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71B1 -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71B1
KR100980371B1 KR1020080126260A KR20080126260A KR100980371B1 KR 100980371 B1 KR100980371 B1 KR 100980371B1 KR 1020080126260 A KR1020080126260 A KR 1020080126260A KR 20080126260 A KR20080126260 A KR 20080126260A KR 100980371 B1 KR100980371 B1 KR 10098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ars
emergency resc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741A (ko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더블유아이 filed Critical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08012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갖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 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에 다이얼링하고,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tone)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모뎀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26260
데이터 연동, 화재 감지,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

Description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ATA INTERLOCKING SYSTEM BETWEEN STANDARD EMERGENCY RESCUE SYSTEM AND FIRE DETECTION RECEIVER}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 감시 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 화재 현장을 목격한 자가 이를 직접 신고하는 방식이고, 혹은, 화재 감지 센서가 설치된 현장이 불이 나면 당해 화재 현장의 화재 감지 센서가 소리 형태 등으로 경보를 발하여 이를 주위의 사람에게 알리면 그 사람이 이를 직접 신고하는 방식이다.
화재 현장을 직접 보거나 및/또는 화재 감시 수신기(200: 화재 감시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접한 목격자에 의해 화재 신고가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라면, 화재가 발생한 후 이를 목격자가 인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 즉, 최선의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하자마자 목격자가 신고하게 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비로소 화재를 목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한밤 중에 누전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그 건물에 사 람이 없는 경우라면, 경보가 울린다 해도 외부의 일반 보행자가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실시간으로 소방서 등에 연락을 하지 못하게 되면 막대한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로 고객들은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관리하게 도입되게 되었고, 화재 감시 방법에 있어서도, 건물 내의 각 부분에 화재 감시를 위한 센서, 즉 온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를 중앙 관리 장치에 연결하여 스프링클러 및 경보 장치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경보 처리하고 있다. 더 나아가 화재 경보 발생시 자동으로 인근 소방서에 화재 신고를 하도록 이루어진 화재 감시 시스템도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소방서에 화재 신고를 자동으로 하는 시스템은 대형의 건물에만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고, 일종의 핫라인의 개념으로서, 일반화된 라인이 아니라 별도로 소방서와의 협의 하에 설치된 특정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었다. 즉, 자동 신고 방식(신고시 송신하는 데이터 등)이 통일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전용선과 같은 핫라인 등의 비일반화된 방식에만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라인을 설치하는데 드는 비용이 상당하였다.
종래의 화재 감지 수신기
도 1은 종래의 화재 감지 센서가 부착된 화재 감지 수신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화재 감시 수신기(200)는 P형 1급 화재 감지 수신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컨대 고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부저(201), 주경종(202) 및/또는 지구 경종(203)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하는 시스템이며, 이렇게 발해진 경보를 보거나 듣고 사람이 소방서 등으로 직접 신고를 하도록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대부분의 화재 감시 수신기(200)는 19인치 표준 랙(standard rack) 장착형 또는 일반 독립형 패널 형태로 되어 있다. 내부적으로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부분(센서 인터페이스 모듈(205)) 및 경보 송출을 위한 출력부(입출력 인터페이스(208))를 가지고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자체 진단, 유지 보수 및 상태 감시용으로 데이터 통신 포트(통신 모듈(204))를 옵션으로서 지원하기도 한다.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
사람이 직접 소방서 등에 화재 신고를 하는 것에 대해서 전술하였으나, 이에도 몇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사람이 119 등으로 전화를 하여 사람이 응대하는 것과, 사람이 전화를 하여 ARS 자동화 시스템이 응대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중 후자는, 정부에서 소방 방재 등을 위하여 수립한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에 따른 무중단 ARS 시스템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24시간 내내 화재 등의 신고를 접수할 수 있으며, 이러한 24시간 접수는 기존의 119와 같이 사람이 직접 전화로 응대하는 것이 아니라, ARS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수된다.
예를 들어, 무중단 ARS 시스템(이하, 경우에 따라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 또는 'ARS 시스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에 신고하기 위해 화재 목격자가 전화를 걸면, 안내 멘트에 따라서, 화재의 경우라면 1번 버튼을 누르고, 다음 단계에서, 서울의 경우라면 다시 1번 버튼을 누르는 등으로 진행된다.
물론 119 전화 응대 인력이 감소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일반 화재 목격자의 관점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직접 응대하는 것에 비하여 차이가 별로 없거나 오히려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즉, ARS 시스템(300)은 '자동화'된 시스템이지만, 이때의 '자동화'라는 의미는 신고를 접수하는 측에서의 자동화일 뿐이고, 신고를 하는 측에서는 ARS를 상대로 자동화된 조치를 취할 수 없이, 사람이 직접 전화를 걸어서 일일이 숫자 버튼을 눌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위 ARS '자동화' 시스템은, '신고자 측에서의 자동화'를 행한다는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도 2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신고자(화재 목격자)는 유선 전화기(301) 또는 무선 전화기(302)를 이용하여 화재 신고를 행한다. 이러한 통화는 PSTN망 또는 이동전화망을 통해 전화사업자(303; 예를 들어 KT)를 거쳐 PSTN망을 통해 PBX 교환기(304)로 연결된다. 이 통화는 다시 호분배기(CTI; 305)로 연결되며, 그 후 필요에 따라 ARS 자동응답 시스템(306) 등으로 연결된다.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300)이다. 도 2에서는 소방본부 종합 상황실의 내부망만을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300)으로 표시하였으나, 넓은 의미로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이외에도, 소방 방재청의 망, 소방서 등의 망, 출장소의 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PBX 교환기(304) 및 호분배기(305)가 각각 2개씩 설치된 것은 24시 간 무중단 신고 체계를 확고히 하기 위함이며, 같은 이유로 지령 서버(307)도 2개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화재 감지 수신기에 특정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화재 감지 수신기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였으나, 이는 비용 측면에서 볼 때 큰 손실이다. 따라서, 기존의 화재 감지 수신기를 적극 활용하면서도 자동 신고를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기존의 화재 감지 수신기에서 데이터 통신 단자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용 또는 시스템 간의 연결에만 사용되던 단자로서, 그 쓰임새가 극히 제한적이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화재 감지 수신기의 신호가 특정의 핫라인으로 연결되어 소방서 등에 연락이 취해지는 시스템이 있었지만, 고가인 별도의 라인 설치가 필요하고 비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갖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 연동 시스템은,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 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에 다이얼링하고,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tone)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모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 신호 수신부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통신 모듈(204)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101), 또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에 연결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중의 하나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서, 상기 화재 신호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주소 정보가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모뎀이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생성할 때, 상기 주소 정보도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으로 변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의 다이얼링은, PSTN망, 와이브로, CDMA망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다이얼링한다.
본 발명은,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갖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 연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연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 연동 방법은, 상기 데이터 연동 장치가,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이 버튼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톤을 하나 이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의 톤을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방법에서, 상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통신 모듈(204) 또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방법에서, 상기 화재 신호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주소 정보가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생성할 때, 상기 주소 정보도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으로 변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방법에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다이얼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이얼링은, PSTN망, 와이브로, CDMA망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기존의 P형 1급 화재 감지 수신기 또는 P형 2급 화재 감지 수신기 등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단자(204: 통신 모듈)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용 또는 시스템 간의 연결에만 사용되던 단자로서, 그 쓰임새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이러한 데이터 통신 단자(204)에 연결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신고에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장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부가적인 연동 설비인 연동 시스템(100)만으로 동작하므로 경제적이다. 개념적으로, 기존의 장비들은 특수한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망인 핫라인을 통해 직접 소방서 등에 연락하는 것)을 부가하기 위하여는 핫라인 자체의 설치 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화재 수신 장비 자체(도 4의 화재 감지 수신기(200)에 대응됨)를 교체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기존의 화재 수신 감지기(2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최소한의 비용으로도 무인 자동 신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ARS 시스템(300)은 편리한 시스템이기는 하지만, 사람이 직접 그 시스템에 전화하는 것을 예상하고 있는 시스템이어서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소정의 변환 과정을 거쳐 ARS 시스템(300)에 자동화된 방식으로 신고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에 널리 퍼져 있는 기간망인 PSTN망(공중전화망)을 이용하고, 그 결과로서, 별도의 라인 설치가 불필요하고 그에 따라 비용이 최소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 수신기(200)와 연동하여 작동한다. 도 3의 좌측 상단은 주거 지역에서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의 적용의 예를 든 것이고, 도 3의 좌측 하단은 공장 지대에서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의 적용의 예를 든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주거 지역에서는 화재 감지 수신기(200)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에 연결되고, 공장 지대에서는 화재 감지 수신기(20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에 연결된다. 화재 감지 수신기(200)끼리의 연결은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통신 모듈(204)끼리 연결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설정에 따라서, 공장 지대에 설치된 하나의 화재 감지 수신기(200-1)에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 감지 수신기(200-2)도 동시에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화재 감지가 감지된 곳의 하나의 화재 감지 수신기(200-1)만 울리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 수신기(2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정보(화재 신호)를 받아서, 이를 변조하여 음성 전화 라인(ARS 시스템)에 적합 하게 형식화한 후에, 각 화재 발송 개소로부터 감지된 화재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300)에 연동 및 업링크한다. 즉, 예컨대, 종래에는 유지 보수용 또는 상호간의 접속을 위해서만 사용되던 화재 감지 수신기(200)의 통신 모듈(204: 도 1 참조)을 통해 화재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수신한다. 도 3에 나타난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300)은 도 2에 나타난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300)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난 화재 감지 수신기(200) 및 연동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한편, 도 4에 간략히 나타난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은, 통신 모듈(101), 모뎀(102), 컨트롤러(103),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디스플레이 모듈(105) 및 동작 스위치(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화재 감지 수신기(200)에 접속되어 동작하며, 구체적으로는 화재 감지 수신기(200)의 통신 모듈(204)에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101)이 접속되거나, 화재 감지 수신기(2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의 연장부(210)에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부분(101, 104)이 모두 화재 감지 수신기의 모듈(각각 204, 201)에 각각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화재 감시 수신기(20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종래에 존재하던 것으로서, 예컨대 고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시스템이며, 이렇게 발해진 경보를 보고 사람이 소방서 등으로 직접 신고를 하도록 이용되었던 것이다.
화재 감시 수신기(200; 이하, 수신기(200)라고도 함)와 접속된 통신 모듈(101) 및/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는, 화재 발생시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화재 감시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도 있고,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입출력의 상태를 변환(예를 들어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기능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의 연장부(210)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로 화재 발생 정보(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이 화재 발생 정보(화재 신호)는 컨트롤러(103)로 전달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화재 신호는 화재 감시 수신기(200)의 통신 모듈(204)로부터 연동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101)로 전송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01)은 화재 감시 수신기(200)의 통신 모듈(204)에 대응되도록, RS 232 규격의 통신 기능, RS 422 규격의 통신 기능 및 TCP/IP 프로토콜 지원 기능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재 신호는 컨트롤러(103)로 전달된다.
화재 신호가 연동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는 유입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01)일 수도 있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04)일 수도 있고, 통신 모듈(101)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양자(兩者)일 수도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204)은 옵션 사항으로서 모든 화재 감시 수신기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므로, 화재 감시 수신기(200)가 통신 모듈(204)을 갖지 않는 경우라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를 통해서만 화재 신호가 수신될 것이다.
실제 구현 상으로는, 종래의 화재 감시 수신기(2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로부터 별도의 데이터선 또는 전선을 가설하여 연동 시스템(1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측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화재 감시 시스템(2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와 연동 시스템(1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될 수 있다.
컨트롤러(103)는 수신기(200)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며, 수신기(200)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모뎀(102)을 제어하며, 연동 시스템(100)의 자체 상태를 감시하며, 수신기(200)의 상태를 감시하는 등의 기능을 행한다.
컨트롤러(103)가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받으면, 모뎀(102)으로 하여금 일반 유선 전화망을 통해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300; 무중단 ARS 시스템)으로 신고를 행한다. 이 모뎀(102)은 예를 들어 56kbps의 속도를 가지며, 상용 전화망을 지원한다. 비록, 도 4에는 일반 유선 전화망만 언급되어 있으나 도 3의 화재 감시 수신기(100)와 전화 사업자(303; KT)의 사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와이브로(WiBro) 또는 CDMA 등의 무선 통신이라도 무방하며, 결국 전화 사업자(303)를 통하여 PSTN망을 거쳐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300)으로 연결된다.
모뎀(102)을 통해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300)에 대해 구조 요청을 행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컨트롤러(103)는 디스플레이 모듈(105) 및 동작 스위치(106)와도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5)은 예를 들어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0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LCD 화면 상에 소정의 그래픽이 나타나도록 하며, 연동 시스템(100) 전체 및 컨트롤러(103)의 상태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스위치(106)는 연동 시스템(100)의 환경 설정 및 초기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딥 스위치(dip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단계 501에서, 연동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101)을 통해 화재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도 4에 나타나듯이, 이 화재 신호는 화재 감지 시스템(200)의 통신 모듈(204)로부터 연동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101)로 전달되는 정보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 화재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인 것이 일반적이다. 화재 감지 수신기(200)의 사양에 따라서, 이 디지털 형태의 화재 신호는, 단순히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사실만 전달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화재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등의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화재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화재 신호를 컨트롤러(103)에 전달한다(단계 503). 화재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계 502로 진행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104)에 화재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화재 신호는 화재 감지 시스템(2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로부터 연동 시스템(100)의 입출력 인 터페이스(104)로 전달되는 정보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 화재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인 것이 일반적이다.
비록 통신 모듈(101)에 화재 신호가 수신된 것을 체크한 후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04)에 화재 신호가 수신된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 모듈(101)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중 어느 하나에만 화재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족하다.
통신 모듈(101)과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모두에 화재 신호가 수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신 모듈(101)에 수신되는 화재 신호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04)에 수신되는 화재 신호는, 그 정보의 세밀한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사실만을 담은 정보이고 통신 모듈(101)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건물의 지역 위치나 구체적인 화재 장소 등의 정보를 담고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 모듈(101) 및/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수신된 화재 신호는 컨트롤러(103)에 전달된다(단계 503).
컨트롤러(103)가 이러한 화재 신호를 수신받으면, 컨트롤러(103)는 모뎀(102)으로 하여금 무중단 ARS 시스템(300: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에 다이얼링하도록 한다(단계 504).
무중단 ARS 시스템(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119 센터처럼 사람이 직접 응대하는 것이 아니라, ARS 시스템이 안내하는 방식이다. 화재 신고를 접수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신고자가 직접 당해 번호로 다이얼링했을 경우에, 당해 ARS 시스템에 연결하면 잠시 후에 '화재 신고는 1번, 조난 신고는 2번 ...' 등의 메시지가 음성으로 신고자에게 들려오게 되며, 이때 신고자는 전화기의 1번 숫자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그 뒤에 ARS 시스템이 다시 '화재가 발생한 지역은 어디입니까? 1번 서울, 2번 경기도 ...' 등의 메시지가 들려오고, 신고자는 전화기의 1번 숫자 버튼을 누르고, 다음은 '구체적인 지역은 어디입니까? 1번 강남구, 2번 노원구 ...' 등의 메시지에서 신고자는 전화기의 1번 숫자 버튼을 누르는 등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가 없이 연동 시스템(100)이 자동적으로 이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1번 버튼, 2번 버튼 등을 누를 수는 없으므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03)는 모뎀(102)을 제어하여, ARS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톤(tone)을 생성한다(단계 505). 즉, 모뎀(102)은,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ARS 시스템(300)에서 특정의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의 적절한 톤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한다. 이처럼 하면 1번 버튼을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제1 톤, 2번 버튼을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제2 톤 등을 만들어 내어 ARS 시스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톤 신호)를 ARS 시스템(300)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입력한다(단계 506).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의 모뎀(102)은 다이얼링 후, 소정 시간 대기하고, 제1 톤을 출력하고, 소정 시간 대기하고, 제2 톤을 출력하고, 소정 시간 대기하고, 제3 톤을 입력하는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곳의 위치 정보(주소) 등은 연동 시스템(100)의 컨트롤러(103) 등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화재 감지 수신기(200)의 통신 모듈(204)이 연동 시스템(100)의 통신 모듈(101)에 전달하는 화재 신호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에서 말한 과정을 거치면, 화재 발생시에 별도로 신고자가 신고하지 아니하여도 자동적으로 소방 방재청 등의 무중단 ARS 시스템(300)을 통해 화재 신고가 행해진다.
무중단 ARS 시스템(300)은 원래 자동적인 신고를 예상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ARS 시스템(300)을 대상으로 하여서도 자동화된 신고를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별도의 추가 설비 없이도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만으로 가능한 것이라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의 P형 1급 화재 감지 수신기 또는 P형 2급 화재 감지 수신기 등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단자(204: 통신 모듈)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용 또는 시스템 간의 연결에만 사용되던 단자로서, 그 쓰임새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이러한 데이터 통신 단자(204)에 연결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신고에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장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부가적인 연동 설비인 연동 시스템(100)만으로 동작하므로 경제적이다. 개념적으로, 기존의 장비들은 특수한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망인 핫라인을 통해 직접 소방서 등에 연락하는 것)을 부가하기 위하여는 핫라인 자체의 설치 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화재 수신 장비 자체(도 4의 화재 감지 수신기(200)에 대응됨)를 교체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기존의 화재 수신 감지기(200)에 연 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최소한의 비용으로도 무인 자동 신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시스템(100)은 ARS 시스템(300)에 자동화된 방식으로 신고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단지 기존에 널리 퍼져 있는 기간망인 PSTN망(공중전화망)을 이용한다. 따라서, 별도의 라인 설치가 불필요하고 그에 따라 비용이 최소화된다.
위에서는 특정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상 내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인 자동 신고를 행할 수 있는 한, 도 5의 흐름도에서 전후 순서가 다소 바뀌더라도 무관하다. 특히 예를 들면, 단계 501과 단계 502는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관하고, 단계 504와 단계 505는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며, 이는 당업자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화재 신호'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조난 신호, 강도 신호 등 비상시의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특정 대상에게 알리려 하는 경우에는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는, ARS 시스템에 대해 입력할 톤의 값만 다소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외의 다양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감지 센서가 부착된 화재 감지 수신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화재 감지 수신기(화재 감지 장치)
201: 부저(buzzer)
202: 주경종
203: 지구경종
204: 통신 모듈
208: 입출력 인터페이스
300: 표준 긴급 구조 시스템(무중단 ARS 시스템 또는 ARS 시스템)
303: 전화 사업자
304: PBX 교환기
305: 호분배기(CTI)
306: ARS 자동응답 시스템
307: 지령 서버
100: 연동 시스템
101: 통신 모듈
102: 모뎀
103: 컨트롤러
104: 입출력 인터페이스
105: 디스플레이 모듈
106: 동작 스위치

Claims (10)

  1.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갖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 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에 다이얼링하고,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tone)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모뎀
    을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호 수신부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통신 모듈(204)에 연결되는 통신 모듈(101), 또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에 연결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4)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호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주소 정보가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모뎀이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생성할 때, 상기 주소 정보도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의 다이얼링은, PSTN망, 와이브로, CDMA망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
  6. ARS 자동응답 시스템을 갖는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이터 연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연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연동 장치가,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이 버튼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톤을 하나 이상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의 톤을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의 버튼 입력 타이밍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통신 모듈(204) 또는 상기 화재 감지 수신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08)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신호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는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주소 정보가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연동 시스템이 상기 화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의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버튼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을 생성할 때, 상기 주소 정보도 상기 특정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인 톤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RS 자동응답 시스템에 다이얼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이얼링은, PSTN망, 와이브로, CDMA망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KR1020080126260A 2008-12-12 2008-12-12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98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60A KR100980371B1 (ko) 2008-12-12 2008-12-12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60A KR100980371B1 (ko) 2008-12-12 2008-12-12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41A KR20100067741A (ko) 2010-06-22
KR100980371B1 true KR100980371B1 (ko) 2010-09-06

Family

ID=4236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260A KR100980371B1 (ko) 2008-12-12 2008-12-12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70A (ko) * 2002-07-27 2004-02-05 주식회사 캡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01550A (ko) * 2003-06-25 2005-01-07 양한규 디지털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재시스템
KR20080055591A (ko) * 2006-12-13 2008-06-19 주식회사 케이엘정보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200442208Y1 (ko) 2008-03-31 2008-10-20 씨아이씨라이프(주) 티티에스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70A (ko) * 2002-07-27 2004-02-05 주식회사 캡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01550A (ko) * 2003-06-25 2005-01-07 양한규 디지털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재시스템
KR20080055591A (ko) * 2006-12-13 2008-06-19 주식회사 케이엘정보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200442208Y1 (ko) 2008-03-31 2008-10-20 씨아이씨라이프(주) 티티에스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41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344B2 (en) Alarm system providing multiple network routing, interface module and method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US5511109A (en) Security system using call display
US78556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an alarm system to an external network
US7734020B2 (en) Two-way voice and voice over IP receivers for alarm systems
KR100969661B1 (ko) 자동 화재 속보 및 화재 접수 모니터 시스템과 그의 운영방법
JPH11154902A (ja)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の通話品質監視装置
KR100980371B1 (ko) 표준화된 긴급 구조 시스템과 화재 감지 수신기 간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JP2008185342A (ja) 地震警報装置及び地震対策システム
US20130076510A1 (en) Broadband Alarm Reporting Using a Local Wireless Network
KR100609735B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원격 화상경비 장치
KR100617474B1 (ko) 공중교환전화망을 이용한 방범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그를 위한 단말기
JP4367224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158557B2 (ko)
JP4909172B2 (ja) 警報情報遠隔報知装置及び警報情報遠隔報知システム
JP3050952B2 (ja) 集合住宅の非常通報装置
JP3058974U (ja) 監視通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962031B1 (ko) 화재경보 발생위치 자동신고 시스템 및 방법
JP4538957B2 (ja) 網制御装置
JP2848364B2 (ja) 警報送信装置
JPH04108253A (ja) セキュリティー自動通報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ー自動通報システム
JP3133007U (ja) 緊急自動通報機能付きボイスガイダンスユニット
JP2546988Y2 (ja) 機械警備装置
JPH05325080A (ja) セキュリティ監視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