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654B1 - 오일 드레인 플러그 - Google Patents

오일 드레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654B1
KR100217654B1 KR1019960046720A KR19960046720A KR100217654B1 KR 100217654 B1 KR100217654 B1 KR 100217654B1 KR 1019960046720 A KR1019960046720 A KR 1019960046720A KR 19960046720 A KR19960046720 A KR 19960046720A KR 100217654 B1 KR100217654 B1 KR 10021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ain plug
opening
closing means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815A (ko
Inventor
권호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6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2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 F01M2001/1042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comprising magnetic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오일 팬(1)저부에 장착되어서 물이나 슬러지(sludge) 또는 열화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 들인 플러그(2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20)는 원주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11)의 일단에 다각형으로 머리부(12)가 형성된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에 길이방향으로 유입부(24), 제1연장부(25), 확대부(26), 제2연장부(27)로 형성된 드레인 홀과,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좌, 우 회전에 의해서 배출량을 조절하는 개폐수단(22)과, 개폐수단(22)의 걸림턱(29) 상단과 드레인홀의 확대부(26)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23)으로 구성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한다.
이에따라, 슬러지등을 배출할 경우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드레인 플러그(20)를 탈거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슬러지 등을 우선적으로 배출하고, 개폐조작이 신속하여 사용가능한 오일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일 드레인 플러그
본 발명은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엔진하부의 오일 팬에 장착되는 드레인 플러그의 종방향으로 드레인 홀을 형성하여 오일이나 이물질을 배출할 때 오일 팬으로부터 드레인 플러그를 탈거하지 않아도 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엔진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팬은 엔진의 각 윤활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일을 항상 저장하고 있으며, 엔진의 각 윤활부에 윤활하는 방식으로는 케넥팅 로드 대단부에 설치된 디퍼(dipper)에 의해 오일을 뿌려서 윤활하는 비산식, 오일 펌프에서 송출되는 오일의 압력으로 윤활하는 압력식, 실린더벽에는 비산시켜 윤활하고 그 외에 오일의 압력으로 윤활하는 비산 압력식, 및 연료와 오일을 혼합하여 일부는 연소시키고 일부는 윤활하는 혼기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제1도에는 윤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 압력식 윤활장치는 엔진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팬(1), 오일 팬(1)의 저변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입자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오일 스크린(2), 오일 팬(1)내의 오일을 흡입하여 가압하는 오일 펌프(3),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릴리프 밸브(4), 오일에 혼입된 먼지, 금속분말, 및 산화생성물 등을 제거하는 오일 필터(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팬(1)은 엔진의 하부에 설치되어 항상 오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오일 팬(1)의 저변에는 오일 스크린(2)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 스크린(2)은 윤활작용중에 생성되는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필트링하여 오일을 오일 펌프(3)로 유입시킨다.
오일펌프(3)로 흡입된 오일은 다시 가압되어서 높은 압력을 얻게 되는데 이것은 릴리프 밸브(4)를 통하여 유압이 일정하게 되어 오일 필터(5)로 압송된다.
오일 필터(5)는 압송된 오일에 혼입된 먼지, 카본 금속분말, 산화 생성물 등을 제거하여 메인 오일 통로를 통해 각 윤활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마멸방지작용, 밀봉작용, 냉각작용, 세척작용, 응력분산작용 및 방청작용 등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면서 오일은 각 윤활부에서 일부는 소멸되고 나머지는 다시 오일 팬(1)에 모아지게 되며 위와 같은 순환작용을 되풀이함으로써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제2도에는 오일 팬에 오일 드레인 플러그가 장착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팬(1)은 상부 오일 팬(1a)과 하부 오일 팬(1b)으로 구성되며 하부 오일 팬(1b)의 저부에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10)가 장착되어 있다. 오일 팬(1)의 내측에는 차량 주생시 급정차나 급선회 또는 경사로 등에서 차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오일 팬내의 오일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막이 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오일 팬(1b)의 저부에 설치된 오일 드레인 플러그(10)는 장시가의 윤활작용으로 인하여 열화된 엔진 오일의 교환이나 엔진의 각 윤활부에서의 윤활작용을 하는 과정에 생성된 이물질 등을 배출하기 위해서 장착되어 있다.
제3도에는 종래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10)는 체결부(11)와 머리부(1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1)는 원주의 외부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11)는 일단에는 드레인 플러그 시트(도시되지 않음)에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각형의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10)는 오일 팬(1) 내부의 저변에 깔려 있는 슬러지(sludge)등 윤활작용에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것을 배출할 경우에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드레인 플러그(10)를 완전히 탈거하여 물이나 슬러지(sludge)을 배출한 다음 오일이 흘러나오는 중에 재빨리 드레인 플러그(10)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개폐조작에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드레인 플러그(10)의 개폐에 신속성이 없어서 사용 가능한 오일을 다량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10)는 열화된 오일과 같이 다량의 오일을 배출할 경우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드레인 플러그(10)를 오랫동안 탈거한 상태에 있어야 하므로 드레인 플러그(10)의 분실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윤활작용에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물이나 슬러지(sludge) 또는 열화된 오일을 배출할 경우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드레인 플러그를 탈거하지 않고도 배출이 가능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윤활작용에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물이나 슬러지를 우선적으로 배출하고, 드레인 플러그의 개폐조작이 신속하고 간편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 플러그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주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된 드레인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선단에서 머리부 방향으로 비대칭 원추면의 요부가 형성된 유입부와 유입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연장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부와 확대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축소된 제2연장부가 머리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드레인 홀,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유입부와 합치되는 접시밸브와 접시밸브의 하부에 연장되어 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한 로드부로 구성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의 로드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드레인 홀의 확대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 홀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직경이 개폐수단의 로드부 직경보다 크고 확대부는 걸림턱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 홀은 유입구에 개폐수단의 접시밸브가 합치했을 때 유입구의 높이가 접시밸브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개폐수단의 하단에 조작수단으로 +형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수단의 접시밸브가 마그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동하는 것이다.
제1도는 윤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오일 팬에 오일 드레인 플러그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작동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탄성수단 24 : 유입부
25 : 제1연장부 26 : 확대부
27 : 제2연장부 28 : 접시밸브
29 : 걸림턱 30 : 로드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레인 플러그(20)는 원주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11)의 일단에 다각형으로 머리부(12)를 형성한 드레인 플러그(10)의 내측에 드레인 홀이 형성된 체결수단(21), 체결수단(21)의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상, 하 이동과 좌, 우 회전하는 개폐수단(22), 및 탄성수단(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11)와 머리부(12)로 형성된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에 길이 방향으로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21)의 드레인 홀은 체결부(11)의 선단면에서 머리부(12)방향으로 비대칭의 원추면으로 요부를 형성한 유입부(24)와, 상기 유입부(24)의 하방으로 중공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25)와, 상기 제1연장부(25)의 하방으로 제1연장부(25)의 중공이 좀더 확대되어 형성된 확대부(26)와, 상기 확대부(26)의 하방으로 제1연장부(25)의 중공과 직경의 크기가 같이 형성된 제2연장부(27)로 구성되는 머리부(12)까지 관통되는데, 내부에는 개폐수단(22)을 수용한다.
상기 개폐수단(22)은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개폐의 회전 개도에 따라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는데, 개폐수단(22)은 체결수단(21)의 유입부(24)와 합치되도록 형성된 접시밸브(28)와 접시밸브(28)의 하방으로 연장된 바아의 하부에 원주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서 걸림턱(29)이 형성된 로드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입부(24)와 접시밸브(28)가 합치되었을 때 접시밸브(28)의 수직높이는 유입부(24)의 수직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며 유입부(24)와 접시밸브(28)의 높이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슬러지를 우선적으로 집적하게 된다. 개폐수단(22)은 상, 하 이동과 좌, 우로회전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수단으로 로드부(30)의 하단에 +형의 음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부(30)의 직경은 제1연장부(25)와 제2연장부(27)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턱(29) 또한 확대부(26)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수단(22)의 접시밸브(28)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윤활과정에서 생성된 금속분말이 오일 펌퍼(3) 작동시 오일 스크린(2)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접시밸브(28)에 고착시킨다. 개폐수단(22)의 로드부(30)에 형성된 걸림턱(29)의 상부에는 탄성수단(23)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수단(23)은 압축코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부(3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9)의 상부에 삽입되어 확대부(26) 상면의 지지를 받으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의 (a),(b)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22)의 작동에 따른 평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드레인 플러그(20)는 유입부(24)와 접시밸브(28)의 높이 차이로 인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윤활작용의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침전물이 우선적으로 침전되며 이런 침전물을 오일 팬(1)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개폐수단(22)의 하단에 조작수단으로 형성된 +형의 음각에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력을 가하면 개폐수단(22)의 접시밸브(28)는 캠작용으로 상승하여 유입부(24)의 비대칭 원주면과 분리되고 압축 코일(23)은 수축된다. 이런 상태에서 개폐수단(22)을 서서히 돌리면 제6도의 (a)와 같이 개폐수단(22)의 회전에 따라 유입부(24)와 접시밸브(28)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그 사이로 슬러지 등이 흘러나와서 제1연장부(25)와 확대부(26) 및 제2연장부(27)를 통과해서 바깥으로 배출하게 된다. 슬러지 등의 배출이 완료되면 개폐수단(22)을 지지하고 있던 공구를 놓으면 캠면의 작용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캠부가 원위치로 회전하여 오일의 흐름을 차단한다.
열화된 오일과 같이 많은 양의 오일을 배유할 때에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20)를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완전히 탈거하여 오일을 배출하며, 이때 개폐수단(22)의 접시밸브(28)에 붙어 있는 금속가루를 제거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부(11)와 머리부(12)로 형성된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10)에 있어서 체결부(11)의 선단면에서 머리부까지 관통하는 드레인 홀을 형성하고,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상, 하 이동과 좌, 우 회전에 의해서 유량이 조절되는 개폐수단(22)과, 개폐수단(22)과 드레인 홀 사이에 탄성수단(23)을 설치하므로써, 윤활작용에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슬러지(sludge)등을 배출할 경우 드레인 플러그 시트로부터 드레인 플러그를 탈거하지 않아도 되고, 그럼으로 해서 드레인 플러그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윤활작용에 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물이나 슬러지를 우선적으로 배출하고, 개폐조작이 신속하여 물이나 슬러지 배출시 사용가능한 오일의 배출을 줄일 수 있는지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원주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된 드레인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선단면에서 머리부 방향으로 비대칭 원추면의 요부가 형성된 유입부와 유입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연장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부와 확대부의 하방으로 중공이 축소된 제2연장부가 머리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드레인 홀,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되어 유입부와 합치되는 접시밸브와 접시밸브의 하부에 연장되어 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한 로드부로 구성되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의 로드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드레인 홀의 확대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의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직경이 개폐수단의 로드부 직경보다 다소 크고 확대부는 걸림턱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의 유입구 수직높이가 합치되는 개폐수단의 접시밸브의 수직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접시밸브가 마그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레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에 조작수단으로 +형의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19960046720A 1996-10-18 1996-10-18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021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20A KR100217654B1 (ko) 1996-10-18 1996-10-18 오일 드레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20A KR100217654B1 (ko) 1996-10-18 1996-10-18 오일 드레인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15A KR19980027815A (ko) 1998-07-15
KR100217654B1 true KR100217654B1 (ko) 1999-09-01

Family

ID=1947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720A KR100217654B1 (ko) 1996-10-18 1996-10-18 오일 드레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1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22705T2 (de) Ölfiltervorrichtung
US6485637B2 (en) Liquid filter with a drain for residual liquid
US5462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cleaning of oil filter
US5423977A (en) Rotary filter with automatic spray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same
EP0839563A1 (en) Fluid filter with drain valve
US4498898A (en) Centrifugal separator
US5527463A (en) Liquid filtering device including a vessel and cartridge having cooperating support
EP1389273A1 (de) Verfahren zum abführen von in einem kraftstofffilter abgeschiedenem wasser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20090078629A1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JP2006522260A (ja) 内燃エンジン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用基体
JPS62210013A (ja) 自動洗浄缶型フイルタ
US4976854A (en) Oil filter II
US6835305B1 (en) Liquid filter, especially an oil filter
KR100217654B1 (ko) 오일 드레인 플러그
KR101890118B1 (ko) 탈수여액의 이중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CA2019443A1 (en) Oil burner pump
KR101269730B1 (ko) 내부 연소 엔진용 오일 필터
US3346120A (en) Oil cleaner
DE3613093C2 (ko)
JPH06337007A (ja) 作動油タンクのフィルタ装置
KR100598538B1 (ko) 오일필터 역류방지밸브의 장착구조
JPH0710407U (ja) オイルフィルタ
KR200165926Y1 (ko) 수위조절밸브
GB2120134A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0376671B1 (ko) 차량용 엔진 오일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