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288B1 -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288B1
KR100221288B1 KR1019960056060A KR19960056060A KR100221288B1 KR 100221288 B1 KR100221288 B1 KR 100221288B1 KR 1019960056060 A KR1019960056060 A KR 1019960056060A KR 19960056060 A KR19960056060 A KR 19960056060A KR 100221288 B1 KR100221288 B1 KR 10022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occurrence
fault
monitor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322A (ko
Inventor
이철
유경봉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5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2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RS 시스템의 기지국 장비인 중계기에 장애가 바생하였을 경우, 그 장애 내용을 진단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운용요원이 장애 감시 모니터로부터 이동하여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에도 장애 발생 사항을 통보 받고, 신속한 대웅 조치를 취할 수있게 하는 장애 경보의 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의 각부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채널 카드에서 감지하여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 발생 신호를 인가 받고 중계기 제어부에서 중계기 전체의 장애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시스템의 주제어/스위칭부에 전체 장애 내역을 통보하는 단게와, 상기 단게에서 통보 받은 장애 발생 내역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TRS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발생 경보 방법에 있어서, 중계기의 장애 발생 내역을 통보 받은 주제어/스위칭부는 장애 발생 내역을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로 포맷과 동시에 음성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은 모니터로부터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지역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이동 지역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모니터에 장애 발생 내역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동 지역 식별 번호를 호출하여 장애 발생지를 다수 회 반복 전송하는 단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중 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
본 발명은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비인 중계기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장애 내용을 진단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중앙 교환 운용국의 운용 요원이 장애 감시 모니터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에도 장애 발생 사항을 통보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장애 경보의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은 하나의 채널에 해당하는 통신 주파수를 다수의 이동용 단말기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기지국(Site)에 설치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의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와 통신 데이터 신호를 주고받으며, 통신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통신 선로를 연결하는 스위칭 및 상기 중계기의 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기능의 중앙 교환 운용국과, 상기 기지국의 중계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용 단말기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는 무선으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써, 특성상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고, 무선의 전파가 도달하여 통신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많은 수의 중계기가 하나의 시스템 중앙 교한 운용국에 연결되고, 제한된 운용 요원에 의하여 많은 수의 중계기가 정상 동작하도록 유지 보수 및 운용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TRS 중계기의 장애 발생 경보 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망 연결 기능 블록도 이다.
상기 첨부된 제1도를 참조하여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의 구성을 설명하면, 무선으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기(1)와, 상기 중계기(1)에 유선 전송선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를 제어하고 사용자 사이의 통신 선로를 연결하는 교환(Switching), 제어(control) 및 운용 상태를 확인할 수 ldT는 등의 TRS 시스템의 중앙 교환 운용국(11)과, 상기 중앙 교환 운용국(11)과 전송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공중 통신망(21)과, 상기 중계기(1)와 무선 전송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통신하는 이동용 TRS 단말기(8)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1)는 상기 중앙 교환 운용국(11)과 연결되어 중계기(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또한, 중계기(1)의현재 운용 상태를 상기 중앙 교환 운용국(11)에 통보하는 중계기 제어부(RCU : Remote Control Unit)(7)와, 상기 중계기 제어부(7) 및 중앙 교환 운용국(11)과 연결되어 통신하는 채널(channel)을 선택 및 제어하며, 통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의 채널 제어부(CCU :Channel Control Unit)(6)와, 상기 채널 제어부(6)와 연결되어 통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의 송수신부(TRU : Transmit Receive Unit)(5)와, 상기 송수신부(5)로부터 인가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4)와, 일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BPF : Band Pass Filter)(3)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앙 교한 운용국 TRS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며 통신 선로를 연결하는 기능의 주제어/스위칭부(MCSU : Main Control Swithching Unit)(13)와, 상기 주제어/스위칭부(13)의 데이터가 디지털 트렁크를 통하여 상기 중계기(1)에 인가 되게 하며 또한, 중계기(1)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디지털 트렁크를 통하여 인가 받는 디지털 트렁크 회로(CDTC)(12)와, 상기 주제어/스위칭부(13)에 연결되어 TRS 시스템 전체의 운용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고 TRS 시스템과 운용자 사이에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모니터(Mon)(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중 통신망(21)은 상기 중앙 교환 운용국(11)과 연결되는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22)과, 상기 공중 전화망(22)에 연결되는 일반 유선전화기(28)와, 상기 공중 전화망(22)에 연결되는 셀룰라 방식 이동통신망인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망(24) 및 무선 호출망(25)과, 상기 PCS망(24) 및 무선 호출망(25)에 각각 무선 전송 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휴대폰(26) 및 무선 호출기(2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은 공중 통신망(21)을 통하여 단말기(8)를 호출하는 경우, 전화기(28)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8)의 고유 식별 번호 호출하면, 공중전화망(22)를 통하여 TRS 시스템의 중앙 교환 운용국(11)의 주제어/스위칭부(13)에 인가되고, 상기 주제어/스위칭부(13)의 제어 및 스위칭 작용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트렁크를 통하여 신호가 인가되면, 디지털 트렁크 회로(12)에 의하여 상기 중계기(1)에 인가된다.
상기 중안 교환 운용국(11)으로부터 인가 받은 디지털 신호는 중계기(1)의 중계기 제어부(7) 및 채널 제어부(6)에 인가되고, 중계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 채널이 선택되고, 상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채널 제어부(6)는 선택된 채널로 중앙 교환 운용국(11)으로부터 인가 받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채널 제어부(6)로부터 인가 받은 신호는 송수신부(5)에 의하여 송신 주파수로 변조되고, 증폭기(4)에 의하여 필요한 이득(Gain)으로 증폭된 후, 불필요한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3)를 거침으로써 여파 되고, 안테나(2)에 인가되어 무선 전송 선로를 통하여 단말기(8)와 연결됨으로써, 중계기(1)의 송신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8)로부터의 송신 즉, 중계기(1)의 수신 동작은 상기의 송신과 반대의 경로를 통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TRS 시스템의 송수신 동작을 하는 중계기(1)는 그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이 용이하게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장소에 위치함을, 그 정상 운용 상태를 직접 접근하여 확인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상기 중계기(1)의 운용 상태, 일 실시에로서,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3)가 정상적으로 불필요한 주파수를 여파 하는지, 상기 증폭기(4)가 정상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지, 상기 송수신부(5)에서 정상적으로 변조하였는지 또는 수신된 신호의 감도가 너무 낮은지, 채널 제어부(6)는 정상적으로 선태된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는지 또는 과부하가 걸렸는지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채널 제어부(6)에서 감지하며 상기 중계기 제어부(7)를 통하여 중앙 교환 운용국(11)의 디지털 트렁크회로(12)에 인가하고, 상기 신호를 통보 받은 주제어/스위칭부(13)는 모니터(14)에 중계기(1)의 장애 경보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이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애 경보 방법은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이 상기 모니터(14)를 항시 주시하여야 하고, 특정 또는 어느 하나의 중계기(1)에 장애 경보가 발생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 중 또는 이동 중 등의 경우, 다른 중계기(1)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장애 경보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한정된 운용 요원에 의한 중계기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활동이 어렵고, 중계기(1) 장애 경보 발생에 의한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의 장애 경보 발생 현황을 모니터는 물론 공중 통신망에 접속된 TRS 시스템의 단말기, PCS 등과 같은 이동 통신용 휴대폰 또는 무선 호출망 등의 무선 호출기를 이용하여 통보함으로써,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이 모니터 주변에 항상 상주하지 않아도 되고, 한정된 운용 요원으로 유지 보수의 효율 증가 및 활동 반경을 넓힐 수 있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제1도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망 연결 기는 브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통신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계기 2 : 안테나
3 : 대역 통과 필터 4 : 증폭기
5 : 송수신부 6: 채널 제어부
7 : 중계기 제어부 8 : 단말기
11 : 중앙 교환 운용국 12 : 디지털 트렁크 회로
13 : 주제어/스위칭부 14 : 모니터
21 : 공중 통신망 22: 공중 전화망
24 : PCS망 25 : 무선 호출망
26 : 휴대폰 27 : 무선 호출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계기의 각부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채널 카드에서 감지하여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 발생 신호를 인가 받고 중계기 제어부에서 중계기 전체의 장애 경보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시스템의 주제어/스위칭부 전체 장애 내역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통보 받은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발생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통보 받은 주제어/스위칭부는 장애 발생 내역을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로 포맷과 동시에 음성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은 모니터로부터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지역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이동 지역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모니터에 상기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동 지역 식별 번호를 호출하여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 또는 음성 신호로 장애 발생 내역을 다수회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을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통신 순서도 이다.
상기와 같이 첨부된 제1도 및 제1도의 주파수 공용통신 망 연결 기능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1) 각 기능부(3,4,5,6)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채널 제어부(6)에서 장애 발생 현황을 감지하여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한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중계기 제어부(7)는 채널 제어부(6)로부터 인가 받고, 상기 중계기 제어부(7)는 중계기(1) 전체의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주제어/스위칭부(13)에 전체적인 장애 경보의 내역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로부터 통보 받은 중계기(1)의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모니터(14)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발생 경보 방법에 있어서, 중계기(1)의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통보 받은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중앙 교환 운용국(11)의 주제어/스위칭부(13)는 중계기(1)의 장애 발생 내역을 일정한 데이터 열(Data Series) 형태로 포맷(Format)하며 또한, 음성 신호(Voice Signal) 형태로 변화하는 메시지 변환 단계와,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은 모니터(14)로부터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지역 식별 즉, PCS 등과 같은 휴대폰(26)의 식별 번호, 무선 호출기(27)등의 식별 번호 또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8) 식별 번호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 입력하는 식별 번호 입력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이동 지역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모니터(14)에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표시함과 동시에 공중 통신망(21)을 통하여 운용 요원의 해당 이동 지역 식별 번호를 호출하며, 무선 호출기(27)의 식별 번호가 입력된 경우는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로 만들어진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또는 휴대폰(26) 및 TRS용 단말기(8) 식별 번호가 입력된 경우는 음성 신호로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각각 다수 회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세한 작용을 설명하면, 기지국 장비인 중계기(1)는 도시 지역에서는 고층 건물의 옥상 부분, 도시 지역 이외의 지역 등에서는 철탑을 세우거나 또는 지형 지물의 정상 등을 이용하여 설치를 함으로써,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이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역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므로, 각 중계기(1)를 일일이 찾아가는 것도 매우 어렵고, 한정된 운용 요원이 특정한 중계기(1) 들을 유지 보수 중이거나 또는 이동 중일 경우 인접한 부근의 다른 중계기(1)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어도, 직접 방문하지 않고는 확인이 어려웠으므로, 중앙 교환 운용국(11)의 모니터(14)에 별도의 운용 요원을 상주시켜 전화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인근의 중계기(1)에 장애 발생이 있는지 확인하여 처리하였으나, 통화 이후의 장애 발생 및 모니터(14)에 상주하는 요원이 이동 중일 경우는 그나마도 확인 할 수 없었다.
따라서, TRS 중앙 교환 운용국(11)에서는 종래의 기술에서도, 중계기(1)의 장애 발생 데이터를 주제어/스위칭부(13)에서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한 후, 모니터(14)에 표시(Display) 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추가하여 해당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의 이동통신 수단 즉, 무선 호출기(27), PCS 등의 휴대폰, TRS 단말기 등에 장애 발생 내역의 정보를 음성 또는 일련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여러 차례 반복 송신함으로써 모니터(14) 주변에 상주하는 운용 요원이 없어도 되고, 현장에서 작업하는 운용 요원의 인근에 있는 중계기(1)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는 즉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주제어/스위칭부(13)는 상기 중계기(1)의 각 기능부(3,4,5,6)의 장애 발생 신호를 인가 받으면, 모니터(14)에 표시하는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무선 호출(27)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로 포맷하고, 일 실시예로서, 10202의 형태인 경우는 앞의 두 자리인 1은 중계기(1)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계기 번호이고, 중간의 2는 중계기(1)의 장애가 발생한 채널 번호를 나타내고, 그 다음의 끝 두자리 숫자인 1은 장애의 원인 또는 종류를 표시하며, 또한, 동시에 장애 발생 내역을 휴대폰(26) 및 단말기(8)를 위한 음성 신호로 변환 시키는 메시지 변환 단계에 의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유지 보수 운용자는 모니터(14) 주변으로부터 원거리로 이동하거나, 특정한 중계기의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등에는 출발하기 전에 도면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14)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수단인 무선 호출기(27), 휴대폰(26) 또는 단말기(8)의 고유 인식 번호를 입력하여 주제어/스위칭부(13)에 되도록 하는 식별 번호 입력 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중계기의 각 기능부(3,4,5,6)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주제어/스위칭부(13)는 장애 발생 내역의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14)에 표시함과 동시에 운용자의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운용자의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으면, 공중 통신망(21)을 통하여 해당 운용 요원의 식별 번호를 호출한다.
또한, 운용 요원의 식별 번호가 공중 통신망(21)을 통하여 접속이 되면, 상기 메시지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호출하여 식별 번호에 적합한 메시지 즉, 음성 메시지 또는 데이터 열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그러므로, 운용 요원은 모니터(14) 주변에 항상 상주하여 주시하지 않아도 되고, 자율롭게 유지 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중에도, 중계기(1)에 장애가 발생하면, 이동통신 수단에 의하여 장애 발생 내역을 확인 할 수 있는 메시지지를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중계기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모니터 뿐 아니라 운용 요원의 이동통신 수단을 통하여 장애 발생 내역을 통보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한정된 소수의 운용 요원으로써 많은 수의 중계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계기의 각 기능부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채널 카드에서 감지하여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 경보 발생 신호를 인가 받고 중계기 제어부에서 중계기 전체의 장애 발생 상태를 확인하여 시스템의 주제어/스위칭부에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통보 받은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발생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통보 받은 주제어/스위칭부는 상기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로 포맷과 동시에 음성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 단계와, 시스템 유지 보수 운용 요원은 모니터로부터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지역을 입력하는 식별번호 입력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이동 지역 식별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는 모니터에 상기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을 표시함과 동시에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운용자의 이동 지역 식별 번호를 호출하여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 또는 음성 신호로 상기 전체 장애 경보 발생 내역의 메시지를 다수 회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데이터 열 형태는, 처음 두자리 숫자로 장애 발생 중계기의 위치를 나타내고, 다음 두자리의 숫자로 상기 중계기의 장애 발생 채널을 나타내며, 그 다음의 끝 두자리 숫자는 장애의 원인 또는 종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장애 경보 발생 방법.
KR1019960056060A 1996-11-21 1996-11-21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KR10022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060A KR100221288B1 (ko) 1996-11-21 1996-11-21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060A KR100221288B1 (ko) 1996-11-21 1996-11-21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322A KR19980037322A (ko) 1998-08-05
KR100221288B1 true KR100221288B1 (ko) 1999-09-15

Family

ID=194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060A KR100221288B1 (ko) 1996-11-21 1996-11-21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68B1 (ko) * 1999-05-18 2006-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92A (ko) * 1999-08-17 2001-03-05 조정남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KR100379456B1 (ko) * 1999-09-28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중계기의 고장 진단 방법
KR20030049656A (ko) * 2001-12-17 2003-06-25 (주) 케이비아이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KR100600498B1 (ko) * 2004-07-20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KR101036628B1 (ko) * 2008-08-13 2011-05-24 주식회사 케이티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KR101434411B1 (ko) * 2012-01-26 2014-08-26 주식회사 천일알에프 디지털 신호처리(dsp)에 의한 무선방송신호 중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252A (ko) * 1993-04-08 1994-11-19 신철순 비밀번호를 부여한 착신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252A (ko) * 1993-04-08 1994-11-19 신철순 비밀번호를 부여한 착신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68B1 (ko) * 1999-05-18 2006-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322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23848A2 (en) Network element monitoring in a radio telecommunication network
JPH08149552A (ja) 光マイクロセル伝送方式
EP0671111A1 (en) Radio system and a subscriber terminal for a radio system
US20070197258A1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KR100221288B1 (ko)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 장치
JP377092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EP0739150B1 (en) Cell site testing method for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8256120A (ja) 障害検索制御方法及び障害検索制御システム
JP3499719B2 (ja) 分離アクセス方式による監視システム
KR100576161B1 (ko) 호 통계 분석 기능을 가진 중계 방법 및 장치
CN102572758B (zh) 紧急无线连接系统和紧急无线连接方法
JP4367150B2 (ja) 携帯電話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情報取得及び状態制御方法
KR100597868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1548486A (zh) 用于主平巷的无线通信系统
US20220312174A1 (e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030730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7992A (ko)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KR101307033B1 (ko)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이상유무 판별 방법 및 장치
JP2930195B2 (ja) 遠隔監視装置
JP4119354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03046425A (ja) 基地局装置の遠隔監視制御方式
EP0930591A1 (en) Automatically locating individuals utilizing a combination of wireless media
JPH1040484A (ja) 災害情報通報システム
KR100291003B1 (ko) 셀룰러시스템을위한광중계장치및방법
KR20060022073A (ko)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원격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