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208B1 -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208B1
KR100219208B1 KR1019960075029A KR19960075029A KR100219208B1 KR 100219208 B1 KR100219208 B1 KR 100219208B1 KR 1019960075029 A KR1019960075029 A KR 1019960075029A KR 19960075029 A KR19960075029 A KR 19960075029A KR 100219208 B1 KR100219208 B1 KR 10021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xhaust temperature
set value
oxygen sensor
monitorin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793A (ko
Inventor
이태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2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4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exhaus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02D2041/0067Determining the EG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직후 일정 모니터링 조건에서 배기온이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이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직후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정되도록 하므로서 조기에 폐루프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에미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루프(Close Loop) 모드로의 전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는 모니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S1); 상기의 단계에서 모니터링 조건이 만족되면 EGR 온도 센서로부터 배기온을 체크하는 단계와(S2); 체크된 배기온을 설정치와 비교판단하게 되는 단계와(S3); 체크된 배기온이 설정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S4);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단하여 피드백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S5)로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폐루프(Close Loop) 모드로의 전환 방법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온도에 의해 산소 센서의 활성화 시점을 단축시키도록 하는 폐루프(Close Loop) 모드로의 전환방법에 대한 것이다.
폐루프 모드란 차량에 시동이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산소 센서가 최소 동작 온도를 넘게 되면서 산소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공연비가 진하거나 희박하게 피드백 제어되도록 하는 연료 제어 모드이다.
즉 일반적으로 엔진이 시동되어 웜업(Warm Up)이 되면 연료 제어 시스템은 정밀한 배기제어와 연료 절감을 위하여 개방 루프(Open Loop) 제어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 개방 루프 제어 모드에서는 흡입 공기의 체적 유동률 및 공기의 속도와 밀도에 의해 적절한 공연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개방 루프 제어모드는 산소 센서가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유지되다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가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로 약칭함)에 기입력된 설정치 이상으로 판단된 직후 일정 시간(약 3~4분)을 경과하게 되면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단하면서 폐루프 제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후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각수온에 따른 산소 센서의 활성화판단은 실질적으로 산소 센서가 배기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시점과 촉매의 활성화 시간(약 40초 정도)에 비해 너무 지체되므로서 배출가스 측면에서는 에미션(Emission)이 대단히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동 직후 일정 모니터링 조건에서 배기온이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이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직후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정되도록 하므로서 조기에 폐루프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에미션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루프(Close Loop) 모드로의 전환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는 모니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모니터링 조건이 만족되면 EGR 온도 센서로부터 배기온을 체크하는 단계와; 체크된 배기온을 설정치와 비교판단하게 되는 단계와; 체크된 배기온이 설정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단하여 피드백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EGR 온도 센서
3 : 전자 제어 장치(Eletronic Control Unit)
4 : 산소 센서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 1은 엔진이며, 2는 EGR 온도 센서이다.
상기 EGR 온도 센서(2)에서는 배기가스의 재순환 온도를 체크하여 ECU(3)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ECU(3)에서는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를 동시에 체크하여 모드 전환을 제어하게 된다.
도면 부호 5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계로 재순환되도록 하는 EGR 밸브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가 ECU(3)에 기입력된 설정값 이상이 되는지를 비교판단하여(S1) 상기 모니터링 조건을 만족하면 EGR 온도 센서(2)로부터 배기온을 체크한다(S2).
이때의 배기온이 ECU(3)에 기입력된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S3) 그때부터 일정 시간을 기다려(S4) 일정 시간을 경과한 직후부터 산소 센서(4)로부터의 신호를 체크하여 폐루프 제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므로서 피드백 공연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5).
이같은 제어는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은 대단히 짧은데 비해 종전에는 산소센서의 활성화 판단이 대단히 늦게 이루어지므로서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의 지연에 따라 시동 초기의 에미션을 악화시키게 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EGR 온도 센서(2)에 의해 산소 센서(4)의 활성화 판단 시점이 실질적으로 산소 센서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근접해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피드백 공연비 제어를 조기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수온이 일정값 이상으로 되면서 배기온이 기입력된 설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 시간을 경과후 바로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정하면서 조기에 폐루프 제어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모드 전환은 특히 배기온에 의해 산소 센서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바로 활성화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엔진 구동의 정상화를 촉진시키게 되는 동시에 에미션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에 의해 배기온에 의해 산소 센서(4)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활성화 판정이 이루어지면서 폐루프 제어모드로의 전환을 조기에 수행되도록 하면서 촉매에 의한 시동 초기의 에미션 저감을 촉진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냉각수온과 부하와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는 모니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S1); 상기의 단계에서 모니터링 조건이 만족되면 EGR 온도 센서로부터 배기온을 체크하는 단계와(S2); 체크된 배기온을 설정치와 비교판단하게 되는 단계와(S3); 체크된 배기온이 설정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S4);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산소 센서의 활성화를 판단하여 피드백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S5); 로서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KR1019960075029A 1996-12-28 1996-12-28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KR10021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029A KR100219208B1 (ko) 1996-12-28 1996-12-28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029A KR100219208B1 (ko) 1996-12-28 1996-12-28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93A KR19980055793A (ko) 1998-09-25
KR100219208B1 true KR100219208B1 (ko) 1999-09-01

Family

ID=1949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029A KR100219208B1 (ko) 1996-12-28 1996-12-28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2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9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7419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14283A (en) Exhaust purifi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06748A (ko) 엔진용 배기가스 재순환(egr) 제어 시스템
US5184594A (en) Failure diagnosis device of an egr control device
US4497296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arbure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705287B2 (en) Method and regulating arrangement for heating the cab of a motor vehicle with a diesel engine
KR100219208B1 (ko) 폐루프 모드로의 전환 방법
US7131266B2 (en) Secondary ai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60797B1 (ko) 자동차용 산소센서의 열화에 따른 연료량 보상 제어방법
US4612889A (en) Idle control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324817A (ja) 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JP410333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11247684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0156760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00290409B1 (ko) 자동차의희박연소엔진장치및제어방법
JP2939975B2 (ja) アイドルアップ制御装置
JP3158864B2 (ja) 車両用エンジン
JP200001914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センサ活性化制御装置
JP2008163953A (ja) 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JPH07269392A (ja)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JPH1122514A (ja) 車両用エンジン
JP2002089311A (ja) 内燃機関
KR100412693B1 (ko) 차량의 산소센서 히터 제어방법
JPH073491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109059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