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666B1 - 래킹 - Google Patents

래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666B1
KR100216666B1 KR1019930702792A KR930702792A KR100216666B1 KR 100216666 B1 KR100216666 B1 KR 100216666B1 KR 1019930702792 A KR1019930702792 A KR 1019930702792A KR 930702792 A KR930702792 A KR 930702792A KR 100216666 B1 KR100216666 B1 KR 10021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ont wall
side wall
extend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베텔레이 콜린
와렌 베텔레이 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씨. 이. 베틀리
스타카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 이. 베틀리, 스타카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씨. 이. 베틀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A47B96/1475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and perforation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per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래킹용 포스트는 전면벽(2)과 이 전면벽의 각 길이방향 측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측벽으로 구성되고, 전면벽이 길이방향 요입부(7)와 이 요입부(7)의 양측에 간격을 둔 통공(15)의 제1 및 제2열(5,5')을 갖는다. 각 측벽은 전면벽부(3)(3')와, 제2측벽부(4,4')로 구성되며, 내향경사부(11,11',13,13')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돌출부를 갖는다. 포스트는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다수의 포스트로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인접한 측벽의 외측면(26)으로부터 요입부(7)의 외측면(25)이 간격을 이루는 거리(b)가 포스트열의 모든 포스트에 대하여 동일하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래킹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단면도.
제2도는 수정형태의 포스트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보인 포스트의 부분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단면도.
제1도-제3도에서 보인 포스트(1)는 전면벽(2), 이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대향된 제1측벽부(3)(3')와, 제1측벽부에서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이들에 평행한 제2의 대향된 측벽부(4)(4')로 구성된다. 전면벽은 제1측벽부(3)(3')가 연장된 종방향 측부영역(6)(6')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을 둔 일련의 제1 및 제2통공(5)(5')을 갖는다. 종방향 요입부(7)가 전면벽의 중앙에 배치되며 제1측부(8)와 배면부(9)로 구성된다. 이 요입부는 요입부의 대향측부에 배치된 각 열의 통공(5)(5')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있다. 요입부의 배면부(9)에는 다수의 원형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인 포스트에서, 각 제2측벽부(4)(4')는 경사부(11)(11')에 의하여 각 제1측벽부에 결합되고 이 경사부는 전면벽에 대하여 6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2측벽부는 거리 a 만큼 간격을 두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대각선 지주(도시하지 않았음)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거리 a는 지주의 측부가 제2측벽부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이다. 일련의 대향된 통공(12)이 각 제2측벽부(4)(4')의 중앙에 배치된다. 다수의 통공(12)이 배치되어 적당한 간격을 두고 지주가 포스트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포스트에 지주를 고정하는 적당한 방법으로서는 정렬된 통공과 지주의 적당한 통공 또는 기타 고정수단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체결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지주가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제2도는 전면벽(2), 요입부(7) 및 제1측벽부(3)(3')이 제1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와 일치하는 중금속제의 금속으로 된 수정형태의 포스트를 보이고 있고. 제2측벽부(4)(4')는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제1측벽부(3)(3')에 평행하다. 제2측벽부는 제1측벽부에 연결하여 경사부(13)(13')는 이들이 전면벽에 평행하도록 각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제2측벽부도 지주가 제2측벽부(4)(4') 사이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거리 a 만큼 떨어져 있다. 제1도의 포스트와 같이 각 제2측벽부(4)(4')에서 중앙에 배치된 다수의 정렬된 통공(12)은 지주를 포스트에 고정하여 볼트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14)(14')가 경사부(13)로부터 원격한 각 제2측벽부(4)(4')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포스트의 전면벽에는 제1 및 제2열(5)(5')의 통공(15)이 형성되어 있고 각 통공열(5)(5')은 측부영역(6)(6')에 인접하여 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통공(15)은 횡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며 종방향으로 기다란 팔각형의 형태이다. 이들 통공(15)은 대칭이며 각 통공열(5)(5')이 중앙에 배치된 요입부(7)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포스트는 양단이 상향된 직립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어 직립프레임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언급된 포스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된 L 자형 연결구(16)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L자형 연결구는 전면플랜지(17)와 제1측부플랜지(18)로 구성되고 그 외측면(19)에 크로스부재가 용접 또는 기타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면플랜지에는 연결구를 포스트에 고정토록 일련의 통공(15)중에서 하나를 통하여 후측하향하여 연장될 수 있게 된 일련의 후크형 돌출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제1측부플랜지로부터 원격한 단부(21)에서, 전면플랜지는 포스트의 중앙요입부(7)에 삽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측부플랜지(22)를 갖는다.
연결구는 제1측부플랜지(18)의 내측면(23)과 제2측부플랜지(22)의 내측면(24)이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포스트의 제1측부(8)의 외측면(25)과 제1측벽부(3)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b 만큼 떨어져 있다.
이 거리 b는 예시된 양 실시형태의 포스트에서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규격의 금속으로 제작된 포스트에서 이 크기 b는 일정하며 포스트의 내부치수는 사용된 금속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포스트에 고정되는 크기의 연결구는 다른 포스트에도 맞게 되어 있어 단순성과 적용성의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포스트 옆의 제작에 있어서, 거리 b와 a는 일정하며 거리 b는 가장 중요하다. 또한 전체 포스트열을 통하여 전면벽의 전면(27)과 제2측벽부(4)(4')에 형성된 통공(12)의 축선사이의 거리 c와 같이 기타 거리들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측벽부의 외측면(26) 사이의 전체거리 역시 전체포스트열을 통하여 일정하다.
본 발명은 래킹(rack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팰리트 래킹(pallet racking)으로 불리는 래킹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팰리트 래킹은 다수의 직접프레임과 적어도 일측단부가 직립프레임으로 지지된 다수의 크로스빔으로 구성된다. 드럼, 목재, 파이프류, 상자류등 여러 가지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팰리트 래킹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수적인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직접프레임은 두 개의 직립형 부재, 상하 크로스부재와, 두 직립형 부재 사이에 연장된 다수의 대각선 지주로 구성된다. 각 직립형 부재는 단일 포스트 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다수의 포스트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각 포스트는 특정규격의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압연작업으로 제작된다. 제작시에는 선택된 규격의 금속에 대한 포스트의 부하담지능력을 최대화 하는 단면형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용될 형태의 선택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고려될 것은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포스트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선택된 형태는 압축부하가 하나 이상의 포스트가 휘어지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포스트 사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이들 문제의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안이 제안된 바 있다. 현재의 래킹 및 보관시스템에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었으나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킹에 사용되는 새로운 형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전면벽,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된 제1대향측벽부와,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내향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된 제1측벽부에 평행한 제2대향측벽부로 구성되고, 전면벽에 길이방향 후측으로 연장된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부의 대향측부에 일련의 간격을 둔 제1 및 제2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래킹용 포스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잇점은 요입부가 특히 휘어짐에 대한 전면벽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므로서 포스트를 강화시키는 점이다.
요입부는 전면벽의 중앙에 배치되고 일련의 제1 및 제2통공 사이에 등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2측벽부는 포스트가 래킹보관 시스템에 사용될 때에 제2측벽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각선 지주의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간격을 두게 된다.
각 제2측벽부에는 일련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측벽부의 통공은 대향되어 있고 지주를 포스트에 고정하는 볼트 또는 기타 고정수단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측벽부에는 제2측벽부의 배면측 변부로부터 외향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포스트의 한 형태에 있어서, 각 대향경사부는 전면벽과 평행하다. 또한 이 경사부는 전면벽과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구체화된 한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열의 통공은 이들 제1 및 제2열의 통공이 일렬로 정렬되게 배열된다. 각 통공은 횡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이로써 이러한 통공을 갖는 포스트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포스트의 방향이 직립프레임의 구성 중에 중요하지 않아 패킹보관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함을 의미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통공은 기다란 팔각형 형태의 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포스트열의 제작이 바람직하다. 기존 포스트열이 갖는 문제점은 크로스빔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포스트열 중에서 하나의 포스트에 고정적으로 고정된다 하여도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동일 포스트열 중에서 다른 포스트에는 확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포스트의 열로 구성되며, 각 포스트는 전면벽과, 제1 및 제2의 대향된 측벽을 가지고, 각 측벽은 전면벽의 각 길이방향 측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측벽은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과,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내향 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된 각 제1측벽부와 평행한 제2측벽부로 구성되고, 전면벽은 제1 및 제2측부와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간격을 둔 배면부로 구성될 길이방향의 후향된 요입부를 가지며, 간격을 둔 통공의 제1 및 제2열이 요입부의 대향측부에 배치되고, 포스트열의 각 포스트는 제1측벽부 중 하나의 외측면과 요입부의 인접한 제1측부의 외측면이 요입부의 인접한 제2측부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이 거리는 포스트열의 모든 포스트에 대하여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포스트열의 잇점은 이 열의 한 포스트에 고정되는 연결구가 모든 포스트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열에 사용되는 적당한 연결구는 포스트의 전면벽에 형성된 일측 통공열에 배치될 수 있게 된 일련의 돌출부가 구비된 전면플랜지, 요입부의 제1측부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된 제1측부플랜지와 제1측벽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된 기다란 제2측부플랜지로 구성된다.
포스트의 한 형태에 있어서, 요입부는 전면벽의 중앙에 배치되고 각열의 통공은 이 요입부로부터 등거리를 유지한다.
포스트는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도록 상이한 규격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요입부의 제1측부의 외측면과 제1측벽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모든 규격을 통하여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기타 칫수역시 제1 및 제2측벽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14)

  1. 래킹용 포스트에 있어서, 이 포스트가 전면벽(2), 이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대향된 제1측벽부(3,3')와,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내향경사부(11,11'13,13')에 의하여 결합된 제1측벽부에 평행한 대향된 제2측벽부(4,4')로 구성되고, 전면벽에 길이방향 후측으로 연장된 요입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부의 양측부에 일정한 간격을 둔 제1 및 제2열(5,5')의 통공(15)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래킹용 포스트.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요입부(7)가 전면부(2)의 중앙에 배치되고 통공의 제1 및 제2열(5,5') 사이에 등거리를 두고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3. 청구범위 1 또는 2항에 있어서, 제2측벽부(4,4')가 포스트가 래킹보관 시스템에 사용시 제2측벽부 사이에 고정되는 대각선 지주의 폭과 동일한 거리(a)만큼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4.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각 제2측벽부(4)(4')에 일련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각 부분의 통공은 대향되고 지주를 포스트에 고정하는 볼트 또는 기타 고정수단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각 제2측벽부(4)(4')에 이 제2측벽부의 배면측 변부로부터 연장된 외향돌출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6.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각 내향경사부(13,13')가 전면벽(2)에 평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7.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각 내향경사부(11,11')가 전면벽(4)에 대하여 절곡되어 있고, 두 경사부는 전면벽(2)에 대하여 배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8. 상이한 부하담지능력을 갖는 래킹용의 포스트열에 있어서, 각 포스트가 전면벽(2)과, 이 전면벽의 각 종방향 측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측벽을 가지고, 각 측벽은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각 측벽은 전면벽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된 제1측벽부(3)(3')와, 배면측으로 연장되고 각 제1측벽부에 평행하며 내향경사부(11,11',13,13')에 의하여 연결된 제2측벽부(4)(4')로 구성되고, 전면벽은 제1 및 제2측부와, 전면벽으로부터 후향된 배면부(9)로 구성된 길이방향 후측으로 연장된 요입부(7)를 가지며, 간격을 둔 통공(15)의 제1 및 제2열(5,5')이 요입부(7)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포스트열의 각 포스트는 제1측벽부(3)중 하나의 외측면(26)과 요입부(7)의 인접한 제1측부(8)의 외측면(25)이 타측 제1측벽부(3')의 외측면과 요입부(7)의 인접한 제2측부(8)의 외측면(25) 사이의 거리(b)에 해당하는 거리(b)만큼 거리를 두고 있으며 이 거리가 포스트열의 모든 포스트에 대하여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킹용 포스트.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요입부(7)가 전면벽(2)의 중앙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10.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통공(15)의 각 열(5,5')이 요입부(7)로부터 등간격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11. 청구범위 10항에 있어서, 통공의 제1 및 제2열(5,5')이 일렬로 정렬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12.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각 통공(15)이 상호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13.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각 통공(15)이 기다란 팔각형 형태의 주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14. 청구범위 13항에 있어서, 각 통공(15)이 길이방향으로 기다랗게 되어 있고 한쌍의 연결구에 형성된 돌출구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는 통공의 측변부와 이 측변부 하단의 경사변부가 돌출부와 쐐기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KR1019930702792A 1991-03-20 1992-03-18 래킹 KR100216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05942.8 1991-03-20
GB919105942A GB9105942D0 (en) 1991-03-20 1991-03-20 Improvements relating to racking
PCT/GB1992/000483 WO1992016126A1 (en) 1991-03-20 1992-03-18 Improvements relating to r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666B1 true KR100216666B1 (ko) 1999-09-01

Family

ID=1069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792A KR100216666B1 (ko) 1991-03-20 1992-03-18 래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40340A (ko)
EP (1) EP0680269B1 (ko)
KR (1) KR100216666B1 (ko)
AT (1) ATE167987T1 (ko)
AU (1) AU1378992A (ko)
DE (1) DE69226207T2 (ko)
ES (1) ES2117666T3 (ko)
GB (1) GB9105942D0 (ko)
WO (1) WO199201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501A (en) * 1996-12-31 1998-08-25 Gunten Lee L Von Gravity shelf structure support
DE102004026920A1 (de) * 2004-06-01 2005-12-29 Atrium Enterprises Gmbh Ablagesystem
US20080149581A1 (en) * 2004-10-13 2008-06-26 Dematic Pty Ltd Upright Protector
US20090057272A1 (en) * 2007-08-28 2009-03-05 Modgil Arun Shipping case and connecting device for use with case
DE202010005700U1 (de) * 2010-06-23 2010-09-02 Irega Ag Steckregal zur Lagerung von Sätzen von Fahrzeugrädern
WO2018107267A1 (en) * 2016-12-16 2018-06-21 Peak Innovations Inc. Shelving system
SE544174C2 (en) * 2020-04-30 2022-02-22 Elfa Int Ab Hang standard and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hang standard
CN114614176A (zh) * 2022-03-25 2022-06-10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机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812A (en) * 1975-12-11 1978-02-21 The Paltier Corporation Pallet rack
DE2936767C2 (de) * 1979-09-12 1982-04-15 Walter & Bruynzeel AG, Balterswil Zerlegbares Großraumregal
FR2542391B1 (fr) * 1983-03-10 1985-08-23 Caillau Ets Procede d'assemblage de la chape avec la bande d'un collier de serrage, et colliers obtenus par ce procede
US4729484A (en) * 1983-10-14 1988-03-08 Interlake, Corporation Pallet rack construction
EP0176002B1 (de) * 1984-09-26 1989-02-08 Fritz Schäf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Regal
DE3918796A1 (de) * 1989-06-08 1990-12-13 Uniprogram Di Pozzer G & C S A Vertikaler pfeiler aus blech fuer zusammenbaubare regale
US5377851A (en) * 1991-01-28 1995-01-03 Daifuku Co., Ltd. Rack assembly
US5350074A (en) * 1993-10-01 1994-09-27 Morgan Marshall Industries, Inc. Pallet rack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2016126A1 (en) 1992-10-01
EP0680269B1 (en) 1998-07-08
ES2117666T3 (es) 1998-08-16
GB9105942D0 (en) 1991-05-08
EP0680269A1 (en) 1995-11-08
DE69226207D1 (de) 1998-08-13
US5540340A (en) 1996-07-30
DE69226207T2 (de) 1998-10-22
ATE167987T1 (de) 1998-07-15
AU1378992A (en) 199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960A (en) Four-way sheet metal pallet
US4317523A (en) Storage structure having two-piece beams
US4545490A (en) Safety steel angle assembly rack
US7128225B2 (en) Cargo rack
US4513669A (en) Shelving structure and clip used therein
KR100216666B1 (ko) 래킹
US20160051044A1 (en) Shelving brace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US4159814A (en) Framing for shelves
FI79070C (fi) Anordning vid foervaringsstaell.
US4142638A (en) Prefabricated storage shelves
US4133151A (en) Connecting element
US4744475A (en) Free-standing display assembly
US20180127206A1 (en) Structural member connection having improved structural support
US6370719B1 (en) Dock leveler lip construction
FR2738212A1 (fr) Navire comportant des elements de surface plans disposes dans la coque du navire et s'etendant horizontalement
EP0044282A2 (en) Metallic shelving provided with multiple interlocking means, and components designed for producing this shelving
KR20200056678A (ko) 조립식 스태킹 랙
US4098197A (en) Composite shelving system
JPS611592A (ja) 船艙隔壁の組立方法
US5447107A (en) Metallic transporting appliance
US11760577B2 (en) Rail and track system and adjustable cartridges for supporting spiral and straight conveyor belts
JPH0233009A (ja) 枠組棚の連結構造
FR2991971A1 (fr) Platelage comportant un treillis de fils metalliques haubane et dispositif de stockage comprenant un tel platelage
KR102577311B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