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269B1 -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 Google Patents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269B1
KR100221269B1 KR1019960051971A KR19960051971A KR100221269B1 KR 100221269 B1 KR100221269 B1 KR 100221269B1 KR 1019960051971 A KR1019960051971 A KR 1019960051971A KR 19960051971 A KR19960051971 A KR 19960051971A KR 100221269 B1 KR100221269 B1 KR 10022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argo
side door
fixe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042A (ko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2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의 리어측에 장착되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 플로어 앗세이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2개의 사이드 도어앗세이(2)가 구비되어 캐빈의 리어측에 장착되는 승합차의 박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하 단에 각각 상·하부 가이드(3a, 3b)가 구비되고, 이 상·하부 가이드(3a, 3b)에 칸막이(4)의 양측 선단이 로울러(5)를 매개로 전·후 이동되게 고정되며, 이 칸막이(4)에 핀(10)을 매개로 링크(8)와 노브(9)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이 링크(8)의 양측 선단에 각각 록로드(7)가 힌지고정되는 한편,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에 록로드(7)의 선단이 탈착되는 고정홈(2a)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적대된 화물의 유동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것이다.

Description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본 발명은 승합차의 리어측에 장착되는 적재함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칸막이가 구비되어 적재된 화물의 유동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승합차 캐빈의 리어측에 장착되는 적재함 박스는 화물이 적재되어지는 공간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구조는 플로어 앗세이와, 이 플로어 앗세이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2개의 사이드 도어앗세이, 플로어 앗세이의 리어측에 힌지고정되는 리어 도어 앗세이, 플로어 앗세이의 프론트측에 고정되는 로드레스트앗세이 및 각각의 도어 앗세이를 고정하도록 된 체인앗세이 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적재위치에 따라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나 리어 도어앗세이를 열고 화물을 적재한 후 오픈된 도어앗세이를 닫는 것으로 화물 적재가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는 적재된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적재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러버재질의 로프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완력으로 고정하고 있는 바,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증가되고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이드 도어앗세이 혹은 리어 도어앗세이의 닫힌 상태의 높이보다 적재 화물의 높이가 낮거나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적재 화물고정용 로프를 사용하더라도 화물을 고정시키기가 난이하고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주행하게 되면 동력학적인 힘에 의해 화물이 유동되어 적재함 박스에 화물이 부딪히게 되므로 화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칸막이가 구비되어 적재된 화물의 유동을 손쉽게 발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적재함 박스가 장착되어진 승합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X부 단면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Y부 단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함 박스 2 : 사이드 도어앗세이
2a : 고정홈 3a : 상부가이드
3b : 하부 가이드 4 : 칸막이
5 : 로울러 6 : 핀
7 : 록로드 8 : 링크
9 : 노브 10 : 핀
상기와 같은 목적은, 플로어 앗세이의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2개의 사이드 도어앗세이가 구비되어 캐빈의 리어측에 장착되는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의 상·하부에 가이드레일을 구비시키고, 칸막이의 양측 상하 선단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리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로울러를 축설하며, 상기 칸막이의 중간 상단부에는 핀을 매개로 링크와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고, 상기 링크의 양측 선단에는 각각 록로드를 힌지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사이드 도어앗세이에 록로드의 선단이 탈착되는 고정홈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달성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박스가 장착되어진 승합차의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승합차 캐빈의 리어측에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박스(1)가 장착되어 있는 바, 플로어 앗세이의 양측에 다수의 고정홈(2a)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이드 도어앗세이(2)가 힌지 고정되고, 이 사이드 도어 앗세이(2)의 상·하부에는 내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결홈(3a, 3b)이 각각 설치되며, 이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에 칸막이(4)의 양측 상하부를 축지시켜 칸막이(4) 자체가 상기 사이드 도어 앗세이(2)의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X부 단면상태도인 바, 이에 따르면,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하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결홈(3a', 3b')이 구비된 상·부 가이드레일(3a, 3b)이 각각 설치되고, 칸막이(4) 선단의 상·하측에는 핀(6)을 매개로 로울러(5)가 각각 축지되며, 이 로울러(5)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한편,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홈(2a)에는 록로드(7)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칸막이(4)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3도는 제1도의 Y부 단면상태인 바, 이에 따르면, 칸막이(4)의 중간 상방부에 핀(10)을 매개로 링크(8)와 노브(9)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링크(8)의 양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록로드(7)의 일단부가 각각 힌지 고정되어, 상기 노브(9)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핀(10)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이므로인해 링크(8)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시 상기 롤로드(7)가 양측으로 유동되어 그의 자유단부가 상기 도어앗세이(2)의 고정홈(2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거나 그로 부터 빠져나오도록 하였다.
몰론, 상기 칸막이(4)를 적재함 박스(1)상에 설치할시 칸막이(4)를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최후방부로 위치시켜 로울러(5)가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내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전방부로 밀게되면 상기 로울러(5)를 칸막이(4)상에 축지시키고 있는 핀(6)은 상기 가이드레일(3a, 3b)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결홈(3a', 3b')의 저면을 굴움운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 박스(1)에 화물을 적재한 후에는 칸막이(4)를 이동시켜 화물을 고정시키고자 할시에는, 상기 노브(9)를 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시켜 링크(8)상에 일단부가 각각 축지된 록로드(7)의 자유단부들이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고정홈(2a)으로 부터 빠져나오도록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칸막이(4)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게되면 사이드 칸막이(4) 선단의 상·하측에서 핀(6)을 매개로 축지된 로울러(5)가 축(6)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결홈(3a', 3b')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에 가이드레일(3a, 3b)을 따라 굴움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칸막이(4) 자체가 상기한 가이드레일(3a, 3b)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화물과 밀착된다.
이루, 상기 노브(9)를 전술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도면상에서 시계방향)시키면 핀(10)을 통해 상기 노브(9)와 함께 칸막이(4)상에 축지된 링크(8)도 회전하게 되므로 그의 상하부에 일단부가 각각 축지된 록로드(7)의 자유단부들이 사이드 도어앗세이(2)측으로 이동되어 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홈(2a)들 중 현재 칸막이(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혼에 기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칸막이(4)가 적재함박스(1)를 구성하고 있는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소정위치상에서 고정됨은 물론 적재함 박스상에 적재된 화물도 칸막이(4)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의 높이가 높거나 부피가 크더라도 적재함 박스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므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로프를 이용하더라도 화물을 감는 회수가 크게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감소되고 편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화물의 높이가 낮거나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칸막이의 만으로도 적재 화물을 고정시킬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주행시에 화물이 적재함 박스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도어앗세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칸막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적재 화물의 고정시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감소되고 편이성이 향상되는 한편, 적재 화물의 높이가 낮거나 부피가 작더라도 칸막이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되므로 주행시 화물이 적재함 박스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로어 앗세이의 양측에 힌지고정되는 2개의 사이드 도어앗세이(2)가 구비되어 캐빈의 리어측에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하단에는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로울러(5)용 핀(6)이 끼워지는 절결홈(3a', 3b')이 구비된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4)선단의 상·하측에는 핀(6)을 매개로 로울러(5)가 각각 축지시켜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3a, 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며, 상기 칸막이(4)의 중간 상방부에는 핀(10)을 매개로 링크(8)와 노브(9)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되 상기 링크(8)의 양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록로드(7)의 일단부를 각각 힌지 고정하고, 상기 사이드 도어앗세이(2)의 상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록로드(7)의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려지는 수개의 고정홈(2a)을 형성시켜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KR1019960051971A 1996-11-05 1996-11-05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KR10022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971A KR100221269B1 (ko) 1996-11-05 1996-11-05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971A KR100221269B1 (ko) 1996-11-05 1996-11-05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42A KR19980034042A (ko) 1998-08-05
KR100221269B1 true KR100221269B1 (ko) 1999-09-15

Family

ID=1948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971A KR100221269B1 (ko) 1996-11-05 1996-11-05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42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57B2 (en) Vehicle unguided four-bar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DE3420349C2 (ko)
EP2329991B1 (de)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CN108688546B (zh) 后挡板组件和包括该后挡板组件的车辆
AT503828A1 (de) Ladeboden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es
DE102009018430A1 (de) Rollenbügel-Laufschienenverlängerung mit Verriegelung für Schiebetür
JP4427028B2 (ja) コンテナ
KR100221269B1 (ko) 승합차의 적재함 박스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JP2002087166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US3468063A (en) Double sliding door actuator
KR101701095B1 (ko)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JP5218885B2 (ja) 車両の荷台構造
US3195745A (en) Safety storage tray
JP4790429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CN114197982B (zh) 一种推拉式储物盒
KR0182898B1 (ko) 화물차의 사이드게이트 잠금장치
KR20210043526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프론트도어 상부지지장치
KR101360439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KR0174216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개폐구조
KR100376441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개폐장치
KR0130446Y1 (ko) 자동차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구조
JP6461691B2 (ja) 乗物の室内上部構造
JPH08324457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80026199U (ko) 화물차 적재함의 화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