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697B1 -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697B1
KR100219697B1 KR1019940038294A KR19940038294A KR100219697B1 KR 100219697 B1 KR100219697 B1 KR 100219697B1 KR 1019940038294 A KR1019940038294 A KR 1019940038294A KR 19940038294 A KR19940038294 A KR 19940038294A KR 100219697 B1 KR100219697 B1 KR 10021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adow mask
mask frame
frame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966A (ko
Inventor
김태형
조시연
박종수
신창호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4003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697B1/ko
Publication of KR96002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터드 핀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설치되어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훅 스프링과 결합되는 보조 스터드 핀과, 상기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각 측면과 대향되는 부위에 각각적어도 두 위치에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센서와,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측정데이터 값에 따른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데이타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의 간격 측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의 간격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베이스 플레이트 22: 보조 스터드 핀
23: 센서 24: 실린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널의 내주면과 패널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형광막의 형광점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착하게 랜딩되기 위해서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지지상태 즉, 패널내면이 형광막과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사이의 간격인 Q치의 관리가 엄격히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패널의 내부 중심에 대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중심이 일치되어야 화면이 패널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섀도우마스크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형광막에 랜딩되게 되므로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영역내에서 패널(200)의 내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따라서패널(200)의 스터드 핀(210)과 그 훅스프링(110)의 결합시 섀도우마스크프레임 조립체(100)가 패널(200)의 내부에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제2도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훅스프링과,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 핀의 결합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프레임 외주면과 패널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종래 간격 측정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 핀의 배열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터드핀(12)를 배열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에는 그 탐침(13a)이 스터드핀에 결합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안착되는 패널의 설정된 내주면과의 간격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사각을 이루는 네 방향의 각 변에 적어도 두개 씩의 다이얼 게이지(13)가 설치된다. 이때에 상기 각 다이얼게이지(13)의 탐침(13a)은 각 변에 설치된 탐침의 다이얼 게이지 상호간에는 동일 위치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각 다이얼 게이지(13)는 소정의 핵튜에이터(14)에 의해 섀도우따스크 프레임 조립체(100) 측으로전후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의 간격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설정된 패널의 내주면과 프레임 외주면의 간격을 측정하여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 외주면에 용접되는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과 패널의 내주면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 외주면에 설치된 훅 스프링(110)을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된 스터드 핀(12)과 결합함으로써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다이얼 게이지(13)를 전진시켜 각 탐침(13a)이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도록 한 후, 그 접촉시점에서 작업자가 각 다이얼게이지(13)에 표시되는 눈금의 변화를 읽어 상기 새 토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정확하게 위치되는지를 판단하고 이 71을 데이터화 하여 어굿난 정도에 따라 프레임에 대한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를 조정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외주면과 패널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훅스프링의 용접위치를 보정하는 종래 프레임과 패널의 간격 측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다이얼 게이지의 탐침이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그 탐침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게 되는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탐침이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 본체(눈금이 부착된 부분)는 그 내부의 스프링 (미도시 )을 압축시키면서 탐침에 대해 계속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측으로 전진될 수 있으므로, 전진되고 있는 다이얼 게이지의 탐침이 정확하게 어느 시점에서 접촉되는지 즉,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이 어느시점에서부터 변화되기 시작하였는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측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그 다이얼 게이지의 탐침이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된 시점 사이의 다이얼 게이지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으므로, 결국, 정확한 훅 스프링의 총점위치 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측정된 데이터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정리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데이터 관리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프레임과 패널 내주면 사이의 간격 측정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훅스프링 용접위치의 지속적인 관리가 용이한 칼라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터드 핀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설치되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훅스프링과 결합되는 보조 스터드 핀;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각 측면과 대향되는 부위에 각각 적어도 두 위치에 설치되며, 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가능하며,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접촉되는 시점에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직선길이 변위 측정센서: 및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측정데이터 값에 따라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데이터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면에 형성된 스터드 핀의 배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보조스터드 핀(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스터드 핀(22)에 결합되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 각 측면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그 단부가 동일한 센서(23)가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 측으로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23)는 직선 길이에 대한 변위 감지센서인 LVDT센서가 사용되며, 각 센서(23)는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게된다. 각 겐서(23)의 단부는 설정된 프레임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이격된 위치에 세팅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액튜에이터(24)가 설치되는데, 이는 위치 제어가 정확한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센서(23)는 모니터(25a)를 구비한 데이터 프로세서(25)와 연결되어 센서(23)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0)의 프레임 외주면에 용접되는 훅스프링(110)의 정확한 용접위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간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패널과 프레임의 간격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프레임 외주면에 설치된 훅스프링(110)과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설치된 보조 스터드핀(22)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수단인 액튜에이터(24)를 작동시켜 센서(23) 즉, 직선길이 변위 감지센서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 (100)의 프레임 외주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센서(23)는 이동되는 도중에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프레임 외주면에 접촉되게 되는데, 이처럼 센서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조립체(100)의 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바로 그 시점에서 센서 (23)로부터 데이터가 발생되게 된다. 그러면, 데이터 프로세서(25)는상기 각 센서(23)로부터의 데이터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패널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훅스프링(110)의 용접위치를 산정한 후 데이터 프로세서(25)의모니 터 (25a )에 모니터(25a)에 나타난 정확한 측정결과만 확인하면 되며, 센서(23)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에 접촉되는 시점을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는 센서를 직선길이 가변센서를 이용하여,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접촉되는 그 시점에서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데이터를 통해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패널의 내부에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장착에 따른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 산정이 정확하므로 패널의 유효화면이 패널의 일 측면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터드핀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설치되어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훅스프링과 결합되는 보조 스터드 핀;
    상기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제의 각 측면과 대향되는 부위에 각각 적어도 두 위치에 설치도며, 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가능하며,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접촉되는 시점에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직선길이 변위 측정센서; 및
    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측정데이터 값에 따라 훅 스프링의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의 패널과 프레임 간격 측정장치.
KR1019940038294A 1994-12-28 1994-12-28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KR10021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94A KR100219697B1 (ko) 1994-12-28 1994-12-28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294A KR100219697B1 (ko) 1994-12-28 1994-12-28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66A KR960025966A (ko) 1996-07-20
KR100219697B1 true KR100219697B1 (ko) 1999-09-01

Family

ID=1940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294A KR100219697B1 (ko) 1994-12-28 1994-12-28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6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6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429A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KR100219697B1 (ko) 칼라음극선관의패널과프레임간격측정장치
CN116182742A (zh) 一种激光轮廓仪的校准指示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167328A (zh) 二极偏转磁铁借位磁测方法
US4828524A (en) Rail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CN220135018U (zh) 一种重复定位精度仪安装调整装置
JPH0628643Y2 (ja) 円筒体側面の真直度測定装置
JP3165220B2 (ja) マスク距離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9495154U (zh) 一种平面度检测装置
CN218097615U (zh) 一种齿轮测速传感器安装间隙测量装置
KR910005770Y1 (ko) 새도우 마스크 위치 측정용 게이지
CN219474543U (zh) 一种激光轮廓仪的校准指示装置
JPH01187729A (ja) ブラウン管の取付金具位置検査装置
KR20000026546A (ko) 평면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185142Y1 (ko) 가스켓 눌림량 측정기
JP3101207B2 (ja) パンチ摩耗検出装置
KR20020095533A (ko) 단차 측정 장치
KR910005952Y1 (ko) 칼라브라운관용 프레임의 외주면 측정기
JP2506730Y2 (ja) プレス型間距離測定器
JPH0649918U (ja) 鋼管の溶接部寸法測定器
JPS62119607U (ko)
KR20000060082A (ko) 음극선관용 패널의 외면곡률측정장치와 측정방법
JPH0519902U (ja) エンジンバルブのマージン厚測定装置
KR200142027Y1 (ko) 클립프레임의 용접타점 측정장치
KR960003249Y1 (ko) 전자총의 그리드전극 평탄도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