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335A -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335A
KR20060036335A KR1020040085515A KR20040085515A KR20060036335A KR 20060036335 A KR20060036335 A KR 20060036335A KR 1020040085515 A KR1020040085515 A KR 1020040085515A KR 20040085515 A KR20040085515 A KR 20040085515A KR 20060036335 A KR20060036335 A KR 2006003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telephone
detector
manag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훈
이병석
최경호
임종태
송준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케이에스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335A/ko
Publication of KR2006003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기의 이상현상 발생시 중계기에 연결된 유선전화의 발신번호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의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중계기 관리자에게 해당 중계기의 이상유무를 알릴 수 있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계기, 전화기, 발신번호

Description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지기의 기능블록도.
도 3은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번호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원격지 110: 중계기
120: 중계기 감지기 121: 출력 감지부
122: 제어부 123: 선로 상태 감지부
124: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 125: DTMF 톤 생성부
126: 전화선 인터페이스부 130: 유선전화
200: 공중 교환 전화망 300: 중계기 감시센터
320: 관리자 전화 340: 관리자 PC
1000: 중계기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기의 이상현상 발생시 중계기에 연결된 유선전화의 발신번호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의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중계기 관리자에게 해당 중계기의 이상유무를 알릴 수 있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을 통해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이동중에도 상대방과 통화하거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선통신도 음영지역, 예를 들어 지하상가, 터널, 지하주차장 등에서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에서 차폐된 공간이나 소규모 블록화된 음영지역에 기지국을 신설하거나 중계 차량을 운용하기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주로 RF 중계기(Repeater)가 설치되고 있다.
이 RF 중계기는 차폐 공간이나 음영지역에 상존하는 신호 중에서 중계하고자 하는 미약한 신호를 추출하여 저잡음으로 증폭함으로써 음영지역을 커버하는 역할 을 수행한다.
이렇게, 이동통신용 중계기는 기지국과 연계하여 지하, 고층빌딩, 통화불능 지역 등을 통화가능 서비스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통화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중계기의 설치 대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중계기에 대한 관리 및 감시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중계기의 고장유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중계기의 고장 확인을 사업주나 제 3자의 통보에 의존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사업주나 제 3자가 고장 여부를 통보하지 않거나 일정기간이 지난 후 통보한 경우에는 그 기간만큼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용량 중계기의 경우에는 중계기 관리센터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이는 대용량의 중계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여러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모든 중계기를 관리 및 감시하기에는 중계기와 중계기관리센터를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매개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매개체로서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중계기와 이들을 관리 및 감시하는 중계기 감시센터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않고 저가의 비용으로 다 수의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감시할 수 있는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은,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을 중계하는 중계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기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 및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발신번호 표시가 가능한 관리자 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의 이상현상 발생시 상기 중계기 감지기가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 전화로 다이얼링하면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가 상기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중계기의 이상유무 감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 감지기와 전화선을 공유하여 연결된 유선전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전화의 발신번호는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 감지기는, 상기 중계기가 적절하게 서비스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지하는 출력 감지부; 상기 출력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소정시간 이상 과출력으로 송출되거나 혹은 지나치게 저출력으로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중계기에 이상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상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 감지기와 상기 유선전화가 공유하는 전화선이 현재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사용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로상태 감지부; 상기 선로상태 감지부에 의해 상기 유선전화가 상기 전화선을 현재 비사용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전화선에 접속한 후 다이얼 톤 혹은 비지 톤을 감지하는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 상기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에 의해 다이얼 톤이 감지되면, 기입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전화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전화로 다이얼링을 하는 DTMF 톤 생성부; 및 상기 중계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전화선에 적합하도록 전파법 및 전기통신법에 준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는 전화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신번호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자 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전화와 상기 관리자 PC는 중계기 감시센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영지역은 지하 상가, 터널, 또는 지하 주차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은, (ⅰ) 유선전화와 함께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 감지기는 중계기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출력감지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ⅱ) 상기 중계기의 출력감지 도중에, 상기 중계기에 이상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전화선이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선로상태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ⅲ) 상기 선로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전화선이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사용 되고 있지 않으면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는 다이얼 톤을 감지하는 단계; (ⅳ) 다이얼 톤이 감지된 상태에서, DTMF 톤 발생부에서는 관리자 전화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단계; (ⅴ) 상기 다이얼링에 의해, 전화선 인터페이스부를 지나 전화망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의 상기 관리자 전화에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 및 (ⅵ) 상기 발신번호 정보가 상기 관리자 전화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전화는 상기 발신번호를 소정의 중계기 번호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지기의 기능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번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1000)은 중계기 감지기(120), 유선전화(130), 공중 교환 전화망(200), 관리자 전화(320), 및 관리자 PC(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계기(110)는 차폐 공간이나 음영지역에 상존하는 신호 중에서 중계하고자 하는 미약한 신호를 추출하여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기기로서, 이동통신망에서 차폐된 공간이 나 소규모 블록화된 음영지역(예를 들면, 지하 상가, 터널, 지하 주자창 등)에 설치되어 있다.
중계기 감지기(120)는 커플러를 통해 중계기(110)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중계기(11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이상현상 발생시 공중 교환 전화망(200)을 통해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지기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감지기(120)는 출력 감지부(121), 제어부(122), 선로상태 감지부(123),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 DTMF 톤 생성부(125), 및 전화선 인터페이스부(126)를 포함한다.
출력 감지부(121)는 중계기(110)가 적절하게 서비스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계기(110)의 출력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22)가 인식할 수 있도록 커플러를 통해 중계기(110)의 안테나로부터 출력된 RF 출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DC 전압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2)로 전달한다.
제어부(122)는 출력 감지부(121)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중계기(110)의 출력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서, 중계기(110)에 이상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 중계기(110)의 출력이 소정시간 이상 과출력으로 송출되거나 혹은 지나치게 저출력으로 송출되는 경우에는 전화선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중계기(11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선로상태 감지부 (123),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 DTMF 톤 생성부(125), 및 전화선 인터페이스부(126)를 적절히 제어한다.
선로상태 감지부(123)는 중계기 감지기(120)와 유선전화(130)가 공유하는 원격지(100)의 전화선이 현재 유선전화(130)에 의해 사용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원격지(100)의 전화선이 현재 유선전화(130)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에는 관리자 전화(320)로의 호 진행은 대기상태가 된다. 즉, 중계기 감지기(120)에 의한 관리자 전화(320)로의 호 진행은 유선전화(130) 사용자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유선전화(13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행해진다.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는 다이얼 톤(Dial tone), 비지 톤(Busy tone), 링백 톤(Ring back tone) 등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선로상태 감지부(123)에 의해 유선전화(130)가 현재 비사용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전화선에 접속한 후 다이얼 톤 혹은 비지 톤을 감지한다.
DTMF 톤 생성부(125)는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에 의해 다이얼 톤이 감지되면, 기입력되어 있는 관리자 전화(320)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을 하게 된다.
전화선 인터페이스부(126)는 전파법 및 전기통신법에 준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함으로써 중계기 감지기(120)로부터의 신호가 전화선로에 적합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공중 교환 전화망(200)은 원격지(100)의 유선전화(130)와 중계기 감지기(120)를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자 전화(320)는 중계기 감시센터(300)에 설치된 전화로서, 중계기(110)의 이상현상 발생시 중계기 감지기(120)로부터의 다이얼링에 의해 유선전화(130)의 발신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부는 중계기 감지기(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로부터의 다이얼링에 의해 발신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PC(340)는 관리자 전화(320)에 연결되어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의 다이얼링에 의한 다수의 발신번호 정보를 예를 들어 중계기, 시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서버로서, 이것에 의해 관리자는 다수의 중계기의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지(100)의 중계기 감지기(120)는 중계기(110)에 접속되어 해당 중계기(110)의 출력을 출력감지부(121)를 통해 감지한다. 중계기 출력감지 도중에, 중계기(110)에 이상현상이 감지되면, 즉 중계기(110)의 출력이 과출력으로 송출되거나 혹은 지나치게 저출력으로 송출되면, 중계기 감지기(120)가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원격지(100)의 전화선이 유선전화(130)에 의해 사용중인지 여부를 선로상태 감지부(123)에서 감지한다.
선로상태 감지부(123)의 감지결과, 전화선이 유선전화(130)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는 전화선에 접속한 후 다이얼 톤을 감지한다. 다이얼 톤이 감지되면, 비로서 중계기 감지기(120)가 전화망(200)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이얼 톤이 감지된 상태에서, DTMF 톤 생성부(125)에서는 관리자 전화(320)의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선 인터페이스부(126), 전화망(200)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하게 된다. 이 다이얼링에 의해, 유선전화(130)의 발신번호가 관리자 전화(320)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이를 확인한 관리자는 해당 원격지의 중계기 이상현상 발생 사실을 AS 센터에 알림으로써, 이상현상 발생 중계기에 대한 후속처리가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격지(100)의 중계기 감지기(120)는 중계기(110)에 접속되어 해당 중계기(110)의 출력을 출력감지부(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10).
여기서, 중계기 감지기(120)는 유선전화(130)와 함께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유선전화(130)는 바람직하게는 원격지(100)의 전화(들)중에서 중계기(110)에 가장 근접한 전화이다.
다음, 중계기(110)의 출력감지 도중에, 중계기(110)에 이상현상이 감지되면, 즉 중계기의 출력이 과출력으로 송출되거나 혹은 지나치게 저출력으로 송출되면(단계(S20)에서 "Y"이면), 전화선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중계기 감지기(120)가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원격지(100)의 전화선이 유선전화(130)에 의해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선로상태 감지부(123)에서 감지한다.
선로상태 감지부(123)의 감지결과, 전화선이 유선전화(130)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즉, 단계(S30)에서 "N"),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124)는 다이얼 톤을 감지한다(S40). 이렇게 다이얼 톤이 감지되면, 비로서 중계기 감지기(120)가 전화망(200)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로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전화선을 유선전화(130)가 사용중인 경우(즉, 단계(S30)에서 "Y")에는 소정시간 대기한 후(S32), 단계(S30)으로 복귀한다.
다음, 다이얼 톤이 감지된 상태에서, DTMF 톤 발생부(125)에서는 관리자 전화(320)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다이얼링을 한다(S50).
다음, 이 다이얼링에 의해, 전화선 인터페이스부(126)를 지나 전화망(200)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300)의 관리자 전화(320)에 중계기 감지기(120)가 설치된 원격지(100)의 발신번호 정보가 전달된다(S60).
마지막으로, 이 발신번호 정보가 관리자 전화(32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다(S70).
이 발신번호는 관리자 전호(320)에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02-123-4567"은 원격지(100)의 전화번호(유선전화(130)의 전화번호)와 동일하며, "중계기 23"은 다수의 중계기들중에서 중계기(110)에 특정된 번호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발신번호와 중계기 번호가 모두 디스플레이되어 있지만, 발신번호 표시가능 전화(320)내에서 각 전화번호를 소정의 중계기로 각각 할당한 경우에는 "중계기 23"이라는 문구만 관리자 전화(32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즉, 관리자 입장에서 어떤 중계기에 이상이 있는 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발신번호를 확인한 관리자는 상기 발신번호에 해당하는 원격지에서의 중계기 이상현상 발생 사실을 AS 센터에 알림으로써, 해당 이상현상 발생 중계기에 대한 후속처리가 행해져 중계기의 신속한 보수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로부터 전달된 발신번호 정보들은 관리자 PC(340)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중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물, 수정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중계기 관리를 위하여 중계기 감지기와 중계기 감시센터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구현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단하여 이동통신 인프라가 적절히 갖추어져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저가의 비용으로 다수의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감지기를 전화선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선전화가 설치된 모든 지역에서 중계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8)

  1.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을 중계하는 중계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기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 및
    상기 다수의 중계기 감지기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발신번호 표시가 가능한 관리자 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의 이상현상 발생시 상기 중계기 감지기가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 전화로 다이얼링하면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가 상기 관리자 전화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중계기의 이상유무 감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서 있어서, 상기 중계기 감지기와 전화선을 공유하여 연결된 유선전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전화의 발신번호는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감지기는:
    상기 중계기가 적절하게 서비스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지하는 출력 감지부;
    상기 출력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소정시간 이상 과출력으로 송출되거나 혹은 지나치게 저출력으로 송출되는 경우에 상기 중계기에 이상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상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 감지기와 상기 유선전화가 공유하는 전화선이 현재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사용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로상태 감지부;
    상기 선로상태 감지부에 의해 상기 유선전화가 상기 전화선을 현재 비사용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전화선에 접속한 후 다이얼 톤 혹은 비지 톤을 감지하는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
    상기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에 의해 다이얼 톤이 감지되면, 기입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전화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전화로 다이얼링을 하는 DTMF 톤 생성부; 및
    상기 중계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전화선에 적합하도록 전파법 및 전기통신법에 준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는 전화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번호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관리자 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전화와 상기 관리자 PC는 중계기 감시센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지역은 지하 상가, 터널, 또는 지하 주차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시스템.
  7. (ⅰ) 유선전화와 함께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 감지기는 중계기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출력감지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단계;
    (ⅱ) 상기 중계기의 출력감지 도중에, 상기 중계기에 이상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전화선이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선로상태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ⅲ) 상기 선로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전화선이 상기 유선전화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콜 프로그레스 톤 감지부는 다이얼 톤을 감지하는 단계;
    (ⅳ) 다이얼 톤이 감지된 상태에서, DTMF 톤 발생부에서는 관리자 전화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다이얼링을 하는 단계;
    (ⅴ) 상기 다이얼링에 의해, 전화선 인터페이스부를 지나 전화망을 통해 중계기 감시센터의 상기 관리자 전화에 상기 중계기 감지기의 발신번호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 및
    (ⅵ) 상기 발신번호 정보가 상기 관리자 전화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전화는 상기 발신번호를 소정의 중계기 번호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 방법.
KR1020040085515A 2004-10-25 2004-10-25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6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15A KR20060036335A (ko) 2004-10-25 2004-10-25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15A KR20060036335A (ko) 2004-10-25 2004-10-25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335A true KR20060036335A (ko) 2006-04-28

Family

ID=3714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15A KR20060036335A (ko) 2004-10-25 2004-10-25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3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28B1 (ko) * 2008-08-13 2011-05-24 주식회사 케이티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28B1 (ko) * 2008-08-13 2011-05-24 주식회사 케이티 감시장치가 구비된 댁내형 중계기 및 감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1789A (en) SNID with wireless backup
JP2926012B2 (ja) 通信交換システムを介してデータアクセス装置から宅内装置に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電話交換システム
EP0782813B1 (en) Terminal equipment
US9091734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detecting a non-functional battery back-up unit (BBU) of an optical network terminal
EP0526240A2 (en) Call reconnection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CA2187454C (en) Telemetry system
US8601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wireless triple play services
JP3111835B2 (ja) 携帯電話機接続装置、並びに携帯電話機接続装置の発信接続方法及び着信接続方法
KR20130059278A (ko) 인터액티브 ars 음성 메뉴 접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방법
KR20060036335A (ko)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중계기 감시시스템 및 방법
JPH08273085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US6697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in a wireless phone/modem jack to prevent telephone line seizures
KR100597868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49968A (ja) 通信システム
KR10030730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22621A (ja) 中継増幅器動作状態監視システム
KR20010017992A (ko)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JP2930195B2 (ja) 遠隔監視装置
JP3003286B2 (ja) 制御チャネル切替え機能を備えた移動無線システム
JP4314379B2 (ja) ページャを利用したトラフィックの集中緩和方法
JPH1188548A (ja) Catv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KR20060007624A (ko) 무선 중계기 실시간 감시 장치
KR20030089104A (ko) 소형류 중계기 감시 장치 및 방법
US8285292B1 (en) Detection of cross-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loop network and another loop network at a subscriber's premises
KR100980371B1 (ko)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