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345B1 -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345B1
KR100216345B1 KR1019960014842A KR19960014842A KR100216345B1 KR 100216345 B1 KR100216345 B1 KR 100216345B1 KR 1019960014842 A KR1019960014842 A KR 1019960014842A KR 19960014842 A KR19960014842 A KR 19960014842A KR 100216345 B1 KR100216345 B1 KR 10021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paste composition
weight
organic binder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900A (ko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101996001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345B1/ko
Publication of KR97007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분말, 팔라듐(palladium) 분말, 무기 바인더(blnder) 및 메타아크리레이트(methacrylate)와 첨가제와 용매로 조성된 유기 바인더가 배합되어 조성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예 관한 것으로서, 은 분말의 입자 형태 및 그 양과 유기 바인더의 고형성분 종류 및 그 조성비가 조절되어 더핑작업에 적합한 점도와 요변성 지수를 가지기 때문에 더핑방법이 적용되는 각종 부품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제1도는 저항 측정용 인쇄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르서, 특히 더핑(dipping)작업에 유동성을 가지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방법이나 디핑방법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원하는 각종 부품에 적용된 후 건조 및 소결되어 그 부품의 전극 역할을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전성 금속 분말과 바인더(binder) 성분이 혼합되어 조성되는데, 상기 도전성 금속 분말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고, 상기 바인더 성분은 무기 바인더와 바인더가 함께 사용된다.
상기에서 무기 바인더는 도전성 금속 분말과 적용하고자 하는 부품간의 결합력을 제공하고, 유기 바인더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유동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건조 후 결합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 방법에 적합한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디핑방법이 적용되는 부품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외부 전극(내부 전극과 외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전극)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전성 금속 분말의 입자 형태 및 그 양과 유기 바인더의 고형성분 종류 및 그 조성비를 조절하여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점도와 요변성 지수가 디핑작업에 적합한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디핑방법이 적용되는 부품에 적합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은 분말 60∼80중량%, 팔라듐(palladium) 분말 0.1∼2중량%, 무기 바인더(binder) 1∼10중량%와 메틸아크리레이트(methacrylate) 15∼30중량% 및 첨가제 3.2∼13중량%와 용매 57∼81.8중량%로 조성된 유기 바인더가 배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은 분말 60∼80중량% 팔라듐 분말 0.1∼2중량%, 무기 바인더 1∼10중량 % 및 유기바인더 8.∼38.9중량%가 배합되어 조성되고, 25∼50kcps의 점도 및 2.5∼4의 요변성 지수를 가진다.
상기 은 분말은 입자 크기가 30㎛ 이하인 무정형, 판사형 및 구형은 분말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전체 도전성 페이스트 조 100중량%에 대하여 60∼80중량% 범위내의 양이 포함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75중량% 범위 내의 양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에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중 은 분말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불량을 초래하고, 8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증가에 따른 작업성 불량을 초래한다.
상기 팔라듐 분말은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소결 후 은 입자의 리칭성 및 전이를 방지한다.
상기 무기 바인더는 디핑방법이 적용되는 부품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유전체와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소결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연화점이 50∼555℃인 납-실리콘-보론(Pb-Si-B) 계통의 유리 성분이 사용된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바인더 고형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아크리레이트(acrylate) 계통의 메틸아크리레이트(methacrylate) 15∼30중량%, 첨가제 3.2∼13중량% 및 용매 57∼81.8중량%가 배합되어 조성된다.
상기에서 유기 바인더 첨가제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분산성 유지와 접착성을 위하여 포함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스테버라이트로진, 디하이드레이트캐이스터오일 및 디스퍼빅(disperbyk) 습윤 분산제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에서 유기 바인더의 용매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적정 점도 유지 및 바인더 고형성분의 용해력 등이 고려되어 톨루엔, 터피네올,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부록시에틸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한편, 상기 메틸아크리레이트는 전체유기 바인더 100중량%에 대하여 15∼30중량% 범위 내의 양이 포함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 범위 내의 양이 포함된다.
상기에서 유기 바인더 중 메틸아크리레이트의 함량의 15중량% 미만이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점도 저하에 다른 작업성 불량과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건조시 결합력 약화에 따른 불량 발생을 초래하고, 30중량%를 초과하며 고점도에 따른 작업성 불량을 초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다수의 실시예를 다음 표 1, 표 2 및 표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자의 크기가 30㎛이하인 구형, 판사형 및 무정형의 은 분말과 팔라듐 분말 및 무기 바인더를 표 1에 나타낼 비율로 1차 혼합한 후 표 2에서 나타낸 비율로 제조된 유기 바인더와 표 3에서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3를 밀(roll mill)에서 30분간 섞어서 각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에서 제조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기 전도도, 외관 상태, 내부 상태 및 밀착력 특성을 조사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전기 전도도는 각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1도에 도시된 저항 측정용 인쇄패턴의 형태로 스크린 인쇄하여 750℃에서 10분간 소결시킨 후 저항을 측정하여 환산한 값으로서, 다음 기준에 의하여 평가한다.
○ : 전기 전도도가 10-3Ω㎝ 미만인 경우
× : 전기 전도도가 10-3Ω㎝ 이상인 경우
표 3에서 외관 상태는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에 각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디핑방법으로 단자 작업하여 180℃에서 5분간 건조시키고, 750℃에서 소결 시킨 후 그 외관을 관찰하여 다음 기준에 의하여 평가한다.
○ : 외형상 피크(peak) 현상, 함몰(dimple) 현상, 반달(halfmoon) 현상 등의 불량 모드가 없는 경우
× : 외형상 피크 현상, 함몰 현상, 반달 현상 등의 불량 모드가 있는 경우
표 3에서 내부 상태는 상기한 외관 상태의 평가에서 설명된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를 크로스섹션(X-section)한 후 그 내부를 관찰하여 다음 기준에 의하여 평가한다.
○ :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의 유전체 및 내부 전극과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이 들뜸 없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 :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의 유전체 및 내부 전극과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결합들뜸 현상이 있는 경우
표 3에서 밀착력은 상기한 외관 상태의 평가에서 설명된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 칩을 니켈, 납 도금한 다음 0.4mm의 알루미늄선을 양쪽 단자 끝에 연결하여 일정 속도로 잡아당긴 후 소결된 도전성 페이스트와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 유전체간의 결합력을 측정하여 다음 기준에 의하여 평가한다.
○ : 측정된 밀착력이 1.0kg 이상인 경우
× : 측정된 밀착력이 1.0kg 미만인 경우
즉, 표3의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각각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디핑방법이 적용되는 부품 예를 들어, 적층 세락믹 커패시터의 외부 전극용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전성 금속 분말 분말의 입자 형태 및 그 양과 유기 바인더의 고형성분 종류 및 그 조성비가 조절되어 디핑방법에 적합한 점도와 요변성 지수를 가지기 때문에 디핑 방법이 적용되는 각종 부품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 1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고형성분비
표 2 유기 바인더의 조성비
표 3 도전성 페이스트의 조성비 및 그 특성 결과

Claims (3)

  1. 은 분말 60∼80중량%, 팔라듐(palladium) 분말 0.1∼2중량%, 무기 바인더(binder) 1∼10중량%와 메틸아크리레이트(methacrylate) 15∼30중량% 및 첨가제 3.2∼13중량%와 용매 57∼81.8중량%로 조성된 유기 바인더가 배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스테버라이트로진, 디하이드레이트캐스터오일 및 디스퍼빅(disperbyk) 습윤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 터피네올,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톡시에톡시, 에틸아세테이트, 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19960014842A 1996-05-07 1996-05-07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021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842A KR100216345B1 (ko) 1996-05-07 1996-05-07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842A KR100216345B1 (ko) 1996-05-07 1996-05-07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900A KR970076900A (ko) 1997-12-12
KR100216345B1 true KR100216345B1 (ko) 1999-08-16

Family

ID=1945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842A KR100216345B1 (ko) 1996-05-07 1996-05-07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10B1 (ko) 2007-12-21 2010-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10B1 (ko) 2007-12-21 2010-10-25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900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5837A (en) Copper paste composition
KR20130109071A (ko) 낮은 은 함량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JP4691809B2 (ja) 厚膜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37286B2 (ja) 焼成ジルコニア基材用導体ペースト
JP3230394B2 (ja) 磁器コンデンサ
US7083744B2 (en) Terminal electrode compositions for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JP2017199543A (ja) 導電性組成物、導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配線の形成方法
KR100216345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0196399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0360546B1 (ko) 적층 칩 인덕터의 외부 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100196398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2017199544A (ja) 導電性組成物及び端子電極の製造方法
JPH0945130A (ja) 導体ペースト組成物
KR19990056608A (ko) 후막 도체 페이스트 조성물
JP3123315B2 (ja) 導電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
JP2931450B2 (ja) 導体ペースト
JP6801586B2 (ja) 導体形成用組成物、導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チップ抵抗器
JP2941002B2 (ja) 導体組成物
JP3318299B2 (ja) Pbフリー低温焼成型導電塗料
KR19980046580A (ko) 칩 저항기의 1차 도체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S63283184A (ja) 導体組成物を被覆した回路基板
JP2992958B2 (ja) 低温焼成多層配線基板用導体ペースト
KR19980046579A (ko) 칩 저항기의 2차 전극용 후막 도체 페이스트 조성물
KR100369564B1 (ko) 칩 저항기 이차전극용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H06349316A (ja) 導電ペー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