 대체 과금 방법
US8213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voice message in mobile network
EP0539016B1 (en) Data packet switch apparatus
EP1645104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D CHARGING A SOUND SOURCE OF ADDITIONAL SERVICE USING A TONE RING TONE DURING AN APPEAL
CN1244987A (zh) 提供预付费电信业务的方法和系统
JP4112803B2 (ja) コールに課金する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21501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상세 과금 처리 방법
KR100417636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JPH06243150A (ja) 電話回線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によるサービス提供方式
JPH04127662A (ja)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US6333977B1 (en) Communication method authenticating a personal station and calculating a fee of a telephone call from the personal station
KR20010045587A (ko) 과금데이터 통합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3429138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詳細課金処理方法
JPH0779391B2 (ja) 独立通信網間に亘る呼の管理方法
KR960006470B1 (ko) 통신처리 시스템에서의 정보료 처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구조 및 처리 방법
JPH0969880A (ja) Isdn網の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の接続制御方式
JP3078721B2 (ja) ファクシミリ蓄積交換装置
JPS615045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38037B1 (ko)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에서의 개방형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204040B1 (ko) 종합정보통신망 패킷 가입자의 정보 제공자 서비스 접속 및 과금회수 방법
KR19980061809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과금 처리장치
KR0129019B1 (ko) 통신처리 시스템에서의 정보 서비스 검색 방법
EP0757467A2 (en) Procedure for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telephone call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equipment
JPH0244849A (ja) テレホンサービスにおける情報料回収方式
JPH0884204A (ja) 料金通知機能を有する通信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