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944B1 -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944B1
KR100219944B1 KR1019960042630A KR19960042630A KR100219944B1 KR 100219944 B1 KR100219944 B1 KR 100219944B1 KR 1019960042630 A KR1019960042630 A KR 1019960042630A KR 19960042630 A KR19960042630 A KR 19960042630A KR 100219944 B1 KR100219944 B1 KR 100219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signal
aspect ratio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90A (ko
Inventor
정환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4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9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에 의해 원격제어되어 제 1 및 제 2의 영상신호에 대해 주화면과 부화면에 의한 다화면표시가 가능한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상기 리모콘(10)에 장치되어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8방향 자유도가 설정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원판부재상에 8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부재(34)와, 대체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스위치부재(34)의 접점형성을 위한 다수의 돌기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에는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의 선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스위치부재(22)가 갖추어진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를 갖추어 구성된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과, 상기 리모콘(10)의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으로부터의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고 영상출력장치상에 화면비의 선택을 위한 OSD신호와 현재의 선택된 부화면의 위치 및 변경되는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OSD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마이컴(66), 그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는 OSD처리부(74), 그 OSD처리부(74)에서 생성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초기화면을 영상출력장치(76)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부화면처리부(72)에 의해 처리된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와 상기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다화면처리하는 영상처리부(7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부화면의 표시위치와 화면비에 대한 OSD화면을 표시하고나서 그 표시된 위치 및 화면비로 부화면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SUB-PICTURE POSITIONING CONTROL SYSTEM FOR VIDEO REPRODUCER SET}
본 발명은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표시시스템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에 8방향-부화면제어버튼을 설치해서 부화면의 위치제어 및 치수의 변경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CRT장치를 채용하여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아날로그방식의 텔레비전에 대해서는 그 기능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단으로서 리모콘이 채용되고, 그 리모콘의 원격제어에 의해 주화면상에 부화면을 표시화는 소위'PIP(Picture-in-picture)'기능이 상용화된 상태이다.
그러한 텔레비전에서의 PIP기능에 따르면 리모콘에 의해 PIP모드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투입되는 경우 텔레비전의 제어수단에서는 영상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주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그 주화면의 소정위치에 할당되는 부화면표시영역상에 부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청자는 다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텔레비전에서 실행되는 PIP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그 텔레비전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에는 PIP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설정버튼과 PIP모드의 설정시 부화면의 치수(예컨대 16:1, 8:1, 4:1, 2:1)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선택버튼 및 그 부화면의 표시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4방향-부화면위치제어버튼 등이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의 모드설정버튼에 의해 PIP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4방향-부화면위치제어버튼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를 설정하고나서 화면의 치수를 선택하게 되면 그 PIP기능의 실행을 위한 원격제어신호가 텔레비전측으로 원격전송되고, 그에 따라 텔레비전에 갖추어지는 제어수단에서는 그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영상처리수단을 제어하여 주화면의 설정된 위치에 부화면이 치수설정된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아날로그방식의 텔레비전에서 CRT장치의 채용으로 말미암아 초래되는 대중량화 및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비교적 대형화면의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최근에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 또는 AMA(Actuated mirror array)패널을 채용하는 디지탈방식의 프로젝션 텔레비전 또는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이 제안된 상태인 바, 그러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대해서는 원격적인 제어를 위해 리모콘의 채용이 확산됨과 더불어 다화면의 표시를 위한 소위'PIP'기능의 추가도 고려되는 상황이다.
그런데,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텔레비전에 적용되는 PIP기능의 경우에는 리모콘에서 PIP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4방향-부화면위치제어버튼의 반복적인 조작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를 설정해주어야만 될 뿐만 아니라 부화면의 치수도 설정해주어야만 되므로, 결국 시청자가 PIP기능의 설정시 번거로운 버튼의 조작, 특히 부화면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4방향-부화면위치제어버튼의 반복적인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그 4방향-부화면위치제어버튼의 반복적인 조작의 경우에도 그 부화면이 표시될 위치에 대한 화면상의 표시가 행해지지 않게 되면 그 부화면의 이동위치에 대한 인지가 곤란하게 되고, 그 선택된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인지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모콘상에 8방향-부화면제어버튼을 설치해서 PIP모드의 설정상태에서 부화면의 위치와 치수가 선택되면 그 부화면의 위치와 치수에 대한 가상적인 부화면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해줌으로써 부화면의 위치변경 및 치수의 변경에 관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된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에 의해 원격제어되어 제 1 및 제 2의 영상신호에 대해 주화면과 부화면에 의한 다화면표시가 가능한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에 장치되어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8방향 자유도가 설정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원판부재상에 8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부재와, 대체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스위치부재의 접점형성을 위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에는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의 선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스위치부재가 갖추어진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를 갖추어 구성된 8방향-부화면제어버튼과, 상기 리모콘의 8방향-부화면제어버튼으로부터의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고 영상출력장치상에 화면비의 선택을 위한 OSD신호와 현재의 선택된 부화면의 위치 및 변경되는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OSD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마이컴, 그 마이컴의 제어하에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는 OSD처리수단, 그 OSD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초기화면을 영상출력장치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부화면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와 상기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다화면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8방향-부화면제어버튼은 원판부재상에 8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부재와, 대체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스위치부재의 접점형성을 위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에는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의 선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스위치부재가 갖추어진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의 하단면에는 원추형상의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그 회동돌기는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리모콘의 하부패널에 형성된 'V'자형상의 요홈에 회동가능하게 수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모콘에 의해 설정되는 PIP모드에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영상출력장치상에 화면비의 선택을 위한 OSD신호와 현재의 선택된 부화면의 위치 및 변경되는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OSD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추게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마이컴은 상기 리모콘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가 지정되면 그 지정된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가상적인 표시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기능을 더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부화면의 가상적인 위치에 대해 특정한 컬러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도 갖추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하면, 리모콘에 구비된 8방향-부화면제어버튼의 1회조작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가 설정됨과 더불어 그 부화면의 치수가 설정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그 부화면의 위치와 치수에 대한 가상적인 부화면의 영역이 결정되어 주화면상에 표시되어 부화면의 표시상태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리모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에 구성되는 위치제어버튼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의 위치제어버튼의 개략적인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에 의해 부화면위치제어를 실행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한 부화면의 위치제어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한 부화면의 위치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콘, 12: 모드설정버튼,
14: 8방향-부화면제어버튼, 16: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
18: 돌기부, 20: 회동돌기,
22: 선택스위치부재, 32: 원판부재,
34: 스위치부재, 42: 요홈,
50: 제어부, 52: 원격제어코드메모리,
54: 원격제어신호변환부, 56: 적외선 발광소자,
62: 적외선 수광소자, 66: 마이컴,
70: 영상처리부, 72: PIP처리부,
74: OSD처리부, 76: 영상출력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리모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바,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리모콘에는 PIP기능의 설정을 위한 모드설정버튼(12)과, 그 모드설정버튼(12)에 의한 PIP모드의 설정시 부화면의 위치와 치수의 순차적인 설정이 가능하도록 작용하는 조이스틱(Joy stick)형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을 포함하여 다수의 버튼이 갖추어지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에서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그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
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참조부호 16은 상기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에서 부화면의 위치 및 치수를 설정하기 위한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를 나타내는 바,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는 대체로 반구형상을 이루면서 그 하단면에는 부화면에 대한 8방향 위치 및 치수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선회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대체로 원추형상의 회동돌기(20)가 형성되는 반면, 그 상단에는 부화면에 대한 위치 및 치수의 선택을 위한 선택스위치부재(22)가 리모콘(10)의 상부패널(24)을 관통해서 돌출적으로 제공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는 시청자에 의해 가압조작이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된 제 1스위치부재(26)와 그 제 1스위치부재(26)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그 제 1스위치부재(26)의 가압조작시 접점이 형성되는 제 2스위치부재(28)를 갖추어 구성됨과 더불어, 그 제 1스위치부재(26)와 제 2스위치부재(28)의 사이에는 상호 적정한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스프링(30)이 개재된다.
또, 도 2에서 참조부호 32는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하측에 개재되어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하단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스위치부재(34)가 설치된 원판부재로서, 그 원판부재
(32)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부재(34)는 8방향의 부화면 위치 및 치수의 설정에 적절한 수량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34)는 상시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
(16)의 돌기(18)에 접촉되어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자유회동을 방지하는 제 1스위치접점(34a)과, 그 제 1스위치접점(34a)과의 접촉시 부화면의 위치와 치수의 설정을 위한 커서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 2스위치접점(34b)을 갖추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34)의 일단에는 나사공(34c)이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재(32)와 더불어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부재(32)의 중앙부에는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하단면에서 돌출되는 회동돌기(20)가 관통되는 관통공(38)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38)을 관통하는 상기 회동돌기(20)는 상기 리모콘(10)의 하부패널(40)에 형성되는 'V'자형상의 요홈(42)에 회동가능하게 수납된다.
또, 상기 리모콘(10)의 하부패널(40)에는 상기 원판부재(32)의 스위치부재(34)에 형성된 나사공(34c)을 통과하는 나사(36)가 체결되는 나사공(44)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 상기 리모콘(10)의 상부패널(24)에서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선택스위치부재(22)가 관통돌출되는 개구공(46)의 내면 주위에는 상기 스위치부재(34)의 제 1스위치접점(34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돌기(48)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한 구성의 리모콘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제어를 실행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블럭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리모콘은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의 스위칭신호와 상기 스위치부재(34)의 접속상태에 따른 8비트의 스위칭신호를 수신하여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텔레비전에 대한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50)와 상기 텔레비전에 대한 원격제어코드가 프로그램된 원격제어코드메모리(52), 상기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원격제어신호를 아날로그변환하여 적외선 발광소자(56)를 구동하여 원격전송되도록 하는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참조부호 60으로 표시된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텔레비전은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에 의해 원격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적외선 수광소자(62)를 통해 수신하는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와, 그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데이터메모리(68)에 격납된 원격제어코드와 비교하여 해당의 텔레비전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66)를 포함하게 됨과 더불어, 그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제 1의 영상신호(CS1)와 PIP기능하에서 제 2의 영상신호(CS2)에 의한 다화면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영상처리부(70)와,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 PIP기능의 설정시 상기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상기 제 1의 영상신호(CS1)와는 독립적으로 수취되는 제 2의 영상신호(CS2)를 부화면처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부(70)에 인가하는 PIP처리부(72), 상기 리모콘(10)에 의해 설정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한 기능 및/또는 PIP기능하에서 부화면의 위치 및 치수에 관한 화면표시를 위한 OSD(On-screen)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처리부(70)에 인가하는 OSD처리부를 나타낸다.
또, 76은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처리되는 OSD신호와 주화면 및/또는 부화면의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예컨대 CRT장치 또는 스크린 등이 채용되는 영상출력장치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가 아날로그방식의 텔레비전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10)은 다수의 스위치부재(34)에 형성된 나사공(34c)과 상기 원판부재(32)에 형성된 나사공 및 상기 리모콘(10)의 하부패널(40)상에 형성된 나사공(44)을 정합시킨 상태에서 나사(36)에 의해 위치고정시켜 상기 스위치부재(34)에 의해 부화면에 대한 8방향의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조립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재(34)와 정합되는 위치에 돌기(18)가 형성된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회동돌기(20)가 상기 원판부재
(3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상기 리모콘(10)의 하부패널(40)에 형성된 회동요홈(42)에 수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상단에 형성된 선택스위치부재(22)의 부분이 상기 리모콘(10)의 상부패널(24)의 개구부(46)를 관통해서 돌출되도록 그 리모콘(10)의 상부패널(24)을 조립하게 되는 바, 그 경우 상기 상부패널(24)의 개구부(46)가 형성된 부위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48)에 의해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가 균형을 이루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돌기(18)에 대해서는 상기 스위치부재(34)의 제 1접점(34a)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텔레비전(60)에서는 통상적인 주화면표시모드가 설정된 경우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는 예컨대 방송신호의 경우 특정한 채널의 복합영상신호(CS1)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어 상기 영상출력장치
(76)상에 재생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의 모드설정버튼(12)에 의해 PIP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리모콘(10)의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원격제어코드메모리(52)로부터 상기 모드설정버튼(12)의 조작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코드(즉, PIP모드설정코드)를 독취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에서는 그 PIP모드설정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를 점멸구동하게 된다.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의 점멸구동에 의해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즉, PIP모드설정코드신호)는 텔레비전(60)의 적외선 수광소자(62)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에 수신되어 상기 마이컴(66)에 인가되고, 그 마이컴(66)은 그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데이터메모리(68)에 프로그램된 원격제어코드와 대비하여 그 원격제어신호가 PIP모드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영상처리부(70)에 의해 특정한 채널에서 선국된 제 1의 복합영상신호(CS1)가 영상출력장치(76)에서 재생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PIP처리부(72)를 활성화하여 다른 채널에서 선국된 제 2의 복합영상신호(CS2)가 선행적으로 선택된 주화면상의 위치에서 표시(도 5에서 참조부호'82a')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도 5에 예시된 형태의 PIP화면의 제어를 위한 초기화면의 OSD신호가 상기 OSD처리부(74)에서 생성되어 상기 영상처리부(70)를 매개하여 상기 영상출력장치(76)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리모콘(10)에서 PIP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영상출력장치
(76)상에는 주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선행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부화면
(82a)이 표시됨과 더불어, 현재의 PIP모드에서 선택가능한 화면비의 표시영역이 정의되어 화면비의 선택메뉴(예컨대, '16:1', '8:1', '4:1', '1:2')가 표시되고, 그 선택메뉴에 대한 커서(80a)가 표시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영상출력장치
(76)의 화면중앙부분에는 상기 리모콘(10)의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에 의해 설정가능한 8방향 커서(80b)가 현재의 부화면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로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의 화면비선택을 위한 제어신호의 대기상태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리모콘(10)의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비선택영역(78)에 표시된 커서(80a)를 위치이동시키고나서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리모콘(10)의 제어부(50)는 그 선택스위치부재(22)의 조작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코드를 상기 원격제어코드메모리(52)에서 독취하여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로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는 그 원격제어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를 점멸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의 점멸에 의해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즉, 화면비선택제어신호)는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62)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에서 수신되어 상기 마이컴(66)으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마이컴(66)은 데이터메모리(68)를 참조하여 그 원격제어신호가 화면비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을 기초로,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76)상에 표시된 화면비중 선택된 화면비(예컨대 8:1화면비)에 커서를 위치시키고나서, 그 화면비에 대응하는 부화면의 위치제어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한 부화면의 위치제어에 관한 원격제어신호의 대기도중에, 상기 리모콘(10)에서 부화면의 위치(예컨대 '북동방향')의 설정을 위한 스위치부재(34)로부터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즉 상기 원판부재(32)상에 구비된 다수의 스위치부재(34)중에서 부화면의 위치를 북동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반구형의 8방향-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를 북동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그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북동방향에 형성된 돌기(18)가 그 북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치부재(34)의 제 1접점(34a)과 제 2접점(34b)을 접속시키게 되면 그 스위치부재(34)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50)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원격제어코드메모리(52)를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부재(34)의 조작에 관한 원격제어코드를 독취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
(54)에 인가하게 되고, 그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에서는 부화면의 위치를 북동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의 점멸구동에 의해 텔레비전(6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텔레비전(60)에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62)에서 수신되어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를 통해 상기 마이컴(66)에 인가되고, 그 마이컴(66)은 그 원격제어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메모리(68)를 참조해서 그 원격제어신호가 부화면의 위치를 북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로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OSD처리부(74)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출력장치(76)의 주화면상에 표시된 부화면의 위치에 관한 커서(80b)를 북동방향의 커서(80b')의 표시로 변경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커서(80b')의 위치에서 상기 설정된 화면비의 치수로 부화면의 가상표시윈도우(82b)를 특정한 컬러(예컨대 G(Green)컬러)에 의해 표시해주고나서 상기 리모콘(10)으로부터의 위치선택에 관한 제어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 영상출력장치(76)에서 부화면의 위치에 관한 커서의 표시(80b')가 행해진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의 선택스위치부재(22)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리모콘(10)의 제어부(50)는 상기 원격제어코드메모리(52)로부터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의 조작에 관한 원격제어코드를 독취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에 인가하게 되고, 그 원격제어신호변환부(54)는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의 조작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56)를 점멸구동하여 그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텔레비전(6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텔레비전(60)측으로 전송된 상기 선택스위치부재(22)의 조작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62)로부터 원격제어신호수신부(64)를 통해 상기 마이컴(66)에 인가되고, 그 마이컴(66)의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데이터메모리(68)에 프로그램된 원격제어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스위치부재
(22)의 조작에 관한 제어신호로서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OSD처리부(74)에 의한 OSD신호의 발생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PIP처리부(72)에 대해 제어신호(SC)를 인가하여 상기 제 2의 복합영상신호(CS2)에 대한 치수와 위치의 제어를 실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PIP처리부(72)에서는 상기 복합영상신호(CS2)에 대한 치수 및 위치가 변경되도록 부화면을 처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부(7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는 상기 제 1의 복합영상신호(CS1)가 주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PIP처리부(72)에서 인가되는 부화면의 영상신호를 중첩(Superimpose)처리하여 상기 영상출력장치(76)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장치(76)상에는 주화면의 영상과 부화면의 영상이 다화면으로 표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 바, 상기 리모콘(10)에 의해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화면비에 대해서는 별도적인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화면비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에 의해서는 단지 부화면의 위치만이 지정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상기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에 의한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의 설정단계는 부화면의 위치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나서 그 부화면의 화면비가 설정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면위치제어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 아날로그방식의 텔레비전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디지탈방식의 프로젝션 텔레비전이라던지 프로젝터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에 의하면, 리모콘상에 8방향으로 위치제어가 가능한 조이스틱형 부화면제어버튼을 설정해서 그 부화면제어버튼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와 화면비가 설정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리모콘(10)에 의해 원격제어되어 제 1 및 제 2의 영상신호에 대해 주화면과 부화면에 의한 다화면표시가 가능한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10)에 장치되어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8방향 자유도가 설정되는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원판부재상에 8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부재(34)와, 대체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면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부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스위치부재(34)의 접점형성을 위한 다수의 돌기부(18)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에는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의 선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스위치부재(22)가 갖추어진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를 갖추어 구성된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과,
    상기 리모콘(10)의 8방향-부화면제어버튼(14)으로부터의 부화면의 화면비와 위치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고 영상출력장치상에 화면비의 선택을 위한 OSD신호와 현재의 선택된 부화면의 위치 및 변경되는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OSD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마이컴(66),
    상기 마이컴(66)의 제어하에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OSD신호를 생성하는 OSD처리수단(74),
    상기 OSD처리수단(74)에서 생성된 상기 부화면의 화면비 및 위치에 대한 초기화면을 영상출력장치(76)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부화면처리수단(72)에 의해 처리된 상기 부화면의 영상신호와 상기 주화면의 영상신호를 다화면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70)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제어스위치부재(16)의 하단면에는 원추형상의 회동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회동돌기(20)는 상기 원판부재(3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상기 리모콘(10)의 하부패널(40)에 형성된 'V'자형상의 요홈(42)에 회동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리모콘(10)에 의해 부화면의 위치가 지정되면 그 지정된 부화면의 위치에 대한 가상적인 표시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기능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66)은 상기 부화면의 가상적인 위치에 대해 특정한 컬러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KR1019960042630A 1996-09-25 1996-09-25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KR10021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30A KR100219944B1 (ko) 1996-09-25 1996-09-25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30A KR100219944B1 (ko) 1996-09-25 1996-09-25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90A KR19980023190A (ko) 1998-07-06
KR100219944B1 true KR100219944B1 (ko) 1999-09-01

Family

ID=1947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30A KR100219944B1 (ko) 1996-09-25 1996-09-25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1643B2 (en) 2020-01-0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49B1 (ko) 2005-07-1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973A (ja) * 1992-11-21 1994-06-10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973A (ja) * 1992-11-21 1994-06-10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1643B2 (en) 2020-01-0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90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8866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0144460B1 (ko) 텔레비젼 시스템
US5751373A (en) Television function selection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mote commander for television receiver
US6624854B1 (en)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0219944B1 (ko) 화상표시시스템의 부화면위치제어장치
US6172715B1 (en) Picture-in-pic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television system
EP1022717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ment thereof
JP200125797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60002506B1 (ko) 텔레비전화면을 이용한 동작모드선택장치
JPH0635086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189887B1 (ko) 원격제어방법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기기
KR19990002375A (ko) 단일 버튼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2003036069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157135A (ja) 外部入力連動映像切替えテレビ受信機
JP2005136704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H076704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5249940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カーソル表示装置
KR200294566Y1 (ko) 오디오 비주얼 기기용 통합 컨트롤 장치
JPH07143419A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70093481A (ko) 디지털 영상기기에서의 외부입력 표시 및 전환방법
JPH01106685A (ja) Avシステムのリモート制御方式
KR200195311Y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표시 제어장치
JP2831160B2 (ja) 二画面表示装置
JP3163856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の状態表示装置
JPH05336398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