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774B1 -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774B1
KR100215774B1 KR1019970029742A KR19970029742A KR100215774B1 KR 100215774 B1 KR100215774 B1 KR 100215774B1 KR 1019970029742 A KR1019970029742 A KR 1019970029742A KR 19970029742 A KR19970029742 A KR 19970029742A KR 100215774 B1 KR100215774 B1 KR 10021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magnetic flux
shield body
long
sh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544A (ko
Inventor
윤태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7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4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에 관한 것으로서, 자속이 실드몸체의 장,단변부 및 각 코너부로 쉽게 밀집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실드몸체의 개구부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폭으로 떨어지도록 함에 따라 외부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경로변화가 줄어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개구부(81)를 갖도록 장변부(82) 및 단변부(83)와 상기 장,단변부가 만나는 코너부(84)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단변부(82)(83)의 길이가 프레임 고정부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점더 짧아지는 실드몸체(85)와,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코너부(84)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돌출편(86)과, 상기 실드몸체(85)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장변부(82) 및 단면부(83)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82)(83)로 밀집시켜 주는 삼각형상의 변돌출편(87)과, 상기 실드몸체(85)의 각 코너부(84)에 형성되어 코너돌출편(86)과 함께 자속을 상기 코너부(84)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노치(88)와, 상기 실드몸체(85)의 각 장변부(82) 및 단변부(83)에 형성되어 변돌출편(87)과 함께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82)(83)로 밀집시켜 주는 변노치(89)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이 외부자계에 의해 진로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자계를 막아주는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패널(Panel)(1)에 후방으로 네크(Neck)부(3)를 갖는 펀넬(Funnel)(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네크부(3) 내의 끝단에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시켜 주도록 스템(Stem)(4)이 씰링(Sealing)되어 있으며, 상기 네크부(3) 내에는 전압을 인가받아 적,녹,청색의 3색 전자빔을 방사하도록 전자총(5)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펀넬의 네크부(3)측 외주면에는 전자총(5)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도록 편향요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1)의 내측둘레에는 프레임(7)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펀넬(2)측에는 전자총(5)에서 방사되어 편향요크(6)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빔의 진로가 누설자계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인너실드(Inner Shield)(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7)의 패널(1)측에는 인너실드(8)를 통과한 전자빔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빔통과공이 무수히 많이 뚫린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9)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1)의 안쪽면에는 섀도우마스크(9)를 통과한 전자빔이 부딪힐 때 화상이 맺혀지도록 형광면(10)이 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을 기기(텔레비젼 수상기 및 각종 영상기기용 모니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기기를 온시키면 고전압이 펀넬(2)의 네크부(3)에 씰링된 스템(4)을 통해 인가되므로 상기 네크부(3)에 내장된 전자총(5)이 동작하면서 적,녹,청색의 3색 전자빔을 방사하고 이 방사된 전자빔은 상기 펀넬(2)의 네크부(3)측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요크(6)의 자계에 의해 곧바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이때 프레임(7)의 펀넬(2)측에 고정된 인너실드(8)가 상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된 전자빔의 외부자계를 막아주므로 편향된 상태로 계속 방사되는 3색 전자빔의 진로가 가급적 변형되지 않게된다.
계속해서 상기 인너실드(8)를 통과한 3색 전자빔은 대부분(약 80%) 프레임(7)의 패널(1)측에 고정된 섀도우 마스크(9)에 부딪혀 산란되고 나머지(약20%)만이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빔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패널(1)의 안쪽면에 형성된 형광면(10)에 부딪히므로 3색 전자빔의 조합에 의해 칼라 화면이 재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에서 전자빔의 외부자계를 막아 상기 전자빔의 진로가 도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인너실드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직사각형의 개구부(81)를 갖도록 장변부(82) 및 단변부(83)와 상기 장,단변부(82)(83)가 만나는 코너부(84)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단변부(82)(83)의 길이가 프레임 고정부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짧아지는 실드몸체(8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칼라 음극선관의 전자총(5)에서 방사된 전자빔이 인너실드(8)를 구성하는 실드몸체(85)의 개구부(81)를 통과할 때 상기 실드몸체(85)의 장변부(82) 및 단변부(83)가 매끄러운 평면상태이기 때문에 자속이 상기 각 장변부(82) 및 단변부(83)는 물론 장변부(82)와 단변부(83)가 만나는 각 코너부(84)로 쉽게 밀집되지 않고 이에따라 개구부(81)의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된다.
상기와 같이 실드몸체(85)의 개구부(81)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되면 상기 개구부(81)를 통과하는 전자빔은 외부자계에 의한 경로변화폭이 그만큼 커지게 되고, 상기 전자빔의 경로변화폭이 커지게 되면 결국 외부자계의 차폐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인너실드는 실드몸체의 장변부 및 단변부가 매끄러운 평면상태이므로 자속이 상기 장,단변부 및 코너부로 밀집되지 못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자속이 장,단변부 및 코너부로 밀집되지 못하면 개구부의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되므로 외부자계에 의한 경로변화가 감소되지 못하여 결국 외부자계의 차폐효과는 떨어지고 이에따라 전자빔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도달되지 못하므로 인해 화면상태가 깨끗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속이 실드몸체의 장,단변부 및 각 코너부로 쉽게 밀집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실드몸체의 개구부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폭으로 떨어지도록 함에 따라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이 상기 실드몸체의 개구부를 통과할 때 그 경로변화가 줄어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갖도록 장변부 및 단변부와 상기 장,단변부가 만나는 코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단변부의 길이가 프레임 고정부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점더 짧아지는 실드몸체와,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돌출편과,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장변부 및 단면부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로 밀집시켜 주는 변돌출편과, 상기 실드몸체의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코너돌출편과 함께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노치와, 상기 실드몸체의 각 장변부 및 단변부에 형성되어 변돌출편과 함께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로 밀집시켜 주는 변노치로 구성하여서 된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가 제공된다.
도 1은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인너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인너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1 : 개구부 82 : 장변부
83 : 단변부 84 : 코너부
85 : 실드몸체 86 : 코너돌출편
87 : 변돌출편 88 : 코너노치
89 : 변노치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인너실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개구부(81)를 갖도록 장변부(82) 및 단변부(83)와 상기 장,단변부(82)(83)가 만나는 코너부(84)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단변부(82)(83)의 길이가 프레임 고정부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점더 짧아지는 실드몸체(85)와,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코너부(84)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삼각형상의 코너돌출편(86)과, 상기 실드몸체(85)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장변부(82) 및 단면부(83)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82)(83)로 밀집시켜 주는 삼각형상의 변돌출편(87)과, 상기 실드몸체(85)의 각 코너부(84)에 형성되어 코너돌출편(86)과 함께 자속을 상기 코너부(84)로 밀집시켜 주는 삼각형상의 코너노치(88)와, 상기 실드몸체(85)의 각 장변부(82) 및 단변부(83)에 형성되어 변돌출편(87)과 함께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82)(83)로 밀집시켜 주는 삼각형상의 변노치(89)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속이 뽀쪽하거나 각이진 부분으로 밀집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실드몸체(85)의 프레임 고정부분 반대측 각 코너부(84)에 삼각형상의 코너돌출편(86)이 형성됨과 함께 각 장변부(82) 및 단면부(83)에는 삼각형상의 변돌출편(8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드몸체(85)의 각 코너부(84)에는 삼각형상의 코너노치(88)가 형성됨과 함께 각 장변부(82) 및 단변부(83)에는 삼각형상의 변노치(89)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자속이 상기 코너돌출편(86) 및 변돌출편(87)과 코너노치(88) 및 변노치(89)에 의해 개구부(81)의 내측부분에서 외측부분으로 밀집되고 이에따라 상기 개구부의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폭으로 떨어진다.
이와같이 개구부(81)의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폭으로 떨어지면 전자총(5)에서 방사된 전자빔이 인너실드(8)를 통과할 때 외부자계에 의한 경로변화가 감소되고, 이 감소된 만큼 외부자계의 차폐효과는 상승한다.
상기에서 자속을 개구부(81)의 외측으로 밀집시켜 주기 위해 실드몸체(85)의 프레임 고정부분 반대측 각 코너부(84)에 형성된 코너돌출편(86) 및 각 장,단변부(82)(83)에 형성된 변돌출편(87)을 삼각형상으로 하고, 각 코너부(87)에 형성된 코너노치(88) 및 각 장,단변부(82)(83)에 형성된 변노치(89)를 삼각형상으로 한 것은, 뾰쪽한 부분을 만들어 자속이 상기 각 돌출편(86)(87)과 각 노치(88)(89)에 보다 원활히 밀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실드몸체의 각 코너부 및 장,단변부로 자속이 쉽게 밀집되므로 개구부의 내측부분 자속밀도가 외측부분 자속밀도에 비해 큰폭으로 떨어짐에 따라 외부자계에 의한 경로변화가 감소되면서 차폐효과는 상승되어 전자빔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도달되고 이로인해 화면상태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된다.

Claims (3)

  1.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갖도록 장변부 및 단변부와 상기 장,단변부가 만나는 코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단변부의 길이가 프레임 고정부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점더 짧아지는 실드몸체와,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돌출편과,
    상기 실드몸체의 프레임 고정부 반대측 각 장변부 및 단변부에 형성되어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로 밀집시켜 주는 변돌출편과,
    상기 실드몸체의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코너돌출편과 함께 자속을 상기 코너부로 밀집시켜 주는 코너노치와,
    상기 실드몸체의 각 장변부 및 단변부에 형성되어 변돌출편과 함께 자속을 상기 장,단변부로 밀집시켜 주는 변노치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코너돌출편 및 변돌출편이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코너노치 및 변노치가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KR1019970029742A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KR10021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2A KR100215774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42A KR100215774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4A KR19990005544A (ko) 1999-01-25
KR100215774B1 true KR100215774B1 (ko) 1999-08-16

Family

ID=1951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742A KR100215774B1 (ko) 1997-06-30 1997-06-30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898A (ja) * 1999-12-13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内部磁気シールド及び陰極線管
KR20020008587A (ko) 2000-07-24 2002-01-31 김영남 칼라음극선관의 인너 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4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7528A (ko) 컬러음극선관
KR100215774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KR100253060B1 (ko)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100198901B1 (ko) 내부 자기차폐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KR20010005585A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200226394Y1 (ko) 편향요크
KR0133826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 시일드
KR100201629B1 (ko)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100395808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200160261Y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52069B1 (ko) 음극선관
KR930007526Y1 (ko) 음극선관의 지자계 차폐판
KR200365166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JPH07115656A (ja) 陰極線管
KR100295791B1 (ko) 고휘도 칼라음극선관 및 그 노광방법
KR100786836B1 (ko) 음극선관
KR0137648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지지프레임 장착장치
KR200258965Y1 (ko) 음극선관
KR19980021653A (ko) 음극선관용 자기쉴드
KR100215796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286941B1 (ko) 음극선관
KR20000010590U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