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28B1 -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28B1
KR101036628B1 KR1020080079460A KR20080079460A KR101036628B1 KR 101036628 B1 KR101036628 B1 KR 101036628B1 KR 1020080079460 A KR1020080079460 A KR 1020080079460A KR 20080079460 A KR20080079460 A KR 20080079460A KR 101036628 B1 KR101036628 B1 KR 10103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home
failure
faul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31A (ko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 방법은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 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정보를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운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로서, 고객의 댁내에 시설된 댁내형 중계기의 운용상태에 따른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하여 무선통신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댁내형 중계기, 유선, 모뎀, 전원, SMS

Description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ER HAVING MONITORING}
본 발명은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객 댁내에 시설되는 댁내형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장치가 구비된 중계기와 이를 이용한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에서의 중계기는 음영지역(Shadow Area)해소 및 셀 크기(Coverage)를 효과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기지국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장소에 전달함으로써 고객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즉,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도 커버가 되지 않는 건물이나 지하실 및 댁내 등과 같은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중계 함으로써 고객의 요구에 만족하는 고품질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계기의 종류에는 무선통신 신호를 중계해야 하는 면적이나 넓거나 고객의 통화량이 많은 지역에 시설되는 중/대형 중계기나 광중계기가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빌딩의 승강기, 비상 계단, 화장실 등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 시설되는 초소형 중계기가 있다. 여기서 초소형 중계기는 댁내형 중계기 혹은 옥내형 중계기라고도 불리 우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댁내형 중계기로 통칭하기로 한다.
댁내형 중계기는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여 설치가 간편한 대신에 이득이 비교적 작고 출력 전력이 낮으므로 소규모 공간의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되어 있다. 그러므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서는 수많은 소규모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방대한량의 댁내형 중계기를 운용하고 있다.
한편, 중/대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무선모뎀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운용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댁내형 중계기의 경우 소형제작 및 제작원가 등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무선모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능동적인 운용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일정주기 또는 댁내형 중계기 설치 고객의 통신품질불만을 접수시 출장 또는 아웃바운드 콜(OutBound Call)을 통해서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수동적인 운용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고객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댁내형 중계기는 고객의 댁내에 시설됨으로 불특정고객이 임의로 설치장소를 옮기거나 이사 및 철거하는 경우 댁내형 중계기의 분실에 따른 자산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댁내형 중계기의 운용정보 및 설치정보를 능동적으로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일반유선전화선을 감 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와 그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는,
무선통신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장애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장애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를 통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를 갖는 장애 표시부; 및 상기 장애 표시부를 감시하고 상기 표시장치에서 표시하는 상기 장애정보를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운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감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 방법은,
a)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 하는 단계; 및 b) 상기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정보를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운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고객의 댁내에 시설된 댁내형 중계기의 운용상태에 따른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무선통신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댁내에 연결된 유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댁내형 중계기 감시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인프라구축에 따 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에 따른 운용정보를 운영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할수 있도록 하여 장비의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100)는 댁내의 음영 지역에 위치한 고객 단말기(11)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이다. 즉, 댁내형 중계기(100)는 기지국(30)으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신호를 증폭하여 고객 단말기(11)로 송신하고, 고객 단말기(11)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30)으로 송출함으로써 고객 단말기(11)에 고품질의 무선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는(100)는 일반유선전화선을 이용한 감시장치를 내장하여 운용상의 장애정보를 일반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통해 운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운용정보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형태로 생성되어 SMS 처리서버(200)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100)는 장애 표시부(110), 전원부(120), 보조전원부(130) 및 감시부(140)를 포함하며, 입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기의 구성과 설명은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업자가 실시하기에 일반적이므로 생략한다.
댁내형 중계기(100)는 고품질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모델 및 규격에 따라 정상적인 출력범위가 입력되고,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모니터링하며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장애정보에 대하여 장애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장애 표시부(110)는 댁내형 중계기(100)에 특정 장애가 발생하면 발생된 장애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F/L(Forward Link) 경보등(111), R/L(Reverse Link) 경보등(112), 전원 경보등(113)을 포함한다.
F/L(Forward Link) 경보등(111)은 댁내형 중계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순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정상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R/L(Reverse Link) 경보등(112)은 댁내형 중계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정상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전원 경보등(113)은 댁내형 중계기(100)에 전원부(12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이 때 전원 경보등(113)에 인가되는 전압은 보조전원부(130)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서, F/L(Forward Link) 경보등(111), R/L(Reverse Link) 경보등(112) 및 전원 경보등(113)은 소정색상으로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구와 같은 다양한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댁내형 중계기(100)의 전체적인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 며, 특히 순방향 링크의 출력신호 혹은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비정상적일 경우 장애 표시부(110)의 F/L(Forward Link) 경보등(111), R/L(Reverse Link) 경보등(112)에 전압을 인가한다.
보조전원부(130)는 축전지 혹은 전지일 수 있으며 전원이 차단되어 일정시간 구동 중이던 댁내형 중계기(100)의 동작이 중단되면, 장애 표시부(110)의 전원 경보등(113)과 장애감시부(140)로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감시부(140)는 입력전압 검출부(141), 제어부(142), 유선모뎀(143) 및 저장부(144)를 포함한다.
입력전압 검출부(141)는 장애표시부(110)의 F/L(Forward Link) 경보등(111), R/L(Reverse Link) 경보등(112) 및 전원 경보등(113)으로 각각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따른 장애이벤트를 제어부(142)로 전달한다.
제어부(142)는 상기 장애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장애이벤트에 따른 장애코드와 댁내형 중계기(100)의 시설코드를 포함하는 장애정보를 SMS 형식의 데이터로 생성하여 유선모뎀(143)으로 전송한다.
유선모뎀(143)은 제어부(142)로부터 수신된 SMS 형식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댁내형 중계기(100)의 운용자 단말기(20)서비스번호(예: 010-xyxy-5678)를 이용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유선모뎀(143)은 도 1과같이 고객의 댁내에 연결되는 일반유선전화선을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일반전화기(12)와 동일한 서비스번호를 갖거나, 별도의 회선을 연결하여 고유한 서비스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빌딩 내에 다수의 댁내형 중계기(100)가 시설되는 경우 하나의 회선에 분배기를 연결하여 다수의 댁내형 중계기(100)의 유선모뎀(143)에 서비스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저장부(144)는 댁내형 중계기(100)의 시설코드, 서비스번호, 장애코드정보 및 해당 운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번호 등의 감시부(140)에서 요구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댁내에 연결된 유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댁내형 중계기 감시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인프라구축에 따른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부가 운용상태를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100)의 감시부(140)는 장애 표시부(110)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감시한다(S301). 즉, 감시부(140)는 댁내형 중계기(100)의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의 비정상적인 출력과 전원이 끊기는 현상과 같은 품질저하의 발생을 표시하는 장애 표시부(110)로 전압이 입력되는지 감시한다.
감시부(140)가 장애 표시부(110)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검출하면(S302), 장애 표시부(110)의 F/L 경보등(111), R/L 경보등(112) 및 전원 경보등(113) 중 상기 전압이 입력된 해당 경보등에 대한 장애정보를 생성한다(S303).
이 때, 입력전압은 F/L 경보등(111), R/L 경보등(112) 및 전원 경보등(113) 중 적어도 하나의 경보등에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이 입력된 해당 경보등이 복수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장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감시부(140)는 상기 생성된 장애정보를 해당 운용자의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송신한다(S304). 이 때 송신되는 장애정보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 되는 장애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보등 모두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원 경보등에 대한 장애정보가 최우선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감시부(140)는 복수로 생성된 장애정보 모두를 송신하여 발생된 장애정보를 토대로 운용자가 장애요인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100)의 감시부(140)는 고객의 댁내에 시설된 댁내형 중계기(100)의 운용상태에 따른 품질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무선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장애정보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100)의 감시부(140)로부터 송신된 장애정보가 운용자 단말기(20)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준다.
메시지 내용을 살펴보면, 발신번호(02-xyxy-1234)는 장애정보(메시지)를 발 신한 서비스번호이고, 시설코드(H01)는 댁내형 중계기(100)의 식별정보이며, 장애코드(0001(전원off))는 다양한 장애정보를 간단한 코드를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애정보를 확인한 운용자는 상기 시설코드와 장애코드를 토대로 댁내형 중계기(100)의 전원에 장애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댁내형 중계기(100)의 서비스번호(발신번호)가 고객의 일반전화번호와 동일한 경우 즉, 동일한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즉시 댁내의 고객과 통화를 연결하여 장애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댁내형 중계기(100)의 설치장소 변경, 이사 또는 철거 등의 문제로 발생되는 댁내형 중계기의 분실을 예방하여 자산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2 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댁내형 중계기(100)가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의 비정상적인 출력과 전원장애에 따른 경보를 장애 표시부(110)에 표시하였으나, 이 밖에도 발진현상과 같이 댁내형 중계기(100)의 성능에 문제를 유발하는 다양한 장애정보를 더 검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부(140)는 댁내형 중계기(100)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에 대하여 장애정보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장애정보를 운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장애정보가 전달되는 착신전화번호를 해당 통신사의 장애관리 센터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래서 고객의 댁내에 시설 된 댁내형 중계기(100)들을 중앙에서 통합관리 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산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부가 운용상태를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장애정보를 나타낸다.

Claims (14)

  1.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통신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장애정보가 발생하면 상기 장애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를 통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를 갖는 장애 표시부; 및
    상기 장애 표시부를 감시하고 상기 표시장치에서 표시하는 상기 장애정보를 유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형태의 데이터로 SMS 처리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댁내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운용자 단말기로 대응되는 단문메시지로써 송신되도록 하는 감시부
    를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표시부는,
    순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정상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표시하는 F/L(Forward Link) 경보등;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정상치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표시하는 F/L(Forward Link) 경보등; 및
    상기 댁내형 중계기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표시하는 전원 경보등
    을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형 중계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장애정보 발생시 상기 장애 표시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전원부; 및
    일정시간 구동되던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구동이 중단되면 상기 장애 표시부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보조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장애 표시부에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장애 이벤트를 생성하는 입력전압 검출부;
    상기 입력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장애 이벤트에 따른 장애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애정보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운용자 단말기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유선모뎀
    을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모뎀은,
    댁내에 연결된 유선전화의 회선을 이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회선에 연결되어 고유한 서비스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순방향 링크장애, 역방향 링크장애, 전원장애 중 적어도 하나의 장애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정보 데이터는,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시설코드, 고유식별정보, 서비스번호(유선전화번호), 장애코드정보 및 상기 운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8. 삭제
  9.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의 감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 하는 단계; 및
    b) 상기 표시장치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정보를 유선전화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형태의 데이터로 SMS 처리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댁내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원격지의 운용자 단말기로 대응되는 단문메시지로써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순방향 링크장애, 역방향 링크장애, 전원장애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표시장치에 해당하는 장애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 이벤트에 따른 장애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장애정보는,
    고객의 댁내 유선전화기와 연결된 회선을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복수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장애정보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정보 데이터는,
    상기 댁내형 중계기의 시설코드, 고유식별정보, 서비스번호(유선전화번호), 장애코드정보 및 상기 운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번호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형 중계기 감시 방법.
  14. 삭제
KR1020080079460A 2008-08-13 2008-08-13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KR10103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60A KR101036628B1 (ko) 2008-08-13 2008-08-13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60A KR101036628B1 (ko) 2008-08-13 2008-08-13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31A KR20100020731A (ko) 2010-02-23
KR101036628B1 true KR101036628B1 (ko) 2011-05-24

Family

ID=4209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60A KR101036628B1 (ko) 2008-08-13 2008-08-13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22A (ko) * 1996-11-21 1998-08-05 정장호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장치
KR19980054603A (ko) * 1996-12-27 1998-09-25 정태기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이동통신 수신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방법
KR20060007624A (ko) * 2004-07-20 2006-01-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KR20060036335A (ko)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322A (ko) * 1996-11-21 1998-08-05 정장호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장치
KR19980054603A (ko) * 1996-12-27 1998-09-25 정태기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이동통신 수신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방법
KR20060007624A (ko) * 2004-07-20 2006-01-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KR20060036335A (ko)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31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1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ailures of network nodes
KR101195703B1 (ko)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0802580B1 (ko) 피엘씨 기반 농어촌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13835B1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분전함 장치
KR101064167B1 (ko)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CN102282863A (zh) 远程监控系统
JP200715876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36628B1 (ko)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JP5907734B2 (ja) 連携システム
KR20140010586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CN102598076A (zh) 用于识别和传达特定于周围环境和设备的状态的警报装置
JP2018007324A (ja) 分電盤の異常通信システム
KR20090074317A (ko) 위험관리 통합 관제시스템
KR102237270B1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Lopez et al. Optical fiber bus protection network to multiplex sensors: Amplification by remotely pumped EDFAs
KR101146299B1 (ko) 가입자 단말기의 전원부 알람표시 장치
JP7065429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34119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0608909B2 (en) Network data aggreg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management systems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3440B1 (ko) 이중화된 무선망을 이용한 sos비상벨 운용시스템
KR101771060B1 (ko)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JP7154569B2 (ja) 通信装置
KR100610864B1 (ko) 소형류 중계기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600498B1 (ko)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